KR102044891B1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891B1 KR102044891B1 KR1020190058234A KR20190058234A KR102044891B1 KR 102044891 B1 KR102044891 B1 KR 102044891B1 KR 1020190058234 A KR1020190058234 A KR 1020190058234A KR 20190058234 A KR20190058234 A KR 20190058234A KR 102044891 B1 KR102044891 B1 KR 1020448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octopus
- rubra
- sk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Z(Demilitarized zone)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DMZ 자생식물인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DMZ(Demilitarized zone)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DMZ 자생식물인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국내외 피부노화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하는 촉매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와 자외선, 매연, 흡연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외인성 노화에 기인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른 변화로는 기미, 주근깨 등의 과색소 침착, 탄력 저하, 주름 증가 및 각종 피부염의 발생을 들 수 있다.
현재 과색소침착을 막기 위한 대부분의 연구는 흑화의 원인인 멜라닌의 생성경로를 막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알부틴, 감초추출물, 닥나무추출물과 같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원료, 멜라솔브(Melasolv)와 같이 티로시나제 발현을 억제하는 원료,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코엔자임 Q10과 같은 멜라노좀이 각질세포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원료 등이 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국내 화장품 개발에 이용되는 화장품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따라 원료의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1.45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주 수입국은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이며, 이들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전 세계 무한경쟁의 시대를 맞이하여 국내 화장품사업의 국내외 경쟁력 강화 및 수출 상품으로의 육성을 위해서는 국내 자원의 고기능성 개발을 통한 수입 원료의 대체, 국산원료의 수출 상품화 및 나아가 국내 화장품의 고급화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화장품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국 원료를 발굴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에 효과적인 고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의 혼합물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노루오줌 10~50중량%, 낙지다리 10~50중량%, 가는장구채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추출물,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추출물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건조중량 기준으로, 노루오줌 추출물 10~50중량%, 낙지다리 추출물 10~50중량% 및 가는장구채 추출물 10~50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의 혼합물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노루오줌 10~50중량%, 낙지다리 10~50중량%, 가는장구채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추출물,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추출물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건조중량 기준으로, 노루오줌 추출물 10~50중량%, 낙지다리 추출물 10~50중량% 및 가는장구채 추출물 10~50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DMZ 자생식물인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발명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화장품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국 원료를 발굴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고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DMZ 자생식물인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추출물,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추출물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노루오줌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생육환경은 산지의 숲 아래나 습기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60㎝ 내외이고, 잎은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가 깊게 패어 들고 톱니가 있으며, 잎의 길이는 2~3㎝이다.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길이가 25~30㎝ 정도이다. 열매는 9~10울에 달리며 갈색으로 변한 열매 안은 미세한 종자들이 많이 들어있다. 노루오줌은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와 꽃은 약용으로 이용된다.
낙지다리는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라오스, 베트남에서 자라며,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길이 3~11㎝, 폭 1㎝ 이내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막질이다. 꽃은 7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황백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지만, 위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기 때문에 낙지다리처럼 보이며 꽃차례에 짧은 샘털이 있다. 삭과는 홍갈색이고 9월에 익어 심피가 붙어 있는 부분의 위쪽이 떨어져 벌어져서 자질구레한 많은 종자를 떨어낸다. 낙지다리는 전초를 수택란이라하여 약용한다.
가는장구채는 한국 특산종으로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전체에 가는 털이 나있고 밑부분이 옆으로 기는데, 땅에 닿은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위쪽 줄기는 곧게 서서 많은 가지를 내며, 높이는 60㎝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으로 윗부분이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원뿔형 취산꽃차례로 줄기와 가지 끝에 피는데, 대체로 흰색이고, 가끔 황백색으로 피기도 한다. 열매는 달걀형 공 모양 삭과로서 열매가 익으면 꽃받침이 자라서 열매를 둘러싸게 된다. 종자는 작고 황갈색으로 겉에 작은 돌기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노루오줌 10~50중량%, 낙지다리 10~50중량%, 가는장구채 10~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건조중량 기준으로, 노루오줌 추출물 10~50중량%, 낙지다리 추출물 10~50중량% 및 가는장구채 추출물 10~50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혼합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 및 2종의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노화방지효과 및 피부보습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울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특히 우수한데, 하기 실험에서 주름생성에 관여하는 MMP-1을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발현시킨 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을 처리하였을 시, 단독 추출물 또는 2종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에 비하여, MMP-1의 발현을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은, 자외선에 의하여 감소한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였는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하여 감소한 히알루론산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 역시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이 단독 추출물 또는 2종의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것을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에도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1~30.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혼합 추출물의 함량이 0.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30.0중량% 초과할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이 증가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의 혼합 추출물 제조]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가 1:1: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준비된 혼합 분말 50g에 용매인 50% 에탄올을 500㎖ 첨가한 후, 교반기 (제조사: Heidoph, 규격: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 및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한 여과액을 농축기 (Heidolph, LABOROTA 4000)를 이용하여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 추출물(Complex)'이라고 지칭하였다.
[실시예 2: 노루오줌, 낙지다리의 혼합 추출물 제조]
노루오줌, 낙지다리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준비된 혼합 분말 50g에 용매인 50% 에탄올을 500㎖ 첨가한 후, 교반기 (제조사: Heidoph, 규격: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 및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한 여과액을 농축기 (Heidolph, LABOROTA 4000)를 이용하여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노루오줌, 낙지다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노루오줌, 가는장구채의 혼합 추출물 제조]
노루오줌, 가는장구채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준비된 혼합 분말 50g에 용매인 50% 에탄올을 500㎖ 첨가한 후, 교반기 (제조사: Heidoph, 규격: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 및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한 여과액을 농축기 (Heidolph, LABOROTA 4000)를 이용하여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노루오줌, 가는장구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낙지다리, 가는장구채의 혼합 제조]
낙지다리, 가는장구채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준비된 혼합 분말 50g에 용매인 50% 에탄올을 500㎖ 첨가한 후, 교반기 (제조사: Heidoph, 규격: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 및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한 여과액을 농축기 (Heidolph, LABOROTA 4000)를 이용하여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노루오줌의 추출물 제조]
노루오줌 추출물은 건조된 노루오줌(Astilbe chinensis) 지상부 10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10배 중량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뒤,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노루오줌 추출물 16g을 수득하였다.
또한, 5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분획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9.3g)을 역상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을 사용하여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PLC)로 9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그 중 2번 분획물을 SHISEIDO Capcell PAK C18 (30 ×250mm, 5㎛) 칼럼이 장착된 고성능액체분취크로마토그래피(prep-HPLC)에 로딩시킨 후,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아세토니트릴:물=25~35:75~65)을 15m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21.2분에 베르게닌(bergenin) 11.3mg을 분리하였다.
또한, 3번 분획물을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PLC)로 8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여, 그 중 3번 분획물을 Kromasil C18 (21.2 ×250mm, 5㎛) 칼럼 고성능액체분취크로마토그래피(prep-HPLC)을 사용하여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 (아세토니트릴:물=19:91)을 10m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37.2분에 아비쿨라린(avicularin) 1.1mg을 분리하였다.
또한, 부탄올 분획층을 역상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Diaion-HP20)에 로딩시킨 후, 20%, 40%, 60%, 80% 및 100% 메탄올(MeOH)을 순차적으로 주입시켜 5개의 분획물을 분리하였다. 2번 분획물을 역상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을 사용하여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PLC)로 12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6번 분획물을 동일한 조건으로 중압액체크로마트그래피를 실행하여 루틴(rutin) 12.1mg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5번 분획물을 동일한 중압액체크로마트그래피 분석 조건을 실행하여 (-)-에피카테신(Epicatechin) 10.6mg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6: 낙지다리의 추출물 제조]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지상부 100g을 건조한 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10배 중량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뒤,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낙지다리 추출물 19g을 수득하였다.
또한, 5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분획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획득한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7g)을 역상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을 사용하여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PLC)로 13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그 중 5번 분획물을 SHISEIDO Capcell PAK C18 (30 ×250mm, 5㎛) 칼럼이 장착된 고성능액체분취크로마토그래피(prep-HPLC)에 로딩시킨 후,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아세토니트릴:물=20~46:80~54)을 15m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20.8분에 케르시트린(quercitrin) 5.6mg을 분리하였다.
또한, 9번 분획물을 동일한 기기와 칼럼을 사용하여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아세토니트릴:물=35~46:65~54)을 15m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26.1분에 피노셈브린-7-O-[4",6"-헥사하이드록시이페노일]-B-D-글루코오스(Pinocembrin-7-O-[4",6"-hexahydroxydiphenoyl]-B-D-glucose) 19.1mg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7: 가는장구채의 추출물 제조]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지상부 100g을 건조한 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10배 중량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가는장구채 추출물 13g을 수득하였다.
또한, 5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분획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1.5g)을 역상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을 사용하여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PLC)로 8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3번 분획물을 Kromasil C18 (21.2 ×250mm, 5㎛) 칼럼 고성능액체분취크로마토그래피(prep-HPLC)에 로딩시킨 후,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아세토니트릴:물=10~40:90~60)을 10m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31.3분에 이소스코파린(Isoscoparin) 5.0mg을 분리하였다.
또한, 분획물 중 2번을 YMC pack ODS-A C18 (30 ×250mm) 칼럼이 장착된 고성능액체분취크로마토그래피(prep-HPLC)에 로딩시킨 후,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아세토니트릴:물=20~40:80~60)을 10mL/min로 설정하여 사용하였으며, 52.7분에 레조아세토페논(Resacetophenone) 2.7mg을 분리하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3.4g)을 역상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을 사용하여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PLC)로 10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실험예 1: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 비교]
본 실험에서는 배양된 HDF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가한 후, UVB (12.5 mJ/cm2)를 처리하였다. 이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를 12.5~100㎕/㎖ (노루오줌은 50~100㎕/㎖) 농도로 희석하고, 각 시료를 플레이트에 1㎖씩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추가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사용하여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IA 키트(Takara, MK101)로, 배양액에 분비된 콜라겐을 측정하였다.
배양액으로 방출된 콜라겐의 양은 ELISA 키트에 포함되어 있는 표준 용액을 희석하여 작성된 표준 농도 곡선에 샘플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UVB를 조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EGF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을 비롯한 노루오줌 분리화합물인 루틴(Rutin), 낙지다리 분리화합물인 퀘르시트린(Quercitrin) 및 가는장구채 분리화합물인 이소스코파린(Isoscoparin), 레조아세토페논(Resacetophenone)에서 자외선에 의해 감소한 콜라겐 발현 양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도 1은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 혼합 추출물(Complex)의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가 단일 추출물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도 2는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발현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실험예 2: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 비교]
본 실험에서는 배양된 HDF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가한 후, UVB (12.5 mJ/cm2)를 처리하였다. 이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를 12.5~100㎕/㎖ (노루오줌의 경우, 50~100㎕/㎖) 농도로 희석하고, 각 시료를 플레이트에 1㎖씩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추가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사용하여 Human Total MMP-1 DuoSet ELISA 키트(R&D systems, DY901)로, 배양액에 분비된 MMP-1을 측정하였다.
배양액으로 방출된 MMP-1의 양은 ELISA 키트에 포함되어 있는 표준 용액을 희석하여 작성된 표준 농도 곡선에 샘플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UVB를 조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EGF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을 비롯한 노루오줌 분리화합물인 루틴(Rutin), 베르게닌(Bergenin), 낙지다리 분리화합물인 퀘르시트린(Quercitrin), 피노셈브린-7-O-[4",6"-헥사하이드록시이페노일]-B-D-글루코오스(Pinocembrin-7-O-[4",6"-hexahydroxydiphenoyl]-B-D-glucose) 및 가는장구채 분리화합물인 이소스코파린(Isoscoparin), 레조아세토페논(Resacetophenone)에서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도 3은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 혼합 추출물(Complex)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가 단일 추출물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도 4는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실험예 3: 보습 효과 비교]
본 실험에서는 배양된 HDF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가한 후, UVB (12.5 mJ/cm2)를 처리하였다. 이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를 12.5~100㎕/㎖ (노루오줌의 경우, 50~100㎕/㎖) 농도로 희석하고, 각 시료를 플레이트에 1㎖씩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추가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사용하여 Hyaluronan Quantikine ELISA 키트(R&D systems, DHYAL0)로, 배양액에 분비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측정하였다.
배양액으로 방출된 히알루론산의 양은 ELISA 키트에 포함되어 있는 표준 용액을 희석하여 작성된 표준 농도 곡선에 샘플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UVB를 조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EGF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을 비롯한 노루오줌 분리화합물인 (-)-에피카테신(Epicatechin), 아비쿨라린(Avicularin), 낙지다리 분리화합물인 퀘르시트린(Quercitrin), 피노셈브린-7-O-[4",6"-헥사하이드록시이페노일]-B-D-글루코오스(Pinocembrin-7-O-[4",6"-hexahydroxydiphenoyl]-B-D-glucose) 및 가는장구채 분리화합물인 이소스코파린(Isoscoparin), 레조아세토페논(Resacetophenone)에서 자외선에 의해 감소한 히알루론산 발현 양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도 5는 노루오줌, 낙지다리 및 가는장구채 각각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분리화합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또한, 노루오줌, 낙지다리, 가는장구채 혼합 추출물(Complex)의 보습 효과가 단일 추출물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도 6은 실시예 1 내지 7의 에탄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Claims (5)
-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가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var. rubra) 추출물,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추출물 및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1 : 1 : 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234A KR102044891B1 (ko) | 2019-05-17 | 2019-05-17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234A KR102044891B1 (ko) | 2019-05-17 | 2019-05-17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9420A Division KR101993847B1 (ko) | 2018-11-28 | 2018-11-28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4891B1 true KR102044891B1 (ko) | 2019-11-14 |
Family
ID=6857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8234A KR102044891B1 (ko) | 2019-05-17 | 2019-05-17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89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3500A (ko) * | 2007-04-17 | 2008-10-22 | (주)더페이스샵코리아 | 노루오줌 추출물 |
KR101843122B1 (ko) * | 2016-12-01 | 2018-03-29 |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
KR101861043B1 (ko) * | 2017-08-23 | 2018-06-29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2019
- 2019-05-17 KR KR1020190058234A patent/KR1020448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3500A (ko) * | 2007-04-17 | 2008-10-22 | (주)더페이스샵코리아 | 노루오줌 추출물 |
KR101843122B1 (ko) * | 2016-12-01 | 2018-03-29 |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
KR101861043B1 (ko) * | 2017-08-23 | 2018-06-29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28607A1 (en) | Extract of whole seeds of morninga sp, and use thereof i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 |
KR101310980B1 (ko) |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20150139688A (ko) |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05122A (ko) |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993847B1 (ko)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89957B1 (ko) |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203504B1 (ko) | 비단나무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 |
KR102044891B1 (ko) | Dmz 자생식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20036417A (ko) |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23606A (ko) |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363004B1 (ko) |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
KR102534239B1 (ko) | 글루타치온, 마키베리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12811B1 (ko) |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2168533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55132B1 (ko) |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02554B1 (ko) | 삼백초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고두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55127B1 (ko) |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69541A (ko) |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569246B1 (ko) |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461962B1 (ko) |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91296B1 (ko) | 배과피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8715B1 (ko) | 가는 갯능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692062B1 (ko) | 차나무 추출물, 소리쟁이 추출물 및 금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및 피부 미백 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 | |
KR101753304B1 (ko) |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68130B1 (ko) | 큰옥매듭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