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166B1 - 인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166B1
KR102044166B1 KR1020190056102A KR20190056102A KR102044166B1 KR 102044166 B1 KR102044166 B1 KR 102044166B1 KR 1020190056102 A KR1020190056102 A KR 1020190056102A KR 20190056102 A KR20190056102 A KR 20190056102A KR 102044166 B1 KR102044166 B1 KR 10204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nting
printing paper
paper
cro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귀철
Original Assignee
강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귀철 filed Critical 강귀철
Priority to KR102019005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04Grippers
    • B41F21/06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91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65H2301/423245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the pile lying on a stationary support, i.e. the separator moving according to the decreasing height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2Signatures, folded printed matter, newspapers or parts thereof and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21Industrial-size printers, e.g. rotary printing p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은, 인쇄 장치로 인쇄용 종이를 공급하기 위해, 적층된 상기 인쇄용 종이를 상기 인쇄 장치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시스템 {Printing system}
본 발명은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용 종이를 이송시켜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인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인 인쇄 업계에서는 종래로부터, 원고의 입고, 상기 원고의 디자인, 배치 편집, 포괄적인 배치(인쇄에 의한 프리젠테이션), 교정(배치 수정 및 색 수정), 교정 인쇄(프루프 인쇄; proof print), 판밑 작성(block copy preparation), 인쇄, 후처리(post-process) 및 발송과 같은 다양한 작업 단계를 통해 출판물이 발행된다.
상세하게는, 상업적인 인쇄 업계는 인쇄 단계에서 오프셋 제판 프린터를 종종 사용하며, 판밑 작성 단계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판밑이 작성되면, 판밑을 수정하는 것이 어려우며 비용 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판밑 작성시, 주의 깊은 교정(즉, 주의 깊은 배치 점검 및 색 확인)이 필수적이다. 출판물의 발생이 완료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업적인 인쇄 업계에서, 각 작업 단계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장치는 부피가 크고 고가이다. 또한, 각 단계의 작업은 전문 지식이 요구되며, 숙련자의 노하우가 필수적이다. 특히, 종래의 인쇄 시스템은 인쇄 공정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으로, 인쇄 장치로 투입되는 종이는 아직까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74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0502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쇄 공정에서 사용되는 종이를 인쇄 장치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종이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간의 결합 시 접착성을 향상시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 인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적재된 종이를 종이 이송 장치가 배치된 이송시킨 후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은, 인쇄 장치로 인쇄용 종이를 공급하기 위해, 적층된 상기 인쇄용 종이를 상기 인쇄 장치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이 이송 장치는,
인쇄용 종이가 적층되어 안착되며, 적층된 복수의 상기 인쇄용 종이를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부; 상기 수직 이송부에 의해 상승 이송된 인쇄용 종이를 연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인쇄 장치의 투입부로 공급하는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부는, 인쇄용 종이가 적재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적층된 인쇄용 종이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상승 높이를 제어하는 수직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이송부는, 적층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한 장씩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인쇄용 종이를 감시하여 상기 흡착부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인쇄용 종이가 이송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알림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착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수평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시스템은, 상기 인쇄용 종이를 상기 수직 이송부가 형성된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이 이송 장치는,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를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기 수직 이송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의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이송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저항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다기능 승강 장치의 속도 및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 및 이격거리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가 상기 수직 이송부로 도착하기까지의 예상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예상 시간 내에 상기 승강부가 최하단까지 하강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평 이송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에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기 흡착부의 왕복 이동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흡착부가 상기 승강부에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상기 예상 시간 내에 이송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흡착부의 이송 속도를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는,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쇄 공정에 요구되는 인쇄용 종이를 자동화된 공정으로 인쇄 장치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용 종이를 종이 이송 장치까지 안전하게 승강시킴으로써, 인쇄용 종이의 이송 과정에서 종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기능 승강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체 조성물에 의해 각 구성이 결합 접착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종이 이송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의 다기능 승강 장치의 구체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0)은, 인쇄 장치(10), 종이 이송 장치(20) 및 다기능 승강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장치(10)는 인쇄용 종이를 이용하여 인쇄 공정을 수행하여 인쇄물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인쇄 장치(10)는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인쇄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종이 이송 장치(20)는 이러한 인쇄 장치(10)로 인쇄용 종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종이 이송 장치(20)는 적층되어 적재된 복수의 인쇄용 용이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이송시킨 후,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한 장씩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켜 인쇄 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이송 장치(20)는 인쇄용 종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승 이송된 종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기능 승강 장치(30)는 종이 이송 장치(20)를 통해 인쇄 장치(10)로 인쇄용 종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인쇄용 종이를 종이 이송 장치(20)까지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0)은 다기능 승강 장치(30)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인쇄용 종이를 종이 이송 장치(20)로 이송시키게 되면, 종이 이송 장치(20)가 종이를 한 장씩 인쇄 장치(10)로 공급하여 인쇄 장치(10)를 통한 인쇄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0)은, 인쇄용 종이를 인쇄 목적에 따라 제단하는 절단 장치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종이 이송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직 이송부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수평 이송부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이송 장치(20)는 수직 이송부(21) 및 수평 이송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이송부(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1a) 및 수직 이송 제어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21a)는 후술하는 다기능 승강 장치(30)로부터 인쇄용 종이를 제공받아 인쇄용 종이를 적층 적재하는 부재이다. 또한, 승강부(21a)는 적층 적재된 복수의 인쇄용 종이를 수직 상부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승강부(21a)는 종이 이송 장치(20)와 가이드 레일 또는 체인 결합되어 종이 이송 장치(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승강부(21a)에 적층된 인쇄용 종이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21a)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 이송부(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이송부(22)에는 승강부(21a)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이송부(22)에 설치된 센서는 수직 하방과의 거리, 다시 말해 수평 이송부(22)와 승강부(21a)에 적층된 인쇄용 종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이와 같이 측정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부(21a)를 수평 이송부(22)의 흡착부(22a)가 형성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가이드 레일(23)을 따라 접근하는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접근을 감지하여 인쇄 공정의 연속성을 위해 승강부(21a)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평 이송부(22)는 수직 이송부(21)의 상부에 설치되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22a) 및 수평 이송 제어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22a)는 수직 이송부(21)를 통해 위쪽 방향으로 이송된 인쇄용 종이를 한 장씩 흡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수직 이송부(21)가 종이 이송 장치(20)의 제1 면에 형성된 경우, 흡착부(22a)는 제1 면의 상부로 이송된 인쇄용 종이를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제1 면이 좌측면인 경우, 제2 면은 우측면)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면은 상술한 인쇄 장치(1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부(22a)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 인쇄용 종이는 인쇄 장치(10)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흡착부(22a)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인쇄용 종이를 감시하여 상기 흡착부(22a)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인쇄용 종이가 이송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알림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착부(22a)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 이송부(22)에는 종이의 이송 경로 상에 이송 감시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 감시 장치는 예컨대, 적외선 센서, 카메라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감시 장치에 의해 측정된 종이 이송 상태를 분석하여 흡착부(22a)에 의해 인쇄용 종이가 한 장씩 이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한 장씩 이송될 때의 이미지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여, 이 기준 데이터를 감시 장치에 의해 생성된 감시 데이터와 실시간 비교할 수 있다.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기 공지되는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두 이미지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산출된 유사도가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인쇄용 종이가 한 장씩 이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종이 이송 장치(20)를 통해 알림 신호(경고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흡착부(22a)의 이동을 일시적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작업자에 의해 이송 재개 신호가 입력되면 흡착부(22a)에 의한 수평 이송 공정이 재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기능 승강 장치(30)는, 인쇄용 종이(P)를 종이 이송 장치(20)에 적재할 수 있도록 상측에 인쇄용 종이가 적재되면 작업자에 의해 작업이 필요한 위치, 다시 말해 종이 이송 장치(20)가 배치되 위치까지 인쇄용 종이를 인쇄시킨 후, 승강부(21a)가 형성된 높이까지 인쇄용 종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시스템은, 승강부(21a)가 형성된 높이까지 인쇄용 종이를 다기능 승강 장치(30)를 이용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종이 이송 과정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상판이 파손되어 인쇄용 종이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인쇄용 종이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다기능 승강 장치(30)는 종이 이송 장치(20)의 수평 이송부는 정상적으로 구동되나, 종이 이송 장치(20)의 수직 이송부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다기능 승강 장치(30)를 이용하여 인쇄용 종이를 필요한 높이까기 승강시킨 후 수평 이송부를 통해 적층된 종이를 이송시킴으로써, 비상시에도 인쇄 공정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이송 장치(20)의 수직 이송부(21)가 형성된 일측에 다기능 승강 장치(30)를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기 수직 이송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이송부(21)에는 다기능 승강 장치(30)와의 이격거리 및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기능 이송 장치(30)에 구비된 이동을 위한 바퀴(441, 도 9 참조)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잇다.
이때,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가이드 레일(23)과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저항값 측정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저항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에 다기능 승강 장치(30)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저항값과, 가이드 레일(23)에 다기능 승강 장치(30)가 안착된 상태에서의 저항값은 상이하기 때문에,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23)에 다기능 승강 장치(30)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가이드 레일(23) 상에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속도 및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가이드 레일(23) 상에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근접 센서가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근접 센서 근처로 작업자가 지나가는 경우 다기능 승장 장치(30)가 접근하지 않더라도 물체의 접근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기 때문에,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작업자를 다기능 승강 장치(30)로 오인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저항값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가이드 레일(23) 상에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근접 센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측정된 속도 및 이격거리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30)가 상기 수직 이송부(21)로 도착하기까지의 예상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예상 시간 내에 상기 승강부(21a)가 최하단까지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수직 이송 제어부(21b)는 인쇄용 종이가 적재된 다기능 승강 장치(30)가 도착하는 시간에 맞춰 승강부(21a)가 인쇄용 종이를 적재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평 이송 제어부(22b)는, 상기 승강부(21a)에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기 흡착부(22a)의 왕복 이동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흡착부(22a)가 상기 승강부(21a)에 적재된 인쇄용 종이(P) 모두를 산출된 예상 시간 내에 이송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흡착부(22a)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켜 인쇄용 종이를 더욱 신송하게 인쇄 장치(1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의 다기능 승강 장치(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승강 장치(3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인쇄용 종이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인쇄용 종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6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8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8 내지 도 11는 도 6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1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들간의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다기능 승강 장치(3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구성 요소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이형제와 실리콘 밴드 사이에 접착된 상태로 제조되어, 원단에 적용시 이형제를 제거한 후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원단에 실리콘 밴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적용되는 만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적용 환경상 이물질 및 세균 등에 오염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원단 상에서 프레스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원단 내 홀의 존재로 인하여 조성물의 양이 치우지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이 원단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단위 클램핑 유닛(22a)과 탄성부재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48994413-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인쇄 장치
20: 종이 이송 장치
30: 다기능 승강장치

Claims (2)

  1. 인쇄 장치로 인쇄용 종이를 공급하기 위해, 적층된 상기 인쇄용 종이를 상기 인쇄 장치로 이송하는 종이 이송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종이 이송 장치는,
    인쇄용 종이가 적층되어 안착되며, 적층된 복수의 상기 인쇄용 종이를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부; 상기 수직 이송부에 의해 상승 이송된 인쇄용 종이를 연속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인쇄 장치의 투입부로 공급하는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부는, 인쇄용 종이가 적재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적층된 인쇄용 종이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상승 높이를 제어하는 수직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이송부는, 적층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한 장씩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인쇄용 종이를 감시하여 상기 흡착부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인쇄용 종이가 이송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알림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착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수평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쇄 시스템은, 상기 인쇄용 종이를 상기 수직 이송부가 형성된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이 이송 장치는,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를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기 수직 이송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의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이송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저항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다기능 승강 장치의 속도 및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 및 이격거리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가 상기 수직 이송부로 도착하기까지의 예상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예상 시간 내에 상기 승강부가 최하단까지 하강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평 이송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에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기 흡착부의 왕복 이동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흡착부가 상기 승강부에 적재된 인쇄용 종이를 상기 예상 시간 내에 이송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흡착부의 이송 속도를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는,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는, 인쇄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56102A 2019-05-14 2019-05-14 인쇄 시스템 KR10204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02A KR102044166B1 (ko) 2019-05-14 2019-05-14 인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02A KR102044166B1 (ko) 2019-05-14 2019-05-14 인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166B1 true KR102044166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02A KR102044166B1 (ko) 2019-05-14 2019-05-14 인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1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94Y1 (ko) * 2001-05-10 2001-10-15 주식회사 이미지텍 직물용 열전사기
JP2005516133A (ja) * 2002-01-29 2005-06-02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塗工若しくは未塗工繊維ウェブ処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205022B1 (ko) 2006-01-20 2012-11-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KR101469383B1 (ko) * 2013-09-10 2014-12-04 유현기 전사인쇄용 프레스
KR20160007428A (ko) 2014-07-11 2016-01-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장치와 인쇄제어장치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
KR101929050B1 (ko) * 2018-10-01 2018-12-13 박경희 종이 판재 이송 및 패턴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94Y1 (ko) * 2001-05-10 2001-10-15 주식회사 이미지텍 직물용 열전사기
JP2005516133A (ja) * 2002-01-29 2005-06-02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塗工若しくは未塗工繊維ウェブ処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205022B1 (ko) 2006-01-20 2012-11-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KR101469383B1 (ko) * 2013-09-10 2014-12-04 유현기 전사인쇄용 프레스
KR20160007428A (ko) 2014-07-11 2016-01-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장치와 인쇄제어장치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
KR101929050B1 (ko) * 2018-10-01 2018-12-13 박경희 종이 판재 이송 및 패턴 형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59B1 (ko) 정면기
CN103964216B (zh) 一种托盘拆码垛机
KR102044166B1 (ko) 인쇄 시스템
KR102014430B1 (ko) 필름 권출장치
CN1926034A (zh) 停靠在装卸平台的车辆的支承系统及其方法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KR102026149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4688954U (zh) 一种多层热压机的装卸料系统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CN205573121U (zh) 纸托盘包脚机
KR102009862B1 (ko)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CN201882606U (zh) 一种移动式接料设备
KR102010578B1 (ko) 자재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34421B1 (ko) 연속 가공 시스템
CN206939908U (zh) 一种包装箱快速码垛设备
CN204078655U (zh) 液压剪刀叉式顶升移载机
US6910239B2 (en) Dock leveler having an inflatable member
KR102013352B1 (ko)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KR102064587B1 (ko)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49808B1 (ko) 차량용 파이프 결속장치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22562B1 (ko) 다기능 작업대
CN213386588U (zh) 一种用于对金银花饮品进行杀菌的自动进料装置
KR102035580B1 (ko) 플라스틱 원료 배합 장치
KR102011316B1 (ko)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