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994Y1 - 직물용 열전사기 - Google Patents

직물용 열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994Y1
KR200242994Y1 KR2020010013609U KR20010013609U KR200242994Y1 KR 200242994 Y1 KR200242994 Y1 KR 200242994Y1 KR 2020010013609 U KR2020010013609 U KR 2020010013609U KR 20010013609 U KR20010013609 U KR 20010013609U KR 200242994 Y1 KR200242994 Y1 KR 200242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aper
fabric
drum heater
shaf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희
최한고
김세진
유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미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미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미지텍
Priority to KR2020010013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994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일정한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열전사 공정이 가능한 직물용 열전사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직물용 열전사기는 회전하는 드럼히터에 투입되전사지와 원단이 드럼히터의 소정영역에 접촉되어 열가압된 후 배출되는 열전사기에 있어서, 드럼히터의 표면에 설치되는 온도감지기와; 원단 풀림축과; 투입되는 전사지의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지 풀림축과; 드럼히터로부터 배출 전사지 및 원단이 감기는 속도를 조절하는 각각의 감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드럼히터 표면의 온도감지가 용이하므로 고품질의 열전사가 이루어지며, 열전사 작업 진행 중에 전사지의 쏠림이 방지되고 열전사 후에 배출되는 원단과 전사지를 적절한 회전력으로 다시 되감게 됨으로써 열전사가 원활하게 연속 진행되어 생산성이 향상 되게 된다.

Description

직물용 열전사기{Heat Transcriber For Cloth}
본 고안은 직물용 열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전사 공정시 일정한 온도유지가 가능하며, 원활하게 연속적인 열전사를 할 수 있는 직물용 열전사기에 관한 것이다.
열전사기는 열 전사지를 이용하여 원단이나 종이의 표면에 문자나 기호 및도형과 같은 각종 문양을 열가압하여 전사하는 것으로, 열전사부를 드럼식으로 개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럼식 열전사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드럼식 열전사기는 드럼히터(110), 감속모터(120), 평벨트(130) 및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로 이루어진다. 드럼히터(110)는 내부에 히터와 온도감지기가 설치되고,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히터의 열이 표면에 전달되며, 내부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사지에 열을 가하면 원단에 전사지의 문양이 전사된다. 감속모터(120)는 드럼히터(110)의 축에 체인(150)을 연결하여 드럼히터(110)를 회전시킨다.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는 드럼히터(110) 주변에 드럼히터(110)의 상부 및 하부와 다소간 높이 차이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회전한다. 평벨트(130)는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의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피동로울러(140)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영역은 드럼히터(110)의 소정영역과 맞물려서 주행하고, 나머지 소정영역은 평면적으로 주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드럼식 열전사기에 의한 전사 공정은, 내부의 온도감지기에 의해서 항온유지되는 드럼히터(110)가 감속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에서 평벨트(130)에 의하여 열전사지와 원단이 드럼히터(110)로 투입되는 단계와, 전사지와 원단이 드럼히터(110)와 평벨트(130)에 의해 열가압 됨으로써 전사지에 인쇄된 문양이 원단에 전사되는 단계와, 전사지와 전사된 원단이 드럼히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사지와 원단을 드럼히터로 투입시킬 때, 신축성이 있는 원단과는달리 전사지는 종이여서 신축성이 없으므로 쏠림 현상이 일어나 한번의 공정으로 길이가 10야드 이상은 열 전사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길이가 10야드 이상의 원단은 연속작업이 불가능하여 생산에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히터 내부에 온도감지기가 설치되므로, 드럼히터의 내부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열이 드럼히터의 표면까지 전달되는 시간 편차에 의해 실제 전사되는 표면온도와는 온도편차가 약±5도 정도의 차이가 난다. 이러한 온도편차는 전사되는 각종문양의 색상이 불 균일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럼히터 표면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투입되는 전사지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며, 연속 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열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드럼식 열전사기의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의 개략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에 있어서 풀림부의 전사지 풀림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2c는 도 2a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에 있어서 감김부의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직물용 열전사기는 감속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럼히터와, 상기 드럼히터의 주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와, 자신의 주행으로 자신의 일면에 위치된 전사지와 원단이 상기 드럼히터에 투입되어 상기 전사지와 상기 원단이 자신과 상기 드럼히터의 소정영역에 접촉되어 열가압된 후 배출되도록 상기 피동로울러들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피동로울러들에 의해 상기 드럼히터의 소정영역과 맞물려서 주행하는 평벨트가구비된 열전사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 및 상기 전사지와 접촉되지 않는 상기 드럼히터의 표면에 설치되는 온도감지기와; 상기 드럼히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축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원단 및 상기 전사지의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사지 풀림축과; 상기 평벨트 상에 상기 원단 및 상기 전사지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전사지 풀림축의 하부에 상기 전사지 풀림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원단 풀림축과; 상기 드럼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사지가 감기도록 설치되는 전사지 감김축과; 상기 드럼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원단이 감기도록, 상기 전사지 감김축의 하부에 상기 전사지 감김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원단 감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사지 감김축 및 상기 원단 감김축은 회전력이 조절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의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에 있어서 풀림부의 전사지 풀림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에 있어서 감김부의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는 열전사부, 풀림부 및 감김부로 이루어진다. 열전사부는 드럼히터(110), 감속모터(120), 평벨트(130),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 및 온도 감지기(160)로 이루어지고, 풀림부는 전사지 풀림축(210) 및 원단 풀림축(220)으로 이루어지며, 감김부는 전사지 감김축(310), 원단 감김축(320) 및 구동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드럼히터(110)는 내부의 히터가 설치되고 내부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히터의 열이 표면에 전달되어 드럼히터(110)의 소정영역과 접촉된 전사지(10)에 열이 가해지면 원단(20)에 전사지(10)의 문양이 전사된다. 감속모터(120)는 드럼히터(110)의 축과 체인(150)으로 연결되어 드럼히터(110)를 회전시킨다.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는 드럼히터(110) 주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되, 상부의 피동로울러(140)와 하부의 피동로울러(140) 사이에 다소간 높이 차이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회전한다. 평벨트(130)는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의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영역은 피동로울러(140)의 회전에 의하여 드럼히터(110)의 소정영역과 맞물려서 주행하고, 나머지 소정영역은 평면적으로 주행한다. 이와 같이 열전사부의 구성요소 중에 드럼히터(110),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140) 및 평벨트(130)는 종래의 열전사기와 동일하다.
온도감지기(160)는 드럼히터(110)로 투입된 원단(20) 및 전사지(10)와 접촉되지 않는 드럼히터(110) 표면의 소정영역에 접촉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히터(110)의 표면에서 열전사되는 온도를 직접 감지하게 되므로 전사되는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2a와 결부하여 도 2b를 참조하면, 전사지 풀림축(210)은 드럼히터(110)축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때, 전사지 풀림축(210)의 일단은 전사기의 몸체(400)에 고정되고, 전사지 풀림축(210)의 다른 일단에는 전사지(1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도록 전사지 풀림축(210)을 관통하는 조정볼트(230)가 설치된다. 조정볼트(230)의 양 가장자리는 열전사기 몸체(400)에 부착된 홀더(240)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조정볼트(230)를 전사지의 이동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사지 풀림축(210)의 일단이 전사지의 이동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은 전사지 풀림축(210)이 드림히터(110)과 평행하게 위치되지 않음으로써 전사지가 평벨트 상에 평평하게 위치되지 않은 경우에, 전사지 풀림축의 일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사지 풀림축(210)이 드림히터(110)과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전사지(10)가 평평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원단 풀림축(220)은 전사지 풀림축(210)의 하단에 위치되며, 전사지 풀림축(210)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전사지 감김축(310)은 열전사부에서 열전사가 이루어진 후 드럼히터(110)로부터 배출되는 전사지(10)가 감기도록, 드럼히터축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원단 감김축(320)은 드럼히터(110)로 배출되는 전사된 원단(20)이 감기도록, 전사지 감김축(310) 하단에 위치하며 전사지 감김축(310)에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에 있어서, 전사지(10) 및 원단(20)이 감기지 않는 영역, 즉 감김축(310, 32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볼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2c의 (1)를 참조하면, 구동장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축(331)에설치된 제 1보조기어(332)와, 원단 감김축(320)에 설치되는 제 2보조기어(333)와, 제 1보조기어(332)의 회전력을 제 2보조기어(333)에 전달하는 제 1체인(336)과, 원단 감김축(320)에 설치되며 제 2보조기어(3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기어(334)와, 전사지 감김축(310)에 설치되는 제 2기어(335)와, 제 1기어(334)의 회전력을 제 2기어(335)에 전달하는 제 2체인(33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보조기어(333)가 전사지 감김축(310)에 설치되어도 좋다. 따라서, 모터가 작동되면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은 동일한 회전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열전사기가 작동함에 따라, 감긴 전사지 및 원단의 직경이 점점 커지므로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해서는 전사지 및 원단을 원활하게 감을 수 없으므로,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의 회전 속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의 회전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동장치에 보조장치가 설치된다.
도 2c의 (2)를 참조하면, 구동장치의 보조장치는 감김축(310, 320)에 설치된 기어(334, 335)의 외측에 설치된 슬립판(343)과, 슬립판(343) 외측에 설치된 스프링(342)과 스프링(342) 외측에 설치되며 감김축(310, 320)에 형성된 나사 산과 결합하는 너트(34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초기 작동시에는 감긴 전사지 및 원단의 직경이 작아 적은 회전력이 필요하므로 감김축(310, 320)에 설치된 각각의 너트(341)를 조여서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의 회전력에 저항을 줌으로써 회전속도를 낮춘다. 그리고, 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감긴 전사지 및 원단의 직경이 커지면, 각각의 감김축(310, 320)의 회전력도 증가되어야하므로감김축(310, 320)에 설치된 각각의 너트(341)를 풀어서 전사지 감김축(310) 및 원단 감김축(320)에 저항을 낮추어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히터(110)의 표면에 접촉되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감지기(160)에 의해서 항온유지 된 드럼히터(110)는 감속모터(120)에 의해 회전하기 시작한다. 드럼히터(110)가 회전하는 상태에 전사지(10)와 전사지 아래에 위치된 원단(20)을 동시에 투입하면, 이들은 평벨트(130)와 드럼히터(110) 사이를 지나면서 평벨트(130)와 드럼히터(110)가 맞물리는 영역에서 열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풀림부에 위치한 상단의 전사지 풀림축(210) 및 하단의 원단 풀림축(220)에서는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전사지(10)와 원단(20)이 계속 풀리면서 드럼히터(110)를 향하여 진행하므로 연속적인 열가압 전사가 이루어져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전사지(110)가 한쪽으로 밀리거나 쏠릴 때에는, 전사지 풀림축(210)의 일단을 전사지의 진행 방향과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사지(10)를 팽팽하게 잡아주게 되므로 전사지(10)의 진행이 평평한 상태로 계속되게 된다. 배출된 전사지(10) 및 전사된 원단(20)은 각각의 전사지 감김축(310)과 원단 감김축(320)에서 감기게 되는데, 감김축(310, 320)에 설치된 각각의 너트(341)를 조이거나 풀어서 감김축(310, 320)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감김축(310, 320)에 전사지(10) 및 원단(20)이 감기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직물용 열전사기에 의하면, 드럼히터 표면의 온도감지가 용이하므로 고품질의 열전사가 이루어지며, 열전사 작업 진행 중에 전사지의 쏠림이 방지되고 열전사 후에 배출되는 원단과 전사지를 적절한 회전력으로 다시 되감게 됨으로써 열전사가 원활하게 연속 진행되어 생산성이 향상 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감속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럼히터와, 상기 드럼히터의 주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피동로울러와, 자신의 주행으로 자신의 일면에 위치된 전사지와 원단이 상기 드럼히터에 투입되어 상기 전사지와 상기 원단이 자신과 상기 드럼히터의 소정영역에 접촉되어 열가압된 후 배출되도록 상기 피동로울러들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피동로울러들에 의해 상기 드럼히터의 소정영역과 맞물려서 주행하는 평벨트가 구비된 열전사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 및 상기 전사지와 접촉되지 않는 상기 드럼히터의 표면에 설치되는 온도감지기와;
    상기 드럼히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축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원단 및 상기 전사지의 진행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사지 풀림축과;
    상기 평벨트 상에 상기 원단 및 상기 전사지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전사지 풀림축의 하부에 상기 전사지 풀림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원단 풀림축과;
    상기 드럼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사지가 감기도록 설치되는 전사지 감김축과;
    상기 드럼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원단이 감기도록, 상기 전사지 감김축의 하부에 상기 전사지 감김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원단 감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열전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 감김축 및 상기 원단 감김축은 회전력이 조절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열전사기.
KR2020010013609U 2001-05-10 2001-05-10 직물용 열전사기 KR200242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09U KR200242994Y1 (ko) 2001-05-10 2001-05-10 직물용 열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09U KR200242994Y1 (ko) 2001-05-10 2001-05-10 직물용 열전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994Y1 true KR200242994Y1 (ko) 2001-10-15

Family

ID=7310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609U KR200242994Y1 (ko) 2001-05-10 2001-05-10 직물용 열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9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50B1 (ko) 2007-03-07 2008-08-04 김경애 전사 날염방법과 그 장치
KR101454269B1 (ko) * 2013-03-14 2014-10-27 김태엽 무늬목 시트의 무늬 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KR20190094023A (ko) * 2018-02-02 2019-08-12 (주)빗살무늬 전사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전사 방법
KR102044166B1 (ko) * 2019-05-14 2019-12-02 강귀철 인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150B1 (ko) 2007-03-07 2008-08-04 김경애 전사 날염방법과 그 장치
KR101454269B1 (ko) * 2013-03-14 2014-10-27 김태엽 무늬목 시트의 무늬 인쇄장치 및 그 인쇄방법
KR20190094023A (ko) * 2018-02-02 2019-08-12 (주)빗살무늬 전사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전사 방법
KR102019672B1 (ko) 2018-02-02 2019-09-10 (주)빗살무늬 전사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전사 방법
KR102044166B1 (ko) * 2019-05-14 2019-12-02 강귀철 인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9721B1 (en) Sheet convey apparatus and printer having same
US4236955A (en) Printing and die-cutting apparatus
GB2544564A (en) Hybrid transfer machine
KR200440686Y1 (ko) 롤 구동에 의한 금박인쇄장치
KR200242994Y1 (ko) 직물용 열전사기
CA1134201A (en) Variable tape advance imprint marker
JPS6315749A (ja) ベルト式印刷機の同期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342203A (en) Device for feeding web material
US421897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for printing plastic film
KR20020050169A (ko) 열전사프린터와 이에 쓰이는 열전사수상시트롤 및열전사기록방법
KR100677969B1 (ko)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US20070201933A1 (en) Feeding system for image forming machine
CN211251704U (zh) 一种用于压花机的附着装置
KR100677968B1 (ko)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KR0176238B1 (ko) 금박인쇄장치
JPS59185652A (ja) 転写装置
JP3008589B2 (ja) ウエブシート加工装置
CN209871834U (zh) 一种印花机自动调节出卷装置
JPH0571386B2 (ko)
WO1998051601A1 (de) Aufwickelvorrichtung für papierbahnen und verfahren zum aufwickeln von papierbahnen
EP3251846B1 (en) Device for handling foil for use in a printing process
KR101513053B1 (ko) 인쇄물 건조장치
KR102454046B1 (ko) 장력유지 롤러장치
CN111823706B (zh) 一种纺织面料印花机
JPH0815783B2 (ja) 転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