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969B1 -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969B1
KR100677969B1 KR1020050053031A KR20050053031A KR100677969B1 KR 100677969 B1 KR100677969 B1 KR 100677969B1 KR 1020050053031 A KR1020050053031 A KR 1020050053031A KR 20050053031 A KR20050053031 A KR 20050053031A KR 100677969 B1 KR100677969 B1 KR 10067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gold foil
gold
prin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270A (ko
Inventor
송병준
Original Assignee
송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준 filed Critical 송병준
Priority to KR102005005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96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GAPPARATUS FOR BRONZE PRINTING, LINE PRINTING, OR FOR BORDERING OR EDGING SHEETS OR LIKE ARTICLES; AUXILIARY FOR PERFORATING IN CONJUNCTION WITH PRINTING
    • B41G1/00Apparatus for bronze printing or for like operations
    • B41G1/04Apparatus for bronze printing or for like operations 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02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with impression cylinder or cylinders rotating unidirectionally
    • B41F3/12Twin presses, i.e. with more than one cylinder or type-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박 다이에 의해 인쇄가 이루질 때에만 금박 포일이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성으로도 금박 인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금박 포일을 절약할 수 있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감겨진 포일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풀려 나오는 스토리지 릴과,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리는 포일이 자중에 의해 늘어지는 어큐뮬레이터 존과, 상기 어큐뮬레이터 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제공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늘어진 포일의 높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존의 늘어진 다른 한쪽이 경유하고 표면에 밀착되도록 진공압이 걸리는 구멍이 형성된 진공샤프트와, 상기 진공샤프트를 경유한 포일이 통과되면서 인쇄가 이루어지고 한쪽에 돌출된 금박 다이가 설치된 금박 실린더와, 상기 금박 실린더와 함께 금박 인쇄하게 되는 임프레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들을 경유하여 인쇄가 이루어진 포일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감기는 와인딩 릴로 구성된다.
엠보싱, 금박 인쇄, 진공, 포일

Description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Rotary embossing and foil stamp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스토리지 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와인딩 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 1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와 같은 도면으로서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에서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컨트롤 롤러와 장력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와인딩 릴의 상세 측면도,
도 7은 도 5와 같은 도면으로서 장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장치에서 공급되는 포일의 이동을 위하여 마찰을 제공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임프레션 실린더 2 : 금박 실린더
3 : 금박 다이 10 : 포일
15 : 이송롤러 20 : 스토리지 힐
30 : 어큐뮬레이터 존 40 : 진공 샤프트
50 : 와인딩 릴 100 : 와인딩 롤러
110 : 텐션 조절기 120 : 센서
300 : 엔코더 400 : 브레이크
본 발명은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박 다이에 의해 인쇄가 이루질 때에만 금박 포일이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성으로도 금박 인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금박 포일을 절약할 수 있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종이 등의 인쇄 대상물을 두 개의 실린더 사이의 갭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금박과 같은 금박 포일을 같은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금박 다이를 실린더 한쪽에 설치하여 서로 맞물리면서 금박 포일의 금박이 인쇄 대상물에 인쇄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고급 인쇄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장치이다.
이러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두 개의 실린더 사이를 인쇄 대상물과 금박과 같은 금박 포일을 동일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금박 다이로 함께 압력을 가하여 금박 포일이 인쇄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에 인쇄되도록 하는 정확한 기술을 요구한다. 따라서 금박 포일의 장력, 샤프트는 속도, 그리고 감기는 속도 등을 정확하게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 미국 특허 제5,611,272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스토리지 릴로부터 샤프트는 금박 포일이 포일 서플라이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여 컨트롤 샤프트를 거 쳐 두 개의 실린더 사이를 지나면서 인쇄가 이루어진 다음 진공압 벨트를 거친 다음 다시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여 와인딩 릴에 감기도록 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금박 포일의 장력과 함께 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너무나 많은 수의 구성부품을 구비하고 있어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박 포일을 진공압으로 잡고 있고 금박 포일이 감기는 와인딩 릴에서는 항상 감기는 방향으로 와인딩 릴을 회전시키되 그 회전력이 진공압보다 작게 하여 금박 다이에 의해 인쇄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만 포일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히 하는 동시에 금박 포일을 절약할 수 있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감겨진 포일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풀려 나오는 스토리지 릴과,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리는 포일이 자중에 의해 늘어지는 어큐뮬레이터 존과, 상기 어큐뮬레이터 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제공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늘어진 포일의 높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존의 늘어진 다른 한쪽이 경유하고 표면에 밀착되도록 진공압이 걸리는 구멍이 형성된 진공샤프트와, 상기 진공샤프트를 경유한 포일이 통과되면서 인쇄가 이루어지고 한쪽에 돌출된 금박 다이가 설치된 금박 실린더와, 상기 금박 실린더와 함께 금박 인쇄하게 되는 임프레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들을 경유하여 인쇄가 이루어진 포일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감기는 와인딩 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려 나오는 포일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항상 회전되는 이송롤러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 존으로 늘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포일이 상기 센서에 의해 연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단에 연결된 철판 또는 롤러와 상기 이송롤러가 접촉한 경우에만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려 나오는 포일은 상기 이송롤러와 항상 밀착되는 다른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고, 상기 이송롤러는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연동함으로써 포일이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인쇄장치는 포일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 조절기가 설치되고, 상기 텐션 조절기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두 개의 샤프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텐션 조절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샤프트가 진공 샤프트일 수 있다.
또,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금박 실린더에 장착되어 그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와, 엔코더의 신호에 따라 금박의 이동을 단속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와인딩 릴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는 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항상 회전되는 와인딩 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고, 와인딩 롤러는 미끄럼 벨트에 의해 와인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스토리지 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와인딩 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 1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와 같은 도면으로서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에서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컨트롤 롤러와 장력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와인딩 릴의 상세 측면도, 도 7은 도 5와 같은 도면으로서 장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장치에서 공급되는 포일의 이동을 위하여 마찰을 제공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도 4를 기준으로 하고, 나머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대상물(200)에 금박 인쇄될 금박 포일(10)이 스토리지 릴(20)에 감겨져 있고, 스토리지 릴(20)에 감겨진 금박 포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일(10)이 당겨짐에 따라 스토리지 릴(20)로부터 샤프트도록 되어 있고, 샤프트는 포일(10)은 가이드 샤프트들(11,12,13,14)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롤러(15)까지 안내되고, 그로부터 아래로 자중에 의해 어큐뮬레이터 존(30)으로 늘어진다. 이송롤러(15)에는 모터(70)가 연결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항상 구동 되면서 포일(10)을 이동시키려는 힘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포일(10)과의 마찰력이 충분치 않아서 평상시에는 포일(10)이 미끄러지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포일(10)이 이동하려면 솔레노이드 밸브(130)에 의해 직선 구동되어 포일(10)이 밀착되도록 압력을 제공하게 되는 압력제공수단인 철판(131)이 이송롤러(15)를 눌러야 한다. 이송롤러(15)를 철판(131)이 누르면 마찰력에 의해 포일(10)이 어큐뮬레이터 존(30)으로 이동하여 늘어지게 된다.
도 8에는 이러한 철판(131) 하부에 롤러(131')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1')가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구동샤프트(15)를 누르게 되면 포일(10)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 외에도 모터(70)를 직접 이송롤러(15)에 연결하고 이송롤러(15)에 다른 롤러가 항상 밀착되도록 하여 이송롤러(15)가 회전되면 항상 포일(10)이 이동하도록 한 상태에서 센서(120)의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센서(120)의 신호에 따라 이송롤러(15)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중요한 점은 센서(120)의 신호에 따라 포일(10)이 이동하면 되는 것이다.
어큐뮬레이터 존(30)의 한쪽에는 늘어진 포일(10)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1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센서(120)는 광센서로서 늘어진 포일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그 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송출된 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되고 제어부는 솔레노이드 밸브(130)를 동작시켜 이송롤러(15)와 철판(131) 또는 롤러(131')에 의해 포일(10)이 이동되어 어큐뮬레이터 존(30)으로 늘어지게 된다.
늘어진 포일(10)은 어큐뮬레이터 존(30)을 따라 다시 올라가 진공 샤프트(40)로 안내되고 진공 샤프트(40)를 거쳐 텐션 조절기(110)에서 텐션 조절이 이루어진 다음 금박 실린더(2)와 임프레션 실린더(1) 사이의 가이드 샤프트들(16,17)을 통과한 다음 나머지 가이드 샤프트들(18,19)을 거친 다음 와인딩 릴(50)에 감기게 된다.
진공 샤프트(40)는 표면에 포일(10)을 흡입하는 다수개의 구멍(4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공압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공압장치가 동작된 상태이면 포일(10)이 진공 샤프트(40)에 일정한 진공압에 의해 들러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압보다 더 큰 힘으로 당기지 않으면 포일(10)은 이동되지 않는다.
진공 샤프트(40) 밑에는 포일(10)을 당기는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 조절기(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기(110)는 도 2,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끝단에 회전판(113)이 설치되고 그 회전에 180도 반대 방향으로 두 개의 가이드 샤프트(111,112)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포일(10)이 이동되는 각도가 달라져서 텐션이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샤프트(40)에 구멍을 형성하여 포일(10)을 일정한 힘으로 잡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7은 텐션 조절기(110)의 두 개의 가이드 샤프트(111,112) 중에 한 개의 가이드 샤프트(111')에 진공 흡입을 위하여 구멍(111a')을 형성하고 원래의 진공샤프트(40')에는 진공이 걸리지 않게 된 구성을 나타낸다. 물론, 또 다른 나머지 샤프트(112)에 진공 흡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텐션 조절기를 지나친 포일(10)은 실린더들(1,2)이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사이의 두 개의 가이드 샤프트(16,17)를 지나친 다음 나머지 가이드 샤프트(18,19)의 안내에 따라 와인딩 릴(50)에 감겨진다. 이때 두 실린더(1,2)가 회전되고 금박 다이(3)가 포일(10)에 접하게 되면 포일(10)이 금박 다이(3)에 의해 이동되는 동시에 인쇄 대상물(200)에 인쇄가 이루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딩 릴(50)을 구동하기 위하여 모터(80) 회전축이 벨트(90)를 통해 와인딩 롤러(100)에 연결되어 있다. 와인딩 롤러(100)는 모터(8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와인딩 롤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2)에 의해 와인딩 릴(50)의 회전축(5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포일(10)이 공급되지 않아서 와인딩 릴(50)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벨트(52)가 미끄러져 헛돌고 있는 상태이다. 만약 포일(10)이 공급되면 와인딩 릴(50)은 벨트(52)의 구동 전달에 의해 회전되어 포일(10)을 감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다수개의 다른 속도로 감기는 와인딩 릴을 설치할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게 되면 또 다른 와인딩 릴을 설치하고 와인딩 롤러(100)에 동일하게 미끄럼 벨트(52)를 연결하여 그 또 다른 와인딩 릴의 회전축에 연결하게 되면, 항상 모든 와인딩 릴이 포일(10)이 공급될 때에만 각각의 속도에 맞추어 포일(10)을 감게 된다.
와인딩 릴(50)의 회전에 의한 포일(10)의 이동속도는 금박 실린더(2)의 회전에 의한 포일(10)의 이동속도보다 빨라야 신속하게 포일(10)이 감기게 된다. 또 와 인딩 릴(50)에 의해 당겨지는 힘보다 진공샤프트(40)의 진공압에 의해 포일(10)을 당기는 힘이 더 커야 한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금박 실린더(2)에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300)가 설치되어 있고, 엔코더(300)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400)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금박 다이(3)의 A, B 사이의 각도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박 실린더(2)가 회전되면 B 부분이 임프레션 다이(1)에 접하기 전 일정각도에서 브레이크(400)를 오프하고 A 부분이 임프레션 다이(1)로부터 벗어난 후 일정각도에서 브레이크(400)를 온하여 포일(10)의 미끄러짐에 의한 포일(10)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 대상물(200)이 이동을 시작하기 전, 즉 두 개의 실린더(1,2)가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두 개의 모터(70,80)와 진공장치가 작동된다. 진공장치가 작동되면 진공압에 의해 포일(10)이 진공샤프트(40)에 잡혀 있는 동시에 와인딩 릴(50)쪽에서 포일(10)을 당기기 때문에 팽팽하게 텐션을 유지하고 있다. 물론 이 텐션은 텐션 조절기(1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스토리지 릴(20) 쪽에서는 철판(131) 또는 롤러(131')가 이송롤러(15)로부터 멀어져 있기 때문에 포일(10)이 이동될 수 있는 상태는 아니다.
이런 상태에서 인쇄가 시작되면 두 개의 실린더(1,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인쇄 대상물(200)이 두 개의 실린더(1,20 사이를 통과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금박 실린더(2)가 회전되면서 금박 다이(3)가 포일(10)에 접촉하게 되면 인쇄 대상물(200)에 금박 인쇄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포일(10)을 큰 힘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포일(10)이 임프레션 실린더(2)에 접하기 전에 엔코더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400)가 오프된다. 그러면 포일(10)은 진공 샤프트(40)의 진공압을 극복하고 안내 샤프트들(1-19)의 안내에 따라 이동한다. 이동되는 포일(10)은 와인딩 릴(50)에 모터(80)의 회전력에 의해 감기게 된다. 진공 샤프트(40) 전의 포일(10)은 그 이동에 따라 어큐뮬레이터 존(30)으로 늘어진 길이가 줄어들어 포일(10)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어큐뮬레이터 존(30)의 포일(10) 높이가 점점 올라가 일정 높이에 이르게 되면 센서(120)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30)가 동작되어 철판(131)이나 롤러(131')가 이송롤러(15)를 누르게 되고 그 사이의 포일(10)이 마찰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스토리지 릴(20)로부터 포일(10)이 풀려 다시 어큐뮬레이터 존(30)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포일(10)이 계속 공급된 다음 금박 다이(3)가 임프레션 실린더(1)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엔코더(300)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400)가 작동되어 포일(10)은 더 이상 와인딩 릴(50)쪽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금박 인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포일(10)은 금박 다이(3)가 임프레션 실린더(1)에 물리는 경우에만 간헐적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포일(10)이 연속적으로 이동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는 간단한 구성임에도 금박 다이에 의해 인쇄가 이루어질 때에만 포일이 이동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포일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

  1. 감겨진 포일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풀려 나오는 스토리지 릴과,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리는 포일이 자중에 의해 늘어지는 어큐뮬레이터 존과, 상기 어큐뮬레이터 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제공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늘어진 포일의 높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존의 늘어진 다른 한쪽이 경유하고 표면에 밀착되도록 진공압이 걸리는 구멍이 형성된 진공샤프트와, 상기 진공샤프트를 경유한 포일이 통과되면서 인쇄가 이루어지고 한쪽에 돌출된 금박 다이가 설치된 금박 실린더와, 상기 금박 실린더와 함께 금박 인쇄하게 되는 임프레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들을 경유하여 인쇄가 이루어진 포일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감기는 와인딩 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려 나오는 포일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항상 회전되는 이송롤러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 존으로 늘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포일이 상기 센서에 의해 연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단에 연결된 철판 또는 롤러와 상기 이송롤러가 접촉한 경우에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려 나오는 포일은 상기 이송롤러와 항상 밀착되는 다른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고, 상기 이송롤러는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연동함으로써 포일이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포일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 조절기가 설치되고, 상기 텐션 조절기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두 개의 샤프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기의 어느 하나 이상의 샤프트가 진공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금박 실린더에 장착되어 그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와, 엔코더의 신호에 따라 금박의 이동을 단속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릴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는 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항상 회전되는 와인딩 롤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고, 와인딩 롤러는 미끄럼 벨트에 의해 와인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KR1020050053031A 2005-06-20 2005-06-20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KR10067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31A KR100677969B1 (ko) 2005-06-20 2005-06-20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31A KR100677969B1 (ko) 2005-06-20 2005-06-20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70A KR20060133270A (ko) 2006-12-26
KR100677969B1 true KR100677969B1 (ko) 2007-02-02

Family

ID=3781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031A KR100677969B1 (ko) 2005-06-20 2005-06-20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1945A (zh) * 2014-07-24 2015-03-25 中山金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全自动软管烫印机及烫印方法
CN107031184A (zh) * 2016-11-01 2017-08-11 重庆乔登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真空无尘高品质烫印机
CN108790397A (zh) * 2018-06-27 2018-11-13 马鞍山甬兴模塑有限公司 一种冰箱门面板拉手组件的转角烫金装置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767A (en) 1989-09-29 1992-05-05 Landis & Gyr Betriebs Ag Device for the embossing of fine structures
KR920009209U (ko) * 1990-11-13 1992-06-16 이경구 금박인쇄장치
US5611272A (en) 1994-12-24 1997-03-18 Steuer; Armin Rotary embossing machine
KR970020432A (ko) * 1995-10-30 1997-05-28 송병준 금박인쇄장치
KR20050103062A (ko) * 2004-04-24 2005-10-27 송병준 금박인쇄장치의 패턴부 위치결정방법
KR101995799B1 (ko) * 2012-12-07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소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767A (en) 1989-09-29 1992-05-05 Landis & Gyr Betriebs Ag Device for the embossing of fine structures
KR920009209U (ko) * 1990-11-13 1992-06-16 이경구 금박인쇄장치
US5611272A (en) 1994-12-24 1997-03-18 Steuer; Armin Rotary embossing machine
KR970020432A (ko) * 1995-10-30 1997-05-28 송병준 금박인쇄장치
KR20050103062A (ko) * 2004-04-24 2005-10-27 송병준 금박인쇄장치의 패턴부 위치결정방법
KR101995799B1 (ko) * 2012-12-07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소 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70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0197B2 (ja) 回転式エンボス機
US4634069A (en) Winding apparatus for sheet strip
US8156982B2 (en) Film transfer unit with integrated further processing device
CA298124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printing or embossing
US6629664B2 (en) Flying reel changer in a web-fed rotary printing machine
JP2006240742A (ja) 包装材料のストリップに型押しする装置
KR100677969B1 (ko)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US7926688B2 (en) Tension-controlled web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US9168770B2 (en) Roll paper supply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KR100677968B1 (ko)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US4706863A (en) Intermittent feeding apparatus for a continuous sheet
JP2012111037A (ja) 包装紙用切取線形成装置
CN209065211U (zh) 一种用于写真机的收放卷机构
JP2009062141A (ja) シート搬送装置
KR100713657B1 (ko) 금박인쇄장치
EP1600300A3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books
WO2007037614A1 (en) Foil stamping machine
JP3280039B2 (ja) 紙ウェブの巻取装置および紙ウェブの巻取方法
US48549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ing perforated web fed materials
US6292207B1 (en) Line thermal head letter printing method
KR200242994Y1 (ko) 직물용 열전사기
JP2011105408A (ja) 帯状体の巻取装置及び巻取方法
CN211195341U (zh) 一种印刷装置及印刷机
EP3581382B1 (en) Controlling longitudinal positioning of a foil web as used in a printing process
KR101021597B1 (ko) 인쇄물의 정밀한 이송 제어가 가능한 비닐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