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878B1 -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878B1
KR102043878B1 KR1020170069538A KR20170069538A KR102043878B1 KR 102043878 B1 KR102043878 B1 KR 102043878B1 KR 1020170069538 A KR1020170069538 A KR 1020170069538A KR 20170069538 A KR20170069538 A KR 20170069538A KR 102043878 B1 KR102043878 B1 KR 10204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training
schedule
mai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65A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훈 filed Critical 김지훈
Priority to KR102017006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87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기 저장된 운동영상들을 운동세션별로 재생함으로써, 운동자가 설정된 운동세션별로 운동을 수행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럽게 레벨업이 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닝 장치(100)는, 신체의 부위별 트레이닝을 위해 운동 강도에 따라 분류되는 메인운동 영상들과, 운동부위 영상들과,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트레이닝DB부(110);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라 재생될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및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상기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 및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ONLIN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온라인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트레이닝을 위해 기 저장된 운동영상들을 운동세션별로 재생함으로써, 운동자가 설정된 운동세션별로 운동을 수행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럽게 레벨업이 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가, 헬스, 크로스피트, 조깅, 사이클링, 수영 등의 다양한 건강을 위한 운동 활동이 널리 퍼지고 있다.
이러한 운동 활동은 대부분 스포츠센터에 등록을 하고 강사에게 동작을 지도 받으면서 수행되므로, 평상시 시간에 쫓기는 사람들은 센터에서의 수강이 어렵게 된다. 또한, 센터를 방문하여 개인 PT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6082호는 운동자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운동정보를 획득한 후, 체력측정/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력측정/운동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체력측정/운동처방 서비스 제공방법'을 개시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1832호는 신발에 장착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한 한 가지 동작 특성에 따라 운동 동작을 모니터링 하는 '운동 동작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운동자에게 일시적인 운동 처방만을 제공할 뿐, 현재 운동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기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장기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장기간에 걸친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60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18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의 운동부위를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으로 6개로 분류하고 상기 운동부위별 운동들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운동 강도를 가지도록 레벨별로 분류한 메인운동들에 대한 메인운동영상, 운동부위영상, 운동프리뷰영상들을 저장한 후, 서로 다른 운동강도의 레벨별로 분류되는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에 따라 레벨별로 운동세션들에 대응하는 운동영상을 추출한 후 운동자의 로컬 단말기 또는 인터넷에 접속된 운동자 단말기로 출력하여 운동자들이 신체부위별로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운동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운동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기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장기간에 걸친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운동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자들이 입력한 신체 상태에 대하여 운동처방 또는 운동자들의 메인운동들의 선택에 따라 점진적인 강도를 가지는 운동세션들을 조합하여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운동자들의 신체 상태에 맞는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운동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는,
신체의 부위별 트레이닝을 위해 운동 강도에 따라 분류되는 메인운동 영상들과, 운동부위 영상들과,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트레이닝DB부(110);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라 재생될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및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상기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 및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는,
운동자로부터 운동 처방을 위한 신체상태 정보 또는 운동스케줄 생성을 위한 운동스케줄정보를 입력받고, 생성된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 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
상기 운동 처방을 위해 입력된 신체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수행하는 운동처방부(130);
상기 운동처방 또는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운동스케줄정보에 따라 신체부위별 레벨별 운동세션들을 조합하여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가 증가되는 운동을 장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운동스케줄생성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DB부(110)는,
신체의 운동부위를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으로 분류하고, 상기 운동부위별 운동들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운동 강도를 가지도록 분류한 메인운동들에 대한 메인운동영상들을 저장하는 메인운동영상DB(112);
상기 메인운동별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부위영상DB(113);
상기 메인운동영상들에 대한 운동프리뷰를 제공하는 운동프리뷰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프리뷰영상DB(114); 및
운동자들의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운동스케줄DB(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스케줄은,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 10레벨로 분류되는 신체부위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10레벨로 분류되어 스타트(초보), 베이직(중급), 마스터(고급)의 3개로 그룹화되는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타트는 기초가 되는 운동부터 차근차근 시작할 수 있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직은 기본 근력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몸매라인을 만드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바디라인과 핏을 완성하고 살찌지 않는 몸매를 만드는 고강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는.
운동자들이,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등록인터페이스(121);
운동처방을 위한 신체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동처방인터페이스(122);
운동스케줄의 생성, 변경, 삭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 및
생성된 운동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는,
운동스케줄에 따른 메인운동영상이 재생되는 메인운동영상표시부(410);
메인운동영상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에 의한 신체상의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 영상을 표시하는 운동부위표시부(420);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될 메인운동영상에 대한 운동프리뷰영상을 재생하는 다음운동프리뷰표시부(430);
운동세션의 남은 랩타임을 표시하는 남은랩타임표시부(440);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과 다음에 재생될 메인운동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표시부(450);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세션별 클리어 개수를 표시하는 클리어 개수 표시부(460); 및
현재 수행되는 메인운동의 레벨(운동 강도)을 표시하는 레벨표시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는,
상기 운동처방부(130)에 의해 생성된 운동스케줄을 상기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입력된 운동스케줄로 대체하여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는,
상기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및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세션별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랩타임정보 또는 레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운동 트레이닝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운동자단말기들로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은,
트레이닝DB부(110),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 운동처방부(130), 운동스케줄생성부(140),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 및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에 의한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가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세션들을 구성하는 메인영상들 중 운동스케줄 상의 현재 진행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되는 메인운동에 대한 프리뷰 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프리뷰영상DB(114); 및
운동자들의 상기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운동스케줄DB(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스케줄은,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 10레벨로 분류되는 신체부위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10레벨로 분류되어 스타트(초보), 베이직(중급), 마스터(고급)의 3개로 그룹화되는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타트는 기초가 되는 운동부터 차근차근 시작할 수 있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직은 기본 근력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몸매라인을 만드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바디라인과 핏을 완성하고 살찌지 않는 몸매를 만드는 고강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은,
운동스케쥴의 각 운동세션을 구성하는 메인운동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메인운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운동영상정보생성과정(S510);
상기 메인운동의 신체상의 운동부위를 표시하는 운동부위 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운동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운동부위영상정보 생성과정(S520); 및
상기 운동스케줄 상의 현재 진행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되는 메인운동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정보 생성과정(S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은,
상기 운동스케줄의 현재운동 리스트와 다음운동 리스트를 추출하여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를 생성하는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생성과정(S540);
상기 운동스케줄에서 수행된 메인운동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클리어 운동개수 정보로 생성하는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생성과정(S550);
상기 메인운동의 잔여 랩타임을 추출하여 랩타임정보로 생성하는 랩타임정보 생성과정(S560); 또는
상기 메인운동의 운동강도(레벨)를 레벨정보로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과정(S57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는,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 생성된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 세션별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랩타임정보 또는 레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은,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운동처방부(130)가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수행하는 운동처방과정(S200);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의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선택되어 입력된 운동들을 운동스케줄정보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운동스케줄정보생성과정(S300); 및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가 상기 운동처방 또는 상기 운동스케줄정보에 따라 신체부위별 운동강도(레벨)별 운동종류와 운동순서 및 운동시간을 설정한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세션들을 생성하며, 상기 운동세션들로 구성되는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운동스케줄생성과정(S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의 운동부위를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으로 6개로 분류하고 상기 운동부위별 운동들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운동 강도를 가지도록 레벨별로 분류한 메인운동들에 대한 메인운동영상, 운동부위영상, 운동프리뷰영상들을 저장한 후, 서로 다른 운동강도의 레벨별로 분류되는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에 따라 레벨별로 운동세션들에 대응하는 운동영상을 추출한 후 운동자의 로컬 단말기 또는 인터넷에 접속된 운동자 단말기로 출력하여 운동자들이 신체부위별로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트레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운동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기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장기간에 걸친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트레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자들이 입력한 신체 상태에 대하여 운동처방 또는 운동자들의 메인운동들의 선택에 따라 점진적인 강도를 가지는 운동세션들을 조합하여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운동자들의 신체 상태에 맞는 효율적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트레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온라인 운동 트레니잉 장치(100)를 탑재한 트레이닝 서버(2)의 기능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트레이닝 서버(2)가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600)을 통해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운동에 대한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런칭된 상태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1)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도 5의 처리과정 중 트레이닝 영상정보 생성과정(S500)의 처리과정을 나태는 순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는 신체 운동 부위별로 운동 강도(레벨)를 달리하는 메인운동들에 대응하는 운동영상들을 제작한 후, 제작된 운동영상들을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로 10레벨로 분류하고, 10레벨을 스타트(초보), 베이직(중급), 마스터(고급)의 3개로 그룹화하여 저장한 후, 운동자(피 트레이닝자)의 신체상태 또는 선택에 따라 선택된 신체부위별 강도별 메인운동들을 가지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생성하여 저장하여, 저장된 운동스케줄에 따라 메인운동영상을 재생하여 운동자가 따라 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운동자가 혼자서 효율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는, 도 1과 같이, 트레이닝DB부(110),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 운동처방부(130), 운동스케줄생성부(140), 트레이닝 영상정보 생성부(150), 트레이닝 영상 합성부(160),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 및 인터넷서비스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닝DB부(110)는, 신체의 부위별 트레이닝을 위해 운동 강도에 따라 분류되는 메인운동 영상들과, 상기 메인운동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의 운동 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 영상들과, 상기 메인운동 영상들에 대한 운동프리뷰영상들 및 신체부위별 강도별로 분류되는 메인운동들의 운동시간/휴식시간/라운드수를 정보를 포함하고 운동강도별 레벨이 설정되는 운동세션들과, 상기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회원DB(111), 메인운동영상DB(112), 운동부위영상DB(113), 운동프리뷰영상DB(114) 및 운동스케줄DB(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동 스케줄의 예로는 10분 운동설명-20분 운동의 원테이크 진행 또는 1라운드 운동 종료 시 1분 휴식, 1라운드에 5가지 또는 6가지 운동을 포함하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원DB(111)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에 의한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회원으로 등록한 운동자들의 주소, 연락처, 접속 ID 및 비밀번호 등의 신상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운동영상DB(112)는 운동자들이 따라서 수행할 메인 운동영상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메인운동영상들은 신체의 운동부위를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으로 분류하고, 상기 운동부위별 운동들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운동 강도를 가지도록 분류한 운동들에 대한 영상들이다. 일예로, 상기 메인운동영상들은 신체부위별 강도별로 300여 가지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고, 이에 의해, 300여 가지의 운동에 대한 PT(Physical Training, Personal Training)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운동영상DB(112)는 제작된 운동영상들을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로 10레벨로 분류하고, 10레벨을 스타트(초보), 베이직(중급), 마스터(고급)의 3개로 그룹화하여 저장한다. 이때, 스타트는 기초가 되는 운동부터 차근차근 시작할 수 있는 메인운동들을 분류하여 저장한 운동 프로그램이고, 베이직은 기본 근력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몸매라인을 만드는 메인운동들을 분류하여 저장한 운동 프로그램이며, 마스터는 바디라인과 핏을 완성하고 살찌지 않는 몸매를 만드는 고강도 메인운동들을 분류하여 저장한 운동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운동부위영상DB(113)는 메인운동영상들의 운동별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영상들을 저장한다. 즉, 상기 운동부위영상은 메인운동영상에 대응하는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운동이 되는 신체의 운동 부위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운동별 운동 부위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동프리뷰영상DB(114)는 메인운동영상들에 대한 운동프리뷰를 제공하는 운동프리뷰영상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프리뷰 영상은 운동스케줄에 따라 메인운동영상들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영상의 다음에 수행되는 메인운동영상에 대한 프리뷰 영상이다.
상기 운동스케줄DB(115)는 운동자들의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스케줄은 운동자가 입력한 자신의 신체상태 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운동자가 하기에 설명될 운동스케줄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운동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순차적인 운동강도를 가지도록 기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운동스케줄은 동일한 운동 강도와 동일한 운동부위에 대한 운동들 및 각각의 운동에 대한 운동시간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운동세션들이 운동부위에 따라 운동 강도별로 조합되어 생성된다. 일예로,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에 대등하는 운동들을 서로 다른 강도와 동작을 가지는 레벨 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동일한 레벨에 속하는 운동부위별 운동동작들을 선택한 후 40초운동/20초휴식/3라운드 등으로 조합되는 운동세션들을 생성한다. 상기 운동세션들은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10레벨로 분류되고, 분류된 레벨들이 스타트(초보), 베이직(중급), 마스터(고급)의 3개로 그룹화된다. 이때, 스타트는 기초가 되는 운동부터 차근차근 시작할 수 있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이고, 베이직은 기본 근력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몸매라인을 만드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이며, 마스터는 바디라인과 핏을 완성하고 살찌지 않는 몸매를 만드는 고강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이 된다.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는,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닝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운동자들이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피 트레닝자(운동자)로부터 운동 처방을 위한 신체상태 정보 또는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스케줄 생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고, 생성된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 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는 회원등록 인터페이스(121), 운동처방인터페이스(122),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원등록 인터페이스(121)는 회원 등록을 원하는 운동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운동자로부터 인적사항,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정보를 회원별로 분류하여 회원DB(111)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처방인터페이스(121)는 운동자가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 다이어트를 원하는 부위 등의 신체 상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신체 상태 정보를 운동처방부(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는 운동스케줄의 생성, 변경, 삭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된 운동스케줄정보를 운동스케줄생성부(1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운동스케줄생성부(140)를 통해 운동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운동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는 운동스케줄에 따른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이닝 영상의 재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재생되는 헬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이닝 영상은 메인운동영상, 운동부위영상, 랩타임,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개수, 운동 세션별 클리어 개수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의 구성도이다.
도 2와 같이, 상술한 정보들의 표시를 위한 상기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는 메인운동영상표시부(410), 운동부위표시부(420), 다음운동프리뷰표시부(430), 남은랩타임표시부(440),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표시부(450), 클리어 개수 표시부(460) 및 레벨표시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운동영상표시부(41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운동스케줄에 따른 메인운동영상이 재생되는 영역이다.
상기 운동부위표시부(42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메인운동영상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에 의한 신체상의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다음운동프리뷰표시부(43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될 메인운동영상에 대한 운동프리뷰영상을 재생하는 영역이다.
상기 남은랩타임표시부(44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세션별 운동의 남은 랩타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표시부(45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과 다음에 재생될 메인운동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클리어 개수 표시부(46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세션별 클리어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기 레벨표시부(470)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 중 현재 수행되는 메인운동의 운동강도(레벨)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메인운동영상표시부(410), 운동부위표시부(420), 다음운동프리뷰표시부(430), 남은랩타임표시부(440),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표시부(450), 클리어 개수 표시부(460) 및 레벨표시부(470)들은, 메인운동영상, 운동부위 영상, 운동프리뷰영상, 남은 랩타임,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개수 정보를 크로마키 기법 등을 포함하는 영상 합성기법을 적용하여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에서 재생되는 하나의 트레이닝 영상으로 합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운동처방부(130)는 운동 처방을 위해 입력된 신체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운동처방부(130)는 입력된 신체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메인운동영상들에 대응하는 필요한 운동들과 운동기간에 따른 운동 강도 정보를 운동처방 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는 상기 운동처방 또는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운동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다단계의 운동세션들을 구성하는 신체부위별 운동강도(레벨)별 운동종류와 운동순서 및 운동시간을 설정한 운동세션들을 생성하며, 상기 운동세션들로 구성되는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운동스케줄은 운동자 별로 분류되어 트레이닝DB부(110)의 운동스케줄DB(115)에 저장된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는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운동스케줄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및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생성되는 헬트레이닝 영상정보는 메인운동영상, 운동부위영상, 다음운동 프리뷰 영상,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개수, 랩타임,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는 운동스케줄에 대응하는 메인운동영상을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메인운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운동영상정보 생성부(151), 메인운동의 수행시 운동이 되는 신체의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 영상을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운동부위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운동부위 영상정보 생성부(152), 현재 수행되는 메인운동 이후에 수행될 다음운동 영상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정보 생성부(153), 현재운동과 다음운동 리스트를 추출하여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생성부(154), 운동스케줄에 따라 수행되는 운동세션별로 운동 수행된 종료된 운동들의 개수를 클리어 개수 정보를 생성하는 클리어 개수 정보 생성부(155), 운동세션별 운동의 잔여 종료 시간을 랩타임정보로 생성하는 랩타임정보생성부(156) 및 현재 수행되는 메인 운동의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부(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 합성부(160)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에 대한 트레이닝 영상정보에 포함되는 메인운동영상, 운동부위영상, 다음운동 프리뷰 영상,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개수, 랩타임, 레밸 정보를 크로마키 기법 등의 영상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하나의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는 상기 트레이닝 영상 합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트레이닝 영상을 프레임별로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재생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서비스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헬스트레이 장치(100)에 의한 트레이닝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서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는 상기 각 구성의 기능을 컴퓨터가 읽어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들을 저장하는 CD, DVD, USB 등의 기록매체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는 인터넷을 통한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서버(2)에 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를 탑재한 트레이닝 서버(2)의 기능블록 구성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트레이닝 서버(2)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저장되는 저장부(10), 중앙처리장치로서의 제어부(20), 데이터의 입력 및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입력부(30), 내부 동작 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40) 및 외부와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50)를 포함하는 서버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 서버(2)를 포함하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상기 트레이닝 시스템(1)은 통신망(600)을 통해 트레이닝 서버(2)에 접속하여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단말기(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운동자 단말기(피 트레이닝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개인용 PC, 스마트 TV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들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트레이닝 서버(2)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운동자 단말기들을 통해 운동자들이 회원가입을 수행하고, 운동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입력하거나 운동들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운동스케줄을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스케줄에 따라 운동자 단말기들로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해 트레이닝 영상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은, 회원등록과정(S100), 운동처방과정(S200), 운동스케줄정보생성과정(S300), 운동스케줄생성과정(S400),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 트레이닝 영상합성과정(S600) 및 트레이닝 영상재생과정(S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의 회원등록 인터페이스(121)가 입력된 운동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회원DB(111)에 저장하여 회원등록을 수행하는 회원등록과정(S100)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운동처방부(130)가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수행하는 운동처방과정(S200)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의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가 운동스케줄 생성을 위해 출력한 운동들 중 선택된 운동들을 운동스케줄정보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운동스케줄정보생성과정(S300)을 수행한다.
상술한 운동처방과정(S200)과 운동스케줄정보생성과정(S300)은 모두 수행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운동스케줄이 본 발명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의 제작 시 기본적으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는 모두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운동처방과정(S200)과 운동스케줄정보생성과정(S300)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된 후에는,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가 상기 운동처방 또는 상기 운동스케줄정보에 따라 신체부위별 운동강도(레벨)별 운동종류와 운동순서 및 운동시간을 설정한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세션들을 생성하며, 상기 운동세션들로 구성되는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운동스케줄생성과정(S400)을 수행한다. 이 경우, 운동처방에 따른 운동스케줄이 우선 생성되고, 이 후, 운동자가 선택한 운동정보들에 의해 운동스케줄이 변경되거나, 다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스케줄은 본 발명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100)의 제작 시 기본적으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운동자 단말기들로부터 운동자 자신의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의 수행을 위한 트레이닝 영상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가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세션들을 구성하는 영상정보들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을 수행한다.
도 6은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 생성과정(S500)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 생성과정(S500)은, 메인운동영상정보생성과정(S510), 운동부위영상정보 생성과정(S520),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정보 생성과정(S530),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생성과정(S540),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생성과정(S550), 랩타임정보 생성과정(S560) 또는 레벨정보 생성과정(S57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운동영상정보생성과정(S510)은 운동스케쥴의 각 운동세션을 구성하는 메인운동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메인운동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운동부위영상정보 생성과정(S520)은 상기 메인운동의 신체상의 운동부위를 표시하는 운동부위 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운동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정보 생성과정(S530)은 상기 운동스케줄 상의 현재 진행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되는 메인운동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생성과정(S540)은 상기 운동스케줄의 현재운동 리스트와 다음운동 리스트를 추출하여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생성과정(S550)은 상기 운동스케줄에서 수행된 메인운동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클리어 운동개수 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랩타임정보 생성과정(S560)은 상기 메인운동의 잔여 랩타임을 추출하여 랩타임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레벨정보 생성과정(S570)은 상기 메인운동의 운동강도(레벨)를 레벨정보로 생성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가 생성된 후에는 상기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가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영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합성과정(S600)이 수행된다.
트레이닝 영상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트레이닝인터페이스부(120)에 포함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 인터페이스(400)부가 합성된 트레이닝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운동자 단말기들로 전송하여 재생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과정(S700)이 수행된다. 이때, 운동스케줄 상의 운동세션들은 40초운동/20초 휴식/3라운드 등의 기본 포맷을 가지며, 운동시간은 평균 20 여분이고, 40초 운동 중 운동부위이미지가 재생되며, 20초 휴식 중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이 합성 크로마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은, 트레이닝DB부(110)가 구축되어 저장되며, 운동스케줄이 기설정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 상기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가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영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합성과정(S600) 및 상기 트레이닝인터페이스부(120)에 포함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 인터페이스(400)부가 합성된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과정(S700) 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신체부위 중 가슴과 팔 운동의 헬스트레닝 수행을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가슴과 팔 운동의 헬스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스케줄은 다음의 표와 같다.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1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2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3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4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5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6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7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8
Figure 112017053401263-pat00009
Figure 112017053401263-pat00010
상기 표들과 같이, 가슴과 팔 운동을 위한 운동스케줄들은 가슴과 팔을 위한 메인운동들 및 클리어 개수가 조합된 1부터 10까지 10개의 레벨을 가지는 운동세션들로 구성된다.
상술한 운동스케줄에 각각의 운동세션들은 레벨이 올라 갈수록 운동세션을 구성하는 메인운동의 강도와 각 메인운동의 클리어 개수가 가변되도록 하여 레벨별로 점진적으로 운동강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동일 부위에 대한 레벨에 포함되는 운동의 강도는 푸시업의 경우 무릎을 대고 어깨를 터치하는 '니숄더터치'부터 무릎을 대고 푸시업하는 '니푸시업' 그리고 내려 갈때는 무릎을 떼고 있다가 올라올 때 붙이는 '껌푸시업', 일반적인 '푸시업'으로 점진적으로 강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운동세션들은 또한 스타트(start), 베이직(basic) 및 마스터(master)로 그룹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벨 1부터 레벨 3까지가 스타트, 레벨 4부터 레벨 7까지가 베이직, 레벨 8부터 레벨 10까지가 마스터로 그룹화 된다.
상술한 운동스케줄은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 등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운동스케줄에 따라 운동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운동자들은 혼자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개인의 체력에 맞는 체계적은 운동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레벨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레벨별로 목표 운동 클리어 개수가 정해져 있어서, 점점 어려워지는 운동들을 랩타임 내에 목표 운동 클리어 개수를 클리어하기 위해 AMAP(As much as possible)로 노력하면 자연스럽게 개인마다 체력과 근력에 맞게 '점진적 과부하의 원리'가 적용되어 레벨업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동자들이 혼자서도 자신의 신체 상태에 맞는 장기간에 걸친 트레이닝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종래기술들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헤스 트레이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다른 운동들에 적용될 수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 또한, 컴퓨터로 읽어 들여 실행되는 코드들을 저장한 CD, DVD, USB 등의 기록매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자는 상기 기록매체를 구입한 후 자신의 운동자 단말기에 트레이닝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로컬 상에서의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방법은 트레이닝 서버(2)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헬스, 피트니스, 요가, 필라테스 등의 운동에 대한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트레이닝 시스템
2: 트레이닝 서버
100: 트레이닝 장치
200: 모바일 단말기
300: 사용자 단말기(개인용컴퓨터-스마트TV 등)
400: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

Claims (16)

  1. 신체의 부위별 트레이닝을 위해 운동 강도에 따라 분류되는 메인운동 영상들과, 운동부위 영상들과,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트레이닝DB부(110);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라 재생될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및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상기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에서 생성된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 및
    상기 운동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DB부(110)는,
    신체의 운동부위를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으로 분류하고, 운동부위별 운동들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운동 강도를 가지도록 분류한 메인운동들에 대한 메인운동영상들을 저장하는 메인운동영상DB(112);
    메인운동별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부위영상DB(113);
    상기 메인운동영상들에 대한 운동프리뷰를 제공하는 운동프리뷰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프리뷰영상DB(114); 및
    운동자들의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운동스케줄DB(115);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스케줄은,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 10레벨로 분류되는 신체부위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10레벨로 분류되어 스타트, 베이직, 마스터의 3개로 그룹화되는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타트는 기초가 되는 운동부터 차근차근 시작할 수 있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직은 기본 근력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몸매라인을 만드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바디라인과 핏을 완성하고 살찌지 않는 몸매를 만드는 고강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운동자로부터 운동 처방을 위한 신체상태 정보 또는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스케줄 생성을 위한 운동스케줄정보를 입력받고, 생성된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 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
    상기 운동 처방을 위해 입력된 신체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수행하는 운동처방부(130);
    상기 운동처방 또는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운동스케줄정보에 따라 신체부위별 레벨별 운동세션들을 조합하여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가 증가되는 운동을 장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운동스케줄생성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는.
    운동자들이,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등록인터페이스(121);
    운동처방을 위한 신체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동처방인터페이스(122);
    운동스케줄의 생성, 변경, 삭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 및
    생성된 운동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 재생 인터페이스(400)는,
    운동스케줄에 따른 메인운동영상이 재생되는 메인운동영상표시부(410);
    메인운동영상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에 의한 신체상의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 영상을 표시하는 운동부위표시부(420);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될 메인운동영상에 대한 운동프리뷰영상을 재생하는 다음운동프리뷰표시부(430);
    운동세션의 남은 랩타임을 표시하는 남은랩타임표시부(440);
    현재 재생되는 메인운동과 다음에 재생될 메인운동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표시부(450);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세션별 클리어 개수를 표시하는 클리어 개수 표시부(460); 및
    현재 수행되는 메인운동의 레벨을 표시하는 레벨표시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는,
    상기 운동처방부(130)에 의해 생성된 운동스케줄을 상기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입력된 운동스케줄로 대체하여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는,
    상기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및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세션별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랩타임정보 또는 레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운동자단말기들로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
  10. 트레이닝DB부(110),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 운동처방부(130), 운동스케줄생성부(140),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 및 트레이닝 영상재생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닝 장치에 의한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부(150)가 운동스케줄에 따른 운동세션들을 구성하는 트레이닝 영상의 재생을 위한 트레이닝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정보들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로부터 추출하여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
    상기 트레이닝 영상합성부(160)가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영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트레이닝 영상을 생성하는 트레이닝 영상합성과정(S600); 및
    상기 트레이닝인터페이스부(120)에 포함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 인터페이스(400)부가 합성된 트레이닝 영상을 재생하는 트레이닝 영상재생과정(S700);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DB부(110)는,
    신체의 운동부위를 가슴과 팔, 다리, 어깨와 등, 힙, 복부, 전신으로 6개로 분류하고, 운동부위별 운동들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운동 강도를 가지도록 레벨별로 분류한 메인운동들에 대한 메인운동영상들을 저장하는 메인운동영상DB(112);
    메인운동영상별 운동부위를 나타내는 운동부위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부위영상DB(113);
    상기 메인운동영상들에 대한 운동프리뷰를 제공하는 운동프리뷰영상들을 저장하는 운동프리뷰영상DB(114); 및
    운동자들의 상기 운동스케줄을 저장하는 운동스케줄DB(115);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스케줄은,
    운동강도 및 난이도별 10레벨로 분류되는 신체부위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10레벨로 분류되어 스타트, 베이직, 마스터의 3개로 그룹화되는 운동세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타트는 기초가 되는 운동부터 차근차근 시작할 수 있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직은 기본 근력이 형성되고 본격적으로 몸매라인을 만드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는 바디라인과 핏을 완성하고 살찌지 않는 몸매를 만드는 고강도 메인운동들을 포함하는 운동세션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스케줄을 가지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트레이닝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은,
    운동스케쥴의 각 운동세션을 구성하는 메인운동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메인운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운동영상정보생성과정(S510);
    상기 메인운동의 신체상의 운동부위를 표시하는 운동부위 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운동부위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운동부위영상정보 생성과정(S520); 및
    상기 운동스케줄 상의 현재 진행되는 메인운동의 다음에 수행되는 메인운동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상기 트레이닝DB부(110)에서 추출하여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정보 생성과정(S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닝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은,
    상기 운동스케줄의 현재운동 리스트와 다음운동 리스트를 추출하여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를 생성하는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생성과정(S540);
    상기 운동스케줄에서 수행된 메인운동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클리어 운동개수 정보로 생성하는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생성과정(S550);
    상기 메인운동의 잔여 랩타임을 추출하여 랩타임정보로 생성하는 랩타임정보 생성과정(S560); 또는
    상기 메인운동의 운동강도(레벨)를 레벨정보로 생성하는 레벨정보 생성과정(S57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닝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는,
    메인운동영상 정보, 운동부위 영상 정보, 다음 운동 프리뷰 영상 정보, 생성된 운동스케줄에서의 운동 세션별 현재운동-다음운동 리스트, 클리어 운동 개수 정보, 랩타임정보 또는 레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닝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영상정보생성과정(S500)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운동처방부(130)가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수행하는 운동처방과정(S200);
    상기 트레이닝 인터페이스부(120)의 운동스케줄생성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선택되어 입력된 운동들을 운동스케줄정보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운동스케줄정보생성과정(S300); 및
    상기 운동스케줄생성부(140)가 상기 운동처방 또는 상기 운동스케줄정보에 따라 신체부위별 운동강도(레벨)별 운동종류와 운동순서 및 운동시간을 설정한 운동들로 이루어지는 운동세션들을 생성하며, 상기 운동세션들로 구성되는 운동스케줄을 생성하는 운동스케줄생성과정(S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닝 방법.
KR1020170069538A 2017-06-05 2017-06-05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38A KR102043878B1 (ko) 2017-06-05 2017-06-05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38A KR102043878B1 (ko) 2017-06-05 2017-06-05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65A KR20180133065A (ko) 2018-12-13
KR102043878B1 true KR102043878B1 (ko) 2019-11-12

Family

ID=6467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38A KR102043878B1 (ko) 2017-06-05 2017-06-05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8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690A1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위힐드 운동강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강의 제공 방법
WO2022050489A1 (ko) * 2020-09-04 2022-03-10 김영재 온라인 그룹을 기반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7555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9355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사용자 맞춤형 체형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미러
KR20230042852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체형교정을 위한 인공지능 스마트 미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188A (ko) 2019-01-28 2020-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미러와 진동 장치를 활용한 운동 가이드 시스템
KR102172585B1 (ko) 2019-01-28 2020-11-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미러를 구비한 다기능 운동장치
CN110289072A (zh) * 2019-05-10 2019-09-27 咪咕互动娱乐有限公司 健身方案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412739B1 (ko) * 2019-07-29 2022-06-27 주식회사 네오펙트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1020886A1 (ko) * 2019-07-29 2021-02-04 주식회사 네오펙트 환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훈련 제공 방법
KR102323663B1 (ko) * 2020-08-27 2021-11-08 유중경 사용자들 간에 경쟁하면서 재미있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시스템
KR102424086B1 (ko) * 2021-01-06 2022-07-21 주식회사 핏투비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KR102396596B1 (ko) * 2021-12-02 2022-05-10 권상언 운동 스케줄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69B1 (ko) * 2012-05-29 2012-12-11 주식회사 사마미디어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11B1 (ko) 2011-02-07 2019-08-12 뉴우바란스아스레틱스인코포레이팃드 운동 동작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9090A (ko) * 2014-10-24 2016-05-09 제이엠스마트 주식회사 고객이 입력한 운동기록과 음식섭취 정보, 트레이너가 입력한 전문분야 정보, 그리고 각자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및 고객에 적합한 트레이너의 매칭과 추천을 가능하게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KR101814038B1 (ko) 2014-11-11 2018-01-02 (주)바로건설기술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72708A (ko) * 2014-12-15 2016-06-23 노준 웹기반 홈피트니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69B1 (ko) * 2012-05-29 2012-12-11 주식회사 사마미디어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690A1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위힐드 운동강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강의 제공 방법
WO2022050489A1 (ko) * 2020-09-04 2022-03-10 김영재 온라인 그룹을 기반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7555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34122B1 (ko) * 2020-09-17 2022-08-22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9355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사용자 맞춤형 체형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미러
KR20230042852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체형교정을 위한 인공지능 스마트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65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878B1 (ko)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379447A1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JP6454304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10500441B2 (en) Pilates exercise routine system and method
US6027428A (en)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 time personal physical fitness instruction
US20060040244A1 (en) Personal fitness system
US20090047644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personalized fitness instruction
US20220072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users to perform activities
US20130316316A1 (en) Dynamic exercise content
US201402728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fitness training
US20210128976A1 (en) Rhythmic athletic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KR102420674B1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635370B2 (ja) オンライ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US20230021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exercise playlist
KR20170100182A (ko) 스포테인먼트시스템
KR102038980B1 (ko) 헬스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
KR20190142906A (ko) 사용자 맞춤형 피트니스 큐레이션 정보 제공 방법
KR101698391B1 (ko)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WO2005021107A1 (en) Personel training system and method
Solntsev Application of innovative digital products in sports industry
KR102434122B1 (ko)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45042B1 (ko) 사용자 성향별 운동 코칭 시스템 및 방법
Lessel et al. OmniSports: encouraging physical activities in everyday life
JP7388789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Yu et al. Home Smart Fitness System Integrating Fitness Program and Product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