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391B1 -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391B1
KR101698391B1 KR1020150142856A KR20150142856A KR101698391B1 KR 101698391 B1 KR101698391 B1 KR 101698391B1 KR 1020150142856 A KR1020150142856 A KR 1020150142856A KR 20150142856 A KR20150142856 A KR 20150142856A KR 101698391 B1 KR101698391 B1 KR 101698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exercise
video
fitness level
exerc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재석
Priority to KR102015014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및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포함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이 저장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 저장부; 각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의 정보가 저장된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여 체력 레벨 파악부; 및 파악된 운동자의 체력 레벨에 따라서 운동 동작의 횟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운동 소개 동영상과, 추출된 재생 시간만큼의 운동 동작 동영상과, 상기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재생하는 동영상 편집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athletics lecture video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으로서, 운동 강좌를 비디오 형태의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바쁜 일상에서 부족한 운동량을 채우기 위해서 짧은 시간으로 운동효과를 볼 수 있는 다양한 운동을 하고 있다.
에어로빅, 요가, 헬스 운동과 같이 동작을 주로 하는 운동의 학습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실제 학원에서의 현장 강좌를 통한 방법이다. 실제 현장 강좌는 강사의 실제 동작 모습을 보고 배울 수 있다는 현장감이 있으며 다른 수강생들과 함께 비교하면서 배울 수 있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현장 강좌는 강사의 동작에 집중하다 보면 운동자 본인의 동작확인이 어렵고 초급자의 경우 강좌의 진도를 따라가기 어려워 중도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정한 시간에 학원에 가서 강습을 받아야 하는 시·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며 집체 교육으로 진행되므로 개별적 반복학습 등의 재현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강습료나 학원으로의 이동에 걸리는 부대시간 등에 대한 부담도 컸다.
한편, 현장 강좌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운동 강좌 동영상 등이 제공되고 있다. 운동 강좌 동영상은, 강사가 에어로빅 동작, 요가 동작, 헬스 운동 동작을 하는 영상으로서, 운동자들은 운동 강좌 동영상에서 시연되는 강사의 동작 모습을 따라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운동 강좌 동영상은, 시간상의 제약, 공간상의 제약도 없고 반복 연습도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운동 강좌 동영상의 경우 1:1 맞춤 교육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현장 강좌의 경우, 체력이 약한 사람, 체력이 강한 사람에 따라서 강사의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운동 강좌 동영상의 경우 이러한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A 운동자는 건강한 남자 운동 선수이고, B 운동자는 허약한 일반 여성이라고 할 때, 건강한 A 운동자는 동일 팔굽혀 운동 동작시에 50회가 적절한 운동이 될 것이지만, 허약한 A 운동자는 10회 정도가 적절한 운동이 될 것이다. 그러나 운동 강좌 동영상내의 강사는 일괄적인 30회의 운동 동작을 제시할 경우, A 운동자, B 운동자 모두 적합한 운동량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7-007682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동자의 체력 수준별 운동 강좌 동영상을 편집하여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동자의 체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운동 강좌 동영상을 편집하여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및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포함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이 저장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 저장부; 각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의 정보가 저장된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여 체력 레벨 파악부; 및 파악된 운동자의 체력 레벨에 따라서 운동 동작의 횟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운동 소개 동영상과, 추출된 재생 시간만큼의 운동 동작 동영상과, 상기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재생하는 동영상 편집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는, 운동 동작 동영상의 각 영상 프레임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영상 프레임의 이미지와 오차 범위 내의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제2영상 프레임이 다시 검출되는 순간을 1회 반복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영상 프레임에 재생 시간 정보를 할당하는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제작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운동 기구별 운동량별로 체력 레벨이 할당되어 저장된 운동량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 및 운동 기구에서 운동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운동 기구로부터 수신받는 운동량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량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운동량에 따라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 정보별로 체력 레벨이 할당되어 저장된 생체 정보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 및 운동자의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측정기로부터 수신하는 생체 정보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생체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생체 정보에 따라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편집 재생부는,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중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운동 동작 영상을 종료하고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편집 재생부는,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때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설정된 증가 시간만큼 증가시키는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스마트폰의 감지센서를 통해 운동자의 푸쉬업 갯수를 감지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운동자가 스마트폰을 양손에 쥐고 가슴에 댄 후 눈을 감고 외발서기를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가슴에서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운동자각도(RPE)의 단계와 근력 운동의 완료 횟수를 운동자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값에 따라서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체력 레벨 파악 과정; 파악된 운동자의 체력 레벨에 따라서 운동 동작의 횟수를 결정하는 운동 동작 횟수 결정 과정;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는 재생 시간 추출 과정; 및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마무리 동작 동영상을 포함하는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에서, 상기 운동 소개 동영상과, 추출된 재생 시간만큼의 운동 동작 동영상과, 상기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재생하는 동영상 편집 재생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편집 재생 과정은,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중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운동 동작 영상을 종료하고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실시간 편집하여 재생을 수행하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때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설정된 증가 시간만큼 증가시키는 실시간 편집하여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운동자의 체력에 따라서 각기 다른 운동 강좌 동영상을 제공해줌으로써, 효율적인 체력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동자의 체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에 대응되는 실시간 운동 강좌 동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에서 재생되는 운동 강좌 동영상을 시청하는 운동자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강좌 동영상의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할당된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기구로부터 운동량을 수신하는 체력 레벨 파악부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측정기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체력 레벨 파악부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적은 운동 횟수가 재생되도록 한 운동 강좌 동영상의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적은 운동 횟수가 재생되도록 한 운동 강좌 동영상의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강좌 동영상이 표시창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자의 푸쉬업 갯수를 감지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자의 외발서기 능력을 감지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근력운동의 완료 횟수를 운동자로부터 입력받아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에서 재생되는 운동 강좌 동영상을 시청하는 운동자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강좌 동영상의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할당된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기구로부터 운동량을 수신하는 체력 레벨 파악부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측정기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체력 레벨 파악부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적은 운동 횟수가 재생되도록 한 운동 강좌 동영상의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적은 운동 횟수가 재생되도록 한 운동 강좌 동영상의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강좌 동영상이 표시창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자의 푸쉬업 감지 센서를 통해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자의 외발서기 능력을 통해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근력운동의 완료횟수에 따라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각 운동자의 체력 수준에 맞게 편집된 운동 강좌 동영상(이하,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이라 함)을 재생하여 각 운동자의 체력 수준에 맞는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자가 자신의 데스크탑 PC 등의 동영상 재생 단말기(1)를 통하여 강사의 제1동작의 운동 영상을 시청할 때, 영상 재생 단말기를 시청하는 운동자의 체력이 약한 경우 동영상 내의 강사의 제1동작의 반복 횟수가 10회만 되도록 편집하여 재생한다. 반대로 영상 재생 단말기를 시청하는 운동자의 체력이 강한 경우 동영상내의 강사의 제1동작의 반복 횟수가 50회가 되도록 편집하여 재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운동자의 체력 수준에 맞추어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운동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 저장부(210),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220), 체력 레벨 파악부(230), 및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 저장부(210),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220), 체력 레벨 파악부(230), 및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 단말기(1) 내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영상 재생 단말기(1)는 도면에서는 데스크탑 PC(desktop PC)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데스크탑 PC(desktop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 저장부(2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소개 동영상 필드(10)에 할당된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필드(20)에 할당된 운동 동작 동영상, 및 마무리 동작 동영상 필드(30)에 할당된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포함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운동 소개 동영상은, 수행하려는 운동 동작의 이름, 운동후의 효과 등을 강사가 설명하며, 몸풀기 준비 스트레칭 등을 강사가 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동영상이다.
운동 동작 동영상은, 강사의 각 운동 동작이 표시되는 메인의 동영상이다. 예를 들어 제1운동 동작 동영상의 경우 강사가 팔굽혀 펴기를 100회 수행할 때 100회의 팔굽혀 펴기의 동작 모습이 나타나는 동영상이며, 마찬가지로 제2운동 동작 동영상의 경우 강사가 다리 비틀기 동작을 100회 수행할 때 100회의 다리 비틀기의 동작 모습이 나타나는 동영상이다.
마무리 동작 동상은 운동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후 몸풀기 마무리 스트레칭 등의 강사의 동작 영상이 나타나는 동영상이다.
따라서 단일 운동 동작, 예컨대, 팔굽혀 펴기를 100회를 기본으로 한다고 가정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은 운동 소개 동영상 필드(10)에 할당된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필드(20)에 할당된 100회의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동영상, 마무리 동작 동영상 필드(30)에 할당된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러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220)는, 각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운동 동작(예컨대, 팔굽혀 펴기)이 100회 이루어지는 운동 동작 동영상이 있다고 할 때, 해당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재생될 때의 재생 시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0~1분10초까지 운동 소개 동영상이 재생된다고 가정하면, 첫 번째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재생 시간(T1)은 1분10.56초 시점이며, 두 번째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재생 시간(T2)은 1분 11.01초 시점이며, 세 번째 운동 동작 재생 시간(T3)은 1분 11.58초 시점으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의 정보는 동영상 제공 담당자가 운동 동작 영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재생 시간 정보를 할당하여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220)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공지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운동 동작 동영상을 분석하여, 재생 시간 정보를 할당하여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220)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은, 운동 동작 동영상의 각 영상 프레임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영상 프레임의 이미지와 오차 범위 내의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영상 프레임인 제2영상 프레임이 다시 검출되는 순간을 1회 반복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
체력 레벨 파악부(230)는, 운동 강좌 동영상을 시청하는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동 강좌 동영상을 시청하는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첫 번째 방식은, 운동자로부터 직접 체력 레벨을 입력받는 방식이다. 체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제공하여 운동자가 자신의 체력 레벨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체력 레벨을 1단계(최약체 체력)서부터 5단계(최고 체력)로 제시하여 운동자가 자신의 체력을 직접 선택하는 것이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다른 두 번째 방식은, 운동 기구(2)로부터 운동자의 운동량을 수신하여 그에 맞는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체력 레벨 파악부(2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기구별 운동량별로 체력 레벨이 할당되어 저장된 운동량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231)와, 운동 기구(2)에서 운동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운동 기구로부터 수신받는 운동량 수신 모듈(232)을 포함한다.
운동 기구(2)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체력 레벨 파악부(23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는 런닝 머신, 팔운동 머신, 다리 운동 머신 등의 다양한 운동 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운동 기구와 운동량 수신 모듈(232)은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운동량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운동량 수신 모듈(232)은, 운동 기구에서 운동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운동 기구로부터 수신받는데, 예를 들어, A 운동자가 런닝 머신에서 운동할 때 런닝 머신이 10분 동안 시속 6km/hour로 구동될 경우, "6km/hour의 10분 런닝 머신 운동"이라는 운동량이 운동량 수신 모듈(232)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B 운동자가 런닝 머신에서 운동할 때 런닝 머신이 30분 동안 시속 9km/hour로 구동될 경우, "9km/hour의 30분 런닝 머신 운동"이라는 운동량이 운동량 수신 모듈(232)로 제공될 수 있다.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는 운동량이 클수록 높은 체력 레벨이 할당된다. 운동 기구의 운동량이 크다면 체력이 좋다고 판단하여 높은 체력 레벨이 할당되는 것이다.
체력 레벨 파악부(230)는, 운동량 수신 모듈(232)에서 수신된 운동량에 따라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미리 설정 저장한 운동량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231)에서 운동자의 운동량에 할당된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체력 레벨<제2체력 레벨<제3체력 레벨<제4체력 레벨<제5체력 레벨의 순서로 제1체력 레벨이 가장 낮은 체력을 가지며 제5체력 레벨이 가장 건강한 체력을 가진 것이라 할 때, "6km/hour의 10분 런닝 머신 운동"의 운동량을 가지는 A 운동자에는 제1체력 레벨이 추출되며, "9km/hour의 30분 런닝 머신 운동"의 운동량을 가진 B 운동자에게는 제4체력 레벨이 추출될 수 있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마지막 세 번째 방식은, 생체 정보 측정기(3)로부터 운동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맞는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체력 레벨 파악부(2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 정보별로 체력 레벨이 할당되어 저장된 생체 정보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233)와, 운동자의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측정기(3)로부터 수신하는 생체 정보 수신 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 측정기(3)는, 맥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등과 같이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 측정기(3)와 생체 정보 수신 모듈(234)은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운동량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생체 정보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233)에는 최저 기준치보다 낮은 맥박이나 혈압을 가지거나 최고 기준치보다 높은 맥박이나 혈압을 가질 경우 체력 레벨이 낮게 할당되어 저장되며, 최저 기준치와 최고 기준치 사이의 정상 맥박이나 정상 혈압을 가진 경우에는 체력 레벨이 높게 할당된다. 맥박이 낮거나, 저혈압, 고혈압 등을 가진 경우 운동 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체력이 낮다고 판단하여 체력이 낮은 레벨이 할당되도록 하는 것이다.
체력 레벨 파악부(230)는, 생체 정보 수신 모듈(234)에서 수신된 생체 정보에 따라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미리 설정 저장한 생체 정보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233)에서 운동자의 운동량에 할당된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는, 파악된 운동자의 체력 레벨에 따라서 운동 동작의 횟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의 경우 제1체력 레벨은 10회, 제2체력 레벨은 20회, 제3체력 레벨은 30회, 제4체력 레벨은 50회, 제5체력 레벨은 100회로 할당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1체력 레벨로 파악된 A 운동자는 10회의 팔굽혀 펴기 횟수가 결정되고, 제4체력 레벨로 파악된 B 운동자는 50회의 팔굽혀 펴기 회수가 결정된다.
그리고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는,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한다. 예컨대, 10회의 팔굽혀 펴기 횟수가 결정된 경우 10회 팔굽혀 펴기의 종료 시점까지를 A 운동자가 시청할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으로 결정하며, 20회의 팔굽혀 펴기 횟수가 결정된 경우 50회 팔굽혀 펴기의 종료 시점까지를 B 운동자가 시청할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으로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있을 때에 10회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재생 시간(T10)은 1분 23.44초 시점이므로, A 운동자가 시청시에는 1분 23.44초까지 운동 동작 동영상의 재생 시간으로 추출된다. 50회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재생 시간(T50)은 2분 15.82초 시점이므로, B 운동자가 시청시에는 2분 15.82초까지 운동 동작 동영상의 재생 시간으로 추출된다.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는, 운동 소개 동영상과, 추출된 재생 시간만큼의 운동 동작 동영상과,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으로 편집한 후 이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제1체력 레벨을 가지는 A 운동자에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회의 팔굽혀 펴기의 영상이 종료하는 시점(T10)까지를 재생시간으로 한 운동 동작 동영상이 운동 동작 동영상 필드(20)에 포함된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이 제작되어 재생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4체력 레벨을 가지는 B 운동자에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회의 팔굽혀 펴기의 영상이 종료하는 시점(T50)까지를 재생시간으로 한 운동 동작 동영상이 운동 동작 동영상 필드(20)에 포함된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이 제작되어 재생될 것이다.
한편,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는,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을 시청하는 운동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에 대응하여 동영상 편집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다.
운동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에 대응한 동영상 편집을 시간으로 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중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운동 동작 영상을 종료하고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체력 레벨을 받은 B 운동자가 50회의 팔굽혀 펴기 운동 동작 동영상을 보면서 팔굽혀 펴기를 따라 하는 도중에, 50회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동영상이 재생 완료되기 전에 B 운동자의 혈압이 미리 설정된 경계 기준 범위인 80~120의 혈압 범위를 벗어난 경우, B 운동자의 건강을 위하여 50회 팔굽혀 펴기의 50회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동영상이 재생 완료 되지 않았더라도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동영상을 종료하고, 곧바로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편집한다.
실시간 편집의 다른 하나의 방식은, 동영상 편집 재생부(240)는,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때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설정된 증가 시간만큼 증가시키는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체력 레벨은 받은 A 운동자가 10회의 팔굽혀 펴기 운동 동작 동영상을 보면서 팔굽혀 펴기를 따라 할 때, 10회 팔굽혀 펴기 운동 동작 동영상이 재생 종료되는 때에 측정된 A 운동자의 혈압이 90으로서 80~120 내의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 A 운동자가 더 운동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추가로 5회의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동영상이 추가 재생되도록 재생 시간을 증가시켜 5회 더 운동을 따라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체력 레벨을 파악함에 있어서 운동 기구별 운동량,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 운동자의 푸쉬업 갯수를 감지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하거나, 또는 운동자의 외발서기 능력을 감지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하거나, 근력운동의 완료 횟수를 운동자로부터 입력받아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운동자의 푸쉬업 갯수를 감지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감지센서를 통해 운동자의 푸쉬업 갯수를 감지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운동자의 외발서기 능력을 감지하여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것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자가 스마트폰을 양손에 쥐고 가슴에 댄 후 눈을 감고 외발서기를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가슴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가슴에서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스마트폰은 카메라 등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가슴 부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근력운동의 완료 횟수를 운동자로부터 입력받아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것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자각도(RPE)의 단계와 근력 운동의 완료 횟수를 운동자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값에 따라서 체력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을 통해 운동자각도(RPE) 5단계(매우쉬움,쉬움,보통,힘듬,아주힘듬)와 근력운동의 완료 횟수를 입력받아 다음날 운동이 재조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체력 레벨 파악 과정(S1310)을 가진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S1310)하는 방식은, 운동자로부터 직접 체력 레벨을 입력받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기구로부터 운동량을 수신하여 그에 맞는 체력 레벨을 파악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 측정기로부터 운동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맞는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체력 레벨 파악 과정이 있는 후, 파악된 운동자의 체력 레벨에 따라서 운동 동작의 횟수를 결정하는 운동 동작 횟수 결정 과정(S1320)을 가진다.
그리고,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는 재생 시간 추출 과정(S1330)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데이터베이스가 있을 때에 10회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재생 시간은 1분 23.44초 시점이므로, 10회로 결정된 A 운동자가 시청시에는 1분 23.44초까지 운동 동작 동영상의 재생 시간으로 추출된다. 50회 팔굽혀 펴기의 운동 동작 재생 시간은 2분 15.82초 시점이므로, 50회로 결정된 B 운동자가 시청시에는 2분 15.82초까지 운동 동작 동영상의 재생 시간으로 추출된다.
운동 동작 동영상의 재생 시간 추출(S1330)이 있은 후,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마무리 동작 동영상을 포함하는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에서, 운동 소개 동영상과, 추출된 재생 시간만큼의 운동 동작 동영상과,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재생하는 동영상 편집 재생 과정(S1340)을 가진다.
이때, 동영상 편집 재생은,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을 시청하는 운동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에 대응하여 동영상 편집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운동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에 대응한 동영상 편집을 시간으로 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중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운동 동작 영상을 종료하고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한다.
실시간 편집의 다른 하나의 방식은,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때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설정된 증가 시간만큼 증가시키는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210:운동 강좌 원본 동영사아 저장부
220: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
230:체력 레벨 파악부
240:동영상 편집 재생부

Claims (10)

  1. 운동 소개 동영상, 운동 동작 동영상, 및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포함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이 저장된 운동 강좌 원본 동영상 저장부;
    각 운동 동작의 횟수별로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의 정보가 저장된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여 체력 레벨 파악부; 및
    파악된 운동자의 체력 레벨에 따라서 운동 동작의 횟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동 동작의 횟수에 따른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운동 소개 동영상과, 추출된 재생 시간만큼의 운동 동작 동영상과, 상기 마무리 동작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운동 강좌 편집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재생하는 동영상 편집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운동 기구별 운동량별로 체력 레벨이 할당되어 저장된 운동량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 및
    운동 기구에서 운동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운동 기구로부터 수신받는 운동량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량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운동량에 따라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횟수별 재생 시간 데이터베이스는,
    운동 동작 동영상의 각 영상 프레임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영상 프레임의 이미지와 오차 범위 내의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제2영상 프레임이 다시 검출되는 순간을 1회 반복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영상 프레임에 재생 시간 정보를 할당하는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 정보별로 체력 레벨이 할당되어 저장된 생체 정보별 체력 레벨 데이터베이스; 및
    운동자의 맥박, 혈압을 포함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측정기로부터 수신하는 생체 정보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생체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생체 정보에 따라 체력 레벨을 추출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편집 재생부는,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중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고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운동 동작 영상을 종료하고 마무리 동작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편집 재생부는,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이 종료되는 때에 측정된 운동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운동 동작 영상의 재생 시간을 설정된 증가 시간만큼 증가시키는 실시간 편집 및 재생을 수행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스마트폰의 감지센서를 통해 운동자의 푸쉬업 갯수를 감지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운동자가 스마트폰을 양손에 쥐고 가슴에 댄 후 눈을 감고 외발서기를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가슴에서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운동자의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력 레벨 파악부는,
    운동자각도(RPE)의 단계와 근력 운동의 완료 횟수를 운동자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값에 따라서 체력 레벨을 파악하는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10. 삭제
KR1020150142856A 2015-10-13 2015-10-13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101698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56A KR101698391B1 (ko) 2015-10-13 2015-10-13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56A KR101698391B1 (ko) 2015-10-13 2015-10-13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391B1 true KR101698391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856A KR101698391B1 (ko) 2015-10-13 2015-10-13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3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55A (ko) * 2019-09-10 2021-03-18 장은주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KR20220037556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7555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828A (ko) 2006-01-20 2007-07-25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승마영상과 연동되는 승마형 운동기구
JP2013164667A (ja) * 2012-02-09 2013-08-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検索装置、映像検索方法、および映像検索用プログラム
KR20140009267A (ko) * 2010-11-24 2014-01-22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개인 훈련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5678A (ko) * 2012-07-06 2014-0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피드백을 이용한 맞춤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150095856A (ko) * 2012-12-13 2015-08-2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신체단련 모니터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828A (ko) 2006-01-20 2007-07-25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승마영상과 연동되는 승마형 운동기구
KR20140009267A (ko) * 2010-11-24 2014-01-22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개인 훈련 방법 및 시스템
JP2013164667A (ja) * 2012-02-09 2013-08-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検索装置、映像検索方法、および映像検索用プログラム
KR20140015678A (ko) * 2012-07-06 2014-0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피드백을 이용한 맞춤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150095856A (ko) * 2012-12-13 2015-08-2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신체단련 모니터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55A (ko) * 2019-09-10 2021-03-18 장은주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KR102282092B1 (ko) * 2019-09-10 2021-08-03 장은주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KR20220037556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7555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20674B1 (ko) 2020-09-17 2022-07-15 주식회사 플래닛350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34122B1 (ko) 2020-09-17 2022-08-22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9447A1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11675830B2 (en) Generating custom audio content for an exercise session
JP6586144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トの自動休止を有する運動競技の監視システム
KR102043878B1 (ko)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072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users to perform activities
WO20202525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body movement, positioning and posture
CN109284402B (zh) 一种信息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698391B1 (ko)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US20210128976A1 (en) Rhythmic athletic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1954869B2 (en) Motion recognition-based intera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alička et al. Mobile apps that support physical activities and the potential of these applications in physical education at school
US20210060385A1 (en) Advancement Manager In A Handheld User Device
KR20200072931A (ko) 피트니스 컨텐츠의 재생 방법
TWI693090B (zh) 結合於運動器材之資訊傳輸收集裝置與運動器材
KR20190142906A (ko) 사용자 맞춤형 피트니스 큐레이션 정보 제공 방법
TWI730500B (zh) 運動輔助裝置及運動輔助方法
TW201947358A (zh) 適應性運動姿態感測系統與方法
WO2005021107A1 (en) Personel training system and method
Noorbhai et al. The use of a smartphone based mobile application for analysing the batting backlift technique in cricket
WO2021178589A1 (en) Exercise instruction and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CN112587904A (zh) 学生健康促进监测系统和学生健康促进方法
Yu et al. Home Smart Fitness System Integrating Fitness Program and Product Design
Mears et al. Investigating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Digital Technology for Elite Athlete Support in Golf.
Quennerstedt Learning from YouTube
Verma Strategic Analysis of Mirror: The Gy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