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092B1 -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092B1
KR102282092B1 KR1020200091470A KR20200091470A KR102282092B1 KR 102282092 B1 KR102282092 B1 KR 102282092B1 KR 1020200091470 A KR1020200091470 A KR 1020200091470A KR 20200091470 A KR20200091470 A KR 20200091470A KR 102282092 B1 KR102282092 B1 KR 10228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ness
data
video
music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855A (ko
Inventor
장은주
김일한
Original Assignee
장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주 filed Critical 장은주
Publication of KR2021003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에 피트니스 데이터가 삽입된 피트니스 데이터가 삽입된 동영상을 온라인(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 오디오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이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며,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포함된 피트니스 데이터의 항목(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항목값, 실행조건을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에서 설정하고, 피트니스 데이터와 설정된 항목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따라하는 동영상에 설정된 데이터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목표값을를 달성하였는지를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로 알려줄 수 있도록 데이터 삽입과정과, 동영상 플레이과정과, 데이터비교과정과, 데이터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음악을 선정하기 전 기 설정된 특정 시점(또는 시간)에 피트니스 움직임, 심박수, 혈압 등을 체크하여 심박수, 혈압 등과 유사한 바이오데이터가 설치된 음악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테가 포함된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을 청취하므로 자신의 피트니스와 감성에 맞는 최적의 큐레이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uration based on fitness and bio data}
본 발명은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기기를포함하는스마트단말을이용하여피트니스데이터가설정된각각의 동영상및 음악 및 오디오 및 온라인게임 및 지도, 팟캐스트 등을 시청 및 청취하면서 피트니스 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가피트니스동영상및음악 및 오디오 및 온라인게임 및 지도 등에 설정된 도달목표에 도달하였는 지를 객관적인 수치로 알 수있도록 하여 피트니스효과를 최대한 얻게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운동에 대하여 사용자는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해 운동지도를 포함한 다양한 건강관련 서비스들을 제공받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33850호에서는 "웹을 통해서 U-Health Center에 접속하는 단계(S10); 상기 -Health Center는 접속자를 식별한 후,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상황정보와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단계(S20); 상기 분석이 완료되면 정확한 임상진단을 위해서 의사에게 생체 신호와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30); 상기 접속자의 생체신호와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접속자에게 권고를 하고 임상처방에 활용하는 단계(S40); 및 상기 UHealth Center는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운동, 식이 콘텐츠를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플랫폼기반의 상황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에 의하더라도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는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00753호(2018.09.12. 공개)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종목에 대한 운동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 수단이 구비되고,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일상생활 정보가 입력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등급을 판단하여 등급에 따른 하나 이상의 운동 종목과 운동 종목별 일일 권장 운동량을 설정 및 안내하고, 상기 계측 수단으로부터 계측된 운동 종목별 운동량과 기설정된 운동 종목별 일일 권장 운동량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 달성 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정보, 설정정보 및 계측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사용자의 운동 달성 상태를 수신하여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와 일상생활 정보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등급 등을 분석하여 일일 권장 운동량에 대해서만 안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운동을 하였는지는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운동량이 어느 정도의 레벨을 달성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운동에 따른 강도 또한 체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00753호(2018.09.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플레이 되는 동영상 및 음악 등을 시청 및 청취하면서 홈트레이닝, 조깅, 피트니스 운동 등을 하는 사람들이 목표 의식과 결과를 알게 하여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하면서 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동영상 및 음악 등을 제작하는 제작자는 사용자에게 단순히 보고, 듣고, 따라하는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만을 제공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최고의 피트니스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동영상, 음악 등에 함께 설정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자가 의도한 운동 효과를 동영상, 음악 등을 데이터 형태 또는 라이브로 플레이되는 구간에 혹은 종료 후에 제작자가 설정한 목표값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못하였는지를 음성, 문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기기에서 플레이되는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을 시청 또는 청취하면서 홈트레이닝, 조깅, 피트니스 운동 등을 하는 사람들이 목표 의식과 결과를 알게 하여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하면서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단말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피트니스 운동데이터를 비교하는 플랫폼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을 제작하는 제작자는 사용자에게 단순히 보고, 듣고, 따라하는 피트니스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또는 지도 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최고의 피트니스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에 함께 설정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자가 의도한 운동 효과를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을 데이터 형태 또는 라이브로 플레이되는 구간에 혹은 종료후에 제작자가 설정한 목표값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못하였는지를 음성, 문자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을 포함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컨테츠(Live Streaming Contents)를 제작자가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에 사용자가 달성하여야 할 피트니스 데이터 즉,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거리, 심박수, 최대 심박수, 혈압, 혈당 등을 포함하는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라이브 스트리밍 컨텐츠에 미리 설정하고,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이 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실행시켜 피트니스데이터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 등으로 알려주어 피트니스 효과를 사용자가 최대한 얻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단말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피트니스 운동데이터를 비교하는 플랫폼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 움직임, 심박수, 협압 등을 체크하여 그 피트니스 움직임과 심박수, 협압 등과 유사한 목표 설정값이 설정된 음악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고객이 최적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에 기반한 피트니스 및 명상 시 최고의 신체와 감성을 이룰 수 있도로 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을 선택해서 듣는 흔한 개념이 아니라 똑같은 음악이라도 다양한 환경(잠자는 환경, 공부하는 환경, 걷는 환경, 달리는 환경등)에서 사용자의 음악 감성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의 음악의 듣기 목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똑같은 음악이라도 다양한 환경에서의 음악의 재미를 객관적인 수치로 알려주어 음악의 재미와 피트니스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에 피트니스 데이터를 삽입하고, 피트니스 데이터가 삽입된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을 유무선통신망(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며, 플레이되는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에 포함된 피트니스 데이터의 항목(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을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설정하고, 피트니스 데이터와 설정된 항목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따라는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등에 설정된 데이터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목표치를 달성하였는지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로 알려줄 수 있도록 데이터삽입과정과,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플레이과정과, 데이터비교과정과, 표시과정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 자체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 폰에서 음악, 동영상, 오디오를 선정하기 전 기 설정된 특정 시점(시간)때의 피트니 움직임, 심박수, 협압, 혈당 등을 체크하여 피트니스 움직임과 심박수, 협압, 혈당 등과 유사한 목표 설정값이 설정된 음악, 동영상, 오디오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피트니스 또는 명상 시 사용자에게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에 최적화된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를 서용자에게 큐레이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에 데이터의 삽입은,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에 음악 또는 음성을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데이터삽입과정과;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을 따라 하면서 소모되는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과 관련된 피트니스 데이터에 따른 항목을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 편집기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항목삽입과정과;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이 플레이된 후 적어도 5초 후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에 발생하는 데이터가 실행되도록 실행명령데이터가 삽입되는 실행조건삽입과정과; 각각의 동영상, 음악, 오디오, 온라인 게임, 지도 또는 팟캐스트에 포함된 실행조건에 맞게 실행되는지 검증하는 검증과정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행조건삽입과정은,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 등에 항목, 항목값에 실행조건을 설정하고, 스마트기기(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가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을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인식 앱 또는 카메라로 인식하면,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에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실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행조건삽입과정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제공자가 스마트단말(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등)를 신체에 착용 및 홀딩 한 상태에서 피트니스를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단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플레이과정은,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단말에 저장된 것을 피트니스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메모리로부터 피트니스 동영상을 독출하여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과정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에 의해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온라인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과정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과; 스마트단말에서 측정한 항목을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항목이 동영상의 항목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 스마트단말에서 설정한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항목을 선택하였는지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비교과정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가 되고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비교하기 전에 플레이 된후 일정 시점 부터 피트니스 및 바이오테이터를 기록하며,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동영상(음악, 오디오 등)이 계속 플레이되고,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정해진 구간을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면 계속 플레이하며, 리플레이되는 구간에서 목표값을 도달하지 못하면 목표값을 도달할 때 까지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비교과정은, 지도에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구간을 설정하고, 그 구간의 예상 거리, 예상 시간, 예상 칼로리, 예상 심박수, 혈압등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며, 지도를 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시작하면, 지도에 기 설정된 구간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현재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도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에서 비교값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비교과정은,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준 신체 사이즈 설정 또는 자신의 실제 건강 데이터 설정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표준 건강 데이터와의 비교하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기기 또는 신발에 설치된 측정장치와 무선(블루투스)으로 연결되어 심호흡, 수분량, 수면 시간, 몸의 자세, 보행 상태, 체중, 족저압, 무게 중심, 제중 이동 중심을 항목값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시청 또는 청취 및 피트니스 시에 자신의 심호흡, 수분량, 수면 시간, 몸의 자세, 보행 상태, 체중, 족저압, 무게 중심, 체중 이동 상태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는, 학습내용이 기저장되고, 학습내용이 저장된 상태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하면서 피트니스 할 시에 피트니스 중에 학습내용을 질문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답을 하여 정답을 맞추지 못하면 맞추지 못한 구간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리플레이도어 피트니스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항목, 항목값의 실행조건은, 기 설정된 사진을 기준 사진으로 설정되고, 새롭게 사진을 찍은 시점에 발생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사진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하여 피트니스 또는 바이오 상태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설정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AI가 임의로 동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기준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실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랑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알람 진동 및 알람 소리에 설정하고, 소정 시간에 알람이 울릴 때 사용자가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재대로 수행하였는지를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에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 설정하고, 상대방과 통화가 시작되면 상대방의 피트니스 데이터 및 상대방의 심박수, 혈압 등을 포함하는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고 또는 AI가 분석하여 통화가 종료시 최적의 상대방(이성)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데이팅 분야에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사용자가 피트니스, 바이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가속도, 각속도에서 발생하는 XY, XYZ 좌표를 이용한 동작 비교 데이터를 항목, 항목값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가 시작되어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시작하면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미리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함꼐 동작 비교 데이터를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동작 비교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작의 정확도 뿐만 아니라 동작의 회수, 동작의 물리량을 동시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되는 소정 구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고, 소정 구간에서 플에되는 하나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로 간주하며, 소정 구간의 시간에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기 설정하고, 서정 시간이 흐르는 중 혹은 종료 중의 자신의 실제 피트니 및 바이오 데이터와 하루, 일주일, 한달, 일년 또는 전체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은, 항목, 항목갑, 실행조건에 이동 평균선을 기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될 때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과 비교하여 알려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어가 플레이될 때 동시에 카메라를 통해 피트니스하는 사용자를 동영상 촬영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동시에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며, 기존에 촬용된 동영상과 비교하여 실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피트니스가 실제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되고 앞부분은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항목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시점이 지난 후에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가 설정되어 항목값이 설정된 지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항목, 항목값은, 자동차의 네비게이션(동영상, 오디오, 지도)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목적지까지의 거리, 시간, 속도, 제한 속도, 연비를 항목에 항목값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항목값에 실행조건에 맞게 운전자가 운전을 하였는지를 목적지에 도달하였을때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음악을 선정하기 전 기 설정된 특정 시점(또는 시간)에 피트니스 움직임, 심박수, 혈압 등을 체크하여 심박수, 혈압 등과 유사한 바이오데이터가 설치된 음악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테가 포함된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을 청취하므로 자신의 피트니스와 감성에 맞는 최적의 큐레이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을 시청 및 청취하면서 홈트레이닝, 조깅, 피트니스 운동 등을 하는 사람들이 목표 의식과 결과를 알게 하여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하면서 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잠자는 환경, 공부하는 환경, 걷는 환경, 달리는 환경 등)에서 사용자의 음악 감성이 다르게 느낄 수 있도록 객관적인 수치를 알려줌으로써 다양한 환경에 맞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재미와 피트니스를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움직임, 심박수 등에 맞는 동일 데이터를 감지하였을 때, AI(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가 분석하여 사용자가에게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를 추천 및 제공하여 사용자 피트니스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데이터 및 바이오데이터를 측정하여 피트니스 및 명상 등을 하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를 제공함은 물론 이에 따른 교육을 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동영상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단말을 통해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1의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 스마트단말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1의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각각 입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에 의해 가수 및 음악 저작자와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비교하여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동영상/음악/오디오/지도 등에 설정된 목표 항목, 항목값에 따른 실제 피트니스 및 바이오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에 피트니스 데이터가 삽입된 피트니스 데이터가 삽입된 동영상을 온라인(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피트니스 동영상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이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며,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포함된 피트니스 데이터의 항목(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항목값, 실행조건을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에서 설정하고, 피트니스 데이터와 설정된 항목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따라하는 동영상에 설정된 데이터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목표값을를 달성하였는지를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로 알려줄 수 있도록 데이터 삽입과정(S100)과, 동영상 플레이과정(S200)과, 데이터비교과정(S300)과, 데이터표시과정(S400)을 포함하되,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 자체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 폰에서 음악, 동영상, 오디오를 선정하기 전 기 설정된 특정 시점(시간)때의 피트니 움직임, 심박수, 협압, 혈당 등을 체크하여 피트니스 움직임과 심박수, 협압, 혈당 등과 유사한 목표 설정값이 설정된 음악, 동영상, 오디오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피트니스 또는 명상 시 사용자에게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에 최적화된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를 서용자에게 큐레이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영상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마트단말을 통해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 스마트단말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각각 입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에 의해 가수 및 음악 저작자와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비교하여 수치 및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동영상/음악/오디오/지도 등에 설정된 목표 항목, 항목값에 따른 실제 피트니스 및 바이오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은 데이터 삽입과정(S100)과, 동영상 플레이과정(S200)과, 데이터비교과정(S300)과, 데이터표시과정(S40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삽입과정(S100)은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관리서버에서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에서 활동하는 대상자를 기준으로 획득한 항목데이터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 삽입과정(S100)은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편집기를 이용하여 음악 또는 음성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삽입과정(S110)과,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를 따라 하면서 소모되는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과 관련된 피트니스 데이터를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항목삽입과정(S120)과, 동영상과 음악이 플레이된 후 적어도 5초 후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에 발생하는 데이터가 실행되도록 실행 명령데이터가 삽입되는 실행조건삽입과정(S130)과, 동영상에 포함된 음악, 음성이 플레이되면서 실행조건에 맞게 실행되는지 검증하는 검증과정(S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S110~S140)을 통해 삽입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에 다운로드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동영상을 플레이시켜 사용자의 운동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삽입되는 피트니스 데이터는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 등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으로 구성되며, 항목은 동영상이 플레이될 동안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추출해야 될 데이터 목록이고, 항목값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추출한 데이터 값과 비교하는 값이며, 실행조건은 동영상이 플레이 될 동안 동영상 및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실행시켜 데이터를 추출하여 비교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에 설정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 등을 저작자가 설정하였던에 국한하지 않고, AI에 의해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에 설정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에 설정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AI가 임의로 동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기준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 등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실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랑 비교하여 알려준다.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사용자가 피트니스, 바이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가속도, 각속도에서 발생하는 XY, XYZ 좌표를 이용한 동작 비교 데이터를 항목, 항목값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가 시작되어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시작하면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미리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함꼐 동작 비교 데이터를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동작 비교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작의 정확도 뿐만 아니라 동작의 회수, 동작의 물리량(또는 운동량)을 동시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 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람 진동 및 알람 소리에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에 알람이 울릴 때 사용자가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재대로 수행하였는지를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되는 소정 구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고, 소정 구간에서 플에되는 하나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로 간주하며, 소정 구간의 시간에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기 설정하고, 서정 시간이 흐르는 중 혹은 종료 중의 자신의 실제 피트니 및 바이오 데이터와 하루, 일주일, 한달, 일년 또는 전체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행조건은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 등에 항목, 항목값에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스마트기기(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등)가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등을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인식 앱 또는 카메라로 인식하면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 등에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실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항목은 동영상 및 음악 플레이 시간, 스마트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실행 시간, 소모 칼로리, 걸음 수, 심박수, 걸음 걸이(KM), 최대 심박수, 혈압, 체온, 맥박, 산소포화도(SpO2), GPS, 위치, 금액, 음성 인식, 진동, 소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항목 값은 10초, 3분, 1시간,1000Kcal, 5KM, 100BPM, 3000 Steps, 100mmHg, 100 %, °C , 원, 달러, 위안, 엔, 유로 1회, 2회, GPS값 등이다.
상기 실행 조건은 동영상 플레이 시간, 동영상 종료 시간, 일시 정지, 반복 횟수, 동영상의 종류(얼굴, 신체, 다리, 싱글 동영상, 그룹 동영상, 워킹, 조깅, 러닝, Dance, 줄넘기, 동영상, 음악, 통화, 게임, 음성 등). 접근 허용 및 제한, 등급 설정, 통화 시간, 반복 실행, 말하기, 진동 횟수, 소리 횟수, 연속 플레이 등이다.
그리고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제공자가 스마트단말(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등)를 신체에 착용 및 홀딩 한 상태에서 피트니스를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단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매칭되어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단말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데이터를 습득하는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이외에도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 북,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트프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라 함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 및 접촉하여 칼로리, 걸음수, 걸음거리 등과 같은 피트니스 데이터 또는 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체온, 맥박 등과 같은 Cardio 데이터를 기록, 저장, 송신 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을 갖주고 있는 모든 종류의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밴드, 웨어러블 글라스, 유무선 이어폰, 스마트 반지, 스마트 신발, 스마트 신발 깔창(Shoe insole), 신체에 착용한 스마트 폰, 사용자 호주머니 안에 있는 스마트 폰, AR/VR 기기, 유무선 마이크, 스마트 펜, 스마트 Bar, 스마트 아령, 스마트 역기, 스마트 자전거, 스마트 러닝머신, 스마트 줄넘기, 스마트 배드민턴 라켓, 스마트 테니스 라켓, 스마트 탁구 라겟, 스마트 축구공, 스마트 농구공, 스마트 배구공, 스마트 야구공, 스마트 탁구공 스마트 훌라후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에 설치된 측정장치와 무선(블루투스)으로 연결되어 심호흡, 수분량, 수면 시간, 몸의 자세, 보행 상태, 체중, 족저압, 무게 중심, 제중 이동 중심을 항목값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시청 또는 청취 및 피트니스 시에 자신의 심호흡, 수분량, 수면 시간, 보행 상태(발바닥의 압력분포 체크), 체중, 족저압(서있는 상태에서의 압력 또는 보행시 압력), 무게 중심, 체중 이동 상태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족저압, 무게중심, 체중 등의 체크가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무게를 체크하는 로드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고, 특히, 온라인 형태로 인가되는 제품의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는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 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데이터 등을 온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동영상 플레이과정(S200)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에서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동영상을 다운로드 저장된 것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플레이한다.
상기 동영상 플레이과정(S200)은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S210)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단말에 저장된 것을 피트니스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메모리로부터 피트니스 동영상을 독출하여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과정(S220-1)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에 의해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온라인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과정(S220-2)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등에 대한 항목 및 항목값을 설정하는 과정(S230)과, 스마트단말에서 측정한 항목 및 항목값을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항목 및 항목값이 동영상의 항목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하는 과정(S240)과,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 스마트단말에서 설정한 항목 및 항목값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항목을 선택하였는지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과정(S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트니스 동영상은 모든 종류 및 형태의 동영상과 음악뿐만 아니라, 게임, 애니메이션, AR/VR 게임, Streaming Contents, Live Streaming Contents, Live Broadcast, 음성 통화, 영상 통화, 음성 파일, 오디오 파일, 3D, 홀로그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항목을 설정하고, 설정한 항목 및 항목값과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항목 및 항목값을 스마트단말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스마트단말에 제공되는 항목에 따른 데이터는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수집, 위치기반에 의한 이동 거리의 산정, 위치기반에 의한 이동 거리에 따른 시간, 위치기반에 의한 시간당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는 속도, 이동 거리와 시간 및 속도에 따른 칼로리의 소모량 등을 측정하여 이를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날짜별, 운동별,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설정에 의해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촬영에 의해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경우 미리 동영상에 항목과 실행 조건만을 설정하고, 항목값에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안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항목 값으로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에서 포함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항목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에 따른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S310)과,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거리, 시간, 속도 산출하여 항목에 따른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S320)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이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항목에 포함되는지 비교하는 과정(S330)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한 항목을 기준으로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거리, 시간, 속도를 기반으로 산출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S340)과, 애프리케이션에 의해 피트니스 동영상의 항목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에 따른 데이터(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거리, 시간, 속도를 기반으로 산출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을 음성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문자, 숫자, 그래프를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과정(S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스마트단말에 저장된 피트니스 동영상 또는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피트니스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읽어들이고,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항목(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을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생체신호를 읽어들이며, 피트니스 동영상의 항목데이터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의 항목에 따른 데이터를 비교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항목별 즉,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 등에 대한 각각의 항목을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 개별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가 되고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비교하기 전에 플레이 된후 일정 시점 부터 피트니스 및 바이오테이터를 기록하며,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동영상(음악, 오디오 등)이 계속 플레이 되고,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정해진 구간을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면 계속 플레이하며, 리플레이되는 구간에서 목표값을 도달하지 못하면 목표값을 도달할 때 까지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 구간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리플레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도 상에 설정되는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지도 상의 구간이라함은 사용자가 설정한 구역을 다구간, 예를 들어 1구간, 2구간, 3구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간의 설정에 따른 항목별 즉,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 등에 대한 각각의 항목을 피트니스 데이터가 웨어러블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가 되고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비교하기 전에 플레이 된후 일정 시점 부터 피트니스 및 바이오테이터를 기록하며,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동영상(음악, 오디오 등)이 계속 플레이 되고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정해진 구간을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면 계속 플레이하며, 리플레이되는 구간에서 목표값을 도달하지 못하면 목표값을 도달할 때 까지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 시 지도에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구간을 설정하고, 그 구간의 예상 거리, 예상 시간, 예상 칼로리, 예상 심박수, 혈압등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며, 지도를 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시작하면, 지도에 기 설정된 구간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현재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도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에서 비교값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준 신체 사이즈 설정 또는 자신의 실제 건강 데이터 설정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자 자신의 실제 및 표준 건강 데이터와의 비교하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는 학습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내용은 영어 단어, 문장을 비롯하여 수학, 국어, 국사 등 자신이 공부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기저장되고, 학습내용이 저장된 상태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하면서 피트니스 할 시에 피트니스 중에 학습내용을 질문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답을 하여 정답을 맞추지 못하면 맞추지 못한 구간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리플레이도어 피트니스 시간을 연장하여 학습과 함께 피트니스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항목, 항목값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진을 포함하여 피트니스 또는 바이오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기 설정된 사진을 기준 사진으로 설정하고, 기준 사진으로 설정한 해당 기간에 피트니스 데이터 또는 바이오 데이터를 매칭하고, 매칭된 기준 사진을 기준으로 새롭게 사진에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매칭시키며, 매칭된 현재의 사진과 기 설정된 기준 사진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하여 피트니스 또는 바이오 상태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상황별 즉, 근무 시, 여가 시 또는 여행 시 등과 같이 다양한 환경에서 습득할 수 있는 사진에 자신의 피트니스 또는 바이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과거 데이터와 현재의 데이터를 또는 과거의 데이터와 다른 과거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 자신의 피트니스 또는 바이오 상태를 파악하여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어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어가 플레이될 때 동시에 카메라를 통해 피트니스하는 사용자를 동영상 촬영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동시에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며, 기존에 촬용된 동영상과 비교하여 실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피트니스가 실제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어가 플레이될 때 피트니스 사용자가 기존의 영상을 그대로 적용하여 피트니스가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로 피트니스를 수행한 것과 같은 페이크 동영상을 판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페이크 피트니스의 판별은 학교에서 원격으로 비대면 체육 수업 시 학생이 제대로 과제를 하는지를 학생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로 확인하여 실제 운동하는 동영상 모습을 선생님이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학교에 등교하지 하지 못하고 원격으로 수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체육 수업은 더욱더 비대면으로 수업을 실시하기 가 어려운 과목이다. 이런 문제점을 비대면 원격체육수업에 선생님이 동영상의 항목, 항목값에 숙제 및 과제를 내고 그 과제를 제대로 따라했는지를 학교 선생님이 확인 가능하므로 비대면 원격 체육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되고 앞부분은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항목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시점이 지난 후에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가 설정되어 항목값이 설정된 지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어의 앞부분은 교육을 하고, 교육이 끝난 직후 부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며, 특히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 체육 수업 및 온라인 피트니스 강좌 등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근래에는 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영어 단어를 외운다든지 오디오 북을 듣는 등의 복합적인 피트니스가 이루어지므로 이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이를 이용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항목, 항목값은 자동차의 네비게이션(동영상, 오디오, 지도 등)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목적지까지의 거리, 시간, 속도, 제한 속도, 연비를 항목에 항목값으로 설정하고 그 항목값에 설정된 실행조건에 맞게 운전자가 운전을 하였는지를 목적지에 도달하였을때 비교하여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를 알려주는 것은 자동차 보험 적용 및 보험 할인 등의 인슈어테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자동차를 하나의 스마트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거리, 시간, 속도, 제한 속도, 연비 등의 측정에 따른 항목에 항목값으로 설정함에 따라 상기의 데이터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보험회사로 실시간 데이터가 인가되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보험회사에 자신이 설정한 운행기록을 제출하지 않아도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개별적으로 비교되는 피트니스 동영상과 개별적으로 비교한 항목은 데이터표시과정(S400)을 통해 개별적인 항목에 대한 달성도, 운동량, 운동에 따른 레벨(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을 각각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비교과정(S300)에서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에는,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하지 않거나 또는 항목만 설정하는 경우, 항목과 실행조건만 설정하는 경우 동영상, 오디오, 음악, 지도이 플레이되는 도중 혹은 종료 후에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의 항목, 항목값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는 비교하지 않고 실제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에서 발생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만을 플레이 중간 또는 종료 후에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하지 않고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 등이 플레이되는 중 혹은 종료후에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만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음악, 오디오 또는 지도에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음악이 플레이되는 중간 또는 종료 후에 실제 스마트기기를 착용 또는 홀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음악, 오디오 또는 지도에 설정된 이동평균선과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평균선은 칼로리, 심박수, 혈압 등 다양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표시과정(S400)은 스마트단말에서 표시하는 비교 결과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항목을 설정하고,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과 관련된 피트니스 데이터가 설정된 항목에 따른 목표치를 달성하였는지를 음성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문자, 숫자, 그래프를 스마트단말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은, 항목, 항목갑, 실행조건에 이동 평균선을 기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될 때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과 비교하여 알려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전 0시부터 24시까지의 이동평균선을 기 설정하고, 실제 오전 0시 부터 저녁 24시까지의 이동평균선을 비교하여 어느 부분의 이동평균선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알려준다. 그리고 이동평균선은 피트니스 데이터 만의 이동 평균선일 수도 있고, 바이오 데이터 만의 이동평균선일 수도 있으며, 두개의 조합의 이동평균선일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와 환자 케어 분야에 적용가능하며, 환자의 일일 이동평균선과 및 주 이동평균선, 월 이동평균선을 기설정된 이동 평균선과 비교하여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변동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환자의 생활 패턴 및 환자의 신체 변화 패턴 등을 쉽게 발견하여 신처의 변화가 발생이 언제부터 시작했는지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항목(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항목값, 실행조건에 어떠한 데이터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각각의 분야(보험, 원격수업, 의료 등)에서 할용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표시과정(S400)은 스마트단말에서 표시하는 비교 결과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항목을 설정하고,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과 관련된 피트니스 데이터가 설정된 항목에 따른 목표치를 달성하였는지를 음성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문자, 숫자, 그래프를 스마트단말에 표시한다.
상기에서 스마트단말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데이터를 습득하는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이외에도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 북,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트프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라 함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 및 접촉하여 칼로리, 걸음수, 걸음거리 등과 같은 피트니스 데이터 또는 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체온, 맥박 등과 같은 Cardio 데이터를 기록, 저장, 송신 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을 갖주고 있는 모든 종류의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밴드, 웨어러블 글라스, 유무선 이어폰, 스마트 반지, 스마트 신발, 스마트 신발 깔창(Shoe insole), 신체에 착용한 스마트 폰, 사용자 호주머니 안에 있는 스마트 폰, AR/VR 기기, 유무선 마이크, 스마트 펜, 스마트 Bar, 스마트 아령, 스마트 역기, 스마트 자전거, 스마트 러닝머신, 스마트 줄넘기, 스마트 배드민턴 라켓, 스마트 테니스 라켓, 스마트 탁구 라겟, 스마트 축구공, 스마트 농구공, 스마트 배구공, 스마트 야구공, 스마트 탁구공 스마트 훌라후프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이때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연동되게 설정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생체신호, 위치기반에 의한 거리, 시간, 속도 산출 등에 따른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피트니스 동영상을 다운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트니스 동영상은 관리서버에서 항목데이터를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삽입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러한 항목데이터는 사용자가 피트니스 동영상을 보면 따라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운동량이 피트니스 동영상의 운동량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지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사용자가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을 보면서 따라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운동량에 맞게 항목을 설정한다. 상기 항목은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항목을 자신에 맞게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해 스마트단말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시키면,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스마트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을 따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거리, 시간,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습득하여 이를 저장한다.
상기 스마트단말에서 획득한 생체신호 및 위치기반에 의한 거리, 시간,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등에 대한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은 산출된 데이터(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등)와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항목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는 동영상 항목값에 접근값(Access Value)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 및 웨어러블 기기가 동영상에 설정된 접근값(소모칼로리, 걸음수, 걸음 거리, 심박수, 피트니스 시간 등)에 일부 또는 전부 도달 유무에 따라 사용자가 동영상에 접속 할 수 있는지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속값은 항목, 항목값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 또는 웨어러블 기기 항목의 소모칼로리와 항목값이 1000Kcal 이상인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 플레이가 허용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의 비교 값을 스마트단말에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단말은 설정된 항목값을 넘어설 경우 음성, 문자, 진동, 불빛 등과 같이 어느 한 방식을 통해 운동을 중지할 것을 알려주어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피트니스 동영상은 저장된 동영상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동영상 중 하나를 플레이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을 체크 및 비교하였으나, URL을 이용한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URL에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링크시켜 상기 URL 주소를 가진 동영상이 온라인에서 실행되면 페어링된 웨어러블 기기를 실행조건에 따라 실행시키고 설정된 항목, 항목에 따른 값을 스마트단말에서 발생한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표시함으로서 운동량의 체크가 용이하도록 한다.
즉, 유튜브와 같이 동영상이 게재된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된 사이트에서 올라온 동영상을 체크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과 선택한 동영상의 항목을 비교 및 판단하여 스마트단말에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피트니스 동영상에 1개 이상의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가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에 페어링 되는 다수의 웨어러블 또는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가 동시에 접속하여 각기 다른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각각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에 따른 항목 및 항목데이터의 비교된 값을 알려준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명상을 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하루의 움직임 및 심박수, 혈압을 설정된 시간 혹은 설정된 움직임 혹은 설정된 심박수(혈압등) 내에서 체크하여 나에게 최적인 동영상,음악, 오디오를 추천한다.
또한, 운동 및 명상관련 교육를 설명하고 설명이 끝난 후 부터는 피트니스 데이터(칼로리, 걸음 회수 등) 및 바이오 테이터(심박수, 혈압, 체지방 등)를 측정하여, 동영상, 음악, 오디오등을 통해 피트니스 및 명상 등을 하는 사람에게 교육과 동시에 피트니스 및 명상을 교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영상(오디오, 음악등)에서 앞부분에는 피트니스 및 명상 방법을 알려주고 중간에 실제 동영상에서 요구하는 피트니 및 명상 관련 데이터와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명상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알려주어 내가 제대로 피트니스 및 명상을 하고 있는지를 바로 알게 알려주며, 만약에 데이터에 도달하지 못하면 다시 피트니스 및 명상법을 알려주고 피트니스 및 명상에 집중하게 하여, 피트니스 및 명상을 교육과 함께 같이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명상 관련 동영상, 음악, 오디오 등에 기 설정된 심박수, 혈압, 움직임 횟수등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과 사용자가 착용하고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포함)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움직임 횟수를 포함하는 바이오 및 피트니스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하여 동영상, 음악, 오디오가 플레이 되는 동안의 심박수, 혈압, 움직임 횟수 등을 비교하여 명상에 집중하고 있는지, 집중하고 있지 않는 지를 객관적 수취로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동영상에서 앞부분에는 명상 방법을 알려주고 중간에 실제 동영상에서 요구하는 명상의 심박수 데이터와 사용자의 심박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알려주어 내가 제대로 명상을 하고 있는지를 바로 알게 알려주며, 만약에 데이터에 도달하지 못하면 다시 명상법을 알려주고 명상에 집중하게 하여, 명상을 과학적으로 연습하게 하며 명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다이어트 관련 동영상, 음악, 오디오 등이 실행되면 명상 관련 동영상, 음악, 오디오 등에 기 설정된 심박수 또는 스트레스 또는 혈압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과 사용자가 착용하고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포함)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스트레스 또는 혈압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하여 동영상, 음악, 오디오가 플레이 되는 동안의 심박수 또는 스트레스 또는 혈압 또는 움직임 등의 하나 또는 복수의 항목의 추세를 비교하여 명상 관련 동영상, 음악, 오디오등에 기설정된 오차 범위를 넘어서면 명상이 어느 시점에 오차 범위를 넘어섰는지, 몇 차례 오차 범위를 넘었는지를 비교하여 알려주어 동영상, 음악, 오디오를 보면서 혹은 들으면서 제대로 명상이 됐는지 안됐는지를 비교하여 알려주어, 사용자가 명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명상이 진행되는 동안 심박수 및 바이오데이터가 동영상(음악,오디오등)에 기 설정된 구간의 심박수 및 바이오데이터의 오차 범위를 넘어선 회수를 산출하여 명상을 제대로 했는지 못했지를 수치로 알려준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를 손목에 차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에서 지시하는 명상 자세를 취하면,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취한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명상을 하면 움직임과 심박수를 측정하고, 음악에서 요구하는 움직임 수와 심박수 흐름과 맞는지를 비교하여 스마트폰 또는 웨러러블 기기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자신이 정확하게 수행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은 그에 따른 바이오 데이터를 알 수 있어 효과적으로 명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부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동영상이 플레이되고 있을 때, 학생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동영상에 기 삽입된 동영상의 심박수와 비교하여 알려준다. 기 설정된 심박수와 학생이 심박수가 일치하면 다음단계의 동영상으로 넘어가고 설정된 심박수에 도달하지 못하면 공부시 정신 집중이 안된거로 판단하여 다시 집중해서 공부하게 하고 다시 동영상을 듣게 한다.
그리고 동영상에 설정된 피트니스 수치와 심박수를 통한 학습 집중도 강화가 가능하고, 학생의 부모가 학생이 얼만큼 공부에 집중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알려줄 수 있다.
즉, 동영상(오디오)에서 영어 및 수학 강의가 시작된다. 동영상 및 오디오에는 기 설정된 항목 및 항목값이 설정되어 있다. 명어 강의를 한후 문제를 풀 시간을 주고 정해진 시간에 정답을 맞추면 강의 동영상이 계속 진행되고 정답을 맞추지 못하면 정해진 앞의 강의를 다시 청취하기 위해 동영상 및 오디오의 앞으로 움직인다.
또한,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동영상 및 오디오가이 계속 플레이되고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정해진 부분의 동영상으로 돌아가 그 부분에서 다시 플레이되게 한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통해 지도를 활용하여 피트니스가 이루어지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지도에 피트니스를 할 가상의 선이 미리 설정되고 예상 거리, 예상 시간, 예상 칼로리 등이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지도를 플레이하면 본인의 움직인 만큼의 거리를 가상의 지도가 인식하고 가상의 지도에서 본인이 이동한 만큼 가상의 선이 줄어들며 지도에서 줄어든 거리만큼을 GPS 변경하고, 그 GPS 위치와 연결된 사진이나 동영상, 오디오등이 플레이되며 가상의 예상 칼로리와 실제 사용자의 예상 칼로리를 비교하여 점수로 알려준다.
또한, 가상의 선이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고 본인이 직접 설정하면 예상 거리, 예상 시간, 예상 칼로리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설정된다.
사용자가 움직임을 시작하면 사용자의 움직인 만큼의 거리를 가상의 지도가 인식하고 가상의 지도에서 본인이 움직임 만큼 줄어들며 가상의 지도에서 줄어든 거리 만큼을 GPS 변경하고 그 GPS 위치와 연결된 사진이나 동영상, 오디오등이 플레이 되게 됨으로써 재미(Fun)가 있는 워킹 피트니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게임에 활용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기 설정하고, 게임이 플레이되면 게임 중에 달성해야 할 피트니스 목표를 설정하여 그 시점에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서 발생한 실제 피트니스 데이터가 설정된 피트니스 데이터와 비교하여 점수, 페센티지(%), 게임 성공, 게임 실패 등의 방법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목표치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의 게임으로 이동하고, 피트니스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다시 처음의 단계를 실시하게 하여 게임의 재미와 피트니스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요가, 필라테스와 같이 정신 및 육체의 집중이 중용한 피트니스에 활용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요가, 필라테스 관련 동영상, 음악, 오디오 등이 실행되면, 요가, 필라테스 관련 동영상, 음악, 오디오 등에 기 설정된 심박수, 움직임 횟수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과 사용자가 착용하고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포함)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움직임 횟수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하여 동영상, 음악, 오디오가 플레이 되는 동안의 심박수, 움직임 횟수 등의 추세를 비교하여 일정 오차 범위를 넘어서면 요가, 필라테스와 같은 정신 및 육체의 집중이 매우 중요한 피트니스의 경우 본인이 재대로 요가 및 필라테스 등의 자세를 취하고 집중하고 있는지, 집중하고 있지 않은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즉, 목표 칼로리, 심박수, 혈압, 혈당 등을 포함하는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라이브 스트리밍 컨텐츠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또는 음악이 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실행시켜 피트니스 데이터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 등으로 알려주어 피트니스 효과를 사용자가 최대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자신의 운동량에 대해 발전성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원격지에서 피트니스를 하는 경우 피트니스를 관리해 주는 관리자와 통화시 사용자 자신이 착용한 웨어러블기기에서 인가되는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스마트폰을 통해 상대방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 및 측정하여 체계적인 피트니스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션은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운동성향(선택된 영상의 종류를 파악)을 파악하여 피트니스 동영상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동영상을 통해 단계적이고 계획적인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플레이 되는 동영상 및 음악 등을 시청 및 청취하면서 홈트레이닝, 조깅, 피트니스 운동 등을 하는 사람들이 목표 의식과 결과를 알게 하여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하면서 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효과적인 운동을 지속적으로 피트니스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 동영상 및 음악 등을 제작하는 제작자는 사용자에게 단순히 보고, 듣고, 따라하는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만을 제공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최고의 피트니스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동영상, 음악 등에 함께 설정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자가 의도한 운동 효과를 동영상, 음악 등을 데이터 형태 또는 라이브로 플레이되는 구간에 혹은 종료 후에 제작자가 설정한 목표값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못하였는지를 음성, 문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작자가 의도한 피트니스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수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면서 격려하므로 피트니스를 꾸준히 할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동영상, 음악 등을 포함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컨테츠(Live Streaming Contents)를 제작자가 각각의 동영상 또는 음악 등에 사용자가 달성하여야 할 피트니스 데이터 즉,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혈당 등을 포함하는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라이브 스트리밍 컨텐츠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또는 음악이 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실행시켜 피트니스 데이터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 등으로 알려주어 피트니스 효과를 사용자가 최대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온 입력(on input) 데이터를 동작시키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특수목적 논리 회로조직,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의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모두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디스크들, 또는 광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 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4)

  1.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에 피트니스 데이터가 삽입된 동영상을 온라인(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피트니스 동영상, 음악, 오디오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이 스마트단말에서 플레이되며, 플레이되는 동영상에 포함된 피트니스 데이터의 항목(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 항목값, 실행조건을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에서 설정하고, 피트니스 데이터와 설정된 항목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따라하는 동영상에 설정된 데이터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목표값을를 달성하였는지를 음성, 문자, 숫자, 그래프로 알려줄 수 있도록 데이터 삽입과정(S100)과, 동영상 플레이과정(S200)과, 데이터비교과정(S300)과, 데이터표시과정(S400)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에 데이터의 삽입은,
    피트니스 동영상에 음악, 음성데이터를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데이터삽입과정(S110)과;
    동영상을 따라 하면서 소모되는 칼로리, 거리로 환산된 운동량, 걸음 수, 심박수, 혈압과 관련된 피트니스 데이터에 따른 항목을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항목삽입과정(S120)과;
    동영상과 음악이 플레이된 후 적어도 5초 후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에 발생하는 데이터가 실행되도록 실행 명령데이터가 삽입되는 실행조건삽입과정(S130)과;
    동영상에 포함된 음악, 음성이 플레이되면서 실행조건에 맞게 실행되는지 검증하는 검증과정(S140);
    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 자체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 폰은,
    음악, 동영상, 오디오를 선정하기 전 기 설정된 특정 시점(시간)때의 피트니 움직임, 심박수, 협압, 혈당을 체크하여 피트니스 움직임과 심박수, 협압, 혈당과 유사한 목표 설정값이 설정된 음악, 동영상,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피트니스 또는 명상 시 사용자에게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에 최적화된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를 서용자에게 큐레이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조건삽입과정(S130)은,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에 항목, 항목값에 실행조건을 설정하고, 스마트기기(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가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을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인식 앱 또는 카메라로 인식하면, 바코드, QR코드, RFID, 사진에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실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조건삽입과정(S130)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제공자가 스마트단말(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를 신체에 착용 및 홀딩 한 상태에서 피트니스를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단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과정(S200)은,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피트니스 동영상을 플레이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S210)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단말에 저장된 것을 피트니스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메모리로부터 피트니스 동영상을 독출하여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과정(S220-1)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에 의해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온라인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과정(S220-2)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목표 칼로리, 목표 걸음 수, 목표 거리, 심박수, 혈압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S230)과;
    스마트단말에서 측정한 항목을 플레이되는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항목이 동영상의 항목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하는 과정(S240)과;
    피트니스 동영상에 포함된 데이터와 스마트단말에서 설정한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항목을 선택하였는지 스마트단말에 표시하는 과정(S2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가 되고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비교하기 전에 플레이 된후 일정 시점 부터 피트니스 및 바이오테이터를 기록하며,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면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계속 플레이 되고, 항목값에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정해진 구간을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면 계속 플레이하며, 리플레이되는 구간에서 목표값을 도달하지 못하면 목표값을 도달할 때 까지 리플레이하여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지도에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구간을 설정하고, 그 구간의 예상 거리, 예상 시간, 예상 칼로리, 예상 심박수, 혈압을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며, 지도를 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시작하면, 지도에 기 설정된 구간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현재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도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에서 비교값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비교과정(S300)은,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준 신체 사이즈 설정 또는 자신의 실제 건강 데이터 설정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표준 건강 데이터와의 비교하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기기는 신발에 설치된 측정장치와 무선(블루투스)으로 연결되어 심호흡, 수분량, 수면 시간, 몸의 자세, 보행 상태, 체중, 족저압, 무게 중심, 제중 이동 중심을 항목값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시청 또는 청취 및 피트니스 시에 자신의 심호흡, 수분량, 수면 시간, 몸의 자세, 보행 상태, 체중, 족저압, 무게 중심, 체중 이동 상태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는,
    학습내용이 기저장되고, 학습내용이 저장된 상태에서 플레이되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하면서 피트니스 할 시에 피트니스 중에 학습내용을 질문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답을 하여 정답을 맞추지 못하면 맞추지 못한 구간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리플레이도어 피트니스 시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항목, 항목값의 실행조건은,
    기 설정된 사진을 기준 사진으로 설정되고, 새롭게 사진을 찍은 시점에 발생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사진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하여 피트니스 또는 바이오 상태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설정된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AI가 임의로 동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기준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실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랑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알람 진동 및 알람 소리에 설정하고,
    소정 시간에 알람이 울릴 때 사용자가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재대로 수행하였는지를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에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기 설정하고, 상대방과 통화가 시작되면 상대방의 피트니스 데이터 및 상대방의 심박수, 혈압을 포함하는 신체 바이오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고 또는 AI가 분석하여 통화가 종료시 최적의 상대방(이성)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데이팅 분야에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사용자가 피트니스, 바이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가속도, 각속도에서 발생하는 XY, XYZ 좌표를 이용한 동작 비교 데이터를 항목, 항목값에 미리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가 시작되어 사용자가 피트니스를 시작하면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에 미리 설정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함꼐 동작 비교 데이터를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동작 비교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작의 정확도 뿐만 아니라 동작의 회수, 동작의 물리량을 동시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되는 소정 구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고, 소정 구간에서 플에되는 하나의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로 간주하며, 소정 구간의 시간에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기 설정하고, 서정 시간이 흐르는 중 혹은 종료 중의 자신의 실제 피트니 및 바이오 데이터와 하루, 일주일, 한달, 일년 또는 전체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은,
    항목, 항목갑, 실행조건에 이동 평균선을 기 설정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될 때 실제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과 비교하여 알려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는,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어가 플레이될 때 동시에 카메라를 통해 피트니스하는 사용자를 동영상 촬영하고,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동시에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며, 기존에 촬용된 동영상과 비교하여 실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피트니스가 실제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또는 오디오가 플레이되고 앞부분은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항목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시점이 지난 후에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가 설정되어 항목값이 설정된 지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항목, 항목값은,
    자동차의 네비게이션(동영상, 오디오, 지도)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목적지까지의 거리, 시간, 속도, 제한 속도, 연비를 항목에 항목값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항목값에 실행조건에 맞게 운전자가 운전을 하였는지를 목적지에 도달하였을때 비교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에는,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을 설정하지 않거나 또는 항목만 설정하는 경우, 항목과 실행조건만 설정하는 경우 동영상, 오디오, 음악, 지도이 플레이되는 도중 혹은 종료 후에 동영상, 음악, 오디오, 지도의 항목, 항목값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는 비교하지 않고 실제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에서 발생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만을 플레이 중간 또는 종료 후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음악, 오디오 또는 지도에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을 설정하고, 음악이 플레이되는 중간 또는 종료 후에 실제 스마트기기를 착용 또는 홀딩하고 있는 사용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의 이동평균선을 상호 비교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음악, 오디오 또는 지도에 설정된 이동평균선과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고,
    상기 이동평균선은 칼로리, 심박수, 혈압에 다양한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항목값, 실행조건은,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프리카 TV를 포함하는 온라인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제공자가 스마트단말(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를 신체에 착용 및 홀딩 한 상태에서 피트니스를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에 스마트단말의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KR1020200091470A 2019-09-10 2020-07-23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KR102282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831 2019-09-10
KR20190111831 201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55A KR20210030855A (ko) 2021-03-18
KR102282092B1 true KR102282092B1 (ko) 2021-08-03

Family

ID=7523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470A KR102282092B1 (ko) 2019-09-10 2020-07-23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78B1 (ko) 2019-11-01 2021-08-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 기반 인공지능 피트니스 보조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72381A1 (en) * 2020-09-04 2022-03-10 Rajiv Treha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users to perform activities
KR102454758B1 (ko) * 2021-06-01 2022-10-13 박신기 운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EP4336512A1 (en) * 2021-10-15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to user
CN117786233B (zh) * 2024-02-26 2024-05-24 山东正禾大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教育课堂智能推荐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347B1 (ko) * 2015-04-08 2016-01-04 (주)프로차일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98391B1 (ko) * 2015-10-13 2017-02-03 이재석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678A (ko) * 2012-07-06 2014-0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피드백을 이용한 맞춤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140060164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80043866A (ko) * 2016-10-20 2018-05-02 네이버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KR101952692B1 (ko) 2017-03-02 2019-02-28 김민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347B1 (ko) * 2015-04-08 2016-01-04 (주)프로차일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98391B1 (ko) * 2015-10-13 2017-02-03 이재석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55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092B1 (ko)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US11490864B2 (en) Personalized avatar responsive to user physical state and context
US10390769B2 (en) Personalized avatar responsive to user physical state and context
US11675830B2 (en) Generating custom audio content for an exercise session
US11990233B2 (en) Personalized avatar responsive to user physical state and context
Cummiskey There’s an app for that smartphone use in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Kranz et al. The mobile fitness coach: Towards individualized skill assessment using personalized mobile devices
US9886871B1 (en) Fitness and wellness system with dynamically adjusting guidance
JP2018051334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トの自動休止を有する運動競技の監視システム
O'Reilly et al. A wearable sensor-based exercise biofeedback system: Mixed methods evaluation of formulift
Kettunen et al. Can digital coaching boost your performance?: A qualitative study among physically active people
Boulos et al. Mobile physical activity planning and tracking: a brief overview of current options and desiderata for future solutions
Solntsev Application of innovative digital products in sports industry
Olofsson Wellness applications: Design guidelines to encourage physical activity
Nilsen Multi-user application for recording physical activity on exercise bicycl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illier Digital Self-Development: How Mobile Fitness Apps and Tracking Devices Aid i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Skills
Wiberg Sports IT and Digital Wellness: Three Wave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Sports and Training
KR20240042990A (ko) 인공지능을 통한 맞춤형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illoni Persuasive Mobile Systems Design to Help People be Physically Active
Kajaste Comparative evaluation of instruction methods for mobile fitness assessment applications
Al Mouaqet et al. Idea generation in the fuzzy front-end of small entrepreneurial projects
Kornega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ultimedia Intensive Web-Based Exercise Motivation Tool
Dalleck 5 Ways Technology Can Help Your Clients Be More Physically A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