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866A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866A
KR20180043866A KR1020160136193A KR20160136193A KR20180043866A KR 20180043866 A KR20180043866 A KR 20180043866A KR 1020160136193 A KR1020160136193 A KR 1020160136193A KR 20160136193 A KR20160136193 A KR 20160136193A KR 20180043866 A KR20180043866 A KR 20180043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earable device
image
providing
imag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채원
남수지
박기석
주영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866A/ko
Publication of KR2018004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전자 기기에서의 컨텐츠 소비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TO CONSUME CONTENT USING WEARABLE DEVICE}
아래의 설명은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통신망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통신망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 아이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중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가 동영상 제공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활용이 늘어나고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기술까지 발전하면서 모바일 환경에서도 동영상 제공 모델의 활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827198호(등록일 2008년 04월 25일)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링크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서의 컨텐츠 소비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소비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요청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화면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UI(user interface)가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 소비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UI가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내장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움직임 정보와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움직임 정보와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데이터와 매칭한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해 사전에 정해진 문턱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에 상기 센싱 데이터가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구간의 영상이 끝나고 다음 구간의 영상이 재생되기 이전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의 피드백 정보를 종합한 컨텐츠 소비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소비 결과를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 데이터로 축적하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서비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소비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정보 제공 모델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순히 보기만 하는 영상 컨텐츠를 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소비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 연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소비되는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고 컨텐츠 소비 패턴에 대한 축적의 용이성이나 활용 등 여러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150)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영상 컨텐츠를 저장 및 유지하는 컨텐츠 DB와 각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모든 관련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관련 정보 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150)는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전자 기기 1(110)로 제공하거나 혹은 영상 컨텐츠에 대해 전자 기기 1(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스트리밍 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디바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광학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사용자는 전자 기기(110)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컨텐츠는 서버(150)의 서비스 플랫폼 상에 등록된 컨텐츠이거나, 혹은 전자 기기(110)의 로컬 공간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2.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영상 컨텐츠(이하, 'WD 연동 컨텐츠'라 칭함)에 접근한 경우 전자 기기(110)가 전자 기기(110) 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네트워크(170)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 환경을 수립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전자 기기(110)를 통해 WD 연동 컨텐츠를 소비하는 동일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전자 기기(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 환경에서 WD 연동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WD 연동 컨텐츠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유도하거나 모니터링이 필요한 컨텐츠를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 등 사용자 동작을 유도하는 컨텐츠를 포함하거나, 다른 예로 이러닝(e-learning) 영상 등 개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드라마, 영화, 게임, 음악 등 사용자 반응과 관련된 정보 축적을 필요로 하는 모든 컨텐츠의 적용이 가능하다.
3.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전자 기기(110)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 내장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한 센싱 데이터를 전자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센싱 데이터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으로서 트래킹(tracking) 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서 측정된 움직임 정보(예컨대, 움직임 거리, 속도, 크기, 방향 등), 생체 정보(예컨대, 심박수, 체온, 혈압, 뇌파, 호흡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전자 기기(110)는 WD 연동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한 센싱 데이터를 트래킹할 수 있으며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는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컨텐츠 재생 시간 동안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종합하여 컨텐츠 소비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결과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타인과 공유할 수 있으며,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WD 연동 컨텐츠를 제공한 서버(150)나 서버(150)와 관련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로 축적되거나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서비스(검색이나 추천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전자 기기(110)를 통해 소비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이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사용자 반응을 트래킹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 반응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 소비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1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컨텐츠 소비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시스템은 전자 기기(11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로컬 환경 또는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 소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110)에 구현된 컨텐츠 소비 시스템은 컨텐츠 소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컨텐츠 소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부(410), 컨텐츠 재생부(420), 수신부(430), 및 피드백 제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5의 컨텐츠 소비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510 내지 S55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전자 기기(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가 동영상과 같은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11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1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컨텐츠 재생부(42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510)에서 프로세서(212)는 전자 기기(11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1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520 내지 S54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20)에서 연동부(41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도록 전자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연동부(410)는 사용자가 소비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이 요구되는 영상 컨텐츠, 즉 WD 연동 컨텐츠인 경우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결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10)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서버(150)의 서비스 플랫폼 상에 등록된 컨텐츠이거나, 혹은 전자 기기(110)의 로컬 공간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연동부(410)는 사용자가 컨텐츠 목록에서 WD 연동 컨텐츠를 선택하고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 재생에 앞서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화면(6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서비스 화면(600)에서는 영상 컨텐츠를 목록화 한 컨텐츠 목록(610)을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목록(610)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 중 WD 연동 컨텐츠(601)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WD 연동 컨텐츠(6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이 가능한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통해 컨텐츠 목록(610)에서 WD 연동 컨텐츠(601)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화면(600)에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요소(예컨대, 아이콘 등)를 이용하여 WD 연동 컨텐츠(601)를 표시하거나, 별도의 목록으로 구성하여 WD 연동 컨텐츠(601)를 표시하거나, 컨텐츠 목록(610)의 상단에 WD 연동 컨텐츠(601)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컨텐츠 목록(610)에서 WD 연동 컨텐츠(601)를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6의 서비스 화면(600)에 표시된 컨텐츠 목록(610)에서 WD 연동 컨텐츠(601)를 선택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대기 화면(700)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재생 대기 화면(700)에서는 컨텐츠 재생 UI(user interface) 중 하나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재생하기 위한 'WD 연동' 메뉴(72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연동부(410)는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에 대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요청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선택한 WD 연동 컨텐츠에 대해 'WD 연동' 메뉴(720)를 입력하는 경우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도 5에서, 단계(S530)에서 컨텐츠 재생부(42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 환경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WD 연동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전자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전자 기기(11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기기(110)와의 연결 과정에 따른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연결 요청 상태를 표시하고(S81) 전자 기기(110)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연결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S82).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전자 기기(110)와의 연결 과정 중 상태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진동이나 소리 등을 이용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전자 기기(110)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진동을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전자 기기(110)와의 연결 과정 중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의 진동을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전자 기기(110)와 연결되면 전자 기기(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WD 연동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의 화면 상에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함께 플레이어 UI를 표시할 수 있다(S9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20) 상의 플레이어 UI를 통해 전자 기기(110)에서 재생 중인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 중지나 종료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전자 기기(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의 연동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한 요청에 대응하여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이 중지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재생이 중지된 컨텐츠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플레이어 UI를 구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2).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WD 연동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의 화면 상에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를 표시하다가(S101) 이후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해당 화면 상에 컨텐츠 종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S102).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종료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진동이나 소리 등을 이용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에서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진동을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예시적인 것일 뿐, 전자 기기(110)와의 연동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나 정보 표출 형태 등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지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5에서, 단계(S540)에서 수신부(430)는 WD 연동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 내장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전자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센싱 데이터는 WD 연동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으로서 사용자가 WD 연동 컨텐츠를 소비하는 동안 사용자 데이터로서 트래킹 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서 측정된 움직임 정보(예컨대, 움직임 거리, 속도, 크기, 방향 등), 생체 정보(예컨대, 심박수, 체온, 혈압, 뇌파, 호흡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D 연동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하고자 하는 센싱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인 경우 움직임 크기와 방향, 심박수를 트래킹 하고 이러닝 영상인 경우 심박수와 뇌파를 트래킹 할 수 있다.
단계(S550)에서 피드백 제공부(440)는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WD 연동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의 경우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동작 매칭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닝 영상의 경우 사용자의 집중도나 학습 태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D 연동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 제작 과정이나 사전 작업을 통해 영상 속 동작 정보를 해당 장면과 연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동작 정보는 해당 동작에 대한 설명과 정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의 경우 전문 트레이너나 안무가가 영상 속 동작을 행할 때 해당 동작으로부터 센싱된 값들을 정답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이를 기반으로 정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시 말해, 사전 작업을 통해 영상에서 나타나는 동작에 대한 정답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해당 장면의 동작 정보로서 미리 생성해 놓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WD 연동 컨텐츠에 포함된 음원의 박자나 비트 등을 동작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피드백 제공부(4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WD 연동 컨텐츠에 포함된 동작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440)는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WD 연동 컨텐츠의 정답 데이터와 매칭해서 영상 속 동작을 잘 따라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영상 속 동작에 대한 반복 횟수를 카운트 하는 것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드백 제공부(440)는 이러닝 영상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패턴을 찾아 미리 설정된 문턱 값과 비교하여 졸음, 학습, 주의산만, 자리이탈 등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과 같은 WD 연동 컨텐츠를 예로 하여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컨텐츠 재생 화면(11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 기기(110)는 재생 중인 영상 컨텐츠가 WD 연동 컨텐츠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연동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에 따른 피드백 정보(1130)를 컨텐츠 재생 화면(11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정보(1130)는 자막과 같은 별도의 레이어(layer)로 구성한 후 컨텐츠 재생 화면(1100) 상에 오버레이(overlay)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화면(1100)에는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에 맞춰 WD 연동 컨텐츠의 동작 정보에 포함된 동작 설명과 함께, 피드백 정보(1130)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현재 심박수와 소모 칼로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심박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를 표기할 수 있고, 소모 칼로리는 현재까지 소모된 칼로리 총량을 표기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제공부(4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사용자 동작을 트래킹 하여 WD 연동 컨텐츠에 사전에 정해진 목표 대비 일정 운동량이나 소모 칼로리 등에 도달했을 때 컨텐츠 재생 화면(1100)에 목표 도달에 따른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440)는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컨텐츠 소비 결과를 종합하여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피드백 제공부(4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WD 연동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가 활동한 총 활동 시간(1201), 총 소모 칼로리(1202), 평균 심박수(1203), 동작 반복 횟수(1204) 등을 컨텐츠 소비 결과 화면(1200)에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결과 화면(1200)에는 컨텐츠 소비 결과를 메신저와 각종 SNS, 메일, 메시지 등을 통해 타인과 공유하거나, 혹은 전용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저장소나 다른 서비스 등에 저장 또는 전달하기 위한 전송 메뉴(12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제공부(4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제공부(440)는 WD 연동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의 심박수를 트래킹 하여 심박수가 가장 높았던 장면 혹은 문턱 값 이상의 심박수를 보이는 장면 등을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안무 영상의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제공부(440)는 컨텐츠 재생 화면(1300)에 영상에 맞춰 안무 동작의 설명과 함께, 피드백 정보(1330)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현재 심박수와 소모 칼로리, 그리고 안무 동작에 대한 측정 점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피드백 제공부(440)는 안무 동작에 대해 사전 작업을 통해 생성한 정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무 움직임으로 싱크로를 맞춤으로써 사용자의 안무 동작에 따른 점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드백 제공부(44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음원의 박자와 사용자의 안무 타이밍을 맞추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안무 동작에 따른 점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제공부(440)는 컨텐츠 재생 화면(1300)의 소정 위치에 음원 박자에 대한 정보(1350)를 표시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사용자의 움직임과 음원의 박자 싱크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리듬 게임과 같은 형태로 점수를 측정할 수 있다.
안무 영상도 마찬가지로, 피드백 제공부(440)는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컨텐츠 소비 결과를 종합하여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WD 연동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가 활동한 총 활동 시간(1401), 총 소모 칼로리(1402), 평균 심박수(1403), 총 동작 점수(1404) 등을 컨텐츠 소비 결과 화면(1400)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가 중복 플레이 된 경우 총 동작 점수(1404)에 대해 이전 점수대비 오름/내림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피드백 제공부(4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의 센싱 데이터를 트래킹 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 WD 연동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부가 컨텐츠는 동영상, 오디오, 자막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홈 트레이닝 영상이나 안무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동작을 따라 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문턱 값 이상의 심박수를 보이는 경우 등에 대비하여 응원 메시지나 영상, 혹은 해당 동작이나 휴식 등을 유도하는 부가 영상 등을 미리 준비해 놓은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거나 싱크가 맞지 않은 상황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사용자의 심박수가 너무 높거나 하는 경우 해당 영상을 부가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재생 화면(1500)에 홈 트레이닝 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사용자가 영상 속 동작을 따라 하지 못하면 메인 영상인 홈 트레이닝 영상을 멈추고 해당 동작을 유도하는 부가 영상(1500-1)으로 화면 전환될 수 있다. 영상 속 동작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너무 높은 경우 홈 트레이닝 영상을 멈추고 '잠깐 쉬었다가 할까요?'와 같은 멘트를 포함한 휴식 영상을 부가 영상(1500-1)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닝 영상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집중도가 떨어지거나 필요 이상으로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영상이나 미션 등을 사전 준비해 놓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졸거나 자리를 이탈하면 부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4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해 트래킹 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이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에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는데, WD 연동 컨텐츠의 재생 중에 부가 컨텐츠가 갑자기 노출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어색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 컨텐츠의 보다 자연스러운 노출을 위해 정해진 시점에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는, WD 연동 컨텐츠의 영상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구간의 영상이 끝나고 다음 구간의 영상이 재생되기 이전에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속 동작이 여러 세트로 구분되는 경우 한 세트가 끝나고 다음 세트로 넘어가는 시점에 이전 세트에 대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소비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정보 제공 모델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순히 보기만 하는 영상 컨텐츠를 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서의 컨텐츠 소비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요청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화면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UI(user interface)가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 소비 방법은,
    상기 컨텐츠 재생 UI가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내장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움직임 정보와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움직임 정보와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데이터와 매칭한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해 사전에 정해진 문턱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에 상기 센싱 데이터가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구간의 영상이 끝나고 다음 구간의 영상이 재생되기 이전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의 피드백 정보를 종합한 컨텐츠 소비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소비 결과를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 데이터로 축적하거나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서비스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방법.
  13. 컨텐츠 소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컴퓨터로 구현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환경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연계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화면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UI(user interface)가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 소비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재생 UI가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움직임 정보와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데이터와 매칭한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해 사전에 정해진 문턱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에 상기 센싱 데이터가 사전에 정해진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상기 설정 조건에 부합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구간의 영상이 끝나고 다음 구간의 영상이 재생되기 이전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소비 시스템.
KR1020160136193A 2016-10-20 2016-10-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3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93A KR20180043866A (ko) 2016-10-20 2016-10-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93A KR20180043866A (ko) 2016-10-20 2016-10-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866A true KR20180043866A (ko) 2018-05-02

Family

ID=6218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193A KR20180043866A (ko) 2016-10-20 2016-10-2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8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15A (ko) * 2019-03-26 2020-10-07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뇌파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학습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0242018A1 (ko) * 2019-05-31 2020-1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10030855A (ko) * 2019-09-10 2021-03-18 장은주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WO2022005004A1 (ko) * 2020-06-30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모니터링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15A (ko) * 2019-03-26 2020-10-07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뇌파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학습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0242018A1 (ko) * 2019-05-31 2020-1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10030855A (ko) * 2019-09-10 2021-03-18 장은주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WO2022005004A1 (ko) * 2020-06-30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모니터링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564B (zh) 用于通过在游戏云系统上执行的视频记录访问先前所存储游戏情节的方法和系统
US202001977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gging content of shared cloud executed mini-games and tag sharing controls
US10812936B2 (en) Localization determination for mixed reality systems
CN107096221B (zh) 用于提供时移智能同步游戏视频的系统和方法
JP6684883B2 (ja) カメラエフェクト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143924B2 (en) Enhancing user experience by presenting past application usage
US92333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hadow play for video games based on prior user plays
CN102441276B (zh) 使用便携式游戏装置来记录或修改在主游戏系统上实时运行的游戏或应用
TWI564062B (zh) 第二使用者對第一使用者之遊戲玩法的遠端控制
US11724204B2 (en) In-game location based game play companion application
RU2698158C1 (ru) Цифровая мультимедий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видеообъектов в представленные в игровой форме мультимедийные объекты
CN109314802B (zh) 基于游戏内位置的游戏进行伴随应用
KR2018004386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소비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74367A1 (en) Stream producer filter video compositing
US20230051703A1 (en) Gesture-Based Skill Search
KR20170105069A (ko) 가상 캐릭터의 터닝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
EP4122566A1 (en) Movement-based navigation
KR20210083578A (ko)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4124365A1 (en) Sharing movement data
KR20210105558A (ko)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 반응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53021A (ko) 비디오 게임 오버레이
US20240050857A1 (en) Use of ai to monitor user controller inputs and estimate effectiveness of input sequences with recommendations to increase skill set
KR102433903B1 (ko) 사용자 맞춤형 미디어 콘텐츠 표시 방법
US11934642B2 (en) Recommenda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user activity duration
US20220355211A1 (en) Controller action recognition from video frames using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