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22B1 -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22B1
KR102434122B1 KR1020200120096A KR20200120096A KR102434122B1 KR 102434122 B1 KR102434122 B1 KR 102434122B1 KR 1020200120096 A KR1020200120096 A KR 1020200120096A KR 20200120096 A KR20200120096 A KR 20200120096A KR 102434122 B1 KR102434122 B1 KR 10243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exercise
image
imag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555A (ko
Inventor
최윤정
정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래닛35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래닛35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래닛350
Priority to KR102020012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브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USTOMIZED EXERCISE VIDEO}
본 발명은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불편한 시니어들, 경도 인지장애 또는 치매환자들은, 외부 운동 시설(예를 들어, 헬스장, 피트니스 센터 등)로 이동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최근 사회적인 이슈로서, 미세먼지, 바이러스, 전염병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외 활동이나, 타인과 접촉해야 하는 체육활동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이슈로 인하여 개개인들은 전문 트레이너와 직접 대면하며 운동하는 방식에 심리적인 부담을 점차적으로 느끼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기기 및 스마트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개인들이 직접 외부 운동 시설에 가지 않더라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전자기기(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제약없이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홈 트레이닝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출시된 서비스들은, 개개인마다의 건강 상태나 체력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이고 획일화된 방식으로 제공된 운동 영상 제공함으로써,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과도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고려하여, 맞춤형 운동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운동 진행 정도에 따라 상이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루하지 않게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올바른 순서에 맞게 진행하게 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에게 무리가 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브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은,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브 영상을 추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고려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서브 영상들을 포함한 메인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체력 수준에 맞는 서브 영상들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문 트레이너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신체 능력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퍼스널 트레이닝(PT)을 제공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다른 운동 테마에 각각 해당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하나의 메인 영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메인 영상에서 서로 다른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다른 운동 테마 마다 다양한 서브 영상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추출 및 조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운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미리 촬영된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운동 영상을 매번 촬영할 필요 없이, 다양한 조합들로 복수의 메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메인 영상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서비스 사용자 측면에서는, 다양한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 기준 정보 및 분류 항목(item)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운동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서브 영상이 서로 다른 코드로 분류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영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단수뿐만 아니라 복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서브 영상 DB로부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여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개개인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 기준 정보 및 분류 항목(item)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운동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서브 영상이 서로 다른 코드로 분류되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영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의 개념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설명에 따른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은 전자기기(2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스마트TV, 스마트 미러(smart mirror),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은, 전자기기(20)상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을 통해 다운로드 되거나, 전자기기(20) 상에 초기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는 전자기기의 구성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의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는, 전자기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을 활용하여,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을 위한 일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전자기기(20)의 통신부에 구비된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200,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서버(210, 또는 외부 저장소) 또는 클라우드 서버(220) 등)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20)는 전자기기(20)에 구비된(또는 삽입된) 메모리 또는 외부 서버(200, 데이터베이스 서버(210, 또는 외부 저장소) 또는 클라우드 서버(220) 등)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면 충분하며,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제약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저장부라 함은, 저장부(120), 데이터베이스 서버(210) 및 클라우드 서버(220,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명확한 구분을 하지 않기로 한다.
맞춤형 운동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먼저, 저장부(120)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10)란, 전자기기(20)의 사용자로서, 상기 전자기기(20)를 통해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받아 운동하는 당사자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는, '운용자', '이용자', '유저'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10)는, 외부 운동 시설(예를 들어, 헬스장, 피트니스 센터 등)이 아닌 집과 같은 개인 공간에서 운동하는 사람들을 칭하는 '홈트족'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시니어들, 경도 인지장애 또는 치매환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고, 전자기기(20)를 통해 진단된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해당하는 운동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10)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을 통해, 사용자 자신의 체력 등급에 맞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영상을 시청하며 운동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이름, ID, 생년월일,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운동기구(운동도구), 과거병력(수술 혹은 불편한 곳), 운동을 통해 강화하고 싶은 부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한 것들 외에 다른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정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정보(60)에 대한 예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60)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20)를 통해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60)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60)의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1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보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 계정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60)는 각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6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력 정보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력 정보는 사용자의 체력테스트 결과, 사용자의 나이, 키, 몸무게, 과거병력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의 체력 정보는, 사용자(10)로부터 전자기기(20)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등급으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등급은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등급마다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가 상이하게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사용자의 체력 등급(사용자 체력 등급)’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체력 등급(사용자 체력 등급)은 사용자의 신체 등급, 또는 신체 능력 또는 운동 능력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체력 정보는, 체력 테스트 과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20)를 통해 사용자가 체력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20) 상에서 진행되는 체력 테스트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자기기(20)에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 영상이 출력되도록 전자기기(2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전자기기(20)를 통해 상기 테스트 영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영상, 적어도 하나의 운동 영상,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응답 데이터 등 맞춤형 운동영상을 제공하기위한 다양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응답 데이터, 결정된 사용자의 체력 등급, 결정된 체력 등급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의 계정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은 저장부(120)와 별도로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저장소 역시 “데이터베이스”라고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에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이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는 복수의 영상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서버(210, 또는 외부 저장소)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서브 영상”과 “메인 영상”으로 영상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상들로 구성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영상에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 영상의 재생 시간은, 메인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의 재생 시간을 합친 것과 같거나, 더 길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소정의 재생 길이를 갖는 영상으로서, 각각의 서브 영상마다 재생 시간의 길이는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편의상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은, 영상 클립 또는 비디오 클립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영상 각각은, 운동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영상 마다 서로 다른 운동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 내용에 따라, 서브 영상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영상은, i)운동 테마(또는 운동 주제, 예를 들어, 근력 운동, 밸런스 운동 등), ii)운동 동작의 자극 부위, iii)운동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도구, iv)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위치, v)설명되는 운동의 기본 자세(예를 들어, 앉아서, 서서, 누워서 등), vi)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시기, vii)사용자의 체력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시기”는,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한 시점 또는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한 횟수와 같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몇일이 경과되었는지 또는 사용자가 메인 운동 영상을 시청한 횟수가 몇 번인지에 따라 기산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임의의 서브 영상이,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20일 이하인 경우에는 ‘1~20DAY’로 분류하고, 20일 초과인 경우에는 ‘21~50DAY’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분류 기준들에 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다양한 분류 기준 중 i)운동 테마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운동 테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동 테마는,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의 내용(예를 들어, 운동의 종류, 속성 등)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동 테마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준비 운동 테마, 근력 운동 테마, 평형성 운동 테마, 유산소운동 테마, 회복운동 테마, 마무리 운동 테마 및 체력테스트 테마 또는 상기에 나열된 테마들 중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는 해당사항 없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테마(예를 들어, 제1 운동 테마: 준비 운동 테마, 제2 운동 테마: 근력 운동 테마, 제3 운동 테마: 유산소 운동 테마)를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테마를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제1 운동 테마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제2 운동 테마에 대한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제 1 운동 테마가 준비운동인 경우, 제1 운동 테마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준비 운동 테마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제3 서브 영상(812a)이 준비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영상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 서브 영상(812a)은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하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제2 운동 테마가 회복운동인 경우, 제2 운동 테마에 매칭되는 제2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회복 운동 테마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제11 서브 영상(821b)이 회복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영상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1 서브 영상(821b)은 제2 영상 그룹 내에 속하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브영상들이 다양한 분류기준들을 이용하여 그룹핑되는 구성을 모두 도시하지 않고, 대표적으로 운동테마 기준에 한해서만 도2a에 도시하였으나, 그룹핑되는 방식은 운동테마 기준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분류 기준들에 대해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분류 기준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류 기준 중 ii)운동 동작의 자극 부위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자극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극 부위는,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의 내용(예를 들어, 운동의 종류, 속성 등)에 의해 자극이 되는 신체 부위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 부위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이 자극이 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상체 자극, 몸통 자극, 하체 자극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자극 부위(예를 들어, 제1 자극 부위: 상체 자극, 제2 자극 부위: 몸통 자극, 제3 자극 부위: 하체 자극)를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자극 부위를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상체 자극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몸통 자극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3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하체 자극에 대한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자극 부위가 상체 자극인 경우, 제1 자극 부위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상체 자극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류 기준 중 iii)필요한 운동 도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필요한 운동도구(운동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요한 운동 도구는,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도구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한 운동 도구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이 필요로 하는 운동 도구에 따라, 수건, 의자, 덤벨, 쿠션, 짐볼, 밴드, 벽 및 해당 없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필요한 운동 도구(예를 들어, 제1 운동도구: 짐볼, 제2 운동도구: 수건, 제3 운동도구: 벽)를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필요한 운동 도구를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짐볼이 필요한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수건이 필요한 것이 될 수 있고, 제3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쿠션이 필요한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운동도구가 짐볼인 경우, 제1 운동도구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짐볼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류 기준 중 iv)운동하는 위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운동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동하는 위치는,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위치(운동하는 위치)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동하는 위치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장소(운동하는 위치)에 따라, ‘의자에’, ‘바닥에’ 및 ‘짐볼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하는 위치(예를 들어, 제1 위치: 의자에, 제2 위치: 바닥에, 제3 위치: 짐볼에)를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의자에서 운동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바닥에서 운동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이 될 수 있고, 제3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짐볼에서 운동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위치가 ‘의자에’인 경우, 제1 위치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의자에서 할 수 있는 운동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류 기준 중 v)운동 기본 자세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운동 기본 자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동 기본 자세는,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의 기본 자세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동 기본 자세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이 설명하는 자세에 따라, 앉아서 운동하는 자세, 서서 운동하는 자세, 누워서 운동하는 자세, 무릎 꿇고 운동하는 자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기본 자세(예를 들어, 제1 기본 자세: 앉아서, 제2 기본 자세: 서서, 제3 기본 자세: 누워서, 제4 기본 자세: 무릎 꿇고)를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기본 자세를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앉아서 운동하는 자세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서서 운동하는 자세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3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누워서 운동하는 자세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4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무릎 꿇고 운동하는 자세에 대한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본 자세가 서서 운동하는 자세인 경우, 제1 기본 자세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서 운동하는 자세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류 기준 중 vi)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시기(운동 진행 정도)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한 시기 또는 회차(또는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운동 진행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시기는,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한 시기 또는 회차(또는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을 진행한 시기(운동 진행 정도)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언제 제공하는지에 따라, 1~20일 또는 21~50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진행정도(예를 들어, 제1 진행정도: 1~20DAY 및 제2 진행정도: 21~50DAY를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진행정도를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운동 진행 정도가 1일에서 20일 사이인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운동 진행 정도가 21일에서 50일 사이인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진행정도가 1~20DAY인 경우, 제1 진행정도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운동 진행 정도가 1일에서 20일 사이인 것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류 기준 중 vii)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대하여 살펴본다.
서브 영상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체력 등급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체력등급은,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의 난이도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체력 등급은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의 난이도에 따라, 초급 운동, 중급 운동, 고급 운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체력 등급(예를 들어, 제1 체력 등급: 초급 운동, 제2 체력 등급: 중급 운동, 제3 체력 등급: 고급 운동)을 기준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서브 영상들은, 서로 다른 운동 체력 등급을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제1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초급 운동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2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중급 운동에 대한 것이 될 수 있고, 제3 영상 그룹에 포함된 서브 영상들은, 고급 운동에 대한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체력 등급이 초급 운동인 경우, 제1 체력 등급에 매칭되는 제1 영상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초급 운동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서브 영상 각각은, 앞서 살펴본 다양한 분류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에 따른 분류 기준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서브 영상과 분류 기준 정보가 매칭된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다양한 분류 기준들은, 각각 복수의 분류 항목(ite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류 항목들은, 각각의 분류 기준에 따라 서브 영상의 특성을 분류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류 기준 정보 및 분류 항목(item)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기준에는, 복수의 분류 항목들이 포함되며, 복수의 분류 항목들 각각은, i)준비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ii)근력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iii)평형성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iv)유산소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v)회복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vi)마무리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및 vii)체력 테스트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또는 iix)상기에 나열된 테마들 중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는 해당사항 없음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서브 영상들 각각은, 위에서 살펴본 다양한 분류 기준들 마다 어느 하나의 분류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서브 영상들 각각은, i)어느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영상인지, ii)어떤 운동 기구가 필요한 영상인지, iii)어떤 자세로 운동하는 영상인지와 같이, 서로 다른 분류 기준 마다 각각 분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서브 영상 각각이 포함하고 있는 운동의 내용에 따라, 서브 영상을 서로 다른 관점(또는 서로 다른 분류 기준)에 대해 각각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영상들 각각에 대해서는, 복수의 분류 기준 마다 어느 분류 항목으로 분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분류 기준 각각에서 어느 분류 항목으로 분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분류 기준 정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류 기준 정보는, 코드 형태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코드 형태의 분류 기준 정보를 “코드(운동코드)”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이러한 코드는 경우에 따라, 일련 번호, 일련 정보 또는 식별 정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코드는,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 텍스트(예를 들어, 개별 문자(알파벳), 개별 숫자 또는 개별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드의 각 자릿수마다, 서로 다른 분류 기준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를, 4자리의 단위 텍스트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한다. 4자리의 코드는, abcd, bsse, 32sa 등과 같이, 4개의 단위 텍스트로 이루어진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자리의 코드에서, 첫번째 자리는 다양한 분류 기준 중 “운동 테마”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예를 들어, a, b, 3)는 서브 영상이 어느 운동 테마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4자리의 코드에서, 두번째 자리는 다양한 분류 기준 중 “운동 동작의 자극 부위”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두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예를 들어, b, s, 2)는 서브 영상이 어느 부위에 자극을 주기 위한 운동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코드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4 및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코드의 n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들을 “코드n”이라고 표현하기로 한다(n은 1이상의 양의 정수). 예를 들어, 코드1은 코드의 첫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들을 의미하고, 코드2는 코드의 두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들을 의미한다. 한편, 코드3,4는 코드의 세번째 자리와 코드의 네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n은 알파벳 또는 숫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코드 n은 특수문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코드를 구성하는 단위 텍스트 각각은 앞서 살펴본 분류 항목에 대응된다고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즉, n번째에 어느 단위 텍스트가 오는지에 따라, 서브 영상이 n번째에 해당하는 분류 기준 중 어느 항목에 대한 운동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1이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기준에 대응되는 경우, 코드1에 배치되는 단위 텍스트 각각은 운동 테마에 대한 분류 항목(예를 들어, i)준비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ii)근력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iii)평형성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iv)유산소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v)회복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vi)마무리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및 vii)체력 테스트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또는 iix)상기에 나열된 테마들 중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는 해당사항 없음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n번째 자릿수에 배치되는 단위 텍스트 각각에는 n번째 자릿수에 대응되는 분류 기준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매칭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드의 자릿수와 해당 자릿수에서의 단위 텍스트의 내용에 따라, 서브 영상의 분류 기준 및 분류 항목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코드만으로도, 해당 서브 영상이 어떠한 운동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8자리 코드의 각 자릿수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각 자릿수 마다 매칭되는 분류 기준 및 각 자릿수에 배치되는 단위 텍스트의 종류, 그리고 각 단위 텍스트에 매칭된 분류 항목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표를 “코드표”라고도 명명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이러한 코드표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코드표에 근거하여, 각 자릿수마다 매칭되는 분류 기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은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매칭 예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의 각 자릿수마다 서로 다른 분류 기준(예를 들어, 운동 테마, 자극 부위, 필요한 운동도구 등)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1은 다양한 분류기준 중 “운동 테마”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1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이 어느 운동 테마에 대한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에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은 알파벳 S, B, A, W, C, R, T, X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1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1의 경우, 알파벳: S, B, A, W, C, R, T, X)가 각각 어떤 운동테마 정보를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1이 S인 경우, 코드1에 해당하는 S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근력 운동(Strength)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B인 경우, 코드1에 해당하는 B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평형성운동(Balance)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A인 경우, 코드 1에 해당하는 A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유산소운동(Aerobics)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W인 경우, 코드 1에 해당하는 W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준비운동(Warm up)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C인 경우, 코드 1에 해당하는 C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마무리운동(Cool Down)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R인 경우, 코드 1에 해당하는 R은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회복운동(Recover)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T인 경우, 코드 1에 해당하는 T은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체력테스트(Test) 테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1이 X인 경우, 코드 1에 해당하는 X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테마가 상기 나열된 운동테마 종류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해당사항 없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코드2는 다양한 분류기준 중 “자극 부위”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2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이 신체의 어느 부위에 자극을 주는 운동에 대한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2는 알파벳 U, T, L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2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2의 경우, 알파벳: U, T, L)가 각각 어떤 자극 부위를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2가 U인 경우, 코드2에 해당하는 U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이 상체 자극(Upper)을 주는 운동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2가 T인 경우, 코드2에 해당하는 T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이 몸통 자극(Trunk)을 주는 운동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2가 L인 경우, 코드2에 해당하는 L은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이 하체 자극(Lower)을 주는 운동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코드 3,4는 다양한 분류기준 중 “필요한 운동도구”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3,4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운동시, 필요한 운동도구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운동 도구에는 복수의 자릿수에 단위 텍스트가 할당될 수 있다. 도 4의 코드표와 같이, 코드의 세번째(코드3) 및 코드의 네번째(코드4)의 자릿수에 필요한 운동도구 분류 기준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3,4에 해당하는 세번째 자리 및 네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영상이 설명하는 운동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운동도구를 기 설정된 개수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운동도구를 2개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운동 도구가 2개일 수 있고, 1개일 수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운동도구가 2개인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가 2개 선택되어 코드의 세번째 자리 및 네번째 자리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서브영상에 매칭된 코드 SUTCCDB2를 살펴보면, 코드3,4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TC”이고, 이는 상기 제8 서브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수건(T)과 의자(C)라는 것을 나타낸다.
나아가, 필요한 운동도구가 1개인 경우, 필요한 1개의 운동도구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가 1개 선택되어 코드의 세번째 자리에 포함되고, 코드의 네번째 자리에는 필요한 운동도구가 없음(해당사항 없음)을 나타내는 단위 텍스트 X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서브영상에 매칭된 코드 STCXFUA1를 살펴보면, 코드3,4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CX”이고, 이는 상기 제5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2개중 하나는 의자(C)이고, 나머지 하나는 해당사항 없음(X)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의자 하나만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필요한 운동도구가 없는 경우, 필요한 운동도구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단위 텍스트 X가 2개 선택되어 코드의 세번째 자리 및 네번째 자리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영상에 매칭된 코드 WTXXFUA1를 살펴보면, 코드3,4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XX”이고, 이는 상기 제1 서브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하나도 없음(XX)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필요한 운동도구가 하나도 없는 운동은 맨손운동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3,4는 각각 알파벳 T, C, D, N, G, B, W, X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3,4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3,4의 경우, 알파벳: T, C, D, N, G, B, W, X)가 각각 어떤 필요한 운동도구를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3이 T인 경우, 코드3에 해당하는 T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수건(Towel)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4가 C인 경우, 코드4에 해당하는 C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의자(Chair)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4가 D인 경우, 코드4에 해당하는 D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덤벨(Dumbbell)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3이 N인 경우, 코드3에 해당하는 N은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쿠션(cushioN)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4가 G인 경우, 코드4에 해당하는 G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짐볼(Gymball)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3이 B인 경우, 코드3에 해당하는 B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밴드(Band)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4가 W인 경우, 코드4에 해당하는 W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벽(Wall)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3이 X인 경우, 코드3에 해당하는 X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도구가 없는 것(해당사항 없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코드 5는 다양한 분류기준 중 “운동하는 위치”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5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이 어떤 위치에서 운동이 진행되어야 하는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5는 알파벳 C, F, G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5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5의 경우, 알파벳: C, F, G)가 각각 어느 운동하는 위치를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5가 C인 경우, 코드5에 해당하는 C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위치(운동하는 위치)가 의자에(Chair)인 운동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5가 F인 경우, 코드5에 해당하는 F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위치(운동하는 위치)가 바닥에(Floor)인 운동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5가 G인 경우, 코드5에 해당하는 G는 상기 서브 영상에서 설명되는 운동을 따라하는 사용자의 위치(운동하는 위치)가 짐볼에(Gymball)인 운동 영상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코드 6은 다양한 분류기준 중 “운동 기본 자세”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6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이 어떤 운동 기본 자세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6은 알파벳 D, U, L, K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6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6의 경우, 알파벳: D, U, L, K)가 각각 어떤 운동 기본 자세를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6이 D인 경우, 코드6에 해당하는 D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기본 자세가 앉아서(Down)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6이 U인 경우, 코드6에 해당하는 U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기본 자세가 서서(Up)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6이 L인 경우, 코드6에 해당하는 L은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기본 자세가 누워서(Lie)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6이 K인 경우, 코드6에 해당하는 K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기본 자세가 무릎 꿇고(Kneel)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코드 7은 다양한 분류기준 중 “운동 진행 정도”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7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이 어느 운동 진행 정도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7은 알파벳 A, B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7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7의 경우, 알파벳: A, B)가 각각 어느 운동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7이 A인 경우, 코드7에 해당하는 A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진행 정도가 1~20DAY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7이 B인 경우, 코드7에 해당하는 B는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 진행 정도가 21~50DAY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코드 8은 다양한 분류기준 중 “체력 등급”에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8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는 서브 영상이 어느 체력 등급에 대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8은 숫자 1, 2, 3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8의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코드 8의 경우, 숫자: 1, 2, 3)가 각각 어느 체력 등급을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서브 영상의 코드8이 1인 경우, 코드8에 해당하는 1은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의 난이도가 초급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8이 2인 경우, 코드8에 해당하는 2은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의 난이도가 중급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영상의 코드8이 3인 경우, 코드8에 해당하는 3은 상기 서브 영상의 운동의 난이도가 고급인 것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자릿수에 해당하는 코드를 이용하여, 단위 서브 영상이 어떤 운동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 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 기준 마다 어느 하나의 분류 항목을 특정하고, 특정된 분류 항목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를 조합하여, 복수의 단위 텍스트로 이루어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영상은 도 4에 도시된 코드표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영상은 도 4에 도시된 모든 분류 기준에 대하여 각 분류 기준 마다 어느 하나의 분류 항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서브 영상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동 테마, 자극부위, 필요한 운동도구, 운동하는 위치, 운동 기본자세, 운동 진행정도, 체력등급 등과 같이 복수의 분류 기준 모두에 대하여 각 분류 기준에 포함된 복수의 분류 기준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서브영상에 대해서, 위에서 살펴본 코드표에 근거하여, 복수의 분류 기준 마다 어느 하나의 항목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위 텍스트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부(120)에 저장된 서브 영상들은, 기 설정된 자릿수로 이루어진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영상들은, i)서브 영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각각의 분류 기준 마다 선택된 ii)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들로 이루어진 코드와 매칭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에 포함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운동의 내용과 관련된 태그 정보 등) 또는 서브 영상의 내용과 관련하여 영상 제작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서브 영상에 포함된 운동 내용과 관련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분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서브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서브 영상의 내용과 관련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 알고리즘은 인공지능 또는 딥러닝에 기반한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코드의 각 자릿수마다 매칭되는 서로 다른 분류 기준들에 따른 분류 항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의 구성(configuration)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8자리의 코드에 대하여 예를 들어 보기로 한다. 한편, 코드의 자릿수는 서브 영상을 분류하는 분류 기준의 종류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또는 체력 등급)에 대응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서브 영상을 추출할 때, 코드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서브 영상 중 사용자의 체력 정보(또는 체력 등급)에 대응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하는데 있어, 서브 영상의 코드를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서브 영상마다 매칭된 코드는, 서브 영상이 어떠한 운동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대응되는 단위 텍스트를 특정하고, 특정된 단위 텍스트를 포함하는 코드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저장부(120)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제3 서브영상에 매칭된 코드 WLGXGDA1(812a)에는, 상기 제3 서브 영상이 어느 운동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코드(812a)의 각 자릿수를 자세히 살펴보면, 코드1에 해당하는 첫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W이고, 코드2에 해당하는 두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L이고, 코드3,4에 해당하는 세번째 자리 및 네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GX이고, 코드5에 해당하는 다섯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G이고, 코드6에 해당하는 여섯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D이고, 코드7에 해당하는 일곱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A이고, 코드8에 해당하는 여덟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1이다.
따라서, WLGXGDA1인 코드를 갖는 제3 서브 영상(812a)은, 운동 테마가 준비운동(W)이고, 자극 부위는 하체(L)이고, 필요한 운동 도구는 짐볼(G)이고, 사용자가 운동하는 위치는 짐볼에서(G)이고, 운동 기본 자세는 앉아서(D)이고, 운동 진행 정도는 1~20DAY(A)이고, 체력 등급은 초급(1)인 내용을 포함하는 영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은, 전자기기(20)상에 출력되는 페이지(21)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21)는 전자기기(2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전자기기(2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페이지(21)를 전자기기(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21)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상기 전자기기(20)와 연동된 제2 전자기기(예를 들어, 모니터 또는 TV)를 통해 상기 페이지(21)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자기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20)와 연동된 제2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모니터, TV, 프로젝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단말기 상에 설치되거나, 단말기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은,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이지(21)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과 연계된 페이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페이지(21)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페이지(21)는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제어 모듈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제어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S510, 도 5참조).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S510)에서는, 먼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은, i) 체력 테스트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는 방법, ii)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iii) 사용자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나이, 병력, 키, 몸무게 등)에 매칭되는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은,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체력 등급을 선택하고, 선택된 체력 등급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매칭되는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어부(130)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페이지(21)를 전자기기 상의 일 영역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도 6 참조).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나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나이 정보에 매칭되는 체력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테스트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전자기기(20)를 통해,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은, 다양한 시점에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최초로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테스트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테스트 영상을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 및 갱신하기 위해 기 설정된 주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주기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매달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 및 갱신하기 위한 테스트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자에게 체력 등급을 결정 또는 갱신하기 위한 테스트 영상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영상은,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외부 서버 또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 영상을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테스트 영상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영상을, 다양한 주제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영상은, 다양한 주제로 분류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테스트 영상의 주제는, ‘앉았다 일어나기’, ‘한손으로 아령들기’, ‘상체숙이기’, ‘등뒤로 손끝닿기’, ‘2분동안 제자리걷기’, ‘걸어서 반환점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테스트 영상의 주제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일 예로서, 상기 나열한 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테스트 영상의 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테스트 영상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테스트 영상이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영상은, 설명 구간, 테스트 구간 및 사용자 입력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설명 구간은,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앞서 테스트 진행 방법을 설명하는 구간이다. 그리고 테스트 구간은 실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구간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테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테스트가 수행되는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 구간은, 상기 테스트 구간동안 수행한 사용자의 테스트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는 구간이다.
일 예로서, 테스트 영상의 주제가 ‘앉았다 일어나기’인 경우, 제어부(130)는, 설명 구간에서 정확한 자세로 앉았다 일어나기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영상을 통해 시각적 및 청각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테스트 영상을 통해 실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테스트 수행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영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테스트 구간이 종료되는 경우, 페이지상의 일 영역에 테스트의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팝업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테스트의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계정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테스트 영상의 사용자 입력 구간에 노출된 팝업 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는, 제공된 테스트 영상의 테스트 구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체력과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동작을 수행한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체력이란, 신체의 형태(체격 체형)와 기능(기관이나 장기별)을 기초로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방어적 능력(물리 화학적 환경 요인, 질병 원인, 생리적/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나 환경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작용하는 행동적 능력(근력, 운동의 지구성, 교치성 등)으로써 발휘될 수 있다. 특히 행동적 능력, 즉 운동 능력을 좁은 뜻의 체력으로 보고, 각종 테스트에 의하여 사람의 능력의 양적/질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체력은 사람들 개개인 마다 서로 다르고, 또한 동일한 사람의 경우에도 운동의 여부 또는 나이 등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 개개인의 체력 상태는, 데이터로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사람의 체력(또는 운동 능력, 또는 신체 능력)의 정도를 높고 낮음에 따라 여러 층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체력 등급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등급 판별 기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등급 판별 기준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체력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란, 사용자에게 제공된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또는 메인 영상)의 구성에 대한 기록(추출된 서브 영상들의 목록),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을 수행한 횟수, 사용자가 영상을 제공받은 일시, 사용자의 과거 체력 테스트 결과, 사용자의 과거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키, 몸무게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테스트 영상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1 내지 10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체력이 1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체력이 최고 등급에 해당하고, 10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체력이 최하 등급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분류하는 방법은,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페이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분석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른 평균적인 체력 등급과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비교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예를 들어, ‘8등급’)을 제공함과 동시에 “회원님의 체력은 비슷한 연령대 중 상위 74.2%에 해당합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체력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가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각의 서브 영상들은, 각각의 서브 영상들이 포함하고 있는 운동의 내용(분류 기준 및 분류 항목)에 따라 코드(운동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에 부여된 코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 영상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때, 각 서브 영상에 매칭된 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을 추출함에 있어,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대응되는 체력 등급을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해당하는 코드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대응되는 체력 등급 및 앞서 살펴본 사용자 정보(60)에 근거하여, 저장부(120)로부터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앞서 살펴본 복수의 분류 기준 마다 사용자의 체력 등급 및 사용자 정보(6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분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20)로부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매칭되는 단위 텍스트를 특정하고, 특정된 단위 텍스트를 코드로서 포함하는 서브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 및 사용자 정보(60)에 근거하여 특정된 단위 텍스트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된 코드와 서브 영상에 매칭된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 또는 유사한 코드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브 영상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다양한 분류 기준 중 어느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항목을 우선하여 서브 영상을 추출할 것인지를 제어부의 제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20)로부터, 복수의 분류 기준 중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추출한 후, 추출된 서브 영상들 중에서 다른 분류 기준(예를 들어, 운동 테마 기준)을 기준으로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되는 영상들은, 모두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을 추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우선하여 기준으로 추출 대상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체력 등급이 초급인 경우에,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 중 운동의 난이도가 중급 및 고급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은 추출하지 않고, 초급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만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체력 등급이 중급인 경우에, 복수의 서브 영상들 중에 운동의 난이도가 고급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중급 난이도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만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하거나, 또는 초급 및 중급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체력 등급이 고급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급에 해당 서브 영상 만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초급, 중급 및 고급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김철수)의 체력 등급은 초급이다. 이 경우에 제어부(130)는, 사용자(김철수)에게 제공할 메인 영상(맞춤형 운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14개의 서브 영상 중 ‘초급’ 체력 등급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코드의 각 자릿수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를 식별하여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김철수)에게 제공할 메인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때, 제어부(130)는 코드의 8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1’인 코드(체력 등급이 초급인 영상에 해당, 도 4 참조)를 갖는 서브 영상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김철수)에게 제공할 메인 영상에 포함될 수 있는 서브 영상들은 제1 서브영상(WTXXFUA”1”), 제2 서브영상(CTXXFUA”1”), 제3 서브영상(WLGXGDA”1”) 등과 같이, 코드의 8번째 자리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1’인 영상들이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김나나)의 체력 등급은 고급이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김나나)에게 제공할 메인 영상(맞춤형 운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14개의 모든 서브 영상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하거나, 또는 고급에 매칭된 서브 영상만을 추출 대상 서브 영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이 고급인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체력 등급이 초급 또는 중급인 사용자보다 더 다양한 메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을 추출함에 있어,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대응되는 체력 등급을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대응되는 서브 영상들 중 앞서 살펴본 사용자 정보(60)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60)는, 이름, ID, 생년월일,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운동기구(운동도구), 과거병력(수술 혹은 불편한 곳), 운동을 통해 강화하고 싶은 부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한 것들 외에 다른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앞서 살펴본 다양한 분류 기준(자극 부위, 필요한 운동 도구, 운동하는 위치, 운동 기본 자세, 운동 진행정도 등) 마다 어느 하나의 항목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운동 테마를 기준으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복수의 운동 테마 중 준비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고자 할 때, 준비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 중 각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맞는 영상이 추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과 운동테마 둘 모두를 만족하는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사용자(김철수)에게 제공할 메인 영상에 포함될 서브 영상(운동 테마가 준비 운동인 서브 영상)을 추출하기 위해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김철수)의 체력 등급이 초급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코드의 여덟번째 자리(분류 기준 중 체력 등급을 나타냄)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1”(체력 등급이 초급임을 나타냄)임과 동시에, 코드의 첫번째 자리(분류 기준 중 운동 테마를 나타냄)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W”(운동 테마가 준비 운동임을 나타냄)인 코드를 갖는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코드의 형태는 “W□□□□□□1”일 수 있고, 여기서 □는 단위 텍스트에 해당하는 알파벳 또는 숫자가 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을 추출함에 있어, 분류 기준들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추출 대상 서브 영상의 범위를 좁혀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 운동 테마, 운동 도구 등의 순서로 추출 대상 서브 영상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김철수)의 메인 영상에 포함될 서브 영상의 운동테마가 준비 운동이고, 필요한 운동도구가 짐볼과 수건인 서브 영상을 추출하기 위해서, 제어부(130)는, 앞서 설명한 코드의 형태 “W□□□□□□1”에(체력 등급이 초급이며, 운동 테마가 준비 운동임), 코드의 세번째 및 네번째 자리(분류 기준 중 필요한 운동도구를 나타냄)에 포함된 단위 텍스트가 “G” 및 “T”(필요한 운동도구가 짐볼 및 수건임을 나타냄)인, 즉, 코드의 형태가 “W□GT□□□1”인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될 수 있는 서브 영상의 코드는 “WUGTCDA1” 또는 “WTGTFLA1”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필요한 운동 도구를 기준으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필요한 운동 도구를 기준으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필요한 운동 도구를 포함하는 서브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의 체력 등급에 맞는 서브 영상들 만을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다양한 분류 기준 마다 사용자의 체력 등급 및 사용자 정보(6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분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20)로부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매칭되는 단위 텍스트를 특정하고, 특정된 단위 텍스트를 코드로서 포함하는 서브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 및 사용자 정보(60)에 근거하여 특정된 단위 텍스트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된 코드와 서브 영상에 매칭된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 또는 유사한 코드에 매칭된 서브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브 영상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분류 기준을 기준으로 서브 영상을 추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브 영상 추출 조건에 따라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체력 등급을 포함한 사용자의 정보(60)를 만족하면서, 추가적인 추출 조건을 만족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을 추출함에 있어서, 추출된 서브 영상들 각각의 재생 시간의 합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초과하거나, 미달되지 않도록,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은, 사용자에게 메인 영상으로서 제공되는 메인 영상의 재생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은, 시간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은 29분~31분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들의 재생 시간의 합이 29분~31분 이내가 되도록, 서브 영상들 마다의 재생 시간을 고려하여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서브 영상들 각각은 소정의 재생 길이를 가지며, 제어부(130)는 서브 영상들을 추출할 때에, 추출된 서브 영상들의 재생 길이를 합산하여, 상기 기 설정된 재생 시간에 따른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30)는 운동 테마 분류 기준에 포함된 복수의 운동 테마 분류 항목 중 적어도 두개에 대하여,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각각의 운동 테마 분류 항목 마다,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운동 테마(예를 들어, 준비 운동 테마)는 제1 재생 시간(T1, 예를 들어, 최소 3분~최대 4분), 제1 운동 테마(예를 들어, 근력 운동 테마)는 제2 재생 시간(T2, 최소 5분~최대 6분)에 해당하는 운동 영상이 제공되도록, 추출되는 서브 영상의 재생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각각의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할 때에, 각각의 운동 테마에 설정된 재생 시간을 참조하여, 해당 재생 시간을 만족하는 재생 길이를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과거 제공되던 서브 영상과 중첩되지 않도록 저장부(120)로부터 서브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분류 기준에 근거하여, 사용자 맞춤형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영상이 추출되면, 제어부(130)는, 추출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해당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20, 도 5 참조).
제어부(13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서브 영상으로 구성되는 메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영상을 생성한다고 함은 크게 두가지 의미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제1 의미로서, “메인 영상을 생성”한다고 함은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에 해당하는 새로운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서브 영상들과 별개로, 새로운 영상 파일(데이터)에 해당하는 메인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상에는 복수의 서브 영상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의미로서, “메인 영상을 생성”한다고 함은, 복수의 서브 영상들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될 복수의 서브 영상들이 특정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메인 영상이 생성되는 것은, 사용자의 전자기기에서 1회의 운동 과정으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서브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메인 영상의 생성은, 제1 의미 및 제2 의미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명확한 구분을 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메인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추출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의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추출된 서브 영상들이, 상기 결정된 재생 순서에 따라서 재생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의 재생 순서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양한 분류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을 근거로,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의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분류 기준을 근거로 추출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에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들이 모두 재생된 후, 제2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들이 재생되고, 그리고 난 후 제3, 제4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들이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의 재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은, 서브 영상들이, 상기 서로 다른 운동 테마 항목 중 어느 운동 테마 항목에 매칭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메인 영상 내에서의 재생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메인 영상이 생성되면, 제어부(130)는 다양한 영상 제공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메인 영상을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S530).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전자기기에서, 메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메인 영상을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앞서 살펴본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의 상기 결정된 재생 순서에 근거하여,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메인 영상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메인 영상에 해당하는 데이터 파일을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기에서는 메인 영상에 해당하는 데이터 파일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재생 순서에 근거하여, 추출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배열하여, 새로운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고려하여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서브 영상들을 포함한 메인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체력 수준에 맞는 서브 영상들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문 트레이너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신체 능력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퍼스널 트레이닝(PT)을 제공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다른 운동 테마에 각각 해당하는 서브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하나의 메인 영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메인 영상에서 서로 다른 운동 테마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서로 다른 운동 테마 마다 다양한 서브 영상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추출 및 조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운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미리 촬영된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운동 영상을 매번 촬영할 필요 없이, 다양한 조합들로 복수의 메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메인 영상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서비스 사용자 측면에서는, 다양한 맞춤형 운동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매칭된 단위 텍스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단위 텍스트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코드와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된 서브 영상들 각각에 매칭된 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생성된 코드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코드에 매칭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에 포함된 내용에 근거하여 결정된 코드와 매칭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된 코드는, 복수의 자릿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자릿수 각각은, 운동 테마, 운동 자세, 운동 난이도 및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서로 다른 분류 기준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자릿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에 포함된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상기 서로 다른 분류 기준 마다 분류한 결과로서 특정된 단위 텍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자릿수를 갖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에 각각 매칭된 코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에 포함된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서로 다른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진 결과로서 특정된 단위 텍스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자릿수 중 어느 하나의 자릿수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를 반영하는 상기 운동 난이도와 관련된 분류 기준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에 매칭된 코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자릿수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가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사한 코드는,
    상기 체력 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분류 기준 중 상기 운동 테마에 대응되는 분류 기준은, 운동의 내용에 따라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운동 테마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로 다른 운동 테마 항목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서브 영상들 마다,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을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은, 상기 서로 다른 운동 테마 항목 중 어느 운동 테마 항목에 매칭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메인 영상 내에서의 재생 순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중, 상기 서로 다른 운동 테마 항목 중 제1 운동 테마 항목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상이 모두 재생된 후,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운동 테마 항목 중 제2 운동 테마 항목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간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재생 순서에 근거하여,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은, 기 설정된 재생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재생 시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각각의 재생 시간들의 합이 상기 기 설정된 재생 시간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운동 기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운동 기구와 관련된 단위 텍스트가 포함된 코드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10.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매칭된 단위 텍스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단위 텍스트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코드와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된 서브 영상들 각각에 매칭된 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생성된 코드와 일치 또는 유사한 코드에 매칭된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자기기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에 포함된 내용에 근거하여 결정된 코드와 매칭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된 코드는, 복수의 자릿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자릿수 각각은, 운동 내용, 운동 자세, 운동 난이도 및 운동에 사용되는 기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서로 다른 분류 기준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자릿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에 포함된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상기 서로 다른 분류 기준 마다 분류한 결과로서 특정된 단위 텍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자릿수를 갖는 코드는, 상기 복수의 자릿수 각각에 배치된 특정된 단위 텍스트를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에 대한 코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자릿수 중 어느 하나의 자릿수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를 반영하는 상기 운동 난이도와 관련된 분류 기준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 각각에 대응되는 코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자릿수에 해당하는 단위 텍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체력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단위 텍스트가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유사한 코드는,
    상기 체력 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
KR1020200120096A 2020-09-17 2020-09-17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3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96A KR102434122B1 (ko) 2020-09-17 2020-09-17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96A KR102434122B1 (ko) 2020-09-17 2020-09-17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555A KR20220037555A (ko) 2022-03-25
KR102434122B1 true KR102434122B1 (ko) 2022-08-22

Family

ID=8093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96A KR102434122B1 (ko) 2020-09-17 2020-09-17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629B1 (ko) 2022-08-16 2023-06-21 주식회사 루카스에듀테인먼트 온라인 강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40B1 (ko) 2009-07-20 2010-05-06 프림포주식회사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101698391B1 (ko) 2015-10-13 2017-02-03 이재석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102043878B1 (ko) * 2017-06-05 2019-11-12 김지훈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332B1 (ko) * 2016-06-07 2018-07-30 주식회사 건강한친구들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04928A (ko) * 2016-07-05 2018-01-15 데이코어 주식회사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99748B1 (ko) * 2017-10-23 2019-07-12 이준우 IoT 운동기구, 운동지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지도방법
KR102038980B1 (ko) * 2017-11-07 2019-11-01 (주)아이유웰 헬스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
KR20180071211A (ko) * 2018-06-05 2018-06-27 주식회사 건강한친구들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360713B1 (en) * 2018-07-17 2019-07-23 Disney Enterprises, Inc. Event enhanc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effects
KR20200024987A (ko) * 2018-08-29 2020-03-10 정광 모바일 트레이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너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40B1 (ko) 2009-07-20 2010-05-06 프림포주식회사 개인별 헬스 트레이닝 방법
KR101698391B1 (ko) 2015-10-13 2017-02-03 이재석 운동 강좌 동영상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102043878B1 (ko) * 2017-06-05 2019-11-12 김지훈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555A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6591A1 (en) Event-based prescription of fitness-related activities
KR102043878B1 (ko)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0674B1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86848B1 (ko) 개인화된 운동커리큘럼 제공방법 및 제공프로그램
US114135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US20070016930A1 (en) Creation and navigation of media content with chaptering elements
US20210264811A1 (en) Monitoring and assessing subject response to programmed physical training
US20080103023A1 (en) Method of Developing and Creating a Personalized Exercise Regime in a Digital Medium
KR20180004928A (ko)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402728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fitness training
Jennings et al. Rapid transition to telehealth group exercise and functional assessments in response to COVID-19
EP2076861A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KR102145692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피트니스 회원 관리시스템
WO20010168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maintaining, and improving an exercise, nutrition, or rehabilitation regime
JP4972527B2 (ja) 動画表示システム、動画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37076B1 (ko) 스포츠 수강이력관리를 이용한 맞춤형 스포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Radhakrishnan et al. ERICA: enabling real-time mistake detection & corrective feedback for free-weights exercises
KR102434122B1 (ko)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TW200821872A (en) Creating media content with selectable components
Quinn et al. 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interventions in Huntington's disease: a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protocol
TWI679557B (zh) 適應性運動姿態感測系統與方法
KR20190142906A (ko) 사용자 맞춤형 피트니스 큐레이션 정보 제공 방법
JP2021022401A (ja) リハビリ計画作成支援装置、リハビリ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計画作成支援方法、リハビリ計画作成支援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Binoy et al. PUMP FIT: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which helps people with their workout more efficiently
WO20100410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itness reg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