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928A -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928A
KR20180004928A KR1020160084658A KR20160084658A KR20180004928A KR 20180004928 A KR20180004928 A KR 20180004928A KR 1020160084658 A KR1020160084658 A KR 1020160084658A KR 20160084658 A KR20160084658 A KR 20160084658A KR 20180004928 A KR20180004928 A KR 2018000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ining
user
training program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민
Original Assignee
데이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이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928A/ko
Publication of KR2018000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ntis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와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 트레이닝 결과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a for service for physical training}
본 발명은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적응적인 신체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신체 활동의 중요성이 사람들에게 널리 인식되었다. 인간이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건강이 최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현대인들은 자신의 신체적 아름다움 및 정신 건강을 위해 피트니스(fitness) 클럽(또는 헬스 클럽)을 찾고 있다. 일반인들의 이러한 욕구를 반영하듯이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 도시 곳곳에 스포츠 센터와 헬스 클럽 등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가장 대중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종목 분야가 웨이트 트레이닝이다.
과거에는 근육 발달과 근력 증가를 위해 소수의 특정 운동 선수들만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국민적인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운동 선수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웨이트 트레이닝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 가운데 획일적인 프로그램 운영 방법 등에 흥미를 잃으며 지속적인 운동 유지에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맞춤형 지도를 받기 위한 수단으로 퍼스널 트레이닝(personal training)을 선호하게 되었다. 지속적인 운동 유지에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이 운동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교육시켜줄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자 퍼스널 트레이너를 찾고 있다.
퍼스널 트레이닝이란 각 개인마다 다른 신체의 특징과 다른 활동 환경에 맞춰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안전하고 적절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동 처방을 내려주는 신개념 휘트니스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러한 퍼스널 트레이닝에 드는 비용은 부담스러울 수 있고, 이러한 비용상의 부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퍼스널 트레이닝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닝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트레이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트레이닝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트레이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와 상기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 트레이닝 결과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는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간 내에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중계 서버 또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프로세서는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받고,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 트레이닝 결과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는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간 내에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닝에 대한 전문적이지 않은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트레이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신체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트레이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트레이닝(physical training) 서버와 사용자 장치 간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의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의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의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통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간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활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수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식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추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체형 변화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추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또는 단순히 유저(user)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트레이닝(physical training) 서버와 사용자 장치 간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100)와 사용자 장치(120) 간의 네트워크가 개시된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100)는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training application)을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100)는 사용자의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장치(120)로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중계 서버(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들의 중계를 위한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치(1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만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 장치(120)와 신체 트레이닝 서버(100) 간의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 트레이닝 결과 정보(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의 구체적인 신체 트레이닝 방법은 후술된다.
사용자 장치(120)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100)로부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와의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20)는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성별, 나이, 신체 정보(키, 몸무게 등))에 따른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장치(120)는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선택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고 트레이닝 프로그램 선택 정보에 따른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2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트레이닝 결과 정보(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치(120)는 사용자 장치(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장치(120)의 동작은 신체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동작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에 등록된 전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필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일부의 트레이닝 프로그램만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한 필터링 정보로서 성별(여자, 남자), 트레이닝 목표(다이어트, 근력증진), 트레이닝 종류(바디웨이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난이도(레벨1~레벨5) 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전체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필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된 트레이닝 프로그램만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입력된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일정한 순서로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낮은 트레이닝 난이도 순서, 높은 트레이닝 난이도 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점수 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누적 도전 순서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고, 사용자들에 의해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수행된 횟수, 사용자들에 의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등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후에 신규 사용자들에게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필터링 정보가 사용자가 트레이닝하기를 원하는 신체 부위(트레이닝 대상 부위)에 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트레이닝을 위해 사용할 도구(머신, 덤벨, 바벨, 케이블 등)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트레이닝 대상 부위를 필터링 정보로서 입력하는 경우, 트레이닝 대상 부위에 맞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를 통해 트레이닝 대상 부위에 대한 정보로서 어깨가 입력되고, 사용자에 의해 트레이닝을 위해 사용할 도구에 대한 정보로서 머신이 입력되는 경우, 어깨를 머신을 이용하여 트레이닝하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의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의 (a)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예시적으로 개시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가 제공되고,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사용자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예시적으로 개시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난이도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바디 웨이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목적(예를 들어, 근력 증진, 다이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적합한 대상(성별, 나이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전체 기간(예를 들어, 30일),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전체 기간 중 실제 트레이닝 프로그램 수행 일수(예를 들어, 주5회),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소요 시간(예를 들어, 1일 약 5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로서 운동 루틴(routine), 운동 방법, 운동 구성, 운동시 유의 사항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로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이미 수행한 다른 사용자의 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코멘트(또는 리뷰)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특정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트레이닝을 위한 별도의 메뉴(예를 들어, 운동하기 메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의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전체 기간 중 현재 진행 일차에 대한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전체 기간을 기반으로 산출된 현재 트레이닝 진행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실제적으로 수행될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밴드 트레이닝인 경우, 밴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전체 기간(예를 들어, 30일) 중 현재 진행 일차(예를 들어, 2일차)에 대한 정보, 밴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전체 기간을 기반으로 산출된 밴드 트레이닝 진행도(예를 들어, 31%), 밴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예를 들어, 밴드 데드리프트, 밴드 벤트오버 레이즈, 밴드 글루트 킥백, 레그레이즈 등)가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별 세트의 수 및 세트별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로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정보 및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로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정보 및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정보가 개시된다.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밴드 숄더프레스인 경우, 사용자 장치를 통해 밴드 숄더프레스를 수행하는 트레이너의 동영상 정보가 제공되고, 밴드 숄더프레스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 정보, 주의 사항, 호흡 정보 등이 텍스트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의 (a)에서는 사용자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완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체크 기능을 통해 수행 완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수행 완료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수행 완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모두 수행 완료되는 경우, 해당 일차(예를 들어,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30일 중 1일차)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완료되고, 다음 일차(예를 들어,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30일 중 2일차)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예를 들어, 밴드 트레이닝)인 경우에도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일차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복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상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터치되는 경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트레이닝 프로그램 내에서 삭제될 수 있다.
도 5의 (b)에서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장치를 통해 '펼쳐보기'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영상 정보가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를 통해 '다음 운동하기' 버튼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영상 정보가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의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기간 별/부위 별로 운동을 수행한 결과인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가 개시된다. 설명의 편의상 기간을 일 단위로 설정하나, 일 단위가 아닌 다양한 기간 단위로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달력 정보가 개시되고, 달력 정보 상에서 특정일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일에 수행한 트레이닝 기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매칭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으로서 수행한 '밴드 데드리프트'는 등 부위와 관련된 운동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체 부위 중 등 카테고리에 '밴드 데드리프트'가 매칭되어 사용자에게 일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일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일에 수행한 부위별 트레이닝에 대한 기록을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트레이닝 수행 결과인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가 개시된다. 사용자 장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근력 운동인지 유산소 운동인지 여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한 시간,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체 부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에서 소모되는 칼로리,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기구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된 총 하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로서 트레이닝 시간 분석 정보(또는 운동 시간 분석 정보), 누적 칼로리 정보, 도구별 트레이닝 빈도 정보(또는 도구별 운동 빈도), 자주하는 트레이닝 정보(또는 자주하는 운동법), 부위별 근력 트레이닝 빈도 정보(또는 부위별 근력운동 빈도), 일별 근력 트레이닝 총중량 정보(일별 근력 운동 총중량 정보), 일별 신체 변화 정보, 3대 트레이닝(바벨 벤치프레스, 바벨 데드리프트, 바벨 스쿼트) 중량 변화 정보, 걸음 수 정보, 심박수 정보 등이 그래프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닝 시간 분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일 단위/주 단위/월 단위 등과 같은 설정된 기간 단위를 기준으로 수행된 운동 일수,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는 근력 운동/유산소 운동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누적 칼로리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소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별 트레이닝 빈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도구(머신, 덤벨, 바벨, 밴드 등)를 사용하여 수행된 세트의 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주하는 트레이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위별 근력 트레이닝 빈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된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부위는 어깨, 가슴, 등, 복근, 삼두, 이두, 전완,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해당 신체 부위별 트레이닝 빈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별 근력 트레이닝 총 중량 정보는 일별로 수행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된 총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총 중량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별로 수행된 운동으로 인한 총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별 체중 변화, 일별 골격근 변화, 일별 체지방량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벨 벤치프레스, 바벨 데드리프트, 바벨 스쿼트에 대한 중량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음 수 정보는 사용자의 하루 동안의 걸음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심박수 정보는 사용자의 트레이닝 중 측정된 심박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신체 상태 정보로서 트레이닝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상태의 변화에 대한 정보(이하, 신체 상태 변화 정보)를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체 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이 될 기준 신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를 통해 처음으로(또는 기준값으로서) 입력되는 신체 정보가 기준 신체 정보일 수 있다.
기준 신체 정보는 체성분 분석 정보 및 비만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 분석 정보는 신장, 몸무게, 체수분량, 체지방량, 골량, 근육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만 분석 정보는 비만도, 체지방률, 기초대사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일정 단위(예를 들어,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등)로 신체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새롭게 입력된 신체 정보와 이전에 입력된 이전 신체 정보(또는 기준 신체 정보)에 대한 비교를 기반으로 신체 상태 변화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신체 상태 변화 정보는 신체 정보의 측정을 위한 신체 정보 측정 장치와 연동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는 신체로 전기 신호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체중, 내장 지방, 체내 수분량, 체지방률, BMI(body mass index), 골격량, 근육 등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를 통해 처음으로(또는 기준 값으로서) 입력되는 신체 정보가 전술한 기준 신체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신체 정보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신체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신체 정보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신체 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 정보가 신체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이미지 정보를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입력될 수 있고, 이러한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신체 이미지 정보의 비교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형 변화, 근육량 변화, 지방량 변화 등에 대한 정보가 신체 상태 변화 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트레이닝 관리 정보 중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기간 동안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일정 기간(예를 들어, 30일) 동안 생활 습관이 설정되고, 설정된 생활 습관은 체크리스트로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설정된 생활 습관을 지켰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체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활 습관 정보는 하루 10분 명상하기, 바른 자세 유지하기, 식후 30분 가벼운 운동, 천천히 먹기, 커피는 하루 2잔 등과 같은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생활 습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습관 정보는 사용자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수행 기간 동안 마시는 물의 양, 먹는 식사/간식 등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하루 동안 물 2리터의 음수를 돕기 위해 '하루에 물 2리터 마시기'가 미션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하루에 마신 물의 양을 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그래프 기반으로 음수된 물의 양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음수된 물의 양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하루 동안 섭취한 음식에 대한 관리를 위해 아침 식사, 점식 식사, 저녁 식사, 간식 각각에 대한 섭취량 정보, 식단 정보, 섭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 섭취한 음식 사진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업로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음식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 장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통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트레이닝과 관련된 사항을 인지하도록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달성률에 대한 정보가 하나의 화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하도록 설정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현재 완료 비율에 대한 정보가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달성률에 대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금일 소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 및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적으로 소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신체 상태 변화 정보가 하나의 화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설정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인 신체 상태 변화 정보가 하나의 화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체중의 변화만이 신체 상태 변화 정보로서 제공되는 것이 개시되나, 다른 다양한 신체 상태 변화 정보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식습관 정보가 하나의 화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음수된 물의 양에 대한 정보가 하나의 화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의 (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물 섭취량만이 식습관 정보로서 제공되는 것이 개시되나, 다른 다양한 식습관 정보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간 네트워킹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용자들 간의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킹이 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평점 및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메시지에 대한 정보가 신체 트레이닝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고,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업로드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평점 및 리뷰 메시지를 다른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설치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들의 트레이닝 프로그램(또는 트레이닝)의 수행 간에 발생된 고민/트레이닝 프로그램(또는 트레이닝)에 대한 노하우 정보가 신체 트레이닝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들 간에 이러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간에 발생된 고민에 대한 정보/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노하우 정보의 공유를 통해 사용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들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인증 사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한 과정/결과에 대한 인증 사진 등에 대한 정보가 신체 트레이닝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들 간에 공유되어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들 상호 간에 트레이닝과 관련된 상품(운동 용품, 운동화, 운동복 등)의 교환/매매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간의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소셜 네트워킹은 사용자에 의해 친구 관계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들 간에만 별도로 그룹핑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에서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단위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관리될 수도 있다. 즉, 도12에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1200)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본 운동 분류 정보(1205),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시간 정보(1210),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체 부위 정보(1215),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에서 소모되는 칼로리 정보(1220),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기구 정보(1225),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체 하중 정보(1230),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사용자의 평점, 사용자의 코멘트 등)(12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본 운동 분류 정보(1205)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유산소 운동인지, 근력 운동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에 적합한 성별에 대한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목적이 다이어트인지 근력 증진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형태가 바디웨이트인지 프리웨이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난이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시간 정보(1210)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시간 정보(1210)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사용자 별로 관리되어 사용자에 의한 실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해 소요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해 소요된 시간은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간에 입력된 수행 시작 시간 정보와 수행 완료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행 시작 시간 정보와 수행 완료 시간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수행 시작 시간 정보와 수행 완료 시간 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체 부위 정보(1215)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여러 신체 부위가 단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는 부위별 가중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어깨와 팔이 함께 트레이닝 되는 경우,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체 부위는 어깨와 팔을 모두 포함하고, 어깨(70%), 팔(30%)과 같이 주로 트레이닝되는 신체 부위와 종속적으로 트레이닝되는 신체 부위가 구분되어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체 부위 정보(1215)로서 관리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에서 소모되는 칼로리 정보(1220)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할 경우, 소모되는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소모되는 칼로리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성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기구 정보(1225)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구(덤벨, 바벨, 머신, 밴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된 총 하중 정보(1230)는 사용자에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간 걸린 부하, 세트수, 세트별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덤벨, 바벨 등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덤벨, 바벨의 중량과, 총 수행된 세트 수, 세트 별 횟수 등을 고려하여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간 사용자에게 부여된 총 하중이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리웨이트인 경우, 사용자의 몸무게를 고려한 부하, 세트 수, 세트 별 횟수 등을 고려하여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간 사용자에게 부여된 총 하중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1235)는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평점, 코멘트 등과 같은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1250)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1250)로서 제공되는 트레이닝 시간 분석 정보(1255)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기본 운동 분류 정보 및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시간 정보 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누적 칼로리 정보(126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산출된 신체에서 소모되는 칼로리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구별 트레이닝 빈도 정보(1265)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기구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자주하는 트레이닝 정보(127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수행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부위별 근력 트레이닝 빈도 정보(1275)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체 부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별 근력 트레이닝 총 중량 정보(128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된 총 하중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게 필터링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렬된 필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필터링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활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수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에서는 사용자의 트레이닝 프로그램(또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고,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시작 시간 정보와 수행 완료 시간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특정 트레이닝 프로그램(또는 특정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은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에 구현된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에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시작을 클릭하고,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 가능하도록 사용자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의 영상 촬상부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촬상하고, 사용자 장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사용자의 동작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신체에 부착한 후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 장치에 구현된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가 사용자의 동작의 변화를 탐지할 수도 있다.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중심 동작 변화 정보(1300)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고, 중심 동작 변화 정보(1300)와 사용자의 동작 변화 정보(이하, 사용자 동작 변화 정보)(1350)에 대한 비교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스쿼트인 경우, 스쿼트의 핵심적인 동작인 사용자 둔부의 이동 궤적과 관련된 정보가 스쿼트에 대한 중심 동작 변화 정보(1300)로서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중심 동작 변화 정보(1300)는 이동되는 중심 신체 부위(예를 들어, 둔부),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예를 들어, 상하 궤적), 중심 신체 부위의 최소 이동 임계치(예를 들어, 30cm)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장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스쿼트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영상 정보 중 중심 신체 부위인 사용자의 둔부에 대해 탐지한 후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인 둔부의 이동 궤적을 탐지하여 사용자 동작 변화 정보(1350)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동작 변화 정보(1350)는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의 거리(예를 들어, 사용자 둔부의 이동 거리)가 중심 신체 부위의 최소 이동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 장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의 스쿼트 동작의 수행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스쿼트 수행 횟수를 1회 증가시킬 수 있다. 최소 이동 임계치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중심 신체 부위 이동의 최소 임계값일 수 있다. 중심 신체 부위의 최소 이동 임계치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와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설정된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코칭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설정된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이 상하 궤적이고,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이 상하 궤적에서 임계 각도 이상 벋어난 경우, 코칭 정보로서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을 상하 궤적으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횟수가 직접 입력될 필요없이 사용자 장치만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횟수가 측정되고,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완료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및/또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의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의 이동 경로 정보를 고려하여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횟수를 측정되고,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의 신체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신체 부착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신체 부착 위치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신체 부착 위치 정보를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 장치의 부착 위치를 터치하여 생성할 수 있다.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 별로 적합한 사용자 장치의 위치가 추천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의 위치 변화는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예측치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에 사용자 장치가 위치한 경우, 사용자 장치의 위치의 변화에 대한 정보(사용자 장치 위치 변화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위치 변화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로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의 이동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의 둔부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와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된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 및 중심 신체 부위의 최소 이동 임계치에 대한 정보의 비교를 통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동작의 수행 완료 여부가 인식되고, 코칭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수행 시작 시간 정보와 수행 완료 시간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가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된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으로 이동을 시작하는 경우, 수행 시작 시간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의 중심 신체 부위가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된 중심 신체 부위의 이동 궤적으로 이동을 중단하는 경우, 수행 종료 시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수행 시작 시간 정보와 수행 완료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빠르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에 대한 코칭 정보도 생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신체 트레이닝 서버에서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사용자 장치에서도 일부 또는 정부의 동작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식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추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식사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섭취 칼로리를 분석하고 섭취 칼로리에 따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식습관 정보(1400)로서 아침 식사, 점식 식사, 저녁 식사, 간식 각각에 대한 섭취량 정보, 식단 정보, 섭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 섭취한 음식 사진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를 통해 업로드된 섭취량 정보, 식단 정보 및 섭취한 음식 사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일 단위)로 섭취된 음식의 총 칼로리(1410)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식단을 기반으로 섭취된 음식의 총 칼로리가 예측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에는 식단별 칼로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식단과 동일한 식단의 칼로리 정보가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서 예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섭취한 음식 사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단을 예측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다양한 음식 사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섭취한 음식 사진과 가장 유사한 음식 사진을 탐색할 수 있다. 섭취한 음식 사진과 가장 유사한 음식 사진에 대응되는 음식이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음식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 트레이닝 서버에는 식단별 칼로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음식(식단)과 동일한 식단의 칼로리 정보가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서 예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음식의 총 칼로리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기초 대사량 정보(1420)를 기반으로 소비되지 않고 남은 잉여 칼로리에 대한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 및/또는 사용자 장치는 잉여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잉여 칼로리를 0으로 만들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1450)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체형 변화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의 체형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사용자 이미지들은 특징점을 기준으로 비교 및 분석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 각각에서 특징점(예를 들어, 관절 부위, 특정 신체 부위)이 추출되고(단계 S1500), 추출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형 변화가 분석될 수 있다(단계 S1510).
구체적으로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제1 사용자 이미지의 제1 특징점과 제2 사용자 이미지의 제2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은 서로 동일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특징점, 제2 특징점은 사용자의 어깨 관절 부분일 수 있다.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을 기준으로 제1 사용자 이미지와 제2 사용자 이미지가 중첩되어 매칭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이미지와 제2 사용자 이미지가 중첩되어 매칭된 후 사용자의 체형 변화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제1 사용자 이미지와 제2 사용자 이미지 간에 변화된 부분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가 수행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가 예상되는 부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쿼트를 주로 수행한 경우,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부위마다 특징점이 설정되어 있고, 신체 분위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신체 분위의 변화가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이미지 정보로서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쿼트를 주로 수행한 경우,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의 변화된 부분에 대한 판단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 이미지 정보의 촬상을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추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에서는 기존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기존에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단련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1600) 및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사용자 이미지 정보(1620)를 통해 사용자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기존에 수행된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된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1600)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 이미지 정보(1620)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근육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근육량에 대한 정보 및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된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취약한 신체 부위가 결정될 수 있고,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의 취약한 신체 부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취약한 신체 부위를 단련하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의 근육량이 평균 이하이고,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팔의 트레이닝 횟수가 임계 횟수 이하인 경우, 팔을 단련하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에서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설명의 편의상 신체 트레이닝 서버의 동작이 가정되나, 사용자 장치에서도 도 17에서 개시되는 영상 정보 제공 방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동작 변화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장치를 통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이 촬상되고, 촬상된 사용자의 동작은 사용자 동작 변화 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동작 변화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의 동작 변화 정보와 중심 동작 변화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동작의 오류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단계 S1700).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사용자 동작의 오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코칭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1710).
코칭 영상 정보는 편집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코칭 영상 정보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영상 정보의 제공 각도 및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영상 정보의 포커스를 조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동작 중 무릎의 움직임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영상 정보에서 무릎의 움직임이 정확하게 표현되는 각도를 선택하고, 무릎의 움직임에 포커스를 맞춘 영상을 코칭 영상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코칭 영상 정보는 사용자 장치로 코칭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동작의 잘못된 점에 대해 인지하고 보다 올바른 동작으로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신체 트레이닝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 트레이닝 결과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는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간 내에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필터링 정보 및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필터링되고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필터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트레이닝 목표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종류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 정보는 낮은 트레이닝 난이도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높은 트레이닝 난이도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점수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누적 도전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결과 정보는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 및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설정된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 결과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트레이닝을 수행한 전체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본 운동 분류 정보, 수행 시간 정보, 신체 부위 정보, 칼로리 정보, 기구 정보, 하중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동된 신체 정보 측정 장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내장 지방, 체내 수분량, 체지방률, BMI(body mass index), 골격량, 근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체중, 상기 내장 지방, 상기 체내 수분량, 상기 체지방률, 상기 BMI(body mass index), 상기 골격량, 상기 근육량에 대한 변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습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음수된 물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섭취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하루 동안 섭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량 정보를 고려하여 잉여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잉여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상기 트레이닝 결과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트레이닝 목표치에 대한 결과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체 상태 목표치에 대한 결과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습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수 목표치에 대한 결과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는,
    중계 서버 또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받고,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 트레이닝을 위한 트레이닝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닝 관리 정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 트레이닝 결과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식습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프로그램 정보는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간 내에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필터링 정보 및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필터링되고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필터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트레이닝 목표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종류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트레이닝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 정보는 낮은 트레이닝 난이도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높은 트레이닝 난이도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점수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한 누적 도전 순서로 정렬 요청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결과 정보는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 및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간별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설정된 특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 결과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의해 단련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트레이닝을 수행한 전체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트레이닝 기록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본 운동 분류 정보, 수행 시간 정보, 신체 부위 정보, 칼로리 정보, 기구 정보, 하중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동된 신체 정보 측정 장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내장 지방, 체내 수분량, 체지방률, BMI(body mass index), 골격량, 근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체중, 상기 내장 지방, 상기 체내 수분량, 상기 체지방률, 상기 BMI(body mass index), 상기 골격량, 상기 근육량에 대한 변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습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음수된 물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섭취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섭취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하루 동안 섭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기초 대사량 정보를 고려하여 잉여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잉여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상기 잉여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상기 트레이닝 결과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트레이닝 목표치에 대한 결과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체 상태 목표치에 대한 결과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습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된 음수 목표치에 대한 결과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트레이닝 서버.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84658A 2016-07-05 2016-07-05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04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58A KR20180004928A (ko) 2016-07-05 2016-07-05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58A KR20180004928A (ko) 2016-07-05 2016-07-05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28A true KR20180004928A (ko) 2018-01-15

Family

ID=6100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58A KR20180004928A (ko) 2016-07-05 2016-07-05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928A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990A (ko) * 2019-04-11 2020-10-21 (주) 로임시스템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운동 지원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220037555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96596B1 (ko) * 2021-12-02 2022-05-10 권상언 운동 스케줄링 시스템
KR102417638B1 (ko) * 2021-01-28 2022-07-05 여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트레이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32395B1 (ko) * 2022-02-17 2022-08-11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WO2023113408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990A (ko) * 2019-04-11 2020-10-21 (주) 로임시스템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운동 지원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KR20220037555A (ko) * 2020-09-17 2022-03-25 주식회사 플래닛350 맞춤형 운동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17638B1 (ko) * 2021-01-28 2022-07-05 여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트레이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96596B1 (ko) * 2021-12-02 2022-05-10 권상언 운동 스케줄링 시스템
WO2023101137A1 (ko) * 2021-12-02 2023-06-08 권상언 운동 스케줄링 시스템
WO2023113408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32395B1 (ko) * 2022-02-17 2022-08-11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KR102432394B1 (ko) * 2022-02-17 2022-08-11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WO2023158036A1 (ko) * 2022-02-17 2023-08-24 권상언 직관적으로 운동량을 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4928A (ko)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6968B1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US20210008413A1 (en) Interactive Personal Training System
TWI650713B (zh) 客製化的訓練建議
US11051767B2 (en) Personalized avatar responsive to user physical state and context
Higgins Smartphone applications for patients' health and fitness
AU2007297673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US84292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roup activities
US201702323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56290B2 (en) Lifestyle companion system
Denning et al. BALANCE: towards a usable pervasive wellness application with accurate activity inference
US20220296966A1 (en) Cross-Platform and Connected Digital Fitness System
US20110179068A1 (en) Computer implemented process for creating an overall health wellness database for a plurality of patients
US2022002277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workout and diet plans
JP2014238791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10107132A (ko) 맞춤형 운동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050559B1 (ko) 유전적 특이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80065593A (ko)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AU2016210760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Hippocrate Ubiquitous Systems for Counting Intake and Burn out Calories
AU2011204846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Barbora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the software for personal sports rec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