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086B1 -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086B1
KR102424086B1 KR1020210001624A KR20210001624A KR102424086B1 KR 102424086 B1 KR102424086 B1 KR 102424086B1 KR 1020210001624 A KR1020210001624 A KR 1020210001624A KR 20210001624 A KR20210001624 A KR 20210001624A KR 102424086 B1 KR102424086 B1 KR 102424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video
unit
fac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416A (ko
Inventor
배익준
주용범
하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핏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핏투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핏투비
Priority to KR102021000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0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운동의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촬영하여 단위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각 세션의 운동처방에 맞도록 각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들을 조합하여 시범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운동에 대한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등록하는 운동동작 등록부;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되고, 각 운동을 반복하는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운동처방 생성부; 홈트레이닝의 강좌를 등록하되, 해당 강좌에 적어도 하나의 운동처방을 매핑하는 강좌 등록부; 각 운동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는 스트리밍부; 및, 각 강좌의 각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되, 상기 스트리밍부를 통해, 해당 강좌의 운동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도록 제어하는 영상세션 관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실시간 영상통신 기술에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을 접목시켜 강사와 수강자가 온라인으로 직접 참여해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홈트레이닝의 효율성을 증대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 A non-face-to-face real-time home training service system by video call }
본 발명은 수강자가 영상통신(video conferencing)을 통해 온라인 강좌에 참석하면, 운동 처방에 따라 시범 영상을 순차적으로 플레이하여 전송하여, 시범 영상의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하도록 서비스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의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촬영하여 단위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각 세션의 운동처방에 맞도록 각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들을 조합하여 시범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대면 홈트레이닝은 강사와 수강자가 PC, 모바일, TV 등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 단말에서 동작하는 영상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정해진 시간에 실시간 영상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는, 홈트레이닝은 운동에 관한 비디오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비디오영상을 VCR이나 PC 등 동영상 재생장치로 플레이 하거나, 피트니스 전용 앱이나 유튜브(YouTube) 등에 접속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동작 관련 시범영상을 각자 주문형(On-Demand) 방식으로 스트리밍하거나 다운로드받아 플레이 하고, 각 사용자가 이러한 동영상을 보면서 따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최근에는 전염병 창궐이나 수강자들의 시간부족 등을 이유로 오프라인에서 직접 접촉하기 보다는 강사와 수강자 모두 TV나 PC, 모바일 등의 다양한 스마트 단말에서 동작하는 실시간 영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된다. 즉, 온라인 강좌에 참석해서 강사의 운동동작 시연 영상을 수강자가 따라하고 다시 강사가 원격지에서 수강자의 잘못된 동작을 교정해 주는 방식으로 비대면 홈트레이닝이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실제 강사의 직접 개입없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사전에 제작된 모델의 운동동작 시범영상을 플레이 하여 제공하고, 수강자가 따라하면 인공지능 코치가 운동동작별로 관절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잘못된 동작을 교정해 주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기존의 비대면 홈트레이닝 서비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VCR이든 PC든 모바일이든 영상으로 재생되는 단순 비디오 튜토리얼을 주문형으로 플레이하면서 수강자가 따라하는 경우 수강자가 운동동작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체크가 불가능하다.
반면, 영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여 실시간으로 비대면 홈트레이닝을 진행하는 경우, 강사의 원격 개입을 통해 수강자의 잘못된 운동동작을 양방향적으로 바로잡아 줄 수 있으나, 모든 세션에 참여해서 수강할 운동동작을 매번 반복적으로 직접 시연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경우 강사가 사전에 자체 제작하거나 제3자가 제작한 운동동작 영상을 실시간 비대면 홈트레이닝에 참석해서 온라인 강의교재로 반복 활용할 수 있다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트레이닝 코칭 서비스의 경우 수강자가 비디오 튜토리얼, 즉 모델의 운동동작 시연영상을 따라하면 강사 대신 인공지능을 통해 자세 교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강자의 영상이 처리되는 각도에 따라 다른 지침을 주는 등 아직 그 성능과 신뢰성은 완벽하다고 할 수 없다. 또한 혼자서 비디오 튜토리얼을 따라하다 운동 중에 부상을 당할 위험이 클 수 있다. 또한, 실제 "강사"의 능동적인 개입이 없이 인공지능만으로 비대면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운동을 지속할 인센티브가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트레이닝 강좌의 효율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따라서 비대면을 통해 강사가 직접 지도하면서 시범 영상을 손쉽게 제작하여 전송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6420호(2016.09.12.공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3553호(2020.11.03.공개)
Michael Grothaus, "Popular Data-Driven Weight Loss App Mixes AI And A Human Touch To Boost Success", Jan 3, 2017, Fast Company, fastcompany.com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동의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촬영하여 단위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각 세션의 운동처방에 맞도록 각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들을 조합하여 시범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적인 운동처방에 대하여 템플릿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템플릿을 불러오고 그 템플릿의 세부 옵션 내용의 수정하여, 운동처방을 구성하도록 지원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운동의 단위 동작의 클립 영상을 반복하는 표준 영상을 생성하고, 각 세트 내에서 특정 운동동작을 수행할 때, 해당 운동동작의 표준 영상을 불러와서 정해진 시간 동안 재생하여 출력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리용 또는 수강용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관리자 단말 및 수강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운동에 대한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등록하는 운동동작 등록부;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되고, 각 운동을 반복하는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운동처방 생성부; 홈트레이닝의 강좌를 등록하되, 해당 강좌에 적어도 하나의 운동처방을 매핑하는 강좌 등록부; 각 운동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는 스트리밍부; 및, 각 강좌의 각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되, 상기 스트리밍부를 통해, 해당 강좌의 운동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도록 제어하는 영상세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동작 등록부는 해당 운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단위 시범 동작으로 등록하고, 상기 스트리밍부는 상기 단위 시범 동작을 반복하는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처방 생성부는 상기 운동처방을 세트로 구성하고, 각 세트 내에 적어도 1개의 운동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해당 세트 내에서 각 운동의 운동량을 설정하고, 해당 세트가 반복되는 라운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각 운동의 운동량은 운동 시간과 반복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세션 관리부는 각 세트의 운동 단위로 상기 스트리밍부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되, 해당 운동의 운동량의 운동시간을 상기 제어명령의 플레이 시간으로, 운동량의 반복횟수를 상기 제어명령의 반복횟수로 설정하고, 상기 스트리밍부는 해당 운동동작의 영상이 상기 제어명령의 플레이 시간 동안 상기 제어명령의 반복 횟수 만큼 단위 동작을 반복하도록, 영상의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영상의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 v를 다음 수식 1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112021001694029-pat00001
단, n은 반복 횟수, △t는 단위 동작의 영상 시간, T는 플레이 시간임.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상기 단위 시범 동작을 반복하는 표준 영상을 제작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표준 영상을 스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해당 운동의 단위 시범 동작이 하나의 세트에서 수행될 수 있는 최대 반복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운동처방의 템플릿을 사전에 설정해두는 템플릿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동처방 생성부는 상기 템플릿을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동처방의 세부 구성을 변경하여 최종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실시간 영상통신 기술에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을 접목시켜 강사와 수강자가 온라인으로 직접 참여해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홈트레이닝의 효율성을 증대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단위 운동동작의 클립 영상을 조합하여 시범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각 세션의 운동처방을 위한 시범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시범 영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동작을 등록하는 예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운동의 운동량을 설정하는 예시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으로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예시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좌 서비스를 등록하는 예시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통신 세션을 참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상의 안내 화면으로서, (a) 관리용 클라이언트, (b) 수강용 클라이언트의 예시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트레이닝 영상 통신의 예시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트레이닝 서비스의 운동처방에 대한 예시 화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강사 등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10), 수강자가 사용하는 수강자 단말(20), 관리자 단말(10) 또는 수강자 단말(20)에 설치되는 관리용/수강용 클라이언트(11,21), 및, 클라이언트(11,21)와 연동하여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트레이닝 서버(30)로 구성된다. 관리자 단말(10) 또는 수강자 단말(20), 및, 홈트레이닝 서버(30) 등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추가로, 강좌 정보, 동작영상 정보 등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관리자 단말(10)은 강사 등 관리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 TV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관리자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관리자 단말(10)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의 출력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터치스크린 등 입력장치, 이동통신망/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하는 통신 소자,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어플 등)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관리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 카메라, 스피커, 통신 소자 등을 통해 영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10)에는 HTML5 기반의 표준 웹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웹 상에서 영상통신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관리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홈트레이닝 서버(30)과 연동하여 비대면 홈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즉,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일 수도 있고 PC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전용 클라이언트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HTML5 기반의 표준 웹브라우저에서 구동되는 웹서비스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홈트레이닝 서버(30)에 접속하여, 운동동작 등록, 운동처방 생성, 강좌 개설, 영상통신 세션 참가, 운동처방의 시범 영상 실시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기본적인 운동동작에 관한 정보, 해당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 등을 등록한다. 또한,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온라인 강좌에서 진행할 운동처방을 생성한다. 운동 처방은 다수의 세트로 구성되고, 각 세트는 하나의 운동 또는 다수의 조합된 운동으로 구성된다. 각 운동(또는 운동동작)의 세부적인 운동량을 설정한다. 또한,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표준적인 운동처방의 세부 구성인 템플릿을 사전에 설정해두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강좌를 생성하고, 강좌의 각 세션에 운동처방을 매핑한다.
또한,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홈트레이닝 서버(30)에 접속하여, 운동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에 참가한다. 이때,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관리자 단말(1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강사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홈트레이닝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는 관리자 단말(10)의 내장 카메라 또는 외장 카메라 일 수 있다.
이때 강사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를 통해 홈트레이닝 서버(30)에 접속하여 수강자와 실시간으로 온라인 강좌를 진행하면서 사전에 정의된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동작별 시범영상을 순차적으로 플레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사가 상기 영상통신 세션에 참여해서, 시범 영상의 출력을 명령하면, 관리용 클라이언트(11)는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동작별 시범 영상의 주소(URL 등)로 순차적으로 호출하면서 각각의 시범영상을 운동처방에서 정해진 시간 또는 횟수 만큼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요청한다.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사전에 저장된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 영상파일을 조회해서 강사와 수강자가 참여하고 있는 영상통신 세션에 로딩되어 있는 비디오 플레이어로 스트리밍 한다.
다음으로, 수강자 단말(20)은 수강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 TV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수강자 단말(2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수강자 단말(20)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의 출력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터치스크린 등 입력장치, 이동통신망/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하는 통신 소자,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어플 등)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수강자 단말(20)은 디스플레이, 카메라, 스피커, 통신 소자 등을 통해 영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강자 단말(20)에는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고, HTML5 기반이 표준 브라우저가 내장되어 있어 WebRTC 기반의 영상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수강자 단말(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홈트레이닝 서버(30)와 연동하여 비대면 홈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즉,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일 수도 있고 PC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전용 클라이언트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HTML5 기반의 표준 웹브라우저에서 구동되는 웹서비스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또한,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홈트레이닝 서버(30)에 접속하여 온라인 강좌 예약, 선택한 강좌의 운동처방 조회 등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상통신을 통해 실시간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하여 수강자에게 영상 및 사운드를 스트리밍 한다.
또한,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사용자 인증을 받고 홈트레이닝 서버(30)에 접속하면 수강시간표에 날짜별로 정의되어 있는 온라인 강좌들 중 수강권한이 있는 강좌의 목록을 다운로드 받아 화면으로 출력해 준다. 수강자에 의해 강좌의 목록에서 온라인 강좌가 선택되어 예약되면, 수업시작 전 일정 시간 내에 온라인 강좌 시작 알림을 발생하고, 참석 명령에 따라 영상통신 세션의 실제 비대면 홈트레이닝에 참석한다.
또한,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수강자 단말(2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강자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홈트레이닝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는 수강자 단말(20)의 내장 카메라 또는 외장 카메라 일 수 있다.
또한, 수강용 클라이언트(21)는 강사가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하여 호출한 비디오 플레이어를 통해 운동처방에서 정해진 시간과 횟수만큼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영상을 순차적으로 플레이한다.
즉, 강사가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하여 비디오 플레이어를 로딩한 후 플레이 를 하면,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사전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의 주소(URL 등)를 참조하여 호출하면서 스트리밍을 요청한다.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 파일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조회하여 해당 영상을 비디오 플레이어로 스트리밍한다. 강사의 명령에 따라 실행시킨 비디오 플레이어는 스트리밍되는 운동동작 영상을 수신받아 수강자와 강사에게 플레이한다.
이와같이 수강자는 수강용 클라이언트(21)를 통해 자신이 예약한 온라인 강좌가 진행되는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하여, 운동처방에서 정해진 대로 순차적으로 플레이되는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영상을 따라한다. 또한, 강사 역시 강사용 클라이언트(11)를 통해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하여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영상을 따라하는 수강자의 영상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또한, 강사는 모니터링을 통해, 잘못된 동작을 바로 잡아주는 방식으로 비대면 홈트레이닝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통상의 서버로서, 클라이언트(11,21)와 연동하여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홈트레이닝 서버(30)는 클라이언트(11,21)와 함께,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 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운동동작 등록, 운동처방 생성, 강좌 개설 등 비대면 홈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홈트레이닝 서버(30)는 각 운동에 대한 운동 동작에 관한 정보(또는 운동동작 정보)를 등록하고, 각 운동 동작의 시범 영상을 업로드 한다. 운동 동작은 해당 운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말한다.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은 해당 운동을 수행하는 영상으로서, 단위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또는 동영상이다.
운동동작 정보는 시범 영상의 주소 정보, 운동량 변수 정보, 속성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운동량 변수 정보는 해당 운동의 운동량으로 설정할 수 있는 변수의 종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운동량 변수의 종류는 반복 횟수, 무게, 시간 등이다. 운동동작의 속성 정보는 운동의 명칭, 운동의 분류, 자세, 운동 기구의 유무, 단련 신체 부위 등 해당 운동의 일반적인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특정한 운동 목적을 위한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처방을 생성한다. 운동 처방은 특정한 운동 목적을 위한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된 처방을 말한다. 운동 처방은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된다.
또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표준적인 운동처방의 세부 구성을 운동처방 템플릿으로 사전에 설정해두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각 운동처방에 대해, 운동처방의 시범 영상을 매핑할 수 있다. 즉,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운동 처방의 각 운동에 대하여 시범 영상을 매핑한다. 바람직하게는, 강사 등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매핑될 수 있다. 이때, 운동처방의 시범 영상에 대한 주소로 매핑된다.
또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강사 등 관리자(또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에 의해 강좌를 개설하고 강좌 속성을 설정하여 생성한다. 특히, 강좌에서 수행할 운동처방을 매핑한다.
홈트레이닝 서버(30)은 강좌의 각 세션에서 수행될 영상통신 세션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통신 세션은 강좌의 각 운동 세션에서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세션을 말한다. 영상통신 세션 정보는 영상통신 세션명, 세션 주소(웹 URL 등) 또는 세션 아이디(세션ID), 비밀번호, 참석 정원, 통신방식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홈트레이닝 서버(30)은 영상 통신의 프로토콜만 설정하고, 나머지 세부 구성은 온라인 강좌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홈트레이닝 서버(30)은 강사 등 관리자에 의해, 해당 강좌의 수강시간표를 작성한다.
또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각 강좌의 각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수강자 또는 강사를 인증하여 해당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시킨다. 또한, 해당 강좌의 운동처방을 구성하는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시켜준다.
한편,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운동동작의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스트리밍 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영상통신을 하기 위한 별도의 영상통신 서버를 구비하여, 영상통신 서버가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작업을 전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통신 서버가 강사와 수강자에게 실시간 영상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어떤 강좌의 수강시간표 작성시 매핑된 영상통신 세션의 세션명, 세션주소, 비밀번호 등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홈트레이닝 서버(30)는 영상통신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저장하는 시범영상DB(41), 운동처방 정보 또는 템플릿 정보를 저장하는 운동처방DB(42), 강좌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강좌DB(4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또는 홈트레이닝 시스템)은 도 1의 홈트레이닝 서버(30)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홈트레이닝 시스템의 도면 부호도 홈트레이닝 서버(30)와 동일하게 부여한다.
도 2에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은 각 운동에 대한 운동동작에 대한 정보 및 시범 영상을 등록하는 운동동작 등록부(31),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운동처방 생성부(32), 홈트레이닝의 강좌를 등록하는 강좌 등록부(34), 각 강좌의 각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영상세션 관리부(35), 및,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는 스트리밍부(36)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운동처방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생성부(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운동동작 등록부(31)는 각 운동에 대한 운동 동작에 관한 정보(또는 운동동작 정보)를 등록하고, 각 운동 동작의 단위 시범 영상을 업로드 한다. 특히, 운동동작 등록부(31)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의 요청에 의해 등록하거나 업로드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동 동작은 해당 운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말한다. 운동은 세트 단위로 수행하는데 1회 세트에서 단위 동작을 여러번 반복한다. 예를 들어,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운동의 경우, 단위 동작은 웨이트를 한번 들어올리는 동작을 말한다. 벤치 프레스 운동의 1회 세트에서 10번으로 설정해두면, 1세트에서 단위 동작을 10번 반복한다. 이와 같이, 최소 단위의 동작을 운동 동작 또는 단위 동작이라 부르기로 한다.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은 해당 운동을 수행하는 영상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은 단위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또는 동영상이다.
운동동작 정보는 시범 영상의 주소 정보, 운동량 변수 정보, 속성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주소 정보는 시범 영상의 위치 정보 또는 식별 정보 등으로서, 시범 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운동량 변수 정보는 해당 운동의 운동량으로 설정할 수 있는 변수의 종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운동량 변수의 종류는 반복 횟수, 무게, 시간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푸시업 운동은 반복 횟수와 시간만을 설정할 수 있고, 벤치 프레스 운동은 반복 횟수와 시간 외에도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운동은 반복 횟수나 시간만으로 설정할 수 있게 정할 수 있다. 또한, 휴식 등 운동은 시간만 설정한다.
운동동작의 속성 정보는 운동의 명칭, 운동의 분류, 자세, 운동 기구의 유무, 단련 신체 부위 등 해당 운동의 일반적인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운동처방 생성부(32)는 특정한 운동 목적을 위한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처방을 생성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동 처방은 특정한 운동 목적을 위한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된 처방을 말한다. 운동 처방은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된다. 운동은 세트 단위로 수행되고, 세트 단위의 운동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세트를 라운드라 하고, 하나의 운동은 n회(적어도 1회) 라운드를 수행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나의 세트 내에는 하나 또는 2 이상 운동을 조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세트 내에서 조합된 2이상의 운동들을 모두 수행하는 것이, 해당 세트의 하나의 라운드를 완료하는 것이다.
운동 처방은 운동 세트, 각 세트의 운동 종류(운동 또는 운동 동작) 및 그 조합 순서, 각 운동 세트의 라운드 수, 각 운동(또는 운동 동작)의 운동량으로 구성된다.
한편, 동일한 운동 조합의 세트라 하더라도, 라운드 별로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운드가 증가할 때마다 반복 횟수를 2회씩으로 늘린다 등의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운동 처방은 3개의 운동 세트로 구성되고, 첫번째 운동 세트는 쿼드 스트레치, 프레트젤로 조합되고, 2번째 운동 세트는 백 스쿼트, 케틀벨 스윙, 벤치 프레스 등 3가지로 조합된다. 또한, 3번째 운동 세트는 스탠딩 햄스티링 스트레치, 워킹런지로 조합된다. 또한, 각 운동 세트는 2, 4, 2 라운드로 반복되도록 설정된다. 각 운동 세트는 나열된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또한, 운동처방 생성부(32)는 각 운동(또는 운동 동작)의 운동량을 설정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동량은 1세트 운동의 운동량으로서, 운동량 변수의 변수값, 즉, 반복횟수, 시간, 무게 등의 실제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벤치 프레스 운동의 경우, 1세트 동안, 반복 횟수 10회, 무게 20kg, 시간 30초 등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템플릿 생성부(33)는 운동처방 템플릿을 사전에 설정해둔다.
운동처방 생성부(32)는 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생성할 수 있다. 운동처방은 셋트와 운동동작 및 반복 라운드를 조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템플릿은 운동처방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구조로서, 다수의 템플릿별로 표준적인 세부 구성을 사전에 설정해 둔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템플릿 생성부(33)는 강사 등 관리자에 의해, 템플릿이 선택되면, 해당 템플릿의 세부 구성으로 운동처방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때, 홈트레이닝 서버(30)는 강사 등 관리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운동처방의 세부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템플릿으로 생성한 후, 자신이 원하는 일부만 수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운동처방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좌 등록부(34)는 강사 등 관리자(또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에 의해 강좌를 개설하고 강좌 속성을 설정하여 생성한다. 특히, 강좌에서 수행할 운동처방을 매핑한다.
강좌는 하나의 세션 또는 다수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세션은 1회 운동처방을 수행하는 단위를 말한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좌 속성은 강좌를 규정하는 세부 항목들로서, 운동 종목(요가, 필라테스, 스피닝, 크로스핏, 헬스 등), 수업방식 (개인레슨, 단체강좌 등), 수강시간, 수강정원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7(b)와 같이, 강좌 등록부(34)는 해당 강좌에서 수행할 운동처방을 적어도 하나를 매핑한다. 운동처방은 해당 강좌의 각 세션에서 수행된다.
강좌 등록부(34)는 강좌의 각 세션에서 수행될 영상통신 세션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통신 세션은 각 세션에서 영상 통신을 수행하는 세션을 말한다. 영상통신 세션 정보는 영상통신 세션명, 세션 주소(웹 URL 등) 또는 세션 아이디(세션ID), 비밀번호, 참석 정원, 통신방식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강좌 등록부(34)는 영상 통신의 프로토콜만 설정하고, 나머지 세부 구성은 온라인 강좌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홈트레이닝 서버(30)을 통해 미리 영상통신 세션을 개설한 후 강좌 개설시 온라인 강좌를 진행할 영상통신 세션 ID나 URL을 수작업으로 직접 셋팅하는 것이 아니라, 강좌 개설시 온라인 강좌가 진행될 시간을 설정해 놓기만 하면 사전에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직접 영상통신 세션이 자동으로 개설되고 세션 ID 또는 URL을 결과값으로 반환받아 강좌의 세부 항목에 자동 셋팅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또한, 도 7(b)와 같이, 강좌 등록부(34)는 강사 등 관리자에 의해, 해당 강좌의 수강시간표를 작성한다.
수강시간표 작성에는 일정기간 정해진 시간에 반복되는 단체 강좌와 회원이 원하는 시간에 예약하는 개인레슨 등 두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강사를 비롯한 관리자가 일방적으로 입력하여 설정하고, 후자의 경우 각 수강자의 요청에 따라 각 트레이너가 입력하여 특정시간에 예약이 결정된다. 이를 통해 강사는 각 강좌 또는 각 세션에 사전에 생성된 운동처방을 지정하고, 실제 비대면 홈트레이닝을 진행할 실시간 영상통신 세션의 ID 또는 URL 정보(또는 접속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영상세션 관리부(35)는 각 강좌의 각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수강자 또는 강사를 인증하여 해당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시킨다. 또한, 영상세션 관리부(35)는 스트리밍부(36)를 제어하여, 해당 강좌의 운동처방을 구성하는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시켜준다.
바람직하게는, 영상통신을 하기 위한 별도의 영상통신 서버를 구비하여, 영상통신 서버가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전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통신 서버가 강사와 수강자에게 실시간 영상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영상세션 관리부(35)는 어떤 강좌의 수강시간표 작성시 매핑된 영상통신 세션의 세션명, 세션주소, 비밀번호 등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영상세션 관리부(35)는 영상통신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통신 서비스의 구성은 설계적 사항으로서, 통상의 다양한 구현 방식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각각 영상통신 세션을 참석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 상에 표시된 화면이고, 도 8(b)는 수강용 클라이언트(21) 상에 표시된 화면이다. 도 8(a)와 도 8(b)의 화면 상에서, 강사 또는 수강자는 강좌 참석의 명령을 선택하여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한다.
또한, 도 9는 영상통신 세션에서의 관리용/수강용 클라이언트(11,21) 상에 표시된 홈트레이닝 서비스 화면 또는 영상통신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트레이닝 서비스의 영상통신 화면은 시범 영상, 강사 영상, 수강자 영상 등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영상세션 관리부(35)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강사 영상으로 출력하고, 수강용 클라이언트(2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수강자 영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세션 관리부(35)는 스트리밍부(36)에 의해 스트리밍 되는 시범 영상을 시범 영상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시범 영상을 플레이하는 영상 플레이가 구동된다. 또한, 클라이언트(11,21)에서 영상 플레이어에 의해 시범 영상이 출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세션 관리부(35)는 강사의 명령에 의해, 운동처방의 각 세트의 운동에 대한 운동처방의 시범 영상을 순차적으로 플레이 하여 스트리밍 한다.
즉, 강사는 관리용 클라이언트(11)를 통해 영상통신 세션에 참석하여 수강자와 실시간으로 온라인 강좌를 진행하면서, 사전에 정의된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동작별 시범영상을 순차적으로 플레이한다.
영상세션 관리부(35)는 강사에 의한 시범 영상의 출력 명령을 받으면,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동작별 시범 영상의 주소(URL 등)로 순차적으로 스트리밍부(36)에게 호출하고, 각각의 시범영상을 운동처방에서 정해진 시간 또는 횟수 만큼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영상세션 관리부(35)는 시범 영상파일을 가져와서, 강사와 수강자가 참여하고 있는 영상통신 세션에 로딩되어 있는 비디오 플레이어로 스트리밍 한다.
특히, 영상세션 관리부(35)는 각 세트의 운동 단위(또는 세트의 라운드 단위)로 스트리밍부(36)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명령은 운동동작의 주소, 플레이 시간, 반복 횟수로 구성된다. 각 운동의 운동량의 운동시간을 플레이 시간으로, 운동량의 반복횟수를 제어명령의 반복횟수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HIIT의 일종인 타바타(TABATA)는 1세트당 4분 운동이고, 1 라운드에서 특정 동작을 20초 동안 최대한 수행하고, 10초 쉬고, 2 라운드에서 다음 동작을 20초 동안 최대한 수행하고, 10초 쉬고, …, 8 라운드에서 마지막 동작을 20초 동안 최대한 수행하고 끝나는 형태로 8라운드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각 라운드별로 스트리밍부(36)에 명령을 전달하여 스트리밍을 제어한다.
운동동작의 주소는 운동동작의 단위 시범 영상이 저장된 주소 또는 운동동작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 등이다. 즉, 스트리밍부(36)는 주소 또는 아이디를 통해 해당 운동동작의 영상을 식별하여 가져올 수 있다. 플레이 시간은 해당 운동동작을 플레이하는 전체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반복횟수는 해당 단위 동작을 반복하는 횟수를 말한다.
한편, 영상세션 관리부(35)는 각 라운드, 각 운동 사이에 정해진 휴식시간을 가지는데, 휴식 시간 동안에 트랜지션 영상을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스트리밍부(36)는 스트리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한다.
한편, 앞서 별도의 영상통신 서버를 구비하는 경우, 스트리밍부(36)의 기능도 영상통신 서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하는 제어 명령은 운동동작의 주소, 반복 횟수, 시간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리밍부(36)는 운동동작의 단위 동작을 반복하는 표준 영상을 제작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표준 영상을 스트리밍 한다. 이때, 벤치 프레스의 표준 영상은 벤치 프레스의 단위 영상을 20회 반복하는 영상으로 제작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준 영상은 해당 운동동작이 1라운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최대 반복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영상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벤치 프레스의 최대 반복 횟수가 30번이라면, 30번 반복하는 영상으로 표준 영상을 제작한다.
또한, 스트리밍부(36)는 해당 운동동작의 영상이 플레이 시간 동안 반복 횟수 만큼 단위 동작을 반복하도록, 표준 영상의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운동동작의 단위 동작의 영상 시간이 2초인데, 제어명령의 반복 횟수가 10회이고, 플레이 시간이 40초라고 가정한다. 이때, 운동동작의 배속을 0.5배로 낮추어야 10회 반복 동작이 40초 동안 진행할 수 있다.
표준 영상의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 v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01694029-pat00002
여기서, n은 반복 횟수, △t는 단위 동작의 영상 시간, T는 플레이 시간을 나타낸다.
즉, 스트리밍부(36)는 표준영상을 플레이 시간 동안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으로 스트리밍 한다.
한편, 스트리밍부(36)는 각 라운드, 각 운동 사이에 정해진 휴식시간 동안에 트랜지션 영상을 스트리밍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홈트레이닝 서비스의 운동처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운동 처방에 따라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 영상의 플레이리스트가 생성된다.
강사가 영상통신 세션에 참여하여 비디오 플레이어를 실행시키고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운동처방에 따라 생성된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 영상의 플레이리스트를 불러와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플레이한다.
이때 유저에게 한세트가 종료되고 다음 셋트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해 셋트와 셋트 사이에 짧은 트랜지션 영상을 삽입한다.
먼저, 1 세트는 워밍업을 위한 준비운동으로서 5가지 동작들을 2 라운드 반복한다. 즉, 5가지 동작별 영상을 각각 1분씩 순차적으로 플레이하고, 전체 동작을 한 라운드 더 반복해서 플레이한다.
즉, 햄스트링 스트레칭 영상 1분 플레이 > 고관절 스트레칭 영상 1분 플레이 > 삼두 스트레칭 영상 1분 플레이 > 점핑 잭 영상 1분 플레이 > 리버스 런지 영상 1분 플레이한다. 그리고 다시 햄스트링 스트레칭 영상 1분 플레이 > ….> 리버스 런지 영상 1분까지 2라운드 플레이가 끝난다. 그리고 2세트 메인워크아웃이 시작된다는 트래지션(Transition) 영상이 짧게 플레이되고 다음 셋트인 첫번째 영상인 푸쉬업 버피 영상이 플레이된다.
다음으로, 2 세트는 본격적인 운동, 4가지 개별적인 운동 동작별 영상이 순차적으로 각각 1분 동안 12회 또는 20회씩 정해진 횟수만큼 플레이되고 마지막 1분간 휴식하는 방식으로 4 라운드 반복한다. 단, 다음 라운드로 넘어갈 때마다 1분 동안 횟수가 2회씩 증가되어야 하므로 플레이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
다음으로, 3 세트는 운동종료 후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쿨다운으로서 4가지 동작들의 영상을 30초씩 플레이하고, 한번 더 반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강자가 정해진 시간에 모바일이나 PC, TV 등의 단말에서 동작하는 영상통신(video conferencing)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강좌에 참석해서 강사 - 스포츠센터, 헬스클럽 등에서 일하는 코치나 트레이너 또는 학원의 선생님 등 - 가 강의 교재로 사전에 구성한 운동 프로그램(이하 운동처방과 동의어로 사용함)에 따라 모델의 운동동작별 시범영상을 순차적으로 플레이 한다. 그리고 수강자는 순차적으로 플레이되는 모델의 운동동작별 시범영상을 하나씩 따라한다. 또한, 강사 또한 다양한 단말에서 영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강좌에 참여해서 모델의 시범영상을 따라 하는 수강자의 운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구두나 직접 시현 등 원격 개입(remote intervention)을 통해 수강자의 잘못된 자세를 수정해준다.
이와같이 영상통신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비대면 원격강좌는 일대일로 이루어지는 개인 레슨이나 일대다로 이루어지는 단체강좌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단 운동이나 춤과 같은 신체동작에 관한 온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언어학습이나 그림, 노래 등 반복적인 시연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강사가 웹이나 모바일 앱 또는 PC 클라이언트 기반으로 동작하는 운동처방 생성툴(이하 운동처방 생성부)을 활용해서 수천개의 운동동작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운동동작 DB에서 각 세션별 운동목적에 따라 실행할 운동동작들을 선별적으로 조합해서 거리와 무게, 반복횟수 등 운동량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구체적인 운동처방을 사전에 구성해 놓고, 온라인 강좌의 커리큘럼으로 지정해 놓으면, 실제 영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으로 해당 온라인 강좌를 진행할 때 강사가 비디오 플레이어를 호출해서 플레이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사전에 생성된 운동처방으로 정의된 대로 복수의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영상이 순차적으로 플레이된다. 따라서 수강자가 영상으로 전송되는 모델의 시범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하면서 따라할 수 있다.
즉, 강사가 온라인 강의 교재로 사전에 만들어 놓은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동작별 영상파일의 목록(이하 "플레이리스트"라함)이 생성되고, 온라인 강좌에 참석하여 이것을 플레이시키면 실시간 영상통신 세션을 통해 자체 또는 제3자의 클라우드에 저장된 모델의 운동동작별 시범영상이 운동처방에서 정해진 시간, 횟수만큼 순서대로 스트리밍된다.
구체적으로 모델의 시범 영상은 푸시업이나 백스?? 등 수천개의 개별 적인 운동동작별로 강사가 직접 제작하거나 또는 제3자가 사전에 제작해서 영상파일을 자체 또는 제3자의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해 놓으면 생성되는 URL 링크 정보를 웹이나 앱 등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운동동작의 프로파일 정보로 DB에 입력시켜 놓는다. 이 상태에서 강사가 운동동작 DB에서 강의교재로 사용할 원하는 운동동작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사전에 운동처방을 구성해 놓으면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영상의 목록, 즉 동영상 플레이리스트가 생성된다.
강사가 나중에 영상통신 세션에 참여하여 상기 운동처방에 따라 생성된 플레이리스트를 호출하면 에이전트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각각의 운동영상 파일의 URL을 운동처방에서 정해진 횟수, 시간만큼 순서대로 스트리밍 서버에 호출하거나 중지하는 등 영상세션을 통해 모델의 운동동작 시범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에서 정해진 대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운동동작 영상의 URL을 순차적으로 호출하면 스트리밍 서버에서 비디오 플레이어로 운동동작별 모델의 시범영상을 영상통신 세션을 통해 스트리밍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관리자 단말 11 : 관리용 클라이언트
20 : 수강자 단말 21 : 수강용 클라이언트
30 : 홈트레이닝 서버 31 : 운동동작 등록부
32 : 운동처방 생성부 33 : 템플릿 생성부
34 : 강좌 등록부 35 : 영상세션 관리부
36 : 스트리밍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시범영상DB
42 : 운동처방DB 43 : 강좌DB
80 : 네트워크

Claims (8)

  1. 관리용 또는 수강용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관리자 단말 및 수강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각 운동에 대한 운동동작의 시범 영상을 등록하는 운동동작 등록부;
    다수의 운동으로 구성되고, 각 운동을 반복하는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운동처방 생성부;
    홈트레이닝의 강좌를 등록하되, 해당 강좌에 적어도 하나의 운동처방을 매핑하는 강좌 등록부;
    각 운동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는 스트리밍부; 및,
    각 강좌의 각 세션을 위한 영상통신 세션을 생성하여 관리하되, 상기 스트리밍부를 통해, 해당 강좌의 운동의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 하도록 제어하는 영상세션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처방 생성부는 상기 운동처방을 세트로 구성하고, 각 세트 내에 적어도 1개의 운동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해당 세트 내에서 각 운동의 운동량을 설정하고, 해당 세트가 반복되는 라운드를 설정하고,
    각 운동의 운동량은 운동 시간과 반복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세션 관리부는 각 세트의 운동 단위로 상기 스트리밍부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되, 해당 운동의 운동량의 운동시간을 상기 제어명령의 플레이 시간으로, 운동량의 반복횟수를 상기 제어명령의 반복횟수로 설정하고,
    상기 스트리밍부는 해당 운동동작의 영상이 상기 제어명령의 플레이 시간 동안 상기 제어명령의 반복 횟수 만큼 단위 동작을 반복하도록, 영상의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을 제어하고,
    상기 스트리밍부는 영상의 스트리밍 속도의 배속 v를 다음 수식 1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수식 1]
    Figure 112022017518910-pat00016

    단, n은 반복 횟수, △t는 단위 동작의 영상 시간, T는 플레이 시간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동작 등록부는 해당 운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 동작을 단위 시범 동작으로 등록하고,
    상기 스트리밍부는 상기 단위 시범 동작을 반복하는 시범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상기 단위 시범 동작을 반복하는 표준 영상을 제작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표준 영상을 스트리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부는 해당 운동의 단위 시범 동작이 하나의 세트에서 수행될 수 있는 최대 반복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운동처방의 템플릿을 사전에 설정해두는 템플릿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동처방 생성부는 상기 템플릿을 이용하여 운동처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동처방의 세부 구성을 변경하여 최종 운동처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01624A 2021-01-06 2021-01-06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KR102424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24A KR102424086B1 (ko) 2021-01-06 2021-01-06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24A KR102424086B1 (ko) 2021-01-06 2021-01-06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16A KR20220099416A (ko) 2022-07-13
KR102424086B1 true KR102424086B1 (ko) 2022-07-21

Family

ID=8240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624A KR102424086B1 (ko) 2021-01-06 2021-01-06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0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393A (ko) * 2013-10-04 2015-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방법
KR101615532B1 (ko) * 2014-01-24 2016-05-11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60106420A (ko) 2015-03-02 2016-09-12 김태희 퍼스널 트레이닝을 위한 온라인 휘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043878B1 (ko) * 2017-06-05 2019-11-12 김지훈 온라인 운동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8980B1 (ko) * 2017-11-07 2019-11-01 (주)아이유웰 헬스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
KR102266219B1 (ko) * 2019-05-08 2021-06-17 아이픽셀 주식회사 퍼스널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73553B1 (ko) 2019-09-26 2020-11-03 주식회사 베니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능동형 맞춤 운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16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16457A1 (en) Virtual interactive fitness platform
US2016032193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chieve group exercise outcomes
US81811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llaboration
US9842508B2 (en) Online interactive fitness trainer
US11996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sisted activity training
US20130137073A1 (en) Software and method for indoor cycling instruction
CN108074431B (zh) 一种应用vr技术演讲实训的系统及方法
US20070162933A1 (en) Dynamicaly mixing and streaming media files
KR102161034B1 (ko) 운동강의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강의 제공 방법
US20230071274A1 (en) Method and system of capturing and coordinating physical activities of multiple users
CN111445738A (zh) 一种在线运动动作辅导方法及系统
Ménard et al. Circus also needs performance psychology: Facts and realities of consulting at Cirque du Soleil
KR102424086B1 (ko) 영상 통화에 의한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KR20160063968A (ko) 온라인 협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857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Digitally Rendered Avatar of a Subject Person
Senger et al. Serious gaming: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through play with the multimedia platform SilverGame
TWI687252B (zh) 網路教學訓練系統及其教學訓練方法
JP7390640B2 (ja) 運動教育システム、サーバ装置、運動教育支援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824921B (zh) 肢體運動的訓練系統及其訓練方法
AU2019100753A4 (en) A method of exercise training
Torrejon et al. Panoramic audio and video: towards an immersive learning experience
CN110728599A (zh) 一种在线学习交流平台
KR102431970B1 (ko) 트레이너와 수강자 간 인터랙션 우선순위정보를 제공하는 홈트레이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00011299A (ko) E-스포츠 교육을 위한 웹소켓을 이용한 양방향 원격화면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0410B1 (ko) 다중 디지털 교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