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44B1 -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44B1
KR102042944B1 KR1020187003067A KR20187003067A KR102042944B1 KR 102042944 B1 KR102042944 B1 KR 102042944B1 KR 1020187003067 A KR1020187003067 A KR 1020187003067A KR 20187003067 A KR20187003067 A KR 20187003067A KR 102042944 B1 KR102042944 B1 KR 10204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air
granular material
dischar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919A (ko
Inventor
오사무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Publication of KR2018002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65G2812/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09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65G65/483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moving material over a stationary surface, e.g. sweep arms or wh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hut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배출슈트의 선단부(7)을 역절두원뿔형상의 내부슈트(23)과 외부슈트(24)에 의해 구성하고, 내부슈트(23)의 외면과 상기 외부슈트(24)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S)를 설치해, 양 슈트의 하단 사이 공간(S)에 연통하는 제 1 에어 배출구(26)을 설치하고, 외부슈트(24)의 외주면을 포위하고, 내부에 공기 웅덩이(27')를 가지는 원통부(27)을 설치하고, 원통부(27)의 하면의 내주변과 외부슈트(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구를 설치함으로써, 공기 웅덩이(27')에 연통하는 제 2 에어 배출구(28)을 설치하고, 외부슈트(24) 및 원통부(27)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하는 에어 입력관(25, 29)를 각각, 접속하고, 제 1, 제 2 에어 배출구(26, 28)에서 드라이에어를 분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
본 발명은 분립체 공급기의 배출슈트(chute) 근방에서의 결로의 발생, 흡습 등에 의한 원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해조의 상부에 분말 응집제(분립체)의 분립체 공급기를 설치하여, 용해조 내에 배출슈트로부터 응집제를 용해조에 낙하 공급하고, 용해조 내에서 물을 교반하여, 응집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장치가 존재한다(특허문헌 1).
이러한 분말 응집제의 용해장치의 배출슈트 근방은, 습도가 높은 것 등으로부터 해당 배출슈트 근방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용해조로부터 수적의 튀어 오름이 배출슈트 하단부에 부착하는 것도 있어, 배출슈트 하단부 근방에 응집제가 덩어리가 되어 부착하는 것도 있다.
거기서, 배출슈트를 이중구조로 하여, 배출슈트 내부의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고, 배출슈트 선단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배출슈트 선단부에 있어서, 결로수의 정류(停留)를 방지하고, 응집제 원료의 부착 등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제 2012-9115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제 2011-2559036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2의 장치에서는, 배출슈트의 선단부로부터 슈트의 내부 방향으로 부착되는 원료를 방지할 수 있지만, 배출슈트의 선단부 외주부에도 덩어리로 되어 부착하는 것이 있으므로, 이러한 원료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출슈트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흡습성·조해성 있는 분립체를 저류하고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슈트부만 아니라, 분립체의 공급기내 및/또는 저류부(호퍼)내에서도, 분립체가 공기중의 수분을 받아들여 덩어리로 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슈트부만 아니라, 공급부 및/또는 저류부에서도, 분립체에서의 수분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분립체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근방의 결로의 발생, 흡습 등에 의한 원료(분립체 등)의 부착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를 사용한,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분립체 공급기 및/또는 저류부(호퍼) 등에서도 분립체의 수분흡수를 억제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에, 분립체 공급기의 배출구에 설치된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를 역절두원뿔형상의 내부슈트와 외부슈트에 의해 이중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슈트의 외면과 상기 외부슈트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설치해, 양 슈트의 양 하단 사이에, 상기 공간에 연통하는 제 1 에어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슈트의 외주면을 포위하여 내부에 공기 웅덩이를 가지는 원통부를 설치하고, 해당 원통부의 하면의 내주변과 상기 외부슈트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 위치의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여, 상기 공기 웅덩이에 연통하는 제 2 에어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슈트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원통부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상기 공간 및 상기 공기 웅덩이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외부슈트용 및 원통부용의 에어 입력관을 각각 접속한 것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출슈트에서 분립체가 낙하하는 동안, 배출슈트의 하단부의 제 1 에어 배출구에서 드라이에어가 하방을 향해 분출하므로,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부 근방에 발생하는 결로, 또는 배출슈트의 하단부에 있어서, 흡습한 분립체 재료의 덩어리가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어 배출구가 외부슈트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 위치에서 하방을 향해 드라이에어를 분출하므로, 외부슈트의 하단의 외주부의 결로의 발생, 또는 상기 하단의 외주부에 분립체가 덩어리로 되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2에, 제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슈트의 상기 하단은, 상기 외부슈트의 상기 하단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는, 상기 내부슈트의 하단 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외슈트부 하단에 발생하려는 분립체의 덩어리를 제 1 에어 배출구에서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슈트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부착을 제 2 에어 배출구에서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3에, 제 1 또는 제 2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공급기는, 밑판 상에 외통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외통과 중심축을 공유하는 내통을 그 하단이, 상기 밑판에서 소정 거리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외통의 상단과 상기 내통의 외면을 환상판에서 폐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중심축 상에 상기 밑판을 따라 복수의 회전날개를, 각 회전날개의 선단부가 상기 외통의 내면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내통 내에 공급된 분립체를 상기 내외통 사이의 환상통로로 유출 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환상통로 내의 분립체를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상기 밑판에 설치된 상기 배출구로 반송(搬送)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상기 환상통로 내에 상기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외통용의 에어 입력관을 접속한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분립체 공급기의 외통용의 에어 입력관에서 환상통로 내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함으로써, 환상통로 내를 상시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상통로 내에서 분립체의 흡습에 의한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환상통로 내에 도입된 드라이에어는, 환상통로 내의 배출구에서 배출슈트를 통해서 배출슈트 하단에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슈트 내를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슈트 하단 근방의 내주부에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상기 내주부에 부착하려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4에, 제 3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부에 분립체를 저류할 수 있는 호퍼를 접속하고,
상기 호퍼의 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호퍼 내에 상기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호퍼용의 에어 입력관을 접속한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호퍼 내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함으로써, 호퍼 내를 건조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호퍼 내에서 분립체의 흡습 등에 의한 호퍼 내면의 덩어리의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5에, 제 4에 있어서,
상기 외부슈트용, 상기 원통부용, 상기 외통용 및 상기 호퍼용의 각 에어 입력관에, 각각, 접속된 배관을 설치하여, 컴프레서를 통해, 상기 배관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공통의 배관으로 상기 외부슈트 내의 공간, 상기 원통부 내의 공기 웅덩이, 상기 환상통로 내, 상기 호퍼 내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배관구성을 간단화하고 간이한 구성으로, 결로, 흡수 또는 흡습에 의한 분립체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6 에, 제 3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를 응집제 용해장치의 용해조의 상면판 상에 고설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의 개구를, 상기 용해조의 액체를 향하여 하향으로 향해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용해조의 유체를 향하여 분립체로서의 응집제를 낙하 공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습도가 높고, 결로 또는 응집제의 덩어리가 발생하기 쉬운 응집제 용해장치에 있어서,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지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슈트의 하단부 근방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 또는 배출슈트의 하단부에서, 흡습한 분립체 재료의 덩어리가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어 배출구가 외부슈트 하단보다 약간 상방 위치에서 하방을 향해 드라이에어를 분출하므로, 외부슈트 하단의 외주부의 결로의 발생, 또는 상기 하단의 외주부에 분립체가 덩어리가 되어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외 슈트부 하단에 발생하려는 분립체의 덩어리를 제 1 에어 배출구에서 하향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슈트 하단부의 외주면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부착을 제 2 에어 배출구에서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립체 공급기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함으로써, 환상통로 내를 상시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환상통로 내에서 분립체의 흡습에 의한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환상통로 내에 도입된 드라이에어는, 배출구에서 배출슈트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슈트 내를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슈트 하단 근방의 내주부에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호퍼 내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함으로써, 호퍼 내에서 분립체의 흡습 등에 의한 호퍼 내면의 덩어리의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통의 배관으로 상기 외부슈트 내 공간, 상기 원통부 내 공기 웅덩이, 상기 환상통로 내, 상기 호퍼 내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배관구성을 간단화하고 간이한 구성으로 결로, 흡수, 또는 흡습에 의한 분립체의 덩어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높고, 결로 또는 응집제의 덩어리가 발생하기 쉬운, 응집제 용해 장치에 있어서,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를 사용한 분립체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의 결로방지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Y-Y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Z-Z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의 분립체 공급장치를 응집제 용해장치에 적응시킨 경우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를 사용한, 분립체 공급장치(1)의 전체구조를 나타낸다. 이 도면을 사용하여, 해당 분립체 공급장치의 전체구조를 설명한다. 
호퍼(2)는, 흡습성, 조해성이 높은 분립체(R), 예를 들면, 응집제를 수납하고 저류한다. 호퍼(2)는, 원통형의 상통(2a)와 해당 상통(2a)의 하부에 이어 설치된 역원뿔형의 하통(2b)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느 것이나, 중심축(P)를 공통의 중심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호퍼(2)의, 상기 상통(2a)의 측면(외주면)에는, 후술의 드라이에어를 호퍼(2)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에어 입력관(3)이 호퍼 내부에 관통상태로 접속되어있다.
상기 하통(2b)의 하부 플랜지(2c)에는,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는, 단통(4)가, 그 상부 플랜지(4a)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단통(4)의 하방에는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5)가 접속되어있다.
이 분립체 공급기(5)는, 하단의 직육면체상의 케이스(6)의 상면(6a)에 수평으로 고설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6) 내에는, 상기 분립체 공급기(5)의 회전 날개(14)의 구동용 전동기(M), 및 상기 분립체 공급기(5)의 배출슈트(18), 및 후술하는 드라이에어 공급용 배관(35, 36, 38)등을 수납 배치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6)은,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립체로서, 가루의 응집제(약제)의 용해조(20)의 상면판(21)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립체 공급기(5)에서 배출 슈트(18)를 통하여, 교반수(22)을 향하여 응집제를 낙하 공급하는 것이다 (화살표 D 방향).
상기 분립체 공급기(5)는,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면(6a) 상에 고정된 밑판(10) 및 밑판(10) 상에 있어서의, 하부 플랜지(9a)에 의해 고정되어있다. 분립체 공급기(5)는, 외통(9)와, 내통(8)과, 환형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9)는,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는, 내통(8)보다 직경이 크다. 내통(8)은, 외통(9)보다 직경이 작고, 외통(9)의 안쪽에 동심으로 설치된 것으로,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여, 위쪽 가장자리를 상기 단통(4)에 폐쇄상태로 접속되어, 해당 단통(4)와 동일한 직경이다. 환상판(11)은, 상기 내통(8)의 위쪽 가장자리와 상기 외통(9)의 위쪽 가장자리를 폐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외통(9)와 내통(8)과의 사이에 분립체의 환상통로(13)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내통(8)의 외주면에는, 관형의 조정통(12)가 상기 환형판(11)의 상면측에서 삽통된 조정볼트(B)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이 조정통(12)는, 상기 볼트(B)에 의해 상하이동 시킴으로써, 해당 조정통(12) 하단과 상기 밑판(10)과의 간격(t1), 즉, 분립체의 내통(8) 내에서, 상기 환상통로(13)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립체(R)은 상기 내통(8) 내에서, 상기 간격(t1)에 따른 안식각(θ)에서 상기 환상통로(13) 측으로 유출하게 된다 (도 2 참조).
회전날개(14)는, 상기 중심축(P) 상에 설치된 중심 회전축(30)을 중심으로서, 상기 밑판(10)을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있다. 이 회전날개(14)는, 상기 밑판(10)의 하측에 설치된 전동기(M)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캡(14a)는, 상기 중심 회전축(30)에 장착되어있다. 또한, 전동기(M)에는, 감속기(31)가 접속되고, 감속기(31)이 회전날개(14)에 접속되어있다.
상기 회전날개(14)는, 그 선단부는 상기 외통(9)의 내주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선단부에 링(15)이 고정되어있어, 해당 링(15)의 외주면은, 상기 외통(9)의 내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링(15)의 안쪽의 상기 회전날개(14, 14) 사이에는, 3 본씩의 고리(16)이, 링(15)의 내주면에서 중심축(P)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링(15)의 고리(16)은, 상기 밑판(10)을 따라 설치되고, 각 선단부는 상기 내통(8)의 하단 위치까지 도달해 있다. (도 3 참조).
또한, 상기 밑판(10)의 판면의 일부에는, 배출용 개구 (배출구)(17)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호퍼(2) 내에 수납된 분립체(R)은, 상기 내통(8)의 내부에, 상기 밑판(10) 위쪽까지 수납되고, 상기 간격(t1)에서 상기 환상통로(13)에 안식각(θ)로 유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날개(14)를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환상통로(13) 내에 있어서, 상기 고리(1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환상통로(13) 내의 분립체는 고리(16) 및 회전날개(14)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결과, 상기 분립체(R)은, 상기 배출용 개구(17)로부터 하방으로 정량적으로 낙하 공급되어 간다.
상기 배출용 개구(17)에 대응하여, 상기 밑판(10)의 하면측에서 상기 케이스(6) 내의 수직 하방으로 향해, 중심축(P')를 중심축으로 단면 원통형의 배출슈트(1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슈트(18) 하단에 역절두원뿔형상의 배출슈트의 선단부(7)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7)에 접속된 원통부를 원통 슈트(18')한다.
상기 분립체 공급기(5)의 상기 외통(9)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개구(17)의 위치로는 원주 방향으로 180도 사이에 둔 배면측에, 상기 분립체 공급기(5) 내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입력관(19)가, 상기 외통(9)의 내부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있다. 이 에어 입력관(19)는, 상기 외통(9)의 외주면의 접선에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해당 에어 입력관(19)으로부터, 상기 환상통로(13) 내에 따른 상반된 두 방향 (화살표 G, G'방향)에 에어가 도입된다.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도 4 내지 도 7 참조).
상기 원통 슈트(18')의 단부 플랜지(18a)의 하측에는,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는 역절두원뿔형상의 내부슈트(23)의 상부 플랜지(23a)가 접속된다. 더욱이, 그 상부 플랜지(23a)의 하측에는,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고, 상기 내부슈트(23)보다 상부(플랜지부)가 직경크기의 역절두원뿔형상의 외부슈트(24)의 상부 플랜지(24a)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플랜지(18a), 상기 상부 플랜지(23a, 24a)가 볼트(B)로 접속고정 되어있다 (도 4 참조). 따라서, 상기 내부슈트(23)의 하단은, 상기 원통 슈트(18')에 연통하는 원형의 개구(2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내부슈트(23)과, 상기 외부슈트(24)는, 어느 것도 동일한 중심축(P')(상기 중심축 (P)와 평행)을 공통 중심축으로 하고, 상기 내부슈트(23)의 상단 플랜지(23a)의 부분(상부)의 반경은, 상기 외부슈트(24)의 상단 플랜지(24a)의 부분(상부)의 반경보다 작으므로, 상기 내부슈트(23)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슈트(2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 (역절두원뿔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슈트(24)와 상기 내부슈트(23)의 각 하단 사이는, 상기 공간(S)에 연통하는 환상의 외부슈트(24) 의 환상의 제 1 에어 배출구(26)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슈트(24)의 외주면에, 상기 공간(S) 내에 드라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외부슈트의 에어 입력관(25)가, 상기 외부슈트(24)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있다(도 4, 도 6 참조). 이 에어 입력관(25)는, 내부슈트(23) 또는 외부슈트(24)의 외주면의 수평방향의 접선에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에어 입력관(25)으로부터, 상기 공간(S) 내에 도입된 에어는, 상기 공간(S) 내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에어 배출구(26)으로부터 하방으로 분출되도록 구성되어있다(도 4, 화살표 E 참조).
또한,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슈트(23)의 하단부보다 거리(t2)만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슈트(23)의 하단부의 외주 근방은, 항상 아래 방향의 에어의 흐름이 생기게 하고, 이에 따라, 내부슈트(23)의 하단부의 외주면 근방에 결로의 발생 또는 재료의 덩어리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반부를 포위하도록,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부(27)를 설치하고, 해당 원통부(27)의 상면(27a)의 내주변을 상기 외부슈트(24)의 외주면에 밀폐 상태로 접속하고, 해당 원통부(27)의 하면(27b)의 내주변(27b')를, 상기 외부슈트 (24)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제 2 에어 배출구(28)를 설치한다(도 7 참조). 이 원통부(27)은, 그 외주면(27c)이 상기 중심축(P')를 공통 중심축으로 수직면을 형성하고 있고, 그 결과, 해당 원통부(27)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반부를 둘러싸는 환상공간인 공기 웅덩이(27')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27)의 상기 외주면(27c)에는, 해당 원통부(27)의 내부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원통부의 에어 입력관(29)가, 해당 외주면(27c)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있다. 이 에어 입력관(29)는, 해당 원통부(27)의 외주면(27c)의 접선에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입력관(29)로부터, 상기 공기 웅덩이(27')내에 도입된 공기는, 환상의 에어 웅덩이(27')에 따른 상반된 두 방향 (C, C'방향, 도 7 참조)에 도입된다. 또한, 공기 웅덩이(27')에 도입된 드라이에어는, 공기 웅덩이(27')내에 있어서,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되고, 이것으로 공기 웅덩이 내의 공기는, 하방의 제 2 에어 배출구(28)에서 기세 좋고, 균등하게 하방을 향하여 분출된다(도 4, 화살표 F 참조).
또한, 상기 에어 입력관(29)로부터, 상기 공기 웅덩이(27')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공기 웅덩이(27')에 드라이에어를 충진한 후에,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로부터 드라이에어가 분출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에서 거의 균등하게 드라이에어를 안정적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 
상기 원통부(27)의 상기 내주변(27b')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 방향에 돌출되는 돌기(27b")가 일정각도간격 (본 실시형태에서는 60도 간격)으로 6 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각 돌기(27b")의 내단부는 상기 외부슈트(24)의 외주면에 접속되어있다(도 5, 도 7 참조). 따라서,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따른 6 개의 원호상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내부슈트(23)의 상기 하단은, 상기 외부슈트(24)의 상기 하단보다 약간 (예를 들면, t2 = 5 mm 정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4 참조),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은, 상기 내부 슈트(23)의 하단 위치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까지의 거리(t3)은, 예를 들어, 10 mm 정도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외슈트(23, 24)의 하단에 발생하려는 분립체의 덩어리를 제 1 에어 배출구(26)으로부터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부착을 제 2 에어 배출구 (28)로부터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 (도 4의 화살표 F 참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돌기(27b")가, 상기 외부슈트(24)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의 폭, 즉, 상기 원통부(27)의 상기 내주변(27b')및 상기 외부슈트(24)와의 클리어런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은,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보다 약간(거리 t3)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있다. 이것으로,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28)로부터 하방으로 에어의 흐름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 외주면 근방에 결로의 발생 또는 원료의 덩어리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구조는, 상기 원통부(27)의 부분에 있어서, 내부슈트(23), 외부슈트(24), 원통부(27)의 삼중 구조의 슈트로 되어있다.
상기 케이스(6)의 일 측면의 외측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 밸브(31)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31)에 접속된 배관(32)가, 상기 케이스(6)에 도입되어, 해당 케이스(6) 내의 공기압계(33)을 통해, 2 개의 삼방분기관(34, 35)에 접속되고, 상기 삼방분기관(34)의 한 출력부에 접속된 출력관(36)이, 상기 에어 입력관(29)에 접속되고, 상기 삼방분기관(35)의 한쪽 출력부에 접속된 배관(37)이, 상기 에어 입력관(25)에 접속되고, 상기 삼방분기관(35)의 다른 출력부에 접속된 배관(38)이, 상기 에어 입력관(19)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배관(38)의 일부가, 상기 호퍼(2)의 상통(2a)의 에어 입력관(3)에 접속되어있다.
또한, 상기 주 밸브(31)은, 드라이에어 컴프레서(39)에 접속되어 있으며, 해당 컴프레서(39)로부터 드라이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주 밸브(31)를 열면 드라이에어가 상기 배관(32), 삼방분기관(34), 배관(36)을 통해, 상기 원통부(27) 내에 도입되고, 상기 삼방분기관(35) 및 배관(37)을 통해,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공간(S) 내에 도입되며, 또한, 상기 배관(38)를 통해, 상기 분립체 공급기(5)의 환상통로(13) 내에 도입되고, 이외에, 상기 배관(38)를 통해, 상기 호퍼(2)의 상기 에어 입력관(3)으로부터, 상기 호퍼(2) 내에 드라이에어가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호퍼(2)에는, 호퍼(2)를 밀폐 가능한 윗 뚜껑(43)이 설치되고, 분립체 공급기(5)의 외통(9)에는, 밀폐가능 메인터넌스용 윗 뚜껑(44)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에는, 밀폐가능 메인터넌스용 윗 뚜껑(45)가 설치되어있다.
도 1, 도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 공급장치(1)의 구조는, 호퍼(2)에서 분립체 공급기(5)의, 분립체의 유통경로 (호퍼(2), 분립체 공급기(5)의 내부, 원통 슈트(18') 및 배출슈트의 선단부(7))에 있어서, 분립체가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개구(23')에 이르기까지, 즉 호퍼(2), 분립체 공급기(5), 배출슈트의 선단부(7)에 이르기까지, 외기가 유입되지 않는, 완전히 밀폐된 구조이다. 이러한 밀폐 구조의 분립체 공급장치(1) 내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능한 한 소량의 드라이에어로 배출슈트의 하단부에서의 결로의 발생 또는 분립체 재료의 흡습에 의한 덩어리의 부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이하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집제의 용해조(20)의 상면판(21)에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호퍼(2) 내에는, 흡습성, 조해성을 가지는 분립체인 응집제(약제)(R)이 저류되어 있으며, 그 응집제(R)은, 하부의 분립체 공급기(5)의 내통(8) 내에 이르러, 상기 내통(8)의 하단부 (또는 조정링(12)의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안식각(θ)에서 환상통로(13) 내에 유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컴프레서에서 드라이에어를 개폐 밸브(31)를 통해, 케이스(6) 내 배관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드라이에어는, 상기 공기압계(33)를 통해서 삼방분기관(34), 배관(36)을 통해, 에어 입력관(29)보다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원통부(27)에 도입되고, 동시에, 상기 삼방분기관(35) 및 배관(37)를 통해 에어 입력관(25)로부터 공간(S)에 도입된다.
동시에, 상기 드라이에어는, 상기 삼방분기관(35) 및 배관(38)를 통해, 에어 입력관(19)보다 분립체 공급기(5)의 환상통로(13) 내에 공급되고, 또한, 배관(38)을 통해 에어 입력관(3)보다 호퍼(2)의 상부에서 호퍼(2) 내에 도입된다.
그 후, 상기 전동기(M)을 구동하고, 분립체 공급기(5)의 회전날개(14)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자, 환상통로(13) 내에 유출된 응집제는, 통로(13) 내의 고리(16) 및 회전날개(14)의 화살표 A 방향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옮겨지고, 해당 환상통로(13)의 배출용 개구(17)로부터 하방으로 정량적으로 낙하 공급된다.
상기 배출용 개구(17)로부터 낙하한 응집제(R)은, 배출슈트(18) 내를 하강하고, 역절두원뿔형상의 배출슈트의 선단부(7)에 이르러, 해당 슈트 선단부(7)의 내부슈트(23) 내를 하강하고, 하단의 개구(23')에서 하방으로 낙하 공급해간다.
상기 개구(23')에서 낙하한 응집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용해조(20)의 교반수(22) 내에 낙하해간다. 그 후에는, 교반기(40)에서 교반된 후, 칸막이판(41)를 통해, 용해 완료액 저수조(42) 내에 이행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상기 케이스(6) 내에는, 습도가 높고,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내부슈트(23)의 하단에 결로가 부착하기 쉽고, 또한, 응집제(R)이, 결로수를 흡수하여 덩어리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하단의 환상의 제 1 에어 배출구(26)의 전주(全周)에서 하방으로 향해 드라이에어가 항상 분출하고 있으므로, 만일 내부슈트(23)의 하단과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 사이에 결로가 발생했다고 해도, 상기 하향의 드라이에어에 의해 털어낼 수 있고, 같은 위치에 응집제의 덩어리가 발생했다 해도, 상기 하향의 드라이에어에 의해 털어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부슈트(23)의 하단 내부에 응집제의 덩어리가 발생할 수는 없다.
또한, 외부슈트(24)의 하단의 외주부에도 결로 또는 응집제의 덩어리가 발생하려고 하지만,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원통부(27)의 제 2 에어 배출구(28)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상기 외부슈트(24)의 외주면을 따라서 하향으로 드라이에어를 분사하므로, 상기 결로수 또는 응집제의 덩어리를 하방으로 털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27) 내에 공기 웅덩이(27')을 설치하고, 공기 웅덩이(27') 내를 고압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소량의 드라이에어라도 제 2 에어 배출구(28)로부터 힘차게 대략 균등하게, 에어를 배출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결로수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입력관(19)로부터 분립체 공급기(5) 내에 도입된 드라이에어는, 환상통로(13) 내를 화살표 G, G'방향으로 도입하고, 환상통로(13) 내를 유통하고, 또한, 일부는, 배출구(17)을 통해서, 원통슈트(18') 및 배출슈트의 선단부(7)을 통해서, 상기 개구(23')에서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분립체 공급기(5)의 환상통로(13) 내, 배출구(17)로부터 원통슈트(8') 및 배출슈트의 선단부(7)에 이르는 분립체의 이동 경로에서, 항상 드라이에어를 유통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내부슈트(23)의 내면, 상기 원통슈트(18')의 내면, 상기 환상통로(13)의 내면과 상면 등에서, 상기 드라이에어의 유통에 의해 낮은 습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립체 공급기(5)의 환상통로(13), 원통슈트(18'),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분립체의 유통경로에서, 결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결로수의 흡수에 의한 응집제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라이에어는, 호퍼(2)의 상기 상통(2a) 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호퍼(2) 내가, 상시 저습도의 상태로 유지되고, 그 결과, 호퍼(2) 내에서,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호퍼(2) 내에서, 결로수의 발생에 따른 응집제의 덩어리의 발생, 상기 덩어리의 호퍼 내벽에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호퍼(2)에서는, 상부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호퍼(2) 내로의 분립체의 투입 직후의 흡습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도 8에 나타낸 응집제 용해장치를 사용하여, 분립체로서의 「응집제(R) 」의 공급시험을 실시했다. 호퍼(2) 내에 응집제(R)을 수납하고, 분립체 공급기(5)를 구동하여, 배출슈트의 선단부(7)에서 교반수(22)에 응집제(R)을 연속적으로 낙하 공급했다. 동시에, 용해조(20) 내에서 교반기(40)을 회전시켜 교반수(22)를 교반하고, 교반 후의 교반수(22)를 용해 완료액 저수조(42)로 이행시켰다.
상기 공급동작 중에, 컴프레서(39)를 작동시켜 공기압계(33)의 공기압 0.66 MPa ~ 0.75 MPa, 유량 10L / min ~ 20L / min (유속 0.5m / sec ~ 1.0m / sec)의 드라이에어를 연속적으로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에어 입력관(25, 29) 및 분립체 공급기(5)의 에어 입력관(19), 호퍼(2)의 에어 입력관(3)에 공급했다.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구경은 40 mm, 분립체 공급기(5)의 구경은 200 mm로했다.
상술의 조건에서, 응집제(R)의 공급동작을 약 4 시간 계속적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하단 (외부슈트(24)의 하단부 외주, 내부슈트(23)의 하단부 내 외주)에는,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부착은 전혀 발생하지 않고,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부착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분립체 공급기(5)의 환상통로(13) 내부에서도,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환상통로 내면에의 부착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호퍼(2)의 상부 내면에서도,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내면에의 부착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분립체 공급기(5) 내, 호퍼(2) 내에도 드라이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분립체 공급기(5) 내, 호퍼(2) 내에서 결로, 흡습 및 조해 등에 따른 응집제의 덩어리의 내면에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립체 공급장치에 외기를 유입시키지 않고, 가능한 한 소량의 드라이에어로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하단 근방에 발생하는 결로, 또는 배출슈트의 선단부(7) 하단부에서 흡습된 분립체 재료의 덩어리가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어 배출구(28)이, 외부슈트(24)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드라이에어를 분출하므로, 외부슈트(24)의 하단의 외주부의 결로의 발생, 또는 상기 하단의 외주부에 분립체가 덩어리가 되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외슈트(23, 24) 하단에 발생하려는 분립체의 덩어리를 제 1 에어 배출구(26)으로부터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로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슈트(24)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부착을 제 2 에어 배출구(28)로부터 하방으로 분사하는 드라이에어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립체 공급기(5)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함으로써, 환상통로(13) 내를 상시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환상통로(13) 내에서 분립체의 흡습에 의한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환상통로(13) 내에 도입된 드라이에어는, 배출구(17)로부터 배출슈트의 선단부(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내부슈트(23) 내를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슈트의 선단부(7)의 하단 근방의 내주부에 발생하려는 결로 또는 분립체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호퍼(2)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하여, 호퍼(2) 내에서 분립체의 흡습 등에 의한 호퍼 내면의 덩어리의 부착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통의 배관으로 상기 외부슈트(24) 내 공간(S), 상기 원통부(27) 내의 공기 웅덩이(27'), 상기 환상통로(13) 내, 상기 호퍼(2) 내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배관구성을 간단화하고, 간이한 구성으로 결로, 흡수 또는 흡습에 의한 분립체의 덩어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높고, 결로 또는 응집제의 덩어리가 발생하기 쉬운 응집제 용해 장치에 있어서, 결로 및 응집제의 덩어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분립체로서 응집제를 나타냈지만, 분립체로서 응집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습성, 조해성이 있는 다른 약제, 그 분립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사용하여도, 결로의 발생, 원료의 흡습 등에 의한, 덩어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응집제 용해장치, 그 밖에 습도 높은 환경 하에서 분립체 공급장치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2 호퍼
3 호퍼용 에어 입력관
5 분립체 공급기
7 선단부
8 내통
9 외통
11 환상판
13 환상통로
14 회전날개
19 외통용의 에어 입력관
23 내부슈트
23'개구
24 외부슈트
25 외부슈트의 에어 입력관
26 제 1 에어 배출구
27 원통부
27'공기 웅덩이
27b'내주변(內周緣)
28 제 2 에어 배출구
29 원통부의 에어 입력관
P중심축

Claims (8)

  1. 분립체 공급기의 배출구에 설치된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슈트의 선단부를 역절두원뿔형상의 내부슈트와 외부슈트에 의해 이중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슈트의 외면과 상기 외부슈트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설치해, 양 슈트의 양 하단 사이에, 상기 공간에 연통하는 제 1 에어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슈트의 외주면을 포위하여 내부에 공기 웅덩이를 가지는 원통부를 설치하고, 해당 원통부의 하면의 내주변과 상기 외부슈트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 위치의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여, 상기 공기 웅덩이에 연통하는 제 2 에어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원통부의 상기 내주변에는 상기 외부슈트의 상기 외주면에 접속된 복수의 돌기가 설치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는, 상기 외부 슈트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원호상의 슬릿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외부슈트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원통부의 상기 외주면에, 각각, 상기 공간 및 상기 공기 웅덩이에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외부슈트용 및 원통부 용의 에어 입력관을 각각 접속한 것인,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슈트의 상기 하단은, 상기 외부슈트의 상기 하단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에어 배출구는, 상기 내부슈트의 하단 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배출슈트의 결로방지 장치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공급기는, 밑판 상에 외통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외통과 중심축을 공유하는 내통을 그 하단이 상기 밑판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외통의 상단과 상기 내통의 외면을 환상판에서 폐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중심축 상에 상기 밑판에 따라서 복수의 회전날개를, 각 회전날개의 선단부가 상기 외통의 내면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내통 내에 공급된 분립체를 상기 내외통 사이의 환상통로에 유출 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환상통로 내의 분립체를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상기 밑판에 설치된 상기 배출구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상기 환상통로 내에 상기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외통용의 에어 입력관을 접속한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부에 분립체를 저류할 수 있는 호퍼를 접속하고,
    상기 호퍼의 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호퍼 내에 상기 드라이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호퍼용의 에어 입력관을 접속한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슈트용, 상기 원통부용, 상기 외통용 및 상기 호퍼용의 각 에어 입력관에, 각각, 접속된 배관을 설치하여, 컴프레서를 통해, 상기 배관에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를 응집제 용해장치의 용해조의 상면판 상에 고설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의 개구를, 상기 용해조의 액체를 향하여 하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용해조를 향하여 분립체를 낙하 공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를 응집제 용해장치의 용해조의 상면판 상에 고설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의 개구를, 상기 용해조의 액체를 향하여 하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용해조를 향하여 분립체를 낙하 공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공급장치를 응집제 용해장치의 용해조의 상면판 상에 고설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하단의 개구를, 상기 용해조의 액체를 향하여 하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용해조를 향하여 분립체를 낙하 공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장치.



KR1020187003067A 2015-11-26 2016-11-18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 KR102042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0433 2015-11-26
JP2015230433A JP6192701B2 (ja) 2015-11-26 2015-11-26 排出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及び粉粒体供給装置
PCT/JP2016/084260 WO2017090525A1 (ja) 2015-11-26 2016-11-18 排出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粉粒体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919A KR20180025919A (ko) 2018-03-09
KR102042944B1 true KR102042944B1 (ko) 2019-11-08

Family

ID=5876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067A KR102042944B1 (ko) 2015-11-26 2016-11-18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94030B2 (ko)
EP (1) EP3381840B1 (ko)
JP (1) JP6192701B2 (ko)
KR (1) KR102042944B1 (ko)
CN (1) CN107848708B (ko)
WO (1) WO2017090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7605B2 (en) * 2015-05-14 2019-12-17 Wittmann Battenfeld Canada Inc. Method and system of vacuum loading
JP6192701B2 (ja) * 2015-11-26 2017-09-06 株式会社ヨシカワ 排出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及び粉粒体供給装置
CN107235426A (zh) * 2017-07-24 2017-10-10 太平洋水处理工程有限公司 一种重介质粉原位拆包投加一体机
CN113184563B (zh) * 2021-04-19 2022-08-19 江苏瑞能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石子煤排渣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037A (ja) * 2000-08-18 2002-02-26 Freunt Ind Co Ltd スプレーガン及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処理装置、並びに粉粒体処理方法
JP2012091156A (ja) * 2010-09-29 2012-05-17 Yoshikawa:Kk 凝集剤溶解装置
JP2013253756A (ja) * 2012-06-08 2013-12-19 Yoshikawa:Kk 粉粒体供給機における気体送給装置
JP2015202930A (ja) * 2014-04-14 2015-11-16 株式会社ヨシカワ 粉粒体排出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2661A (en) * 1936-05-19 1940-03-05 Linde Air Prod Co Nozzle
US2924487A (en) * 1957-07-19 1960-02-09 Fr Hesser Maschinenfabrik Ag F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bulk materials
DE1219392B (de) * 1964-03-10 1966-06-16 Peters Ag Claudius Vorrichtung zum Befuellen von in wenigstens einer horizontalen Richtung an wechselnder Stelle befindlichen, nach oben offenen Einfuellstutzen
US3305142A (en) * 1965-05-21 1967-02-21 Ducon Co Aerating apparatus
DE2616430B2 (de) * 1975-04-30 1981-01-22 Spitzer Silo- Fahrzeugwerk Kg, 6950 Mosbach Vorrichtung zum Einstürzen von Kaminbildungen bei einem sich nach unten konisch verengenden Auslauftrichter für pneumatisch förderbares Schüttgut
SE447461B (sv) * 1985-04-25 1986-11-17 Npk Za Kontrolno Zavaratschni Sammansatt munstycke for plasmatron
JPH0651509B2 (ja) * 1988-04-22 1994-07-06 修 吉川 粉粒体用フィーダー
JPH0680190A (ja) * 1991-04-24 1994-03-22 Osamu Yoshikawa 粉粒体用フイーダーにおける排出シュート結露防止法及びその装置
US5704554A (en) * 1996-03-21 1998-01-06 University Of Georgia Reseach Foundation, Inc. Electrostatic spray nozzles for abrasive and conductive liquids in harsh environments
US5765761A (en) * 1995-07-26 1998-06-16 Universti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Electrostatic-induction spray-charging nozzle system
JPH1060617A (ja) * 1996-08-22 1998-03-03 Suruzaa Meteko Japan Kk 高速フレーム溶射方法
JP2005263468A (ja) * 2004-03-22 2005-09-29 Fuji Tekku Kk 粉塵防止機能付ホッパ装置
CA2467316A1 (en) * 2004-05-14 2005-11-14 British Columbia Hydro And Power Authority Dry ice blasting cleaning apparatus
DE102008018530B4 (de) * 2008-04-08 2010-04-29 Kjellberg Finsterwalde Plasma Und Maschinen Gmbh Düse für einen flüssigkeitsgekühlten Plasmabrenner, Anordnung aus derselben und einer Düsenkappe sowie flüssigkeitsgekühlter Plasmabrenner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DE102008061689B3 (de) * 2008-12-11 2010-06-02 Spitzer Silo- Fahrzeugwerke Gmbh Behälter für rieselfähiges Schüttgut mit mindestens einem an dem Behälter befestigten Auslaufkonus
JP2011255903A (ja) * 2010-06-05 2011-12-22 Yoshikawa:Kk 粉粒体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
JP5926725B2 (ja) * 2011-03-10 2016-05-25 エア・ウォーター株式会社 ドライアイススノー噴射装置
CN202910008U (zh) * 2012-09-27 2013-05-0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氧化镁除尘气刀装置
JP5714766B1 (ja) * 2014-12-03 2015-05-07 大和製衡株式会社 組合せ秤
JP6192701B2 (ja) * 2015-11-26 2017-09-06 株式会社ヨシカワ 排出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及び粉粒体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037A (ja) * 2000-08-18 2002-02-26 Freunt Ind Co Ltd スプレーガン及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処理装置、並びに粉粒体処理方法
JP2012091156A (ja) * 2010-09-29 2012-05-17 Yoshikawa:Kk 凝集剤溶解装置
JP2013253756A (ja) * 2012-06-08 2013-12-19 Yoshikawa:Kk 粉粒体供給機における気体送給装置
JP2015202930A (ja) * 2014-04-14 2015-11-16 株式会社ヨシカワ 粉粒体排出シュートにおける結露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48708B (zh) 2019-07-19
KR20180025919A (ko) 2018-03-09
CN107848708A (zh) 2018-03-27
WO2017090525A1 (ja) 2017-06-01
US10294030B2 (en) 2019-05-21
JP2017095255A (ja) 2017-06-01
JP6192701B2 (ja) 2017-09-06
US20180194558A1 (en) 2018-07-12
EP3381840A4 (en) 2019-07-10
EP3381840B1 (en) 2023-07-26
EP3381840A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44B1 (ko) 배출슈트에서의 결로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립체 공급장치
KR101170174B1 (ko) 혼합장치 및 슬러리화장치
US9441882B2 (en) Gas feeding apparatus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feeder
CN205397069U (zh) 一种防堵塞饲料输送装置
EP2035128B1 (en) An apparatus for dissolving solid particles and liquid substances in a liquid
US10435039B2 (en) Sanding system comprising a protected motor
CN107051273B (zh) 一种环保复合饲料制备系统
JPS643774B2 (ko)
KR20130016262A (ko) 건조 분사 도포를 위해 재료를 건조 운반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828242A (zh) 一种有机肥生产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0221172A (ja) 逆洗装置
RU2291830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установка
CN105055168A (zh) 一种药物颗粒制粒系统
CN207811340U (zh) 污水处理系统用碳酸钠投加装置
US2854173A (en) Dispensing apparatus
RU2289540C1 (ru) Питатель
CN218087961U (zh) 一种新型卧式水泥罐
CN213286687U (zh) 一种肥料混合用进料装置
RU2374162C2 (ru) Шлюзовой питатель
CN214398162U (zh) 供料系统
AU1987199A (en) A dosing device and a method for dosed feeding of grained, pelletized or granulated mass material out from a container
RU2340537C2 (ru) Шлюзовой питатель
JP2010052883A (ja) 貯留タンクの粉粒体排出装置
CN205512283U (zh) 一种用于种猪饲料微量元素的添加机
JPS5911944Y2 (ja) 粒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