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558B1 -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558B1
KR102042558B1 KR1020190057239A KR20190057239A KR102042558B1 KR 102042558 B1 KR102042558 B1 KR 102042558B1 KR 1020190057239 A KR1020190057239 A KR 1020190057239A KR 20190057239 A KR20190057239 A KR 20190057239A KR 102042558 B1 KR102042558 B1 KR 10204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sink
tray
food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도마가 펼쳐지거나 원위치됨과 동시에 음식물이 자동으로 도마로부터 낙하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가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공간(130)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제거하는 제거부재(300)와; 상기 제거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부재(30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350)와; 상기 세척공간(13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분사노즐(132)과; 상기 세척공간(13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을 살균하는 살균등(134)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마의 분실이 방지되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Sink table with a chopping board}
본 발명은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마를 싱크대에 내장시키는 한편, 자동으로 도마가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도마가 원위치됨과 동시에 음식물이 자동으로 도마로부터 낙하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요리사가 칼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잘게 썰거나 절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마를 싱크대 주위에 항상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싱크대에 사용시마다 수동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등록번호 10-1696317호와 같이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도마를 단순히 내장시킨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도마를 인출하거나 보관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은 물론, 요리된 음식물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집하여야 하므로 붚편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631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마를 싱크대에 내장시켜 자동으로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도마 위에서 잘게 썰어진 음식물이 자동으로 트레이에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사가 부대 작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보다 즐겁게 요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가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공간(130)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제거하는 제거부재(300)와; 상기 제거부재(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부재(30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350)와; 상기 세척공간(13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분사노즐(132)과; 상기 세척공간(13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을 살균하는 살균등(134)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공간(130)에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좌우 이동을 지지하는 도마레일홈(200')과, 모터(Motor)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1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저면 일단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10)과 나사 결합하는 랙기어(220)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좌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지지대(410)와;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에 분리 가능하게 놓여지며, 상기 유동도마(20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거트레이(4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각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사각프레임(412)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구비되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판(414)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돌기(416)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며,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기지지대(41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트레이(430)는,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는 사각테두리(432)와; 상기 사각테두리(432)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4)와; 상기 경사지지부(434)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그물(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집수단(400)이 수용되는 트레이공간(450)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 하단에는,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수용되는 차폐단턱(452)이 더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돌기(416)가 수용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트레이레일(454)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부재(300)에는, 하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킹(310)과; 우측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음식물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면(320)과; 상기 푸시면(320)의 전후에 쌍으로 형성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면(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좌측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산부(122)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볼록산부(122)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돌기(416)가 수용되는 돌기홈(122')이 상측으로 함몰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 저면에는, 상기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림턱(202)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202)은, 상기 차폐판(414)의 상단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마가 싱크대에 내장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도마의 분실이 방지되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싱크대에 내장된 도마가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어 싱크대에 펼쳐진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완료된 도마는 스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도마 위의 음식물은 자동으로 트레이에 낙하하여 수집된다. 따라서, 요리가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도마 위의 음식물을 낙하시에는 제거부재가 자동으로 작동함은 물론, 음식물이 도마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고 안쪽으로 모이도록 경사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의 수집이 보다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음식물을 수집하는 제거트레이는 트레이지지대(사각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수집된 음식물을 옮기기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저장그물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좌측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우측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집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와 수집수단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좌측 내부 및 우측 내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집수단과 제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가 우측으로 인출된 상태와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와 수집수단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유동도마(200)가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공간(130)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측에서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제거하는 제거부재(300)와, 상기 제거부재(30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350)와, 상기 세척공간(1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분사노즐(132)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을 살균하는 살균등(134)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싱크볼(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다이(110)와 우측다이(120)보다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싱크볼(100)과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는 싱크지지대(140)에 의해 건물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싱크지지대(14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고, 각종 요리도구나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 또는 음식재료 등의 저장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싱크볼(100)에서는 음식물의 용기 등이 수용되어 수돗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싱크볼(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싱크볼(10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하측의 배수로(도시되지 않음)로 안내하는 싱크홀(10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좌측다이(110)와 우측다이(120)는 요리사(가정주부 등)가 음식물을 올려놓고 요리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좌측다이(110)는 우측다이(120)보다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측에는 상기 세척공간(130)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동도마(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세척공간(130)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게 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일반적인 도마와 재질 및 그 기본 역할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공간(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 등이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기 세척공간(130)의 저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로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싱크홀(102)의 하부와 연결되어 세척이 이루어진 세척수 및 오물이 하측으로 모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세척배수로(136)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공간(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가 수용되며, 이러한 유동도마(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거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제거부재(300)는, 좌우로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거부재(300)의 좌측에는 상기 실린더(350)가 구비되며, 이러한 실린더(3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제거부재(30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거부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50)의 로드(352) 우측단에 연결되며, 이러한 실린더(350)는 가스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등 어떠한 형태든 무관하며, 이러한 실린더(350)의 기본 역할과 구조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거부재(300)는 전체적으로는 'ㄷ'자 형상(상면에서 볼 경우)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인 음식물이 전후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우측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거부재(300)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킹(310)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음식물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면(320)과, 상기 푸시면(320)의 전후에 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면(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310)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이 말끔히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면(320)은, 상기 제거부재(300)의 우측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음식물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푸시면(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300)의 좌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가이드면(330)은, 상기 푸시면(320)의 전후에 쌍으로 형성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푸시면(32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각각의 경사가이드면(330) 사이의 거리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거부재(300)가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유동도마(200)에 놓인 음식물이 상기 경사가이드면(330)에 의해 점차 중앙으로 모여 상기 푸시면(320)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척공간(130)의 외부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눌러 동작을 제어하는 도마버튼(150a)과 제거버튼(150b) 및 세척버튼(150c) 등의 조작버튼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세척공간(130)의 내부 천장에는 상기 분사노즐(132)과 살균등(134)이 더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132)은, 상기 세척버튼(150c)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등(134)은 상기 분사노즐(132)에 의해 유동도마(200)의 세척이 완료되면, 소정 시간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공간(130)에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좌우 이동을 지지하는 도마레일홈(200')과, 모터(Motor)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도마레일홈(200')은 상기 세척공간(13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쌍으로 형성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마레일홈(200')에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단 선단과 후단이 걸어져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는 상기 도마레일홈(200')에 수용되는 도마레일단(200")이 전후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공간(130)의 우측단에 설치되며, 이러한 피니언기어(21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시계?항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도마(200)의 저면에는 랙기어(220)가 일체로 더 구비된다.
상기 랙기어(220)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선단이나 후단에 설치되거나, 전면 중앙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랙기어(220)는 상기 피니언기어(210)과 좌우로는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서로 나사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의 구조에 의해 좌우로 유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 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림턱(202)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은 수직면을 이루고, 우측단은 라운드진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판(414)의 상단 좌측면도 상기 걸림턱(202)의 우측면과 대응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턱(202)과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판(414)의 상단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도마(200)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걸림턱(202)이 차폐판(414)의 상단을 슬라이딩하여 통과하고,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걸림턱(202)가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집수단(400)이 수용되는 트레이공간(4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수집수단(400)은 상기 트레이공간(450)에 내장된다.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좌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지지대(410)와,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에 분리 가능하게 놓여지며 상기 유동도마(20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거트레이(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사각프레임(412)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구비되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판(414)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돌기(416)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는 돌기지지대(41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판(4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차폐판(414)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414)은 상기 사각프레임(412)이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로 수용될때 상기 싱크볼(100)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차폐판(414)은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레일돌기(416)는,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기지지대(418)는,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레일돌기(416)는 상기 돌기지지대(418)의 우측단으로부터 전후로 돌출되로록 형성되며,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트레이(430)는,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는 사각테두리(432)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4)와, 상기 경사지지부(434)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그물(4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테두리(432)는,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경사지지부(4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테두리(432)와 상기 저장그물(436)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빗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거트레이(43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홀(438)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다수의 경사지지부(434) 중 적어도 2개 이상에 상기 손잡이홀(438)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장그물(436)은 물은 통과하고 음식물은 걸러지도록 구성된 그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나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 하단에는,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수용되는 차폐단턱(452)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 하단은 하측으로 더 함몰되어 '』' 형상의 차폐단턱(4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폐단턱(452)에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폐단턱(452)에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걸려 수용되면,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우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돌기(416)가 수용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트레이레일(45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좌측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산부(122)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볼록산부(122)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돌기(416)가 수용되는 돌기홈(122')이 상측으로 함몰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집수단(40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의 레일돌기(416)가 상기 돌기홈(122')에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유동도마(200)가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세척공간(130)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마버튼(150a)을 누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210)를 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랙기어(220)와 결합된 유동도마(200)가 우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공간(130)에 수용되어 있던 유동도마(2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점차 상기 싱크볼(100) 상측을 통과한다.
상기 유동도마(200)가 계속 우측으로 이동하면, 드디어 유동도마(200)의 우측단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상면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는 도 6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의 걸림턱(202)이 상기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진다. 물론, 이때 상기 걸림턱(202)과 차폐판(414)의 상단 형상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턱(202)이 상기 차폐판(414)의 우측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걸림턱(202)이 차폐판(414)의 우측에 위치되면, 근접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 또는 이미 설정된 피니언기어(210)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 이동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유동도마(200)는 상기 싱크볼(100)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요리사는 유동도마(200) 위에서 칼을 사용하여 음식물(F)을 썰거나 절단하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 다음, 요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거버튼(150b)을 누른다.
상기 제거버튼(150b)이 눌러지면, 이번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10)는 반시계방향(도 6에서)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턱(202)에 차폐판(414)의 상단이 걸려 있으므로 상기 유동도마(200)의 좌측이동에 따라 상기 수집수단(400)이 상기 트레이공간(450)으로부터 좌측으로 끌려 나온다.
이처럼 상기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트레이지지대(410) 및 제거트레이(430)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싱크볼(100)의 상측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실린더(350)도 함께 작동하여 상기 제거부재(300)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거부재(300)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거부재에 의해 유동도마(200) 위의 음식물(F)이 우측으로 낙하한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에는 상기 제거트레이(430)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유동도마(200) 위의 절개된 음식물(F)은 제거트레이(430) 내부로 낙하하여 수집된다.
그러다가, 상기 유동도마(200)가 점차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도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 8과 같이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에 형성된 레일돌기(416)가 상기 볼록산부(122)의 돌기홈(122')에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이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트레이지지대(410)는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좌측단이 아래로 기울게 된다.(도 8 참조)
상기 트레이지지대(410)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과 같이 되면,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과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의 좌측단은 자연스럽게 서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도마(200)는 계속하여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세척공간(130) 내부로 복귀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이동 때와 같이 근접센서나 상기 피니언기어(210)의 역방향 회전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동도마(200)는 최초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제거부재(300)은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에 도달하면, 최초 설정이나 근접센서 등에 의해 우측이동을 그만두고, 좌측이동을 시작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음식물(F)이 상기 제거트레이(430)에 모이고 나면, 사용자는 상기 제거트레이(430)를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로부터 위로 들어올려 분리한 다음, 다른 용기에 옮길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손잡이홀(438)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분리 가능하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다시 상기 제거트레이(430)를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에 결합한 다음 상기 차폐판(414)을 들어올려 우측을 밀어넣게 되면, 상기 수집수단(400)은 원위치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싱크볼 110. 좌측다이
120. 우측다이 122. 볼록단부
122'. 돌기홈 130. 세척공간
200. 유동도마 210. 피니언기어
220. 랙기어 300. 제거부재
310. 패킹 320. 푸시면
330. 경사가이드면 350. 실린더
400. 수집수단 410. 트레이지지대
412. 사각프레임 414. 차폐판
416. 레일돌기 418. 돌기지지대
430. 제거트레이 432. 사각테두리
434. 경사지지부 436. 저장그물
450. 트레이공간 452. 차폐단턱
F. 음식물

Claims (10)

  1.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도마(200)가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공간(130)과,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제거하는 제거부재(300)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수집수단(400)은, 좌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지지대(410)와, 상기 유동도마(20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거트레이(430)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사각프레임(412)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구비되어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판(414)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어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돌기(416)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는 돌기지지대(41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트레이(430)는,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는 사각테두리(432)와;
    상기 사각테두리(432)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4)와;
    상기 경사지지부(434)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그물(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다이(12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집수단(400)이 수용되는 트레이공간(450)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 하단에는,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수용되는 차폐단턱(452)이 더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돌기(416)가 수용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트레이레일(454)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300)에는,
    하면에 부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킹(310)과;
    우측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음식물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면(320)과;
    상기 푸시면(320)의 전후에 쌍으로 형성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면(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다이(120)의 좌측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산부(122)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볼록산부(122)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돌기(416)가 수용되는 돌기홈(122')이 상측으로 함몰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 저면에는, 상기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림턱(202)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02)은,
    상기 차폐판(414)의 상단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KR1020190057239A 2019-05-16 2019-05-16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KR10204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39A KR102042558B1 (ko) 2019-05-16 2019-05-16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39A KR102042558B1 (ko) 2019-05-16 2019-05-16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58B1 true KR102042558B1 (ko) 2019-11-11

Family

ID=6853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239A KR102042558B1 (ko) 2019-05-16 2019-05-16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3220A (zh) * 2021-08-09 2021-11-12 安徽巨成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节水式自冲洗厨房工作台
KR102546145B1 (ko) 2022-04-21 2023-06-22 김철오 싱크대용 자동식 도마
KR20230150038A (ko) 2022-04-21 2023-10-30 김철오 자동식 도마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싱크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866A (ja) * 1993-01-13 1994-08-02 Natl House Ind Co Ltd 厨房装置
KR200230667Y1 (ko) * 2001-01-19 2001-07-19 안병남 컴퓨터 책상용 키보드 재치판의 수납장치
JP2010058054A (ja) * 2008-09-04 2010-03-18 Panasonic Corp 固液分離装置
KR101696317B1 (ko) 2015-04-20 2017-01-20 주식회사 나린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
KR101750101B1 (ko) * 2017-01-13 2017-06-22 성동연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866A (ja) * 1993-01-13 1994-08-02 Natl House Ind Co Ltd 厨房装置
KR200230667Y1 (ko) * 2001-01-19 2001-07-19 안병남 컴퓨터 책상용 키보드 재치판의 수납장치
JP2010058054A (ja) * 2008-09-04 2010-03-18 Panasonic Corp 固液分離装置
KR101696317B1 (ko) 2015-04-20 2017-01-20 주식회사 나린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
KR101750101B1 (ko) * 2017-01-13 2017-06-22 성동연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3220A (zh) * 2021-08-09 2021-11-12 安徽巨成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节水式自冲洗厨房工作台
KR102546145B1 (ko) 2022-04-21 2023-06-22 김철오 싱크대용 자동식 도마
KR20230150038A (ko) 2022-04-21 2023-10-30 김철오 자동식 도마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558B1 (ko)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US9414717B2 (en) Sink container assembly
EP0323496B1 (de) Besteck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S20100012601A1 (en) Sanitizing rack
KR102042561B1 (ko) 다수의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CN109288086A (zh) 水槽及水槽式清洗机
CN209711448U (zh) 水槽及水槽式清洗机
KR102306006B1 (ko)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EP2074924B1 (en) Basket handle
JP3501092B2 (ja) 流し台シンク装置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KR20110041250A (ko) 물 빠짐이 가능한 도마
KR102181890B1 (ko) 도마
CN209789799U (zh) 搁架及洗碗机
KR101107941B1 (ko) 다목적 위생 도마 받침대
WO2005004687A1 (en) Chopping or food preparation board
CN112144615A (zh) 一种带伸缩滤水杆的盥洗池
KR100594488B1 (ko) 주방용 도마
JP3066002B1 (ja) 食器洗浄機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KR20150002676U (ko) 식기건조대
CN216364314U (zh) 一种收纳污水的抽屉及应用该抽屉的集成灶
JP3041253U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KR900000171Y1 (ko) 위생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