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058B1 -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058B1
KR102042058B1 KR1020180047422A KR20180047422A KR102042058B1 KR 102042058 B1 KR102042058 B1 KR 102042058B1 KR 1020180047422 A KR1020180047422 A KR 1020180047422A KR 20180047422 A KR20180047422 A KR 20180047422A KR 102042058 B1 KR102042058 B1 KR 10204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vessel
unit
l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563A (ko
Inventor
이훈
최진석
심지성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8004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05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선박의 종합적인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 원격 관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선박 정보를 바탕으로 LNG 선박의 운항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LNG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며, LNG 선박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선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선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선박 정보를 수신하면, 선박 별로 분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선박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선박의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과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REAL TIME REMOTE MONITORING APPARATUS OF LNG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선박의 종합적인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NG 선박은 액체 상태의 천연가스(LNG)를 탱크에 실어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LNG 선박에 침몰, 충돌, 파손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LNG가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폭발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선박 내에 위치한 작업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LNG 선박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즉, 종래에는 선박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바로 발견되지 못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작업자에 의해 발견될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에는 LNG의 양하량 및 적하량을 선박 내 작업자만이 확인할 수 있어, 외부에 위치한 사람은 정해진 장소에 정해진 양만큼의 LNG가 양하 또는 적하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선박의 상태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는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상태를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는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 원격 관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선박 정보를 바탕으로 LNG 선박의 운항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LNG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며, LNG 선박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선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선박 정보를 수신하면, 선박 코드 별로 분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선박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선박 정보 중 선택된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에서 수행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선박으로부터 선박 코드 정보가 포함된 선박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선박 정보를 선박 코드 정보별로 분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b) 표시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선박 코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c) 입력부가 운항 상태를 모니터링할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d) 제어부가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박 정보는 선박 코드 정보, 선박 기본 정보, 선박 위치 정보, 선박 자세 정보, LNG 탱크 정보를 포함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d) 단계는 제어부가 최근 수신한 선박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제어부는 각 선박 코드 정보 마다 가장 최근에 수신한 선박 정보에 포함된 선박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선박 코드 정보를 선박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도 상에 표시하고, 선박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운항 항로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 이후, e) 입력부가 선박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중 일부 정보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f) 제어부가 선택된 일부 정보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f) 단계는 선택된 일부 정보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그래픽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 내 이상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LNG 유출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장치의 원격 관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10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액체상태의 LNG를 운반하는 LNG 탱크가 구비된 LNG 선박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1, 이하 원격 관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원격 관제 장치(1)는 입력부(10), 표시부(20), 통신부(30), 저장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원격 관제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키보드(Key board), 터치 패널(Touch panel),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0)는 선박 코드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일부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 모니터링 종료 요청 창으로 전환하는 명령, 호출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50)로 송신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선박 정보, 운항 예상 항로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신부(30)는 선박(미도시)과의 통신을 위해 구비되며,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부(30)는 선박으로부터 선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박 정보를 제어부(5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30)는 제어부(50)로부터 수신한 관제 허가 요청 메시지를 선박으로 송신하고, 선박으로부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원격 관제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40)는 선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원격 관제 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50)는 통신부(30)를 통해 선박으로부터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선박정보를 선박 코드 정보별로 분류하여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선박 정보는 선박 코드 정보뿐만 아니라, 선박 기본 정보, 선박 위치 정보, 선박 자세 정보, LNG 탱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정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박 기본 정보는 선박의 형상, 선박의 치수, 선박의 출발 항구, 선박의 경유 항구, 선박의 도착 항구, 선박의 선적 및 하적 계획, 선박의 선체 종강도 등일 수 있고, 선박 위치 정보는 선박의 GPS 좌표일 수 있다.
선박 자세 정보는 선박의 종경사(Trim), 선박의 횡경사(List) 및 선박의 흘수(Draft) 일 수 있으며, LNG 탱크 정보는 선박 내에 위치한 LNG 탱크의 위치, 탱크의 형상, 탱크의 치수, 탱크 내 압력, 탱크 내 온도, 탱크 내 저장된 LNG의 용적량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선박 코드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운항 상태를 모니터링 할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선박 코드 정보를 표시할 때, 제어부(50)는 각 선박 코드 정보마다 가장 최근에 수신한 선박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선박 코드 정보를 선박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도 상에 표시하고, 선박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선박의 운항 예상 항로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복수의 선박의 위치 및 운항 예상 항로를 하나의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최근 수신한 선박 정보만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선박 정보를 그래픽 객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 자세 정보 표시 시, 제어부(50)는 선체가 기울어진 정도를 이미지화하여 그래픽 객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박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중 표시부에 표시하고자 하는 일부 정보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일부 정보만을 표시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선택된 일부 정보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그래픽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운항 상태 모니터링 종료 요청창으로의 전환을 입력받고, 저장부(40)에 저장된 선박 코드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하며,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운항 상태 모니터링을 종료할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저장부(4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박 호출 정보를 입력받으면, 관제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부를 통해 관제 허가 요청 메시지를 선박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선박에 송신하며, 통신부(30)를 통해 선박으로부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기적으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선박에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장치(1)의 원격 관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00단계에서 제어부(50)는 하나 이상의 선박으로부터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박 정보를 선박 코드 정보별로 분류하여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선박 정보는 선박 코드 정보뿐만 아니라, 선박 기본 정보, 선박 위치 정보, 선박 자세 정보, LNG 탱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정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박 기본 정보는 선박의 형상, 선박의 치수, 선박의 출발 항구, 선박의 경유 항구, 선박의 도착 항구, 선박의 선적 및 하적 계획, 선박의 선체 종강도 등일 수 있고, 선박 위치 정보는 선박의 GPS 좌표일 수 있다.
S200단계에서 제어부(50)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선박 코드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중복되는 선박 코드 정보를 한번만 표시할 수 있다.
S300단계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운항 상태를 모니터링할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최근 수신한 선박 정보만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는 전반적인 선박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S300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선박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중 일부 정보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50)는 표시부에 표시되며 선박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중 일부 정보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일부 정보의 변화 추이를 그래픽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는 선박의 위치 이동 이력, LNG 탱크의 상태에 대한 이력, LNG의 이송량에 대한 이력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400 단계 이후, 특정 선박에 대한 운항 상태 모니터링을 종료하는 단계(S500 내지 S80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500단계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종료 요청 창으로의 전환을 입력받고, S60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선박 코드 정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중복되는 선박 코드 정보를 한번만 표시할 수 있다.
S700단계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운항 상태 모니터링을 종료할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고, S80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저장부(4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선박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S10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S110단계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박 호출 정보를 입력받고, 모니터링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선박 호출 정보는 선박마다 상이하게 부여된 것으로, 특정 선박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이다.
이후, 제어부(50)는 선박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바탕으로 통신부(30)를 통해 선박 호출 정보에 대응하는 선박에 허락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선박의 관리자는 모니터링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허락 메시지 또는 거절 메시지를 원격 관제 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
S120단계에서 제어부(50)는 해당 선박으로부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판단하고,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13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선박으로 송신한다. 이때, 선박은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원격 관제 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수신한 선박 정보를 선박 코드 정보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S130 단계는 주기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S200 단계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로, 지역의 명칭이 표시된 지도 상에 선박의 현재 위치가 점으로 표시되며, 선박의 운항 경로가 선으로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복수의 선박의 위치 및 선박의 예상 이동 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S400단계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로, 선박 정보 중 선박의 자세 정보가 그래픽 객체와 함께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수치로 표시되는 것에 비해 직관적으로 선박의 자세를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원격 관제 장치
10 : 입력부
20 : 표시부
30 : 통신부
40 : 저장부
50 : 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원격 관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선박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선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선박 코드 정보 및 상기 선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선박의 운항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선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박 코드 정보 별로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선박 코드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선박 정보 중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에서 수행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정보는 선박 코드 정보, 선박 기본 정보, 선박 위치 정보, 선박 자세 정보, LNG 탱크 정보를 포함하며,
    a)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선박으로부터 선박 코드 정보가 포함된 선박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선박 정보를 선박 코드 정보 별로 분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선박 코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되, 각 선박 코드 정보 마다 가장 최근에 수신한 상기 선박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선박 코드 정보를 상기 선박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선박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운항 항로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운항 상태를 모니터링할 선박의 선박 코드 정보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선박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박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박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중 일부 정보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일부 정보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박 호출 정보를 입력 받고 모니터링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박 호출 정보에 대응되는 선박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박으로부터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박으로부터 선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박 정보를 상기 선박 코드 정보별로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선택된 일부 정보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그래픽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최근 수신한 선박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의 운항 상태 실시간 원격 관제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7422A 2018-04-24 2018-04-24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KR10204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22A KR102042058B1 (ko) 2018-04-24 2018-04-24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22A KR102042058B1 (ko) 2018-04-24 2018-04-24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63A KR20190123563A (ko) 2019-11-01
KR102042058B1 true KR102042058B1 (ko) 2019-11-08

Family

ID=685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422A KR102042058B1 (ko) 2018-04-24 2018-04-24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058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77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항로복원을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276680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선대관리를 위한 유인 원격제어 방법
KR102276678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충돌회피를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276679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충돌복원을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388672B1 (ko) 2022-01-11 2022-04-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따른 선수방위 제어성능의 분석평가모듈을 이용한 충돌회피를 위한 선수방위 범위 산출방법
KR102432044B1 (ko) 2022-01-11 2022-08-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시 충돌방지를 위한 선회조종성능 제어값 산출방법
KR102433413B1 (ko) 2022-01-11 2022-08-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의한 충돌 위치와 시간 추정방법
KR102439261B1 (ko) 2022-01-11 2022-09-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의한 충돌방지를 위한 선회시간 산출방법
KR102594519B1 (ko) 2022-10-13 2023-10-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충돌예방을 위하여 선회시공간 도메인을 이용한 충돌위험 타각 범위의 추정과 가시화 방법
KR102594522B1 (ko) 2022-10-13 2023-10-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지연에 따른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위치 도메인을 이용한 항해 위험의 평가와 가시화 방법
KR102594520B1 (ko) 2022-10-13 2023-10-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제어실패 예방을 위하여 실시간 측정 지연시간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의 감시 방법
KR102598493B1 (ko) 2022-10-13 2023-11-0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의 실제 선박을 이용한 실험과 성능평가 방법
KR102602661B1 (ko) 2022-10-13 2023-11-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제어실패 예방을 위하여 네 개의 지연구간을 이용한 원격제어의 위험수준 평가 및 가시화 방법
KR102616000B1 (ko) 2022-10-13 2023-12-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지연발생의 원인식별을 위하여 지연 모델을 이용한 지연시간 분석과 가시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04714B1 (pt) 2013-09-03 2018-03-20 Fugro Chance, Inc. Sistema de orientação remota interativo para embarcações de m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625B2 (ja) * 1993-04-16 2000-05-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航行支援装置
KR101280066B1 (ko) * 2011-03-24 2013-06-27 동강엠텍(주) 선박 운항 시스템, 선박 운항정보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736577B1 (ko) * 2015-06-05 2017-05-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77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항로복원을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276680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선대관리를 위한 유인 원격제어 방법
KR102276678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충돌회피를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276679B1 (ko) 2020-12-18 2021-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충돌복원을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388672B1 (ko) 2022-01-11 2022-04-2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따른 선수방위 제어성능의 분석평가모듈을 이용한 충돌회피를 위한 선수방위 범위 산출방법
KR102432044B1 (ko) 2022-01-11 2022-08-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시 충돌방지를 위한 선회조종성능 제어값 산출방법
KR102433413B1 (ko) 2022-01-11 2022-08-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의한 충돌 위치와 시간 추정방법
KR102439261B1 (ko) 2022-01-11 2022-09-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에 의한 충돌방지를 위한 선회시간 산출방법
KR102594519B1 (ko) 2022-10-13 2023-10-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충돌예방을 위하여 선회시공간 도메인을 이용한 충돌위험 타각 범위의 추정과 가시화 방법
KR102594522B1 (ko) 2022-10-13 2023-10-2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지연에 따른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위치 도메인을 이용한 항해 위험의 평가와 가시화 방법
KR102594520B1 (ko) 2022-10-13 2023-10-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제어실패 예방을 위하여 실시간 측정 지연시간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의 감시 방법
KR102598493B1 (ko) 2022-10-13 2023-11-0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의 실제 선박을 이용한 실험과 성능평가 방법
KR102602661B1 (ko) 2022-10-13 2023-11-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제어실패 예방을 위하여 네 개의 지연구간을 이용한 원격제어의 위험수준 평가 및 가시화 방법
KR102616000B1 (ko) 2022-10-13 2023-12-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지연발생의 원인식별을 위하여 지연 모델을 이용한 지연시간 분석과 가시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63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058B1 (ko) Lng 선박의 운항 실시간 원격 관제 장치 및 방법
US98909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ling a gas cylinder
CN103201694B (zh) 在机组人员工作能力丧失的情况下自动控制飞机
JP5146648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US9284119B2 (e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from abnormality in logistics system
EP3270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aste services
US20160217433A1 (en) System for automated asset inspection and maintenance
US20120232942A1 (en) Control and tracking system for material mov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70095071A (ko) 운송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046097A (zh) 可适应的交通工具监视系统
US108470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o-fenced routing inside terminals
US20230197034A1 (en) Ruggedized remote control display latency and loss of signal detection for harsh and safety-critical environments
US201701830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ircraft equipment
CN114997773A (zh) 一种港口危险货物安全动态精细化监管系统
JP2005081969A (ja) 作業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US20210333791A1 (en) Terminal,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254059B2 (ja) 自動運転車両の管理の最適化
JP5570410B2 (ja) 輸送支援システム及び輸送支援方法
JP7309133B2 (ja) 荷役作業指示支援システム
JP2016004026A (ja)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4326073B2 (ja) 商品仕分けシステム
US20190196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zardous Accident Detection and Remediation in a Facility
US20210150900A1 (en)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and manned driving vehicle
JP2772864B2 (ja) 倉庫設備
JP2020203766A (ja) 配達支援システムおよび配達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