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05B1 -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05B1
KR102039905B1 KR1020180013038A KR20180013038A KR102039905B1 KR 102039905 B1 KR102039905 B1 KR 102039905B1 KR 1020180013038 A KR1020180013038 A KR 1020180013038A KR 20180013038 A KR20180013038 A KR 20180013038A KR 102039905 B1 KR102039905 B1 KR 10203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recess
coupler
coupler pin
tug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428A (ko
Inventor
김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70Tugs for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021/563Push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선의 선미측 오목부에 진입하여 상기 바지선을 미는 방향으로 예인하는 예인선에 설치되는 커플러 유닛은, 상기 예인선의 측면에 탑재되고, 인출 및 인입 가능한 커플러 핀; 상기 커플러 핀의 끝단에 설치되며, 크기 변경이 가능한 제1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커플러 핀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오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사다리꼴 형상에 상응하는 제2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후 그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예인선을 상기 바지선에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Connection Structure with tug and barge}
본 발명은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적재하지만 추진력을 가지지 않는 바지선(barge)과 추진력을 가지는 예인선(tug)은 서로 고정된 상태로 강이나 호수, 항구 등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한 개의 예인선의 다수개의 바지선의 운항을 위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인선과 바지선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존 바지선에 형성된 결합홀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력을 가지지 않는 바지선(110)의 선미에는 예인선(130)의 형상에 부합되는 선미측 오목부(115)가 형성된다.
선미측 오목부(115) 내부로 예인선(130)이 진입한 후, 예인선(130)은 구비된 사이드 커플러 유닛(side coupler unit)의 체결핀(135)을 선미측 오목부(115)의 둘레면 방향으로 인출시킨다.
외측으로 인출된 체결핀(135)의 단부가 선미측 오목부(115)의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홀(120)에 삽입됨으로써 예인선(130)과 바지선(110)은 서로 고정되고, 바지선(110)은 예인선(130)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운항될 수 있다.
결합홀(120)은 복수 개가 마련되며, 선미측 오목부(115)의 둘레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결합홀(120)에 체결핀(135)이 체결된 이후 운항 조건이 변경되어 바지선(110)의 흘수선(draft)이 조정될 경우 연결된 체결핀(135)을 바지선(110)의 연결된 결합홀(120)에서 연결 해제하여 흘수선 변경 완료 후 다시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체결핀(135)을 뺀 후 다시 넣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시간적인 제약이 있다. 그리고 흘수선 변경을 위해 체결핀(135)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시간 동안 파도 등의 외력으로 인한 예인선(130)과 바지선(110)의 상대 운동으로 예인선(130)과 바지선(110)이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잔잔한 안벽 근처에서만 흘수선 변경 작업이 가능한 작업 장소의 제약이 있다.
또한, 결합홀(120) 사이의 간격 또는 기어치(tooth) 타입의 경우 기어치 사이의 간격 때문에 미세한 흘수선 조정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인 것으로 단정될 수는 없다.
미국등록특허 US 6,612,253 (Apparatus for coupling tug boats to barges)
본 발명은 바지선의 결합홀 부위를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를 지닌 리세스(recess) 구조(오목 구조)로 하고, 흘수선 변경에 따라 커플러 핀 헤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커플러 핀의 연결 해제 후 다시 연결하는 작업 없이 흘수선 변경에 대응 가능한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플러 핀의 해제 후 재 연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흘수선 변경 시에도 예인선과 바지선이 일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업 장소의 제약이 덜하며, 미세한 흘수선 조정에도 대응 가능한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플러 핀 헤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사다리꼴 리세스 구조를 갖는 바지선들에 호환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예인선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지선의 선미측 오목부에 진입하여 상기 바지선을 미는 방향으로 예인하는 예인선에 설치되는 커플러 유닛으로서, 상기 예인선의 측면에 탑재되고, 인출 및 인입 가능한 커플러 핀; 상기 커플러 핀의 끝단에 설치되며, 크기 변경이 가능한 제1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커플러 핀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선미측 오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사다리꼴 형상에 상응하는 제2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후 그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예인선을 상기 바지선에 고정시키는 커플러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커플러 핀 헤드는, 상기 제1 사다리꼴 형상의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일 빗변에 상응하여 고정된 고정 평면; 상기 헤드 몸체의 다른 빗변에 상응하며, 수평 이동 가능한 이동 평면; 상기 헤드 몸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하며, 끝단에 상기 이동 평면이 결합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평면 및 상기 이동 평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과 상기 제2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이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미측 오목부에 진입한 예인선에 의해 운항되는 바지선으로서, 상기 선미측 오목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예인선에는 상기 제2 사다리꼴 형상에 상응하는 제1 사다리꼴 형상의 커플러 핀 헤드를 포함하는 커플러 유닛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후 그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예인선이 고정되는 바지선이 제공된다.
상기 오목부의 빗변에 해당하는 선수면과 선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과 상기 제2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삽입되는 위치의 하부에 상기 커플러 핀 헤드의 하강을 방지하는 수직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좌현과 우현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좌현의 오목부의 제2 사다리꼴 형상과 상기 우현의 오목부의 제2 사다리꼴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선의 결합홀 부위를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를 지닌 리세스 구조로 하고, 흘수선 변경에 따라 커플러 핀 헤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커플러 핀의 연결 해제 후 다시 연결하는 작업 없이 흘수선 변경에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러 핀의 해제 후 재 연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흘수선 변경 시에도 예인선과 바지선이 일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업 장소의 제약이 덜하며, 미세한 흘수선 조정에도 대응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커플러 핀 헤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사다리꼴 리세스 구조를 갖는 바지선들에 호환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예인선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예인선과 바지선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존 바지선에 형성된 결합홀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예인선에 설치되는 커플러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바지선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오목부 내에서 커플러 유닛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좌현과 우현에 형성된 오목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예인선에 설치되는 커플러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바지선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오목부 내에서 커플러 유닛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바지선(110), 오목부(115), 오목부(220), 예인선(130), 커플러 유닛(210), 커플러 핀(211), 커플러 핀 헤드(212), 헤드 몸체(213), 고정 평면(214), 이동 평면(215), 실린더(217), 피스톤(216), 선수면(221), 선미면(22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에는 바지선(110)에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220) 내에 예인선(130)의 커플러 핀(211), 특히 커플러 핀 헤드(212)가 삽입된 이후 그 크기가 변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사다리꼴이 윗변이 단변, 아랫변이 장변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진력을 가지지 않는 바지선(110)의 선미에는 예인선(130)의 형상에 부합되는 오목부(115)가 형성된다.
오목부(115) 내부로 예인선(130)이 진입한 후, 예인선(130)은 커플러 유닛(210)의 커플러 핀(211)을 오목부(115)의 둘레면 방향으로 인출시킨다.
외측으로 인출된 커플러 핀(211)의 단부, 즉, 커플러 핀 헤드(212)는 오목부(115)의 둘레면에 선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리세스부)(220)에 삽입된다. 이후 삽입 위치에 따라 커플러 핀 헤드(212)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커플러 핀 헤드(212)의 선수 및 선미측 평면과 오목부(220)의 선수 및 선수측 평면이 서로 만남으로써, 예인선(130)과 바지선(110)이 서로 고정되게 한다. 이후 바지선(110)은 예인선(130)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운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인선(130)의 측면에 구비되는 커플러 유닛(210)은 커플러 핀(211)과 커플러 핀 헤드(212)를 포함한다.
예인선(130)의 단독 운항 시에는 커플러 핀(211)이 측면(좌현 및 우현) 내에 탑재되어 있다. 이후 전술한 것과 같이 예인선(130)이 바지선(110)을 운항시키도록 예인선(130)을 바지선(110)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 커플러 핀(211)이 외측으로 인출된다. 커플러 핀(211)의 인출 및 인입 기능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플러 핀 헤드(212)는 커플러 핀(211)의 끝단에 설치된다.
커플러 핀 헤드(212)는 윗변과 아랫변이 평행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커플러 핀 헤드(212)의 빗변의 경사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후술할 오목부(220)의 빗변의 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러 핀 헤드(212)의 빗변이 오목부(220)의 빗변과 평행하게 되어, 최대 접촉 면적을 가짐으로써 마찰력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커플러 핀 헤드(212)의 양측 빗변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 이동 가능하기에 커플러 핀 헤드(212)는 그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플러 핀 헤드(212)는 양측 빗변에 상응하여 헤드 몸체(213)에 고정된 고정 평면(214)과 수평 이동되는 이동 평면(215)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고정 평면(214)이 선수측에 배치되고, 이동 평면(215)이 선미측에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그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 평면(215)은 헤드 몸체(213)에 설치된 실린더(217)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는 피스톤(216)의 끝단에 결합된다. 피스톤(216)의 전진 길이에 따라 커플러 핀 헤드(212)의 전체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217)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이동 평면(215)은 헤드 몸체(213)의 빗변과 평행하게 배치된 평면일 수 있다.
이동 평면(215) 및 고정 평면(2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후술할 오목부(220)의 선미면(222) 및 선수면(221)과의 접촉 시에 마찰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지선(110)의 오목부(115) 둘레면에는 내측으로 리세스된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220)가 형성된다.
오목부(220)는 커플러 핀(211)이 삽입되어 예인선(130)과 바지선(110)을 고정시키는 결합홀로서 기능한다.
오목부(220)의 양측 빗변(선수면(221)과 선미면(222))은 전술한 것과 같이 커플러 핀 헤드(212)의 양측 빗변(고정 평면(214)과 이동 평면(215))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즉, 선수면(221)과 고정 평면(214)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선미면(222)과 이동 평면(215)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수면(221) 및 선미면(2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커플러 핀 헤드(212)의 고정 평면(214) 및 이동 평면(215)과의 접촉 시에 마찰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목부(220) 내에 커플러 핀(211), 특히 커플러 핀 헤드(212)가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커플러 핀 헤드(212)는 기본적으로 이동 평면(215)이 헤드 몸체(213)에 밀착된 형상(기본 모드)를 가진다. 이는 기본 모드에서 커플러 핀 헤드(212)의 크기가 가장 작아, 오목부(220)에의 삽입 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플러 핀 헤드(212)의 윗변은 오목부(220)의 윗변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220)의 윗변이 오목부(220) 전체적으로 가장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지고 있어, 커플러 핀 헤드(212)가 오목부(220)의 어느 위치라 할지라도 삽입 가능하게 한다.
도 6에서는 커플러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3개(C1~C3)가 마련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a)를 참조하면, 각 커플러 유닛(C1~C3)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되, 커플러 핀 헤드(212)의 헤드 몸체(213) 중 고정 평면(214)이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러 유닛의 커플러 핀 헤드(212)는 기본 모드를 유지한다.
(b)를 참조하면, 커플러 핀 헤드(212)가 오목부(220)에 삽입된 이후에는 각 유닛의 실린더(217)가 작동하여 삽입 위치에 따라 이동 평면(215)이 선미면(222)과 만날 때까지 피스톤(216)을 최대로 전진시킨다. 실린더(217)와 피스톤(216)에 의해 고정 평면(214)은 선수면(221)에 밀착하고, 이동 평면(215)은 선미면(222)에 밀착하여 해당 커플러 유닛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오목부(220)는 높이 변화에 따라 수평 길이도 변화하게 되는데, 이동 평면(215)의 수평 이동에 의해 다양한 길이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러 유닛(210)이 오목부(220)에 삽입되어 고정된 이후, 바지선(110)의 흘수선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커플러 유닛(210)의 연결을 완전 해제하지 않고 피스톤(216)을 후진시켜 이동 평면(215)을 선미면(222)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여전히 커플러 유닛(210)은 오목부(2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연결 해제 및 재연결에 소모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후 바지선(110)의 흘수선 조정에 따라 오목부(220)와 커플러 유닛(210)의 상대 위치가 미세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220)와 커플러 유닛(210)의 체결 구조가 사다리꼴 형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위치 조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운항해역(선박의 모션) 등을 고려하여 오목부(220)에서 커플러 유닛(210)이 삽입되는 위치의 하부에 커플러 유닛(210)의 하강을 방지하는 수직 스토퍼(23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바지선(110)과 예인선(130)이 출렁거림으로 인해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 구조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좌현과 우현에 형성된 오목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지선의 좌현(port)과 우현(starboard)에 형성되는 오목부(220)의 사다리꼴 형상을 반대로 적용할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이 반대로 적용됨에 따라 바지선과 예인선의 상대적인 상하 운동에 의해 어느 한 쪽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반대쪽의 연결은 오히려 강화되는 효과가 있어, 예인선과 바지선의 고정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지선(110)은 CGL(Compressed Gas Liquid)과 같은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선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바지선 115: 선미측 오목부
130: 예인선 210: 커플러 유닛
211: 커플러 핀 212: 커플러 핀 헤드
213: 헤드 몸체 214: 고정 평면
215: 이동 평면 216: 피스톤
217: 실린더 220: 오목부
221: 선수면 222: 선미면
230: 수직 스토퍼

Claims (9)

  1. 바지선의 선미측 오목부에 진입하여 상기 바지선을 미는 방향으로 예인하는 예인선에 설치되는 커플러 유닛으로서,
    상기 예인선의 측면에 탑재되고, 인출 및 인입 가능한 커플러 핀;
    상기 커플러 핀의 끝단에 설치되며, 크기 변경이 가능한 제1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커플러 핀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선미측 오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사다리꼴 형상에 상응하는 제2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후 그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예인선을 상기 바지선에 고정시키며,
    상기 커플러 핀 헤드는,
    상기 제1 사다리꼴 형상의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일 빗변에 상응하여 고정된 고정 평면;
    상기 헤드 몸체의 다른 빗변에 상응하며, 수평 이동 가능한 이동 평면;
    상기 헤드 몸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하며, 끝단에 상기 이동 평면이 결합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커플러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평면 및 상기 이동 평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된 커플러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과 상기 제2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이 동일한 커플러 유닛.
  5. 선미측 오목부에 진입한 예인선에 의해 운항되는 바지선으로서,
    상기 선미측 오목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예인선에는 상기 제2 사다리꼴 형상에 상응하는 제1 사다리꼴 형상의 커플러 핀 헤드를 포함하는 커플러 유닛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후 그 크기가 변경되어 상기 예인선이 고정되고,
    상기 오목부는 좌현과 우현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좌현의 오목부의 제2 사다리꼴 형상과 상기 우현의 오목부의 제2 사다리꼴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반대인 바지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빗변에 해당하는 선수면과 선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된 바지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과 상기 제2 사다리꼴의 빗변 경사각이 동일한 바지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핀 헤드가 삽입되는 위치의 하부에 상기 커플러 핀 헤드의 하강을 방지하는 수직 스토퍼가 설치된 바지선.
  9. 삭제
KR1020180013038A 2018-02-01 2018-02-01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KR10203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38A KR102039905B1 (ko) 2018-02-01 2018-02-01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38A KR102039905B1 (ko) 2018-02-01 2018-02-01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428A KR20190093428A (ko) 2019-08-09
KR102039905B1 true KR102039905B1 (ko) 2019-11-05

Family

ID=6761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038A KR102039905B1 (ko) 2018-02-01 2018-02-01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660A (en) * 1986-05-12 1987-09-08 Energy Transportation Group Inc. Tug/barge apparatus
JP2535034Y2 (ja) * 1989-09-01 1997-05-07 琢磨 山口 押船と艀との連結装置
JPH0745430Y2 (ja) * 1989-11-20 1995-10-18 實 川口 プッシャーバージの結合構造
JP2526325Y2 (ja) * 1991-02-08 1997-02-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ージ押航用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428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5722A (en) Rigid disconnectable coupling for waterborne vessels
EP2310257B1 (en) Apparatus for coupling a pushboat to a barge
US3910219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KR102039905B1 (ko)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JP2535034Y2 (ja) 押船と艀との連結装置
KR20130134667A (ko) 해양구조물의 예인저항 저감 부가물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US7063036B2 (en) System for connecting buoyant marine bodies
CN207141336U (zh) 大型半潜浮式平台海上连接结构
EP0999923B1 (en) Marine connector
KR950031774A (ko) 호송 견인 및/또는 항만용 예인선
US3756183A (en) Apparatus for articulated towboat barge combination
US4691660A (en) Tug/barge apparatus
US6463869B2 (en) Reciprocating barge coupling device
KR102039907B1 (ko)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 구조
CN107618631A (zh) 大型半潜浮式平台海上连接工艺
KR102070856B1 (ko)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CN211223785U (zh) 一种推进船与驳船齿条式连接结构
KR102006911B1 (ko) 해류 저항 저감 장치
CN100402373C (zh) 艏部具有升降式横向推进装置的可侧推拖船
JP3424054B2 (ja) 押し船と艀との連結装置
CN216003018U (zh) 一种船舶靠泊装置
JP2013112115A (ja) プッシャバージ間にフロート台船を挿入した連結船
CN212332884U (zh) 一种用于海浪动力拖挂船的拖挂装置
CN110758656A (zh) 一种推进船与驳船齿条式连接结构
RU224527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удна с другим судн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