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56B1 -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 Google Patents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0856B1 KR102070856B1 KR1020170152814A KR20170152814A KR102070856B1 KR 102070856 B1 KR102070856 B1 KR 102070856B1 KR 1020170152814 A KR1020170152814 A KR 1020170152814A KR 20170152814 A KR20170152814 A KR 20170152814A KR 102070856 B1 KR102070856 B1 KR 102070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ge
- hull
- tugboat
- auxiliary
- dock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63B2722/00—
-
- B63B272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예인선, 바지선, 및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은 바지선과 연결되어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으로서, 선수부가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메인도킹홈에 삽입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형성되고,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보조결합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대량의 화물을 운송하는 방법으로 추진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바지선에 대량의 화물을 적재하고, 추진장치가 설치된 예인선이 바지선을 예인하여 해양을 운항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예인선은 선수부가 바지선의 선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예인선과 바지선의 결합체는 예인선이 바지선의 선미부를 미는 구조로 이동할 수 있다.
최근, 해양을 통해 운송되는 화물량이 증가하고 있고, 바지선에 적재되는 화물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예인선이 바지선을 밀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지선에 연결된 예인선의 선수부에 작용하는 하중도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인선은 바지선을 효과적으로 예인하기 어려워지고, 바지선은 선수부가 좌우로 요동하는 등 안정된 자세로 이동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인선이 바지선을 효과적으로 예인하여 바지선이 안정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는 예인선, 바지선, 및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지선과 연결되고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으로서, 선수부가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메인도킹홈에 삽입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형성되고,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보조결합모듈을 포함하는, 예인선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모듈은, 상기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를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제1신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돌기부가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모듈은 상기 돌기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제2신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모듈은 상기 제1이동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예인선과 연결되어 상기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으로서, 상기 예인선의 선체 선수부가 삽입되는 메인도킹홈이 형성되는 바지몸체; 및 상기 바지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예인선의 보조결합모듈이 삽입되는 보조도킹홈이 형성되는 보조도킹부를 포함하는, 바지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예인선 및 상기 바지선을 포함하는,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인선이 선체의 선수부에 작용하는 바지선의 하중을 보조결합모듈을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바지선의 하중이 증가할 때 예인선에 의해 예인된 바지선이 안정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1이동부의 일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의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되는 일 연결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의 연결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1이동부의 일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의 예인선과 바지선의 연결되는 일 연결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의 연결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X축방향은 선수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과 바지선(2000)이 연결된 선박결합체(100)는 예인선(1000) 및 바지선(200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100)는 바지선(2000)과 연결된 예인선(1000)이 바지선(2000)을 예인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바지선(2000)에는 화물이 적재되고, 예인선(1000)에는 추진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결합체(100)는 예인선(1000)의 추진력에 의해 바지선(2000)이 예인되어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100)는 예인선(1000)의 선수부가 바지선(2000)의 선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100)는 예인선(1000)이 바지선(2000)의 선미부를 밀어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선체(1100) 및 보조결합모듈(12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0)는 선수부가 바지선(2000)에 형성된 메인도킹홈(2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100)의 선수부는 예인선(1000)이 바지선(2000)을 예인하는 과정에, 바지선(20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결합모듈(1200)은 선체(1100)에 형성된다. 이때, 보조결합모듈(1200)은 바지선(2000)에 형성된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된다. 이 경우, 보조결합모듈(1200)은 예인선(1000)이 바지선(2000)을 예인하는 과정에, 바지선(20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은 바지선(2000)을 예인하는 과정에서, 선체(1100)의 선수부에 작용하는 바지선(2000)의 하중을 보조결합모듈(1200)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은 선체(1100)의 선수부 및 보조결합모듈(1200)을 통해 복수의 지지영역으로 바지선(2000)과 연결되어 바지선(20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은 적재되는 화물이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바지선(2000)의 하중이 증가할 때 바지선(20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바지선(2000)을 효과적으로 예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100)는 바지선(2000)의 하중이 증가할 때 예인선(1000)에 의해 예인되는 바지선(2000)이 안정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예인선(1000)에 작용하는 바지선(2000)의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어, 바지선(2000)의 하중이 증가에 대응하여 다른 예인선을 추가하거나 추진성능이 높은 다른 예인선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결합모듈(1200)은 돌기부(1210) 및 제1이동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210)는 도 2와 같이 바지선(2000)에 형성된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결합모듈(1200)은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된 돌기부(1210)를 통해 바지선(20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이동부(1220)는 도 2와 같이 돌기부(1210)를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이동부(1220)는 돌기부(1210)를 선체(1100)에 대해 좌우방향(ex. 도 2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돌기부(1210)는 제1이동부(1220)에 의해 보조도킹홈(2210)을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이동부(1220)는 도 2와 같이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제1신축부재(1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신축부재(1221)의 일단부는 선체(11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신축부재(1221)의 일단부는 선체(1100)의 갑판 상에 형성되는 서포터부재(1110)를 통해 선체(110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신축부재(1221)의 타단부에는 돌기부(1210)가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신축부재(1221)의 타단부에는 도 3과 같이 지지부재(1211)가 지지되고, 돌기부(1210)는 지지부재(1211)를 매개로 제1신축부재(122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신축부재(1221)는 신축동작을 통해 돌기부(1210)를 선체(1100)의 폭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신축부재(1221)가 수축동작할 때, 돌기부(1210)는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선체(1100)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신축부재(1221)가 신장동작할 때, 돌기부(1210)는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도킹홈(2210)을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신축부재(1221)는 텔레스코픽 붐 또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제1이동부(1220')는 도 4와 같이 가이드부재(1225') 및 지지블록(1226')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2의 제1이동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이드부재(1225')는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225')의 일단부는 선체(1100)의 갑판 상에 형성되는 서포터부재(1110)를 통해 선체(110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225')의 타단부는 선체(110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블록(1226')에는 돌기부(1210)가 지지될 수 있다.
지지블록(1226')은 가이드부재(122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1226')은 돌기부(1210)가 보조도킹홈(2210)을 마주보도록 가이드부재(1225')를 따라 선체(11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블록(1226')은 랙-피니언 구조를 통해 가이드부재(122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1225')에는 가이드부재(1225')의 연장방향을 따라 랙 기어(미도시)가 형성되고, 지지블록(1226')에는 랙 기어와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이동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기부를 선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결합모듈(1200)은 도 2와 같이 돌기부(1210)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돌기부(1210)는 제1이동부(1220)를 통해 보조도킹홈(2210)을 마주보도록 위치할 때, 보조도킹홈(2210)에 대해 선체(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1210)는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되도록 선체(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제2이동부(1230)는 돌기부(1210)를 선체(1100)의 선체(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이동부(1230)는 돌기부(1210)를 선체(1100)에 대해 전후방향(ex. 도 2에서 볼 때 X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1210)는 제2이동부(1230)를 통해 선체(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이동부(1230)는 도 2와 같이 선체(110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제2신축부재(1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신축부재(1231)의 일단부는 제1이동부(12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신축부재(1231)는 도 3과 같이 제1신축부재(1221)의 타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211)를 매개로 제1신축부재(122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신축부재(1231)의 타단부에는 돌기부(1210)가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신축부재(1231)는 신축동작을 통해 돌기부(1210)를 선체(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신축부재(1231)가 수축동작할 때, 돌기부(1210)는 선체(1100)의 길이방향, 즉 선체(1100)에 대해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보조도킹홈(2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는, 제2신축부재(1231)가 신장동작할 때, 돌기부(1210)는 선체(1100)의 길이방향, 즉 선체(1100)에 대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신축부재(1221)는 텔레스코픽 붐 또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20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바지몸체(2100) 및 보조도킹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지몸체(2100)에는 예인선(1000)의 선체(1100) 선수부가 삽입되는 메인도킹홈(211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도킹홈(2110)은 바지몸체(2100)의 선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도킹홈(2110)은 도 2와 같이 바지몸체(2100)에 바지몸체(210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도킹부(22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예인선(1000)의 보조결합모듈(1200)이 삽입되는 보조도킹홈(2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도킹홈(2210)은 보조도킹부(2200)에 바지몸체(2100)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도킹홈(2210)에는 보조결합모듈(1200)의 돌기부(12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결합모듈(1200)의 돌기부(1210)는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도킹부(2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지몸체(2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도킹부(2200)는 바지몸체(2100)의 선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도킹부(2200)는 도 3과 같이 바지몸체(2100)의 선미부 갑판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보조도킹부(2200)는 바지몸체(2100)의 갑판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도킹부(2200)는 바지몸체(2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바지몸체(210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도킹부(22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조도킹부(2200)는 메인도킹홈(21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도킹홈(2210)은 메인도킹홈(21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도킹부(2200)는 도 2와 같이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메인도킹홈(2110)은 바지몸체(2100)의 길이방향 중심선(미도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보조도킹부(2200)는 바지몸체(2100)의 길이방향 중심선(미도시)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조도킹부(2200)가 메인도킹홈(21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경우, 예인선(1000)의 보조결합모듈(1200)은 복수의 보조도킹부(2200)의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도킹부(2200)가 도 2와 같이 2개로 제공되는 경우, 보조결합모듈(1200)의 돌기부(1210)는 보조도킹부(2200)의 수에 대응하여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돌기부(1210)는 선체(1100)의 우현측 및 좌현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결합모듈(1200)의 제1이동부(1220) 및 제2이동부(1230)는 도 2와 같이 2개의 돌기부를 각각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도킹홈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지몸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이 예인선의 보조결합모듈이 삽입 가능하도록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100)는 예인선(1000)이 선체(1100)의 선수부에 작용하는 바지선(2000)의 하중을 보조결합모듈(1200)을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바지선(2000)의 하중이 증가할 때 예인선(1000)에 의해 예인된 바지선(2000)이 안정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의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되는 일 연결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서 +X축방향은 선수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과 바지선(2000)이 연결된 선박결합체(100)의 예인선(1000)과 바지선(2000)이 연결되는 일 연결예를 설명한다.
본 연결예에서, 예인선(1000)에 형성되는 보조결합모듈(1200)의 제1이동부(1220) 및 제2이동부(1230)는 각각 제1신축부재(1221) 및 제2신축부재(1231)를 포함하고, 바지선(2000)의 보조도킹부(2200)는 2개가 제공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과 바지선(2000)은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인선(1000)은 선체(1100)의 선수부가 바지선(2000)의 바지몸체(2100) 선미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선체(1100)의 선수부는 바지몸체(2100)에 형성된 메인도킹홈(2110)을 마주보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신축부재(1221) 및 제2신축부재(1231)는 각각 수축동작할 수 있다. 이때, 보조결합모듈(1200)의 돌기부(1210)는 선체(1100)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은 선체(1100)의 선수부가 바지선(2000)의 메인도킹홈(2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선체(1100)의 선수부는 정렬된 바지몸체(2100)의 메인도킹홈(2110)를 향해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선체(1100)의 선수부는 바지몸체(2100)와 볼트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100)의 선수부는 예인선(1000)이 바지선(2000)을 예인하는 과정에, 메인도킹홈(21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의 보조결합모듈(1200)은 돌기부(1210)가 바지선(2000)의 보조도킹홈(2210)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신축부재(1221)는 도 7과 같이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신축부재(1221)는 돌기부(1210)가 보조도킹홈(2210)을 마주보도록 위치할 때 신장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1000)의 보조결합모듈(1200)은 돌기부(1210)가 바지선(2000)의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신축부재(1231)는 도 8과 같이 신장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신축부재(1231)는 돌기부(1210)가 보조도킹홈(2210)에 삽입될 때 신장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돌기부(1210)는 보조도킹홈(2210)이 형성된 보조도킹부(2200)와 볼트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1210)는 예인선(1000)이 바지선(2000)을 예인하는 과정에, 보조도킹홈(22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연결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인선은 보조결합모듈의 돌기부가 바지선의 보조도킹홈을 마주보도록 배치된 후, 선체의 선수부가 바지선의 메인도킹홈에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인선과 바지선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의 연결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9에서 +X축방향은 선수방향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500)는 예인선(5000)과 바지선(6000)을 포함하고, 바지선(6000)과 연결된 예인선(5000)이 바지선(6000)을 예인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5000)은 선체(5100) 및 보조결합모듈(5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결합모듈(5200)은 돌기부(5210), 제1이동부(5220), 제3이동부(5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따른 예인선(5000)의 선체(5100), 돌기부(5210), 및 제1이동부(522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예인선(도 2의 1000)의 선체(도 2의 1100), 돌기부(도 2의 1210), 제1이동부(도 2의 1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6000)은 메인도킹홈(6110)이 형성된 바지몸체(6100) 및 보조도킹홈(6210)이 형성된 보조도킹부(6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른 바지선(6000)의 바지몸체(6100) 및 보조도킹부(6200)는 앞선 실시예의 바지선(도 2의 2000)의 바지몸체(도 2의 2100) 및 보조도킹부(도 2의 2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결합체(500)는 예인선(5000)의 보조결합모듈(5200)이 제3이동부(5240)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관해 설명한다.
제3이동부(5240)는 제1이동부(5220)를 선체(5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이동부(5240)는 제1이동부(5220)를 선체(5100)에 대해 전후방향(ex. 도 9에서 볼 때 X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5210)는 제3이동부(5240)를 통해 이동하는 제1이동부(5220)와 함께 선체(5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바지선(6000)의 보조도킹홈(6210)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제3이동부(5240)는 도 9와 같이 가이드레일(5241) 및 이동블록(52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5241)은 선체(5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5241)은 선체(5100)의 갑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록(5242)에는 제1이동부(5220)가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동부(5220)의 일단부는 이동블록(5242)에 지지되고, 제1이동부(5220)의 타단부에는 돌기부(521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동블록(5242)은 가이드레일(524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블록(5242)은 제1이동부(5220)에 지지되는 돌기부(5210)가 보조도킹홈(6210)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레일(5241)을 따라 선체(5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블록(5242)은 랙-피니언 구조를 통해 가이드레일(524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5241)에는 가이드레일(5241)의 연장방향을 따라 랙 기어(미도시)가 형성되고, 이동블록(5242)에는 랙 기어와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기부(5210)는 제1이동부(5220)에 지지되어 보조도킹홈(6210)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부재(5211)를 매개로 제1이동부(52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500: 선박결합체
1000, 5000: 예인선
1100, 5100: 선체
1200,5200: 보조결합모듈
1210, 5210: 돌기부
1220, 1220', 5220: 제1이동부
1221: 제1신축부재
1225': 가이드부재
1226': 지지블록
1230: 제2이동부
1231: 제2신축부재
5240: 제3이동부
5241: 가이드레일
5242: 이동블록
2000, 6000: 바지선
2100, 6100: 바지몸체
2110, 6110: 메인도킹홈
2200, 6200: 보조도킹부
2210, 6210: 보조도킹홈
1000, 5000: 예인선
1100, 5100: 선체
1200,5200: 보조결합모듈
1210, 5210: 돌기부
1220, 1220', 5220: 제1이동부
1221: 제1신축부재
1225': 가이드부재
1226': 지지블록
1230: 제2이동부
1231: 제2신축부재
5240: 제3이동부
5241: 가이드레일
5242: 이동블록
2000, 6000: 바지선
2100, 6100: 바지몸체
2110, 6110: 메인도킹홈
2200, 6200: 보조도킹부
2210, 6210: 보조도킹홈
Claims (8)
- 바지선과 연결되고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으로서,
선수부가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메인도킹홈에 삽입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형성되고,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보조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모듈은,
상기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를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돌기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제2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예인선. - 바지선과 연결되고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으로서,
선수부가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메인도킹홈에 삽입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형성되고, 상기 바지선에 형성되는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보조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모듈은,
상기 보조도킹홈에 삽입되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를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부를 포함하는, 예인선.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제1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예인선.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돌기부가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예인선.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예인선; 및
상기 예인선과 연결되어 상기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되, 상기 예인선의 선체 선수부가 삽입되는 메인도킹홈이 형성되는 바지몸체 및 상기 바지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예인선의 보조결합모듈이 삽입되는 보조도킹홈이 형성되는 보조도킹부를 포함하는 바지선을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2814A KR102070856B1 (ko) | 2017-11-16 | 2017-11-16 |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2814A KR102070856B1 (ko) | 2017-11-16 | 2017-11-16 |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5939A KR20190055939A (ko) | 2019-05-24 |
KR102070856B1 true KR102070856B1 (ko) | 2020-01-29 |
Family
ID=6668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2814A KR102070856B1 (ko) | 2017-11-16 | 2017-11-16 |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08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2226B1 (ko) | 2023-03-06 | 2023-07-06 | 오재열 | 해저조망 전기보트차와 전기 해저조망 관광예인선이 결합된 선박결합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31393A (en) * | 1976-04-24 | 1977-11-0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Device for connecting pushing boat of pushing sail type to float |
KR800001473Y1 (ko) * | 1980-04-17 | 1980-09-13 | 가부시기가이샤 아오기 겐세쯔 |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
JPH0671391U (ja) * | 1993-03-23 | 1994-10-0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船舶の係留及び離接岸支援装置 |
-
2017
- 2017-11-16 KR KR1020170152814A patent/KR10207085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2226B1 (ko) | 2023-03-06 | 2023-07-06 | 오재열 | 해저조망 전기보트차와 전기 해저조망 관광예인선이 결합된 선박결합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5939A (ko) | 2019-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10219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 |
KR102070856B1 (ko) |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 |
CN104853982A (zh) | 船形构造物的建造方法和船形构造物的设计方法,以及在这些方法中使用的分割构造体和移动构造体 | |
JP2019188984A (ja) | 船舶 | |
KR950031774A (ko) | 호송 견인 및/또는 항만용 예인선 | |
SG127787A1 (en) | Method of intercepting and yawing a sailing vesselwith external propulsion means | |
CN109890696A (zh) | 由铰接的帆板形成的船帆以及装备该船帆的船舶 | |
KR20160069112A (ko) | 해양부유체용 스케그 | |
CN212313791U (zh) | 由模块舰艇组合的舰艇组合 | |
US6874440B1 (en) | Expandable multi-hull boat | |
CN105129017A (zh) | 一种海工拖船海马形球鼻艏式的船艏结构 | |
US4026234A (en) | Device for coupling a barge unit to a pusher-tug for sea transport | |
US3962983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 |
KR20220033209A (ko) |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 |
KR20200095289A (ko) | 선박의 접안이 용이한 계류 부두 | |
KR101617190B1 (ko) | 접합식 플로팅 도크 및 확장 플로팅 도크 | |
EP2193988B1 (en) | Coupling system and a vessel provided with such a coupling system | |
KR101256471B1 (ko) | 화물 수송용 열선구조 | |
JP2006312364A (ja) | 連結船 | |
KR102448846B1 (ko) | 해양 구조물에 구비되는 롤링 저감 시스템 | |
NL1012591C2 (nl) | Sleepboot. | |
JP2015137040A (ja) | 船舶の係留・曳航装置 | |
KR102352694B1 (ko) |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예인선 | |
KR102640387B1 (ko) | 계류시스템 | |
RU2734146C1 (ru) | Самоходное в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