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73Y1 -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73Y1
KR800001473Y1 KR2019800002510U KR800002510U KR800001473Y1 KR 800001473 Y1 KR800001473 Y1 KR 800001473Y1 KR 2019800002510 U KR2019800002510 U KR 2019800002510U KR 800002510 U KR800002510 U KR 800002510U KR 800001473 Y1 KR800001473 Y1 KR 800001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pin
connecting pin
for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무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아오기 겐세쯔
아오기 히로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아오기 겐세쯔, 아오기 히로요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아오기 겐세쯔
Priority to KR2019800002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70Tugs for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021/563Push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압선과 부선과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일예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Q-Q선 절단 단면도.
제 4 도의 본 고안장치 일부를 절개 표시하는 요부의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 연결장치에 있어서 선두 중앙의 연결 장치에 걸리는 힘의 작용도.
제 6 도는 본 고안장치 양선변의 연결장치에 걸리는 힘의 작용도.
본 고안은 동력이 없는 부선의 선미에 요소(凹所)를 설치하고 이에 동력이 있는 압선의 선두를 결합 연결하는 소위 외양 압항부선에 있어서 그 연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외양 압항부선에 있어서는 핀 연결방식을 채용하여 압선 양선변의 연결핀을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배설한 경우에 항해중 파도 때문에 이 연결핀에 가해지는 하중(荷重)으로서는 압선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외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힘과 이들 각 방향의 합성력(合成力) 등이 작용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후방향의 힘에 의한 연결핀의 전단력(剪斷力)을 감소시킴을 주목적으로한 것으로 즉 압선 양선변의 연결핀과 부선의 요소에 설치한 연결핀 받이를 경사지게 후방으로 향하여 배설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2, 3 도에 표시된 종래의 수평 배설된 핀 연결방식부터 설명하면 (1)은 부선, (2)는 압선으로서 각기의 선미와 선두 그리고 양선변에 연결핀받이(3)와 연결핀(4)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핀(4)은 압선(2)안에 장치된 실린더(5)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어 압선(2)에서 돌출이 자유롭게 되어있으며 연결핀(4)가 연결핀받이(3)에 감입함으로서 부선과 압선이 3점에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핀받이(3)는 제 3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 여러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선의 홀수상태에 따라서 상하 임의로 연결핀(4)을 감합할 수 있으며 그 결합 범위가 크게 되어 있다. 또 실린더(5)에 의하여 돌출이 자유로운 연결핀(4)은 좌우 선변이 독립된 실린더에 의하여서 감탈하는 방식이나 또는 좌우선변을 동시에 감탈시키는 방식중 하나가 채용되나 후자의 경우 하나에 실린더(5)로 연결핀(4)을 작용하는 방식이 되기 때문에 감입시나 탈출시에 다같이 감입력 또는 탈출력이 얻어진다. 그외에 연결핀(4)의 감입 연결핀받이(3)에서의 출입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윤활제(潤滑劑)를 연결핀받이(3)에 주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외양 압항선에 있어서 압선(2) 양선변의 연결핀(4)을 제 2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수평의 직각으로 설치하지 않고 제 4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후퇴각(後退魚)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후반으로 향하여서 예를 들면 30°각이 되도록 배설하고 이에 따라서 연결핀받이(3)도 같은 방향으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핀받이(3)와 연결핀(4)은 다같이 테이퍼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그 표면은 필요에 따라서 고무 또는 네오프렌 등으로 피복하고 서로 감합상태에 있는 간격이 영(零)의 상태로 압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원통형핀에 비하여 저항이 적으므로 용이하게 이탈된다. 그리고 선두와 양선변에 있어서 각 실린더(5)는 각각 연결로드(7)로 압선내에 입설한 하나의 삼각주(三角柱) 상태의 지주(8)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당연한 일이지만 각 연결로드(7) 사이는 120°각이 된다.
이와 같이 등분각(等分魚)으로 배분되어진 각 연결로드(7)를 하나의 지주(8)에 부차시키면 연결핀(4)에 걸리는 힘은 서로 상쇄되어 선체의 균형이 좋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지주(8)에 감착함이 없이 각각 별개로 선체에 대하여 고정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서 부호(9)는 실린더(5)에 설치된 축압기(蓄壓器)로서 연결핀(4)이 파도 등 외력에 의하여 연결핀받이(3)에서 빠지지 않도록 그 피스톤에 압력유체(壓力流體)를 항상 공급하는 작용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피스톤로드 (6)은 항상 연결핀(4)을 연결핀받이(3)에 대하여 압착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외양 압항선에서 전방으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에 압선(2)은 후방으로 분리되려고 하는 힘(OJ)가 제 6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해지며 이때에 양선변 연결핀(4)에는 분력(分力)(OI)(COS 30≒0.86)이 전단력으로서 작용함으로 제 1, 2, 3 도에 표시된 연결핀(4)을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 받는 전단력에 비하여 감소된다. 이 경우에 선두 중앙의 연결핀(4)은 연결핀받이(3)에서 분리되려고 함으로 하등의 전단력도 작용되지 않는다.
또 후방에서 힘을 받았을 경우에 전기한 힘과는 역(逆)의 힘이 가해지나 제 5 도에 표시함과 같이 선두 중앙 연결핀(4)의 테이퍼부에서 받아낼 수 있기 때문에 그 테이퍼각을 Q/2=7.5로 하면 Sin 7.5=0.12라 하는 근소한 전단력이 작용할 뿐이다.
이 경우 선두중앙의 연결핀(4)과 연결핀받이(3)로 모든 힘을 받으므로 양선변의 연결핀은 하등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선변의 연결핀을 수평으로 배치한 종래의 경우보다도 연결핀에 걸리는 전단력은 적어지므로 연결기구를 축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3점고정 연결기구와 잘 어울려서 내파성능(耐波性能)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 연결핀(4)과 연결핀받이(3)와는 동일의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압선 양선변의 연결핀이 후퇴각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감합 이탈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등력이 없는 부선의 선미에 요소를 설치하며 이에 등력이 있는 압선의 선두를 결합연결함에 있어서, 압선 양선변 중앙 부근과 선두부근에 설치한 테이퍼형의 연결핀(4)을 부선(1)의 요소에 설치한 동일한 테이퍼형의 연결핀 받이(3)에 대하여 연결이 자유롭게 구성하여 3점 고정연결을 형성하고 압선(2) 양선변에 있는 연결핀(4)과 부선(1)의 요소에 설치한 연결핀받이(3)와는 후퇴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후방으로 배설하여서 된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KR2019800002510U 1980-04-17 1980-04-17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KR800001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510U KR800001473Y1 (ko) 1980-04-17 1980-04-17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510U KR800001473Y1 (ko) 1980-04-17 1980-04-17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0576 Division 1975-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73Y1 true KR800001473Y1 (ko) 1980-09-13

Family

ID=192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510U KR800001473Y1 (ko) 1980-04-17 1980-04-17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79Y1 (ko) * 2007-08-20 2009-07-27 김병수 선박 연결장치
KR101476154B1 (ko) * 2014-04-15 2014-12-24 주식회사 케이렘 선박용 해상 풍력발전기 접안장치
KR20190055939A (ko) * 2017-11-16 2019-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선, 바지선, 및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79Y1 (ko) * 2007-08-20 2009-07-27 김병수 선박 연결장치
KR101476154B1 (ko) * 2014-04-15 2014-12-24 주식회사 케이렘 선박용 해상 풍력발전기 접안장치
WO2015160119A1 (ko) * 2014-04-15 2015-10-22 (주)케이렘 선박용 해상 풍력발전기 접안장치
KR20190055939A (ko) * 2017-11-16 2019-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선, 바지선, 및 예인선과 바지선이 연결된 선박결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0755A (zh) 线束夹具
KR800001473Y1 (ko) 외양 압항부선의 연결장치
US4037907A (en) Tractor-trailer electrical receptacle
US3935831A (en) Means of connecting a pusher boat and a barge
US4406239A (en) Sailboats, especially catamarans
DE102015210436B4 (de) Ultraschallsensor
US3143994A (en) Steering connection for outboard motors
US2902537A (en) Dead end and splice connectors
KR910006108A (ko) 계압선과 부선의 연결장치
US4900266A (en) Strain relief system for connecting cables
EP0037532A2 (en) Non-roll tug-and-barge linkage
US3962983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US4008575A (en) Lightweight end connectors for pollution containment boom
BR9812348A (pt) "método para executar uma pesquisa sìsmica marìtima com uma série de fitas sìsmicas, série de fitas sìsmicas e dispositivo conector de fita sìsmica e cabo de entrada"
US4026234A (en) Device for coupling a barge unit to a pusher-tug for sea transport
US3547066A (en) Anchor chain arrester
SE8403674D0 (sv) Fartyg
GB1167657A (en) Improvements in Multi-Hull Boats
US3374761A (en) Hydraulic stabilizer for boat steering
US4792308A (en) Electrical connector
KR810000705Y1 (ko) 내항성이 큰 압항부선
KR102070856B1 (ko) 예인선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결합체
KR101903136B1 (ko) 방향키 구조체
FR2397322A1 (fr) Procede d'assemblage de l'extremite de poupe comprenant l'installation propulsive d'un bateau
US3930703A (en) Central plug conn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