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656B1 -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656B1
KR102039656B1 KR1020167026958A KR20167026958A KR102039656B1 KR 102039656 B1 KR102039656 B1 KR 102039656B1 KR 1020167026958 A KR1020167026958 A KR 1020167026958A KR 20167026958 A KR20167026958 A KR 20167026958A KR 102039656 B1 KR102039656 B1 KR 10203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ll
fuel
valv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329A (ko
Inventor
켄타 미하라
카즈나리 나카야
마사토 시노자키
마사루 사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야치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야치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160136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1Venting during dr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04Plural fl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07With counter-balance
    • Y10T137/741Within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증기를 배출하고, 연료가 통기실 내에 들어가더라도 연료 증기 배출구에 연료가 들어가기 어려운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이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10)는, 칸막이 벽을 통해 하부에 밸브실, 상부에 통기실이 설치된 하우징(15)과, 제1 개구(23)가 그 저부에 형성되어 통기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부(64)와, 그 내주에 설치된 연료 증기 배출구(71)를 구비하고, 칸막이 벽은 제2 개구 주변으로부터 요부(64) 내주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선반형 벽부(63)를 구비하며, 상기 선반형 벽부(63)에는 제2 개구측으로부터 요부(64)에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1 홈부(70)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선반형 벽부(63)와의 사이에 간극(R3)을 통해 천장 벽(80)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VLAVE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연료 탱크에 설치되어 연료 탱크 밖으로의 연료 유출을 방지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는, 자동차가 선회하거나 기울어졌을 때,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연료 탱크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거나,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미리 설정된 가득채움 액면보다 상승하지 않도록 연료 탱크 내에의 과급유를 방지하는 밸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제1, 제2 개구를 갖는 단판(端板)이 있고, 상기 단판을 통해 하부 공간 및 상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부에 접속되어 상기 상부 공간에 연통하는 직관(直管) 형상의 1개의 증발 연료 배출관과, 상기 하부 공간 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가득채움 액위(液位) 부근에 이르렀을 때 제1 개구를 닫는 제1 플로트 밸브와, 상기 하부 공간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비정상으로 상승했을 때 제2 개구를 닫는 제2 플로트 밸브와, 상기 제2 개구 상부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제2 개구를 닫고 연료 탱크 내압이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제2 개구를 여는 릴리프 밸브를 갖는 연료 탱크의 증발 연료 배출 규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공급되어 연료 액면이 가득채움 액위 부근에 이르면, 제1 플로트 밸브가 제1 개구를 닫고, 그 이상의 연료 공급이 규제된다. 한편, 연료 탱크 내에서 연료가 요동하면, 제1 플로트 밸브 및 제2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제1, 제2 개구를 닫고, 증발 연료 배출관에의 연료의 유입이 저지되고, 연료 탱크 밖으로의 연료 유출이 방지된다.
특허문헌 1 : 특개평 6-297968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장치의 경우, 차량의 주행 등에 의해 연료 탱크 내에 연료 증기가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탱크 내의 힘이 높아지면 연료 증기가 제1 개구를 통해 케이스의 상부 공간에 유입되고 증발 연료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플로트 밸브가 접리(接離)하는 제2 개구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릴리프 밸브에 의해 상시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연료 탱크 내에서 연료가 격렬하게 요동하거나, 주행중의 진동 등으로 연료의 비말(飛沫)이 다량으로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연료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릴리프 밸브를 밀어 올리고, 제2 개구를 통해 상부 공간내에 연료가 들어가서, 증발 연료 배출관의 배출구에 액체 상태의 연료가 유입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탱크 내에 발생하는 연료 증기를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료가 통기실 내에 들어가더라도 연료 증기 배출구에 연료를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는, 칸막이 벽을 통해, 하부에 밸브실, 상부에 통기실이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통기실을 연통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고,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설정된 가득채움 액면 부근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플로트 밸브와, 상기 밸브실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고,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을 때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제2 플로트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가, 그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부(凹部)와, 상기 통기실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료 증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벽은 상기 제2 개구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요부 내주에 이르도록 연장하는 선반형 벽부를 가지며, 상기 선반형 벽부에는, 상기 제2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요부에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1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선반형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통해 상기 통기실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 벽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선반형 벽부에는, 상기 요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를 이루는 제3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는, 상기 하우징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의 정점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를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제2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를 연결하는 라인은 상기 하우징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선반형 벽부에는 상기 요부와 상기 제3 개구를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2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홈부의, 상기 요부측의 단부에는 상기 요부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차양형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차양형 벽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요부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된 세로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는 상기 요부의 내주의 원주 방향에서 상기 제1 홈부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에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측으로 향하는 경로에 대해 예각 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에 접속된 연료 증기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선반형 벽부에 개구되어 상기 간극에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연료 증기 배관의 내주에 개구되어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 증기 배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칸막이 벽의 선반형 벽부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칸막이 벽의 선반형 벽부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하부로 뻗어 있으며, 그 하단이 상기 연료 증기 배관의 내주에 연통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천장 벽의 내면에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선반형 벽부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상기 선반형 벽부와 상기 천장 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홈부를, 그의 연장돌출 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면적은 상기 제2 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실, 상기 통기실, 상기 칸막이 벽, 상기 요부,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본체부의 상부에 별체(別)의 상기 천장 벽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에 의하면, 연료 탱크 내에서 액체 상태의 연료가 요동하여 제2 개구로부터 통기실 내로 연료가 유입되면, 상기 연료는 칸막이 벽의 선반형 벽부에 형성된 제1 홈부를 집중적으로 흘러 요부에 낙하하기 때문에 그 저부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연료 탱크내로 쉽게 되돌릴 수 있으며, 연료를 연료 증기 배출구에 유입하기 어렵게 하여 캐니스터 등에 연통하는 연료 증기 배관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증기가 제2 개구를 통해 통기실 내에 유입되면, 제1 홈부 또는 선반형 벽부와 천장 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요부에 유입되고 요부 내주에 형성된 연료 증기 배출구에 유입되므로 연료 증기를 연료 증기 배관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를 도시하며, (a)는 그 사시도, (b)는(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일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천장 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이나 칸막이 벽 등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b)는 도 10의 X-X 화살표 선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 밸브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도 7과는 다른 방향에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로트 밸브 및 제2 플로트 밸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로트 밸브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로트 밸브 및 제2 플로트 밸브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일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일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를 도시하며, (a)는 그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동일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천장 벽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동일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일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동일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를 도시하며, (a)는 그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일 밸브 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천장 벽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천장 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6의 A-A 화살표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6의 B-B 화살표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6의 D-D 화살표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6의 E-E 화살표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동일 밸브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기운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이하, 도 1~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10)(이하, 「밸브 장치(10)」라 한다)는, 본체부(17)(도 2 참조)와, 상기 본체부(17)의 상부에 장착되는 별체의 천장 벽(8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17)는 제1 플로트 밸브(30)가 수용되는 제1 케이싱(20) 및 그 하부에 장착되는 제1 캡(25)과, 제2 플로트 밸브(50)가 수용되는 제2 케이싱(40) 및 그 하부에 장착되는 제2 캡(55)과, 상기 제1 케이싱(20) 및 제2 케이싱(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커버(60)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제1 케이싱(20), 제2 케이싱(40), 및 그것들에 수용되는 제1 플로트 밸브(30), 제2 플로트 밸브(50) 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케이싱(20)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둘레 벽(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케이싱(20)의 상부에는, 제1 개구(23)가 형성된 제1 칸막이 벽(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칸막이 벽(22)의 표면이며, 제1 개구(23)의 외주에는 환상 벽(22a)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싱(20)의 둘레 벽(21)의 외주 소정 개소에는 장착 브래킷(27)이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료 탱크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걸림편이 장착 브래킷(27)에 결합됨으로써 연료 탱크(1)(도 10~12 참조)내에 제1 케이싱(2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싱(20)의 둘레 벽(21)에는 통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싱(20)의 하부 개구부에는, 제1 캡(25)이 장착되어 있고, 그에 의해 제1 칸막이 벽(22)의 하부에 제1 플로트 밸브(30)가 수용되는 제1 밸브실(V1)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제1 캡(25)의 저면에는 통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25a) 및 상기 통공(21a)에 의해 제1 밸브실(V1)은 연료 탱크 내에 연통되어 있다.
제1 밸브실(V1) 내에는, 제1 캡(25)과의 사이에 제1 스프링(S1)을 개재(介在)시켜 제1 플로트 밸브(30)가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플로트 밸브(30)의 상부에는 요동가능한 밸브머리(弁頭;32)가 장착되어 있다(도 10 참조).
한편, 제2 케이싱(40)은, 하부 부분이 확경()되고 상부 부분이 그보다 축경(縮)한 원통형의 둘레 벽(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케이싱(40)의 축경된 상부 부분의 외주에는 밀봉 링(4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싱(40)의 상부에는, 제2 개구(43)가 형성된 제2 칸막이 벽(4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2 칸막이 벽(42)은 상기 제1 칸막이 벽(2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케이싱(40)은 제1 케이싱(20)보다 작은 직경으로 길이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43)는 제2 칸막이 벽(42)의 표면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이 돌출된 부분에 도시하지 않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체크밸브(56)가 맞닿은 상태에서(도 10및 도 11 참조) 제2 개구(43)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케이싱(40)의 하부 개구부에는 제2 캡(55)이 장착되어 있고, 그에 따라 제2 칸막이 벽(42)의 하부에 제2 플로트 밸브(50)가 수용되는 제2 밸브실(V2)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제2 캡(55)의 저면에는 통공(5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싱(40)의 둘레 벽(41)의 외주에는 복수의 결합조(係合爪;44)가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둘레 벽(41)에는 제2 밸브실(V2)에 연통하는 통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실(V2) 내에는, 제2 캡(55)과의 사이에 제2 스프링(S2)을 개재시켜 제2 플로트 밸브(50)가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2 플로트 밸브(50)의 상부에는 밸브머리(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로트 밸브(30) 또는 제2 플로트 밸브(50)는 연료가 침지(浸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각 스프링(S1,S2)을 압축하여 각 캡(25,55) 상에 재치(載置)된 제1 개구(23)나 제2 개구(43)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연료」란, 액체 상태의 연료(연료의 비말(飛沫)도 포함)를 의미하고, 「연료 증기」란, 증발된 연료를 의미한다.
상기 상태에서,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액면이 상승하고, 각 플로트 밸브(30,50)가 연료에 침지되면, 각 스프링(S1,S2)의 탄성력 및 각 플로트 밸브(30,50) 자체의 부력에 의해 각 플로트 밸브(30,50)가 상승하게 되어 있다(도 10및 도 11 참조).
그리고, 제1 플로트 밸브(30)는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설정된 가득채움 액면에 도달하면 제1 개구(23)를 폐쇄하여 그 이상의 과급유(過給油)를 방지하는 가득채움 규제 밸브를 이루고, 제2 플로트 밸브(50)는 연료의 요동 등에 의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을 때 제2 개구(43)를 폐쇄하여 연료의 외부 누출을 막는 연료 유출 방지 밸브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싱(40)의 둘레 벽(41)의 축경한 상부 부분에는 복수의 통공(58a)을 구비한 뚜껑체(58)가 장착되어 있고, 그 내측에 있는 제2 칸막이 벽(42)의 상부에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복수의 통공(56a)을 마련한 체크밸브(56)가 수용되어 있다.
이 체크밸브(56)는, 제1 플로트 밸브(30)에 의해 제1 개구(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저하시에 뚜껑체(58)의 통공(58a), 체크밸브(56)의 통공(56a), 제2 개구(43)의 도시하지 않은 노치를 통해 공기를 연료 탱크 내에 유입하는 한편,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증대시 상승하여 제2 개구(43)를 열고 연료 증기를 연료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케이싱(20) 및 제2 케이싱(40)의 상부에 장착되고 양자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커버(60), 및 그 상부에 장착되는 천장 벽(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0)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1 통부(61)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2 통부(62)와, 제1 통부(61) 및 제2 통부(62)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 통부(61,62)끼리를 접속하는 선반형 벽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통부(61) 쪽이 제2 통부(62)보다 확경되어 있고, 더욱이 제1 통부(61) 쪽이 제2 통부(62)보다 하부를 향해 길게 뻗어 있다.
상기 제2 통부(62)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케이싱(40)의 둘레 벽(41)의 축경된 상부 부분이 삽입되고, 그 상단측 내주에 제2 개구(43)를 갖는 제2 칸막이 벽(42)이 배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한편, 제1 통부(6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케이싱(20)의 둘레 벽(21)의 상부 부분이 장착되고, 제1 통부(61)의 하단 개구부에 제1 개구(23)를 갖는 제1 칸막이 벽(22)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제1 개구(23)의 주변에 상기 선반형 벽부(63)보다 낮게 형성된 요부(64)가 설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즉, 이 요부(64)는 통기실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요부(64)의 저부(底部)에 제1 개구(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23)는 선반형 벽부(63)보다 낮다.
또한, 상기 선반형 벽부(63)는, 제2 통부(62)측의 제2 칸막이 벽(42)에 설치한 제2 개구(43)의 주변으로부터, 제1 통부(61)측의 제1 칸막이 벽(22)의 제1 개구(23) 주변에 설치한 상기 요부(64) 내주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있다(도 5및 도 6 참조). 또한, 선반형 벽부(63)와 커버(60)의 상부에 장착되는 천장 벽(80)과의 사이에는 간극(R3)이 형성되어 있다(도 7 및 도 9~12 참조). 또한, 양 통부(61,62)의 상부 외주 및 선반형 벽부(63)의 외주에는 용착구(溶着溝;65)가 형성되어 있다(도 3(a) 참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부(61)의 하단 외주연으로부터는 플랜지부(66)가 연장 설치(延設)되고, 그 뒤편 주변에는 환상의 용착돌기부(66a)가 돌출되어 있다(도 3(b) 참조). 이 플랜지부(66)를 제1 케이싱(20)의 둘레 벽(21)의 상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용착돌기부(66a)를 제1 칸막이 벽(22)의 환상 벽(22a)의 외주에 배치하여 용착돌기부(66a)를 제1 칸막이 벽(22)의 표면에 용착시킴으로써, 제1 케이싱(20)이 커버(60)에 연결된다(도 10 참조).
한편, 제2 통부(62)의 외주로부터는, 결합공(68a)을 갖는 결합편(68)이 하부를 향해 복수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통부(62) 내에, 제2 케이싱(40)의 둘레 벽(41)의 축경된 상부 부분을 삽입하고, 각 결합조(44)를 결합편(68)의 각 결합공(68a)에 결합시킴으로써, 제2 케이싱(40)이 밀봉 링(45)을 통해 기밀방식(密的)으로 커버(60)에 연결된다(도 10 참조).
또한 각 케이싱(20,40)의 커버(60)에의 연결 방법은 상기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60)는 상기와 같이 각 케이싱(20,40)이 연결됨으로써, 각 통부(61,62)의 하부 개구가 각 칸막이 벽(22,42)에 의해 덮이고, 상부에 천장 벽(80)이 장착됨으로써 각 통부(61,62)의 상부 개구가 덮임과 동시에 상기 선반형 벽부(63)의 상부가 덮인다.
그에 따라, 제1 통부(6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밸브실(V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통기실(R1)과, 제2 통부(6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밸브실(V2)의 상부에 배치된 제2 통기실(R2)과, 제1 통기실(R1) 및 제2 통기실(R2)과 연통하는 상기 간극(R3)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기실」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실(V1) 및 제2 밸브실(V2)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버(60)에 각 케이싱(20,40)이 장착되는 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20)의 제1 칸막이 벽(22)과 제2 케이싱(40)의 제2 칸막이 벽(42) 사이에 양 칸막이 벽(22,42)을 연장 설치(延設)하는 상기 선반형 벽부(63)가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제1 칸막이 벽(22), 제2 칸막이 벽(42) 및 선반형 벽부(63)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칸막이 벽」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3(a),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형 벽부(63)의 표면에는 제2 칸막이 벽(42)의 제2 개구(43)측으로부터, 제1 개구(23)의 요부(64) 내주로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1 홈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홈부(70)의 상부에, 선반형 벽부(63)와의 사이에 간극(R3)을 통해 상기 천장 벽(80)이 장착되어 있다(도 7및 도 10 참조). 또한, 제1 홈부(70)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통기실(R1)에 연통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통기실(R2)에 연통하며, 또한 상부가 상기 간극(R3)에 연통되어 있다(도 10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1 홈부(70)는, 밸브 장치(10)를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칸막이 벽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개구(43)측으로부터 제1 개구(23)측으로 향하는 경로(L) (제2 개구(43)의 중심으로부터 제1 개구(23)의 중심으로 향하는 경로)에 대하여, 후술하는 연료 증기 배출구(71)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경로(L)와 거의 평행이 되도록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70)의, 선반형 벽부(63)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D1)는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 사이에 형성된 간극(R3)의 높이(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70)의 깊이(D1)는 2.5~3.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간극(R3)의 높이(D2)는 0.3~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a)에서는 후술하는 연료 증기 배관(73)이나 연료 증기 배출구(71)를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70)를, 그 연장 방향으로 수직인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면적(A1)은 제2 칸막이 벽(42)에 형성된 제2 개구(43)의 면적(A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홈부(70)의 면적(A1)은 제2 개구(43)의 면적(A2)에 비해 1.5~2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3~7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제1 홈부(70)의 내주 형상은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도 5 및 도 7 참조), 각형 모양이나 V홈 형상 등을 이루고 있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홈부(70)는 선반형 벽부(63) 상에 복수 형성해도 좋다.
그런데,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소정량 저장되어 가득채움 규제 밸브인 제1 플로트 밸브(30)가 상승하여 제1 개구(23)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증기나 공기 등은 주로 제2 밸브실(V2), 제2 개구(43), 제2 통기실(R2), 제1 홈부(70)나 간극(R3)을 순차 통과하여 제1 통기실(R1)로 유동하도록 되어 있어, 이 유로를 증발 라인(evaporation line)이라 한다. 상기 제1 홈부(70)는 이 증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이 밸브 장치(10)는, 통기실에 연통하도록 연료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부(61) 내에 있는 상기 요부(64)의 내주의 소정 위치에는 제1 통기실(R1)에 연통하는 연료 증기 배출구(71)(이하, 「배출구(71)」라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배출구(71)는 상기 경로(L)에 대하여 상기 제1 홈부(70)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배출구(71)의 형성 위치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상기 배출구(71) 및 상기 제1 통기실(R1)에 연통하도록 연료 탱크 외에 배치되는 배관과의 접속용의 연료 증기 배관(73)(이하, 「배관(73)」이라 한다)이 상기 경로(L)에 대해 예각 형상을 이루도록 제1 통부(61)의 외주에 접속되어 있다. 도 9~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관(73)은 상기 선반형 벽부(63)의 하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기단부(基端部)는 선반형 벽부(63)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배관(73)은 적어도 일부가 선반형 벽부(63)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통부(61)의 외주에 대한 배관(73)의 접속 각도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커버(60)에는, 일단이 선반형 벽부(63)에 개구되어 상기 간극(R3)에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배관(73)의 내주에 개구되어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78)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바이패스 유로(78)는 선반형 벽부(63)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하부를 향해 연장해 있으며, 그 하단이 선반형 벽부(63)의 하면에 접합된 상기 배관(73)의 기단부 내주에 연통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바이패스 유로(78)는 가늘고 길게 수직으로 연장하는 각공(角孔)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예를 들면 원형 구멍 형상이나 타원 구멍 형상 등을 하고 있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78)는 선반형 벽부(63)에 설치된 개구와 배관(73)의 내주에 설치된 개구를 관 형상의 부재 등을 통해 연결한 구조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3(a),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부(61)의 내주면으로부터는, 상기 배출구(71)를 둘러싸는 통 형상 벽(74)이 돌출되어 상기 통 형상 벽(74)의 외주면과 천장 벽(80)의 내면 사이에 공극(C1)이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도 3(a), 도 5,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형 벽부(63)의 표면이며, 상기 제1 홈부(70)와 상기 배출구(71) 사이에는 리브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 삽입홈(75)은 그 상부가 상기 간극(R3)에 연통하고 일단부가 제1 통기실(R1)과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홈부(70)에 대해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도 3(a),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부(61)의 내주이며, 상기 통 형상 벽(74)의 둘레 방향 양측에는 제1 통기실(R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세로 리브(76,7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세로 리브(76)는, 그 하단부(76a)가, 제1 통기실(R1)의 내경 방향을 향해 L자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도 5및 도 10 참조), 그것들의 선단이 제1 칸막이 벽(22)의 제1 개구(23)의 내주연보다 내경 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도 3(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부(61)의 하단 내주로부터는, 상기 세로 리브(76,76)에 대해 균등한 간격을 두고 횡 리브(77)가 제1 통기실(R1)의 내경 방향을 향해 연장하고, 그 선단은 제1 개구(23)의 내주연보다 내경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구성 부재(제1 케이싱(20), 제1 캡(25), 제2 케이싱(40), 제2 캡(55), 커버(60))로 이루어진 본체부(17)는 밸브실(제1 밸브실(V1), 제2 밸브실(V2)), 통기실(제1 통기실(R1), 제2 통기실(R2), 간극(R3)), 칸막이 벽(제1 칸막이 벽(22), 제2 칸막이 벽(42), 선반형 벽부(63)), 요부(64), 배출구(7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60)의 상부에 장착되는 천장 벽(8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0)의 표면 개구부에 적합한 긴 판(長板)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천장 벽(80)의 내면이며 제2 케이싱(40)측의 일단부에는 제2 케이싱(40) 상부에 장착되는 뚜껑체(58)와의 간섭을 막는 원 형상의 요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천장 벽(80)의 내면 주변으로부터는 환상의 용착돌기부(81)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용착돌기부(81)를 상기 커버(60)의 표면의 용착구(65)에 삽입하여 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선반형 벽부(63)의 상부에 천장 벽(80)이 배치되고, 선반형 벽부(63)와의 사이에 간극(R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7)와는 별체의 천장 벽(80)을 본체부(17)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선반형 벽부(63)(본 발명에서의 「칸막이 벽의 벽부」)와 천장 벽(80) 사이에 간극(R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극(R3)의 높이를 조정하기 쉬워져 작은 간극(R3)이라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60)에 대한 천장 벽(80)의 장착 구조는 상기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통기실(R1) 상에 배치되는 천장 벽(80)의 내면에는 상기 제1 홈부(70)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78)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83)가 설치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리브(83)는 제1 리브(84)와 제2 리브(8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리브(84)는 기단측이 낮고, 그 이외의 부분이 높게 세워진 대체로 L자형의 판 형상을 이루며(도 4 참조),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된 기단(84a)이 상기 리브 삽입홈(75)에 삽입되어 선단(84b)이 배출구(71)로부터 멀어지도록 R 모양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2 리브(85)는 상기 제1 리브(84)에 대해 거의 직교하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브(85)의 기단측으로부터는, 상기 배출구(71) 측을 향해 동일한 폭의 연장 리브(87)가 연장선 위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이 연장 리브(87)로부터 소정 간극을 둔 위치이며 상기 제1 리브(84)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위치에는, 상기 통 형상 벽(74)의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긴 판 형상의 커버 벽(89)이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60)의 상부에 천장 벽(80)이 장착된 상태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83)는 제1 홈부(70)와 배출구(71) 사이를 통과하는 한편, 제1 홈부(70)의 제1 통기실(R1) 측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 벽(89)이 상기 통 형상 벽(74)의 개구부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리브(83,87) 및 커버 벽(89)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연료 탱크 내로의 급유시에 연료 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연료 탱크 내의 공기나 연료 증기는, 주로 제1 밸브실(V1), 제1 개구(23)를 통과하여 제1 통기실(R1)에 유입되고, 또한 배출구(71)로부터 배관(73)으로 유입되어 배관(73)에 접속된 용기(canister) 등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유로를 벤트 라인(vent line)이라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밸브 장치(10)는 2개의 플로트 밸브(30,50)를 구비한 것이지만, 플로트 밸브를 1개의 밸브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히 급유되지 않고, 제1 플로트 밸브(30) 또는 제2 플로트 밸브(50)가 연료에 침지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개구(23) 또는 제2 개구(43)가 열려 있다.
이 상태에서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급유되면, 상기 벤토 라인(제1 밸브실(V1), 제1 개구(23), 제1 통기실(R1), 배출구(71), 배관(73))을 통과하여, 연료 탱크 내의 공기나 연료 증기가 연료 탱크 외부의 용기(canister) 등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급유되고, 연료 탱크 내의 연료액면이 상승하면, 연료가 제1 캡(25)의 통공(25a)이나 제1 케이싱(20)의 통공(21a)을 통해 제1 밸브실(V1) 내에 유입되고, 제1 플로트 밸브(30)에 연료가 소정 높이 이상 침지하면, 제1 스프링(S1) 및 제1 플로트 밸브(30) 자체의 부력에 의해 제1 플로트 밸브(30)가 떠올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머리(32)가 제1 칸막이 벽(22)의 제1 개구(23)를 폐쇄하므로, 연료 탱크 내의 공기나 연료 증기의 배출량이 저하되고, 그 이상의 연료 급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선회하거나 크게 기울어 연료 탱크 내의 연료액면이 상승하면, 연료가 제2 캡(55)의 통공(55a)이나 제2 케이싱(40)의 통공(41a)을 통해 제2 밸브실(V2) 내에 유입되고, 제2 플로트 밸브(50)에 연료가 소정 높이 이상 침지하면, 제2 스프링(S2) 및 제2 플로트 밸브(50) 자체의 부력에 의해 제2 플로트 밸브(50)가 떠올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머리(52)가 제2 칸막이 벽(42)의 제2 개구(43)를 폐쇄하므로, 연료가 제2 개구(43)를 통해 제2 통기실(R2) 내에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고, 연료 탱크 외부로의 연료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이 험로를 주행하여 상하로 진동하거나 좌우로 요동하거나, 혹은 급선회할 경우, 제2 플로트 밸브(50)의 상승에 의한 제2 개구(43)의 폐쇄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료나 연료의 비말이 제2 개구(43)로부터 제2 통기실(R2) 내로 거세게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제2 통기실(R2) 내에 유입된 연료는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 사이에 형성된 간극(R3)에는 들어가기 어렵고, 오로지 선반형 벽부(63)에 형성된 제1 홈부(70)를 집중적으로 흘러 제1 통기실(R1) 내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제1 통기실(R1)에 들어간 연료는, 도 6, 도 7(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83)에 의해 배출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됨과 동시에, 동일 리브(83)를 타고 제1 개구(23)의 주변의 요부(64)로 낙하한다(도 6 및 도 11 참조). 그 후, 연료는 제1 개구(23)를 통과하여 제1 밸브실(V1) 내에 유입되어 제1 케이싱(20)의 통공(25a) 등을 통해 연료 탱크 내로 되돌려지므로, 제1 통기실(R1)에 유입된 연료를 배출구(71)에 유입되기 어렵게 하여 배관(73)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이 실시형태에서는, 천장 벽(80)의 내면에는 제1 홈부(70)와 바이패스 유로(78) 사이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8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개구(43)로부터 제2 통기실(R2) 내에 유입되어 제1 홈부(70)를 흐르는 연료를 배출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어 연료가 배출구(71)에 의해 유입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천장 벽(80) 측에 설치한 리브(83)에 연설한 커버 벽(89)이 통 형상 벽(74)의 개구부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출구(71)로의 연료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로트 밸브(30)가 상승하고 제1 칸막이 벽(22)의 제1 개구(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제2 칸막이 벽(42)의 제2 개구(43)로부터 연료 증기가 제2 통기실(R2)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이 밸브 장치(10)에서는, 칸막이 벽을 구성하는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 사이에 간극(R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증기는 이 간극(R3)을 통해 제1 개구(23)의 주변의 요부(64)에 유입되고, 상기 요부(64)의 내주에 설치된 배출구(71)에 유입되어 배관(73)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밸브 장치에서는, 선반형 벽부(63)에 형성된 제1 홈부(70)에 의해 액체 상태의 연료를 유통시키고,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 사이에 형성된 간극(R3)에 의해 연료 증기를 유통시킬 수 있어, 액체 상태의 연료나 연료 증기의 성질에 따라 바람직한 유통로가 선택되어 액체 상태의 연료나 연료 증기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이 때,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구(71)는 요부(64)의 내주의 둘레 방향에서 제1 홈부(70)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홈부(70)를 흘러 제1 통기실(R1) 내에 유입된 연료를 배출구(71)에 유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배관(73)에의 연료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홈부(70)의 선반형 벽부(63)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D)는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 사이에 형성된 간극(R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7(a) 참조), 제2 개구(43)로부터 제2 통기실(R2) 내에 유입된 연료가 제1 홈부(70)를 흐를 때 보다 집중적으로 흘릴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부(70)를, 그 연장 돌출(延出)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면적(A1)은 제2 칸막이 벽(42)에 형성된 제2 개구(43)의 면적(A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7(a) 참조), 제2 개구(43)로부터 제2 통기실(R2) 내에 유입된 연료를 제1 홈부(70)에 효과적으로 모아 더 한층 집중적으로 흘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밸브 장치(10)에서는, 연료 증기는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 사이의 간극(R3)을 통해 제1 개구(23)의 주변의 요부(64)에 유입되고, 요부(64) 내주의 배출구(71)에 유입되어 배관(73)으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차량을 비탈길이나 경사로 등에 주차했을 때나, 차량이 긴 비탈길 등을 주행 중일 때와 같이 차량이 경사진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요부(64)가 액몰(液)되어 상기 배출구(71)가 폐쇄되어 버려서 연료 증기를 배관(73)으로부터 배출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 이 밸브 장치(10)에 의하면, 그러한 경우에도 일단이 선반형 벽부(63)에 개구되어 간극(R3)에 연통되고, 타단이 배관(73)의 내주에 개구되어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7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료 증기를 바이패스 유로(78)를 통해 배관(73)에 유입시켜 배출할 수 있다(도 5, 도 6 및 도 9 참조). 또한, 바이패스 유로(78)의 일단은 선반형 벽부(63) 상의 간극(R3)에 개구되어 있으므로 액체 상태의 연료를 유입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관(73)은 적어도 일부가 선반형 벽부(63)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로(L)에 대해 예각 형상을 이루어 제1 통부(61)에 접속된 배관(73)에 대해 비교적 짧은 경로로 바이패스 유로(78)의 일단과 타단을 연통시킬 수 있어 바이패스 유로(78)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바이패스 유로(78)는 선반형 벽부(63)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하부로 연장하고, 그 하단이 배관(73)의 내주에 연통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도 9 참조), 하우징 성형 금형(여기에서는 커버(60) 성형용의 금형)의 발형 방향(型方向)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78)를 형성할 수 있어 형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3~19에는,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10A)(이하, 「밸브 장치(10A)」라 한다)는, 상기 실시형태와는 주로 하우징을 구성하는 커버 및 그 상부에 장착되는 천장 벽의 구조가 다르다.
즉, 이 실시형태의 커버(60A)는, 상기 실시형태와는 배출구(71)의 형성 위치 및 배관(73)의 접속 각도가 다르다. 도 15,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A)에서의 배출구(71)는 요부(64)의 내주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제1 홈부(70)와는 다른 위치(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부(7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장치(10A)를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제2 개구(43)측으로부터 제1 개구(23)측으로 향하는 경로(L)의 연장선상이 되도록 커버(60A)의 제1 통부(61)의 외주에 배관(7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천장 벽(80A)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리브(83)나 커버 벽(89) 등이 없는 긴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도 제2 개구(43)로부터 제2 통기실(R2) 내에 유입된 연료에 대하여 선반형 벽부(63)에 형성된 제1 홈부(70)에 의해 액체 상태의 연료를 유통시키고, 선반형 벽부(63)와 천장 벽(80A) 사이에 형성된 간극(R3)에 의해 연료 증기를 유통시킬 수 있어 액체 상태의 연료나 연료 증기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도 20~30에는 본 발명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10B)(이하, 「밸브 장치(10B)」라 한다)는 주로 커버(60B)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고, 또한 이에 맞춰 제1 케이싱(20B), 제2 케이싱(40B), 천장 벽(80B)의 형상도 차이가 있다.
먼저, 제1 케이싱(20B) 및 제2 케이싱(40B)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제1 케이싱(20B)은 제1 칸막이 벽(22)의 외주연으로부터 환상의 플랜지(24)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4)의 외주연으로부터 환상 벽(24a)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싱(40B)의 제2 개구(43)의 통 형상의 돌출부분(43a)에 형성된 노치(43b)는 제2 통부(62)의 제1 개구(23) 측을 향해 형성된 노치(62a)(후술한다)와는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싱(40B)의 둘레 벽(41)으로부터 돌출한 각 결합조(44)의 하부에는 대체로 글자 모양을 이룬 유지 테두리(4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의 커버(60B)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형 벽부(63B)와 상기 선반형 벽부(63B)의 주변으로부터 입설(立設)된 틀 모양의 외벽(65B)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 및 외주에 벽부가 있어 상부가 개구된 엷은 틀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외벽(65B)의 외주에는 천장 벽(80B)과의 용착용의 용착구(67a)가 형성되고, 상기 용착구(67a)를 통해 외벽(65B)의 외주에는 상기 외벽(65B)보다 높이가 낮은 환상 벽부(6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6~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의 상부에 천장 벽(80B)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외벽(65B)과 천장 벽(80B)의 내면(통기실의 천장면을 의미한다. 이하 같다) 사이에는 소정 간극(R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벽(65B)은 제1 플로트 밸브(30)가 수용되는 제1 밸브실(V1), 제2 플로트 밸브(50)가 수용되는 제2 밸브실(V2), 및 제3 개구(7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선반형 벽부(63B)는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 정점이 원호 형상으로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2(b), 도 26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룬 선반형 벽부(63B)의 정점의 하나에는, 상기 제1 개구(23)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대체로 원통형을 이룬 제1 통부(61)가 하부를 향해 연장 설치(延設)되어 있다. 이 제1 통부(61)는 선반형 벽부(63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통부(61)의 하부 부분을 시인(視認)가능하다.
그리고, 제1 통부(61)의 플랜지부(66) 뒤편의 용착돌기부(66a)를,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싱(20B)의 제1 칸막이 벽(22)의 환상 벽(22a)의 외경측에, 또한 플랜지(24)의 환상 벽(24a)의 내경측에 배치하고, 그 곳에서 제1 칸막이 벽(22)의 표면에 용착시킴으로써 제1 케이싱(20B)이 커버(60B)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통부(61)의 하부 개구부에 상기 제1 케이싱(20B)의 제1 칸막이 벽(22)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통부(61)의 중심에 제1 개구(23)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통부(61)를 통해 커버(60B)의 삼각형의 정점 중 하나에 제1 개구(23)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22(a), 도 24,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룬 선반형 벽부(63B)의 정점의 또 하나에는, 상기 제2 개구(43)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원통형을 이룬 제2 통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통부(62)는, 선반형 벽부(63B)의 표면(천장 벽(80)측의 면)으로부터 천장 벽(80)의 천장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극(R3)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벽(65B)과 같은 높이로 상향 돌출함과 동시에, 선반형 벽부(63B)의 하면(제1 케이싱(20B) 및 제2 케이싱(40B)측의 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통부(62)는 상기 선반형 벽부(63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통부(62)의 하부 부분을 시인(視認) 가능하다.
또한, 도 22,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부(62)의 상부 부분이며 상기 제1 개구(23)측의 둘레면에는, 통기실에 연통하는 노치(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62a)는, 제2 개구(43)의 상부 돌출부에 설치된 노치(43b)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25 참조).
또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결합편(68)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결합공(68a,68a)이 형성되어 있어, 제2 케이싱(40B)의 둘레 벽(41)의 축경(縮)된 상부 부분을 제2 통부(62)의 하부 돌출부 내주에 삽입하면, 각 결합편(68)의 결합공(68a,68a)에 제2 케이싱(40B)의 결합조(44)가 순차적으로 맞물리고, 상부의 결합공(68a)에 결합조(44)가 결합함으로써 제2 케이싱(40B)이 밀봉 링(45)을 통해 기밀방식으로 커버(60B)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도 27및 도 28 참조). 또한, 결합편(68)의 선단부는 제2 케이싱(40B)의 둘레 벽(41)에 설치된 유지 테두리(46) 내에 삽입되고, 그 확개(開)가 규제되어 있다(도 21 참조).
그리고, 제2 통부(62)의 하부 개구부에 상기 제2 케이싱(40B)의 제2 칸막이 벽(42)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통부(62)의 중심에 제2 개구(43)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통부(62)를 통해 커버(60B)의 삼각형의 정점의 하나에 제2 개구(43)가 배치되어 있다.
도 22(a),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선반형 벽부(63B)의 정점의 또다른 하나에는 연료 증기 배출구를 이루는 둥근 구멍 형상(丸孔)의 제3 개구(7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3 개구(71B)는, 상기 선반형 벽부(63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 개구(71B)는 상기 선반형 벽부(63B)의 제1 개구(23)가 배치되는 요부(6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3 개구(71B)의 선반형 벽부(63B)의 하면측 주변으로부터는 하우징(15)의 하부를 향해 배관(73)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밸브 장치(10B)에서는, 제1 개구(23), 제2 개구(43) 및 제3 개구(71B)는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커버(60B)의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룬 선반형 벽부(63B)의 삼각형의 정점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5 참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개구(23)의 중심과 제3 개구(71B)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을 L1로 하고, 제1 개구(23)의 중심과 제2 개구(43)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을 L2로 하고, 제2 개구(43)의 중심과 제3 개구(71B)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을 L3으로 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인(L1)과 상기 라인(L3)의 각도 θ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라인(L1)과 상기 라인(L2)의 각도도 예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라인(L2)과 상기 라인(L3)의 각도는 거의 직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2(a),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43) 및 제3 개구(71B)를 연결하는 라인(L3)의 사이에는 통기실의 높이 방향 상부의 간극(R3)(도 26~29 참조)을 좁힐 수 있도록, 통기실의 저면(선반형 벽부(63B)의 표면)으로부터 제1 장벽(69)이 천장 벽(80B)의 천장면에 맞닿지 않는 높이로 세워져 있다.
이 제1 장벽(69)은, 그 기단부가 외벽(65B)의 제2 통부(62)와 제3 개구(71B) 사이의 벽면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가 요부(64)의 내주연에 이르도록 제1 개구(23) 측을 향하여 연장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장벽(69)은, 그 중간부보다도 약간 요부(64)쪽의 위치에서 원통 형상을 이룬 제2 통부(62)와의 간격이 거의 일정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장벽(69)의 선단에는, 상기 요부(64) 및 통기실을 구성하는 상기 간극(R3)에 연통하도록 요홈 형상의 리브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제1 장벽(69)은,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몽키 렌치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제2 개구(43) 및 제3 개구(71B)를 연결하는 라인(L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2(a),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와 천장 벽(80B) 사이에는 상기 제1 장벽(69)을 경계로 하여 제2 개구(43)로부터 요부(64)로 연통하도록 연장하고, 상기 제1 개구(23)에 이르는 제1 홈부(70)와 제1 개구(23)로부터 제3 개구(71B)에 이르도록 요부(64)와 제3 개구(71B)를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2 홈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홈부(70)나 제2 홈부(72)는 대체로 상기 라인(L2)나 상기 라인(L1)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홈부(70) 및 제2 홈부(72)의 저면(선반형 벽부(63B)의 표면)은 상기 제1 장벽(69)의 상단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홈부(72)의 저면, 즉 선반형 벽부(63B)의 제2 홈부(72)가 형성된 부분의 표면에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저면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2(a), 도 24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2 홈부(72)의 저면은 제1 개구(23)측에 배치된 제1 저면(72a)과, 제1 저면(72a)으로부터 연속하여 제3 개구(71B)측에 형성되어 제1 저면(72a)보다도 높은 제2 저면(72b)과, 상기 제2 저면(72b)으로부터 연속하고 제2 저면(72b)보다도 낮은 한편, 제1 저면(72a)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3 개구(71B)가 설치된 제3 저면(72c)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b),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홈부(72)를 형성하는 벽면이며, 상기 요부(64)측의 단부에는 요부(64)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차양형 벽부(7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형 벽부(79)는 요부(6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형성된 원호형의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22(b),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차양형 벽부(79)의 둘레 방향(폭방향) 양측에는 요부(64)의 내경 방향을 향하여 상기 한 쌍의 세로 리브(76,76)가 돌출되어 있다.
도 22,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실의 외주에는 제1 밸브실(V1) 및 제2 밸브실(V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외벽(65B)보다도 외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플랜지부(79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플랜지부(79B)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65B)보다 더욱 외주에 형성된 환상 벽부(67)의 외주연으로부터 외경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79B)를 설치함으로써,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벽부(7)에 의해 제1 통부(61) 및 제2 통부(62)를 둘러쌀 수 있고, 나아가 제1 통부(61)에 연통된 제1 밸브실(V1)을 갖는 제1 케이싱(20B) 전체나 제2 통부(62)에 연통된 제2 밸브실(V2)을 갖는 제2 케이싱(40B) 전체를 상기 벽부(7)로 둘러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커버(60B)의 상부에 장착되는 천장 벽(80B)은,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룬 상기 커버(60B)의 표면 개구부에 적합하도록 각 정점이 원호 형상으로 둥그스럼한, 대체로 삼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천장 벽(80B)의 외주연은 하부를 향해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23~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개구(43) 및 상기 제3 개구(71B)를 연결하는 라인(L3)의 사이에는, 통기실의 저면(선반형 벽부(63B)의 표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극(C2)(도 27 및 도 28 참조)을 설치하고, 통기실의 천장면, 즉 천장 벽(80B)의 내면으로부터 제2 장벽(90)이 늘어뜨려 설치(垂設)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장벽(90)이 상기 커버(60B)의 선반형 벽부(63B)로부터 입설된 제1 장벽(69)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장벽(90)은 제2 개구(43)로부터 통기실 내에 유입된 연료를 제3 개구(71B)에 유입되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의 제2 장벽(90)은 상기 제1 장벽(69)에 대응하고, 그 기단부가 상기 커버(60B)의 외벽(65B)의 제2 통부(62)와 제3 개구(71B) 사이의 벽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1 장벽(69)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고 있고, 그 중간부보다 약간 선단 쪽의 부분이 제1 장벽(69)의 곡면 형상의 불룩한 부분이나 제2 통부(62)의 외주면에 적합하도록 제2 통부(62) 측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진 굴곡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선단부가 접혀져서 제1 개구(23)와 제2 개구(43)를 연결하는 라인(L2)을 따라 요부(64)를 향해 거의 직선 향상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그 최선단이 요부(64)의 내주연보다도 약간 내경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장벽(90)은 상기 제1 장벽(69)에 대해 거의 일정 간격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인접 배치되어 있다(도 25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은 형상을 이룬 제2 장벽(90)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B)측에 설치된 제1 장벽(69)과 더불어 간극(R3)이나 간극(C2)이 상하로 교대로 배치된 미로와 같은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벽(90)에 인접한 위치이며 상기 천장 벽(80)의 내면으로부터는 제2 개구(43)로부터 통기실 내에 유입된 연료를 요부(64) 내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91)(도 24 및 도 26 참조)가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도 23~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가이드 리브(91)는, 상기 제2 장벽(90)의 선단부에 소정 길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60B)의 리브 삽입홈(75)에 삽입되는 제1 리브(91a)와, 상기 제1 리브(91a)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개구(23)와 제2 개구(43)를 연결하는 라인(L2)의 도중에 있고, 상기 제1 홈부(70)의 제1 개구측의 개구보다도 요부 안쪽 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를 소정 범위 커버하는 제2 리브(9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브(91a,91b)는, 상기 제1 장벽(90)보다도 길게 입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브(91a)가 리브 삽입홈(75)에 삽입되어 들어간 부분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브(91a)와 리브 삽입홈(75)의 내면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리브(91)는 제2 통부(62)의 노치(62a)로부터 제1 홈부(70) 내에 유입된 연료가 요부(64) 내에 유입되려고 할 때 상기 연료를 제1 리브(91a)나 제2 리브(91b)에 충돌시켜 요부(64) 내에 낙하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다.
또한, 천장 벽(80B)의 내면(통기실의 천장면)으로부터는, 제1 개구(23)나 요부(64)를 통해 통기실 내로 들어간 연료가 제3 개구(71B)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유입 억제 리브(92)가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이 유입 억제 리브(92)는, 제1 개구(23)와 제3 개구(71B)를 연결하는 라인(L1)의 도중에 있고, 상기 제2 홈부(72)의 제1 개구측의 개구보다도 요부 안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를 소정 범위 커버 가능하도록 천장 벽(80B)의 내면으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유입 억제 리브(92)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유입 억제 리브(92)와 같이 통기실 내로 들어간 연료를 제3 개구(71B)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보조 리브(92a)가 천장 벽(80B)의 내면으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리브(92,92a)는 상기 제2 장벽(90) 및 상기 가이드 리브(91)보다도 길게 입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밸브 장치(10B)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차량이 경사져서 요부(64)가 액몰(液) 상태가 되더라도 선반형 벽부(63B)의 요부(6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료 증기 배출구를 이루는 제3 개구(71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증기를 선반형 벽부(63B)와 천장 벽(80B)의 간극(R3)을 통해 제3 개구(71B)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형태의 밸브 장치(10)의 연료 증기 배출용의 바이패스 유로(78)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밸브 장치(10B)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밸브 장치(10B)는 제1 케이싱(20B)에 설치된 장착 브래킷(27)을 통해 장치 전체가 연료 탱크(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개구(23), 제2 개구(43), 및 연료 증기 배출구를 이루는 제3 개구(71B)는 하우징(15)을 구성하는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룬 선반형 벽부(63B)의 삼각형의 정점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도 25 참조), 이러한 개구가 직선상에 배치된 밸브 장치 등과 비교하여 비교적 컴팩트하게 밸브 장치(10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3 개구(71B)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3 개구(71B)의 선반형 벽부(63B)의 하면측 주변으로부터 하우징(15)의 하부를 향해 용기에 연결되는 배관과의 접속용의 배관(73)을 연장 설치(延設)할 수 있으며, 밸브 장치(10B) 전체를 연료 탱크(1)의 내부에 설치한 경우라도 용기에 연결되는 배관을 연료 탱크(1)의 내벽이나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는 튜브나 파이프 등의 다른 부재 등에 간섭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밸브 장치(10B)의 배치성(layout)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60B)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개구(23) 및 제3 개구(71B)를 연결하는 라인(L1)과, 제2 개구(43) 및 제3 개구(71B)를 연결하는 라인(L3)의 각도θ가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개구(23)로부터 제3 개구(71B)까지의 거리, 및 제2 개구(43)로부터 제3 개구(71B)까지의 거리를 길게 확보할 수 있어, 밸브실(V1,V2)로부터 제1 개구(23)나 제2 개구(43)를 통해 통기실(R1,R2) 내에 유입된 연료를 용기측의 제3 개구(71B)로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개구(71B)로부터 연장 설치하는 배관(73)을 그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연동하는 분할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5)의 성형성(여기에서는 커버(60B)의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선반형 벽부(63B)에는, 저부에 제1 개구(23)가 형성된 요부(64)와, 제3 개구(71B)와 연통하는 제2 홈부(7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제2 홈부(72)에 의해 제1 개구(23)를 통해 통기실 내에 유입된 연료 탱크 내의 공기나 연료 증기를 통과시켜 제3 개구(71B)로 배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3 개구(71B)를 통해 통기실 내에 유입된 공기를 요부(64)로 유동시켜 제1 개구(23)로부터 연료 탱크 내에 채워넣을 수 있다. 따라서, 통기실 내에서 공기나 연료 증기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어 환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선반형 벽부(63B)에 형성된 제2 홈부(72)의 요부측의 단부에 요부(64)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차양형 벽부(7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경사진 경우에, 제1 개구(23)로부터 요부(64) 내에 유입된 연료를 요부(64) 내에서 차단할 수 있고, 제3 개구(71B)에 유입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차양형 벽부(79)의 폭방향 양측에 요부(64)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된 세로 리브(76,7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경사져서 제1 개구(23)로부터 요부(64) 내에 유입된 연료가 차양형 벽부(79)를 돌아 요부(64)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연료를 요부(64) 내에서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3 개구(71B)로 유입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1 : 연료 탱크
10, 10A, 10B :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밸브 장치)
15 : 하우징
20, 20B : 제1 케이싱
22 : 제1 칸막이 벽
23 : 제1 개구
30 : 제1 플로트 밸브
40, 40B : 제2 케이싱
42 : 제2 칸막이 벽
43 : 제2 개구
50 : 제2 플로트 밸브
60, 60A, 60B : 커버
63, 63B : 선반형 벽부
64 : 요부
70 : 제1 홈부
71 : 연료 증기 배출구(배출구)
71B : 제3 개구
73 : 연료 증기 배관(배관)
76 : 세로 리브
79 : 차양형 벽부
80, 80A, 80B : 천장 벽
83 : 리브
R1 : 제1 통기실
R2 : 제2 통기실
R3 : 간극
V1 : 제1 밸브실
V2 : 제2 밸브실

Claims (15)

  1. 칸막이 벽을 통해 하부에 밸브실, 상부에 통기실이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통기실을 연통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설정된 가득채움 액면 부근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플로트 밸브와,
    상기 밸브실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을 때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제2 플로트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가 그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요부와,
    상기 통기실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료 증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벽은 상기 제2 개구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요부 내주에 이르도록 연장하는 선반형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반형 벽부에는 상기 제2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요부에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1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선반형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통해 상기 통기실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 벽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선반형 벽부에는 상기 요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를 이루는 제3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에는, 상기 요부와 상기 제3 개구를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2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는, 상기 하우징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의 정점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를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제2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를 연결하는 라인은, 상기 하우징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의 상기 요부측의 단부에는, 상기 요부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차양형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형 벽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요부의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 된 세로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6. 칸막이 벽을 통해 하부에 밸브실, 상부에 통기실이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통기실을 연통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설정된 가득채움 액면 부근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플로트 밸브와,
    상기 밸브실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연료 탱크 내의 액면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을 때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제2 플로트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가 그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요부와,
    상기 통기실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료 증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벽은 상기 제2 개구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요부 내주에 이르도록 연장하는 선반형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반형 벽부에는 상기 제2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요부에 연통하도록 연장하는 제1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선반형 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통해 상기 통기실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 벽이 배치되고,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는, 상기 요부의 내주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제1 홈부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에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측으로 향하는 경로에 대해 예각 형상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에 접속된 연료 증기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선반형 벽부에 개구되어 상기 간극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 증기 배관의 내주에 개구되어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증기 배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칸막이 벽의 선반형 벽부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칸막이 벽의 선반형 벽부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하부로 연장되고, 그 하단이 상기 연료 증기 배관의 내주에 연통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벽의 내면에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 사이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선반형 벽부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상기 선반형 벽부와 상기 천장 벽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높이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를 그 연장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면적은, 상기 제2 개구의 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실, 상기 통기실, 상기 칸막이 벽, 상기 요부, 상기 연료 증기 배출구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별체의 상기 천장 벽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7026958A 2014-03-05 2014-12-18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KR102039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2602 2014-03-05
JPJP-P-2014-042602 2014-03-05
PCT/JP2014/083529 WO2015133039A1 (ja) 2014-03-05 2014-12-18 燃料タンク用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329A KR20160136329A (ko) 2016-11-29
KR102039656B1 true KR102039656B1 (ko) 2019-11-06

Family

ID=5405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958A KR102039656B1 (ko) 2014-03-05 2014-12-18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81546B2 (ko)
JP (1) JP6148788B2 (ko)
KR (1) KR102039656B1 (ko)
MX (1) MX2016011478A (ko)
WO (1) WO2015133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4770A1 (de) * 2016-03-22 2017-09-28 Kautex Textron Gmbh & Co. Kg Ent- und/oder Belüftungsventil für einen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
JP7010651B2 (ja) * 2017-10-16 2022-01-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7188307B2 (ja) * 2019-07-23 2022-12-1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CN114845898A (zh) * 2019-12-24 2022-08-02 百乐仕株式会社 阀装置
WO2021256368A1 (ja) * 2020-06-15 2021-12-2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5779B2 (en) 2002-06-13 2004-01-13 Stant Manufacturing Inc. Dual float valve for fuel tank vent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JP2012219621A (ja) 2011-04-04 2012-11-12 Nifco Inc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13028213A (ja) 2011-07-27 2013-02-07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396B2 (ja) 1993-04-09 1998-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排出規制装置
US7163023B2 (en) * 2004-07-15 2007-01-16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vent valve floa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440090B2 (ja) 2004-12-20 2010-03-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満タン規制バルブ
FR2896568B1 (fr) * 2006-01-26 2008-03-14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Dispositif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et clapet integrant ledit dispositif
US8371326B2 (en) * 2009-05-11 2013-02-12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vent valve with dynamic pressure relief
US8689816B2 (en) * 2011-12-22 2014-04-08 Eaton Corporation Fuel tank vent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9360872B2 (en) * 2011-12-22 2016-06-07 Eaton Corporation Fuel tank vent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JP5949686B2 (ja) 2013-07-18 2016-07-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タンク用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5779B2 (en) 2002-06-13 2004-01-13 Stant Manufacturing Inc. Dual float valve for fuel tank vent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JP2012219621A (ja) 2011-04-04 2012-11-12 Nifco Inc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13028213A (ja) 2011-07-27 2013-02-07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039A1 (ja) 2015-09-11
MX2016011478A (es) 2017-04-06
US20170072787A1 (en) 2017-03-16
KR20160136329A (ko) 2016-11-29
JPWO2015133039A1 (ja) 2017-04-06
JP6148788B2 (ja) 2017-06-14
US9981546B2 (en)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656B1 (ko)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JP6488122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EP2607135B1 (en) Fuel ventilation system valve
WO2017056475A1 (ja) エクスパンションタンク
US9428043B2 (en) Liquid vapor separator drain valve
JP2017210033A (ja) 燃料タンク
US11059368B2 (en) Fill limit venting valve with high shut-off height
EP2720895B1 (en) 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CN101746259B (zh) 浮子阀装置
JP6705055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7441339B2 (ja) 満タン規制バルブ
JP6070453B2 (ja) 燃料遮断装置
CN108698503B (zh) 具有燃料料斗的集成阀组件
JP7394238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6334960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7202428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2006336524A (ja) 燃料供給装置
JP2011131710A (ja) 燃料遮断弁
JP2022111735A (ja) 弁装置
JP2023088727A (ja) 弁装置
JP2007137313A (ja) 燃料漏れ防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