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368B1 -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368B1
KR102039368B1 KR1020187007084A KR20187007084A KR102039368B1 KR 102039368 B1 KR102039368 B1 KR 102039368B1 KR 1020187007084 A KR1020187007084 A KR 1020187007084A KR 20187007084 A KR20187007084 A KR 20187007084A KR 102039368 B1 KR102039368 B1 KR 10203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hamber
pet
frame
control assembly
incub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732A (ko
Inventor
배종윤
Original Assignee
(주)오토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일렉스 filed Critical (주)오토일렉스
Publication of KR2019000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체와, 내부챔버와, 컨트롤 어셈블리와, 공기순환부 및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가 제공되며, 특히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케이스체와 내부챔버로부터 서랍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각 모서리프레임의 추가 제공을 통해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내의 동물이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도 유지 보수 및 점검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본 발명은 동물을 보호하면서 회복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큐베이터 내의 동물이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을 위한 인큐베이터는 수술이나 치료 후 회복때까지 일시적으로 보호하면서 치료하도록 회복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343625호, 등록특허 제10-0497737호, 공개특허 제10-2011-009193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0258호, 등록실용 제20-0365892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즉, 종래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공간 내부는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내부 공간의 온도나 습도 조절 및 환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기능의 제공 및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각종 제어를 위한 전자 부품들이 다양한 부위에 분산되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동작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될 경우 전체를 분해하여야만 하는 등 유지 보수가 어려웠고, 어느 한 구성 요소의 동작 불량 발생시에는 해당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전체를 AS센터 등에 송부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그 내부에 있던 애완동물이 배설할 경우 이를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기 전까지는 해당 배설물을 청소하지 못하여 이 배설물이 다시금 애완동물의 몸에 묻어나는 등의 오염 발생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단순히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 기능만 제공하고 있을 뿐 실내 공기의 순환 기능과 환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지는 못하여 해당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내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가 어려웠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그의 설치가 이루어진 공간의 온도가 높을 경우 단순히 내부 공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거나 실내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송풍하는 환기 기능만 수행할 뿐 실내의 온도에 비해 더욱 낮은 온도로 냉방하는 것은 사실상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더운 여름철 애완동물의 회복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실내챔버가 금속 재질로 형성됨과 더불어 각 벽면은 단순히 서로 용접으로써 일체화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그 제조를 위한 작업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제품의 내력과 외력의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해 외관 형상을 단순한 구조로만 디자인함에 따라 심미감을 고려하지 못하는 외관이 제공될 수밖에 없었던 소비자의 불만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인큐베이터 내의 동물이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과 재질로 형성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도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케이스체; 상기 케이스체 내에 설치되면서 애완동물의 인큐베이팅 공간을 제공하며,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내부챔버; 동작 제어를 위한 메인컨트롤유닛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 중 상기 내부챔버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외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취출되도록 설치되는 컨트롤 어셈블리;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내부챔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혹은, 내부챔버와 실내를 환기시키도록 동작되는 공기순환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내부챔버 내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체는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제공되면서 곡률지게 형성된 모서리프레임과,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들 중 상측의 두 모서리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프레임과,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들 중 하측의 두 모서리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면서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프레임과,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의 내면 중 상기 상면프레임 혹은, 저면프레임이 결합되는 어느 한 끝단 부위에는 상기 상면프레임 혹은, 저면프레임이 얹히는 얹힘단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의 내면 중 양 끝단 부위에는 상기 측면프레임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장단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의 내면 중 중앙측 부위에는 해당 모서리프레임의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강도보강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는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과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의 일단측 상면 및 저면은 상기 케이스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타단측에는 비가압시 내부챔버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걸려 구속됨과 더불어 가압시에는 구속이 해제되도록 탄력 동작되게 설치된 구속스위치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는 전면의 테두리부위를 형성하는 사각틀 구조의 테두리프레임과, 양측 벽면과 바닥면 및 배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몸체프레임과, 상면 및 배면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각각의 대향 부위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을 상향 절곡하여 양측 벽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후방측 부위를 상향 절곡하여 상기 배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면을 기준으로 후방측 부위를 하향 절곡하여 상기 배면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 내의 저면 전방측 부위에는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일시 저장하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배설물받이가 상기 내부챔버와는 별개로 제공되어 상기 내부챔버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내부챔버와 배설물받이 간의 결합 부위 사이에는 해당 결합 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틈새를 막기위한 패킹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가이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상기 각 안내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서랍식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취출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의 양측 내벽면에는 구속플랜지가 절곡 형성되어 제공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양측면에는 케이스체 내로 수납될 경우 상기 구속플랜지에 맞물려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속되는 구속턱이 돌출 형성되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는 이격되게 위치된 제1공기유입구 및 제1공기유출구가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는 해당 컨트롤 어셈블리가 케이스체 내로 수납될 경우 상기 제1공기유입구와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제2공기유입구 및 상기 제1공기유출구와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제2공기유출구가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순환부는 저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 중 상기 제2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출구의 형성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제2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출구를 동시에 덮도록 설치되는 덕트몸체와, 상기 덕트몸체 내부 중 상기 제2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공간 및 제2공기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 사이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몸체 내의 후방측 공간에는 상기 제2공기유출구 및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된 후면 중 어느 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구획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는 상기 덕트몸체의 후방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중 상기 덕트몸체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부채꼴 구조의 틸팅기어가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덕트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틸팅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축결합되면서 상기 틸팅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용모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는 해당 컨트롤 어셈블리가 케이스체 내로 수납될 경우 상기 통과공과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상면 중 상기 연통공에 인접되게 위치되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램프와, 상기 조명램프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의 직상방측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조명램프의 발광에 따른 조명을 상기 내부챔버 내부로 반사시켜 제공하는 반사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의 저면과 내부챔버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내부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내부챔버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열교환되는 쿨링패드와, 상기 쿨링패드의 저면에 밀착 설치됨과 더불어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쿨링패드와의 접촉면은 흡열 반응을 수행함과 더불어 그 반대면은 발열 반응을 수행하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 반응이 이루어지는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으로 방열공기를 송풍하는 방열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컨트롤 어셈블리를 케이스체 내의 내부챔버 상면에 배치함에 따라 케이스체의 상부프레임만 분리하는 조작을 통해 손쉽게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해당 부위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될 수 있기 때문에 수리를 위한 배송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케이스체의 각 모서리 부위가 여타의 벽면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모서리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각 모서리프레임은 곡률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모서리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연장단 및 강도보강부재에 의해 내력과 외력에 대한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케이스체를 이루는 각 모서리프레임이 곡률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모서리프레임의 내면에 형성되는 연장단 및 강도보강프레임에 의해 내력과 외력에 대한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내부챔버의 저면에 냉각부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내부챔버 내부 공간에 대한 냉방 운전이 가능하여 애완동물의 회복을 위한 조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챔버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어진 결합부재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결합 부위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내부챔버에 배설물받이가 추가로 제공되어 해당 배설물받이에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배설물로 인한 애완동물의 재오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개폐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속스위치부의 구조로 인해 내부챔버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부재의 걸림 부위가 최대화됨으로써 내부챔버 내의 애완동물에 의해 개폐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개폐도어의 원치않은 개방은 방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컨트롤 어셈블리의 수납시 케이스체의 양측 내벽면에 절곡 형성된 구속플랜지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수납부 양측면에 형성된 구속턱에 맞물려 구속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어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흔들림으로 인해 원치않게 야기될 수 있는 컨트롤 어셈블리의 취출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조명부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해당 조명부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전체적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높이 역시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공기순환부의 추가 제공을 통해 내부챔버 내의 공기가 계속해서 내부챔버 내에서만 순환되도록 하거나 혹은, 내부챔버 내의 공기를 실내(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외부 공간)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내의 새로운 공기를 내부챔버 내로 유입하는 환기 운전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케이스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중 개폐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구속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구속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챔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챔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배설물받이에 대한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컨트롤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컨트롤 어셈블리를 구속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확대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공기순환부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 공기 순환시 공기순환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 공기 순환시 공기순환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공기 환기시 공기순환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 공기 환기시 공기순환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냉각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중 개폐도어의 개폐막에 대한 개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각 방향에 대한 설명은 실제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또한 실내는 해당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써 사실상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외부 공간이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크게 케이스체(100)와, 내부챔버(200)와, 컨트롤 어셈블리(300)와, 공기순환부(400) 및 조명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케이스체(100)와 내부챔버(200)로부터 서랍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내의 동물이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유지 보수 및 점검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체(100)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체(100)는 모서리프레임(110)과, 상면프레임(120)과, 저면프레임(130)과, 두 측면프레임(140)과, 개폐도어(150) 및 후면프레임(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프레임(110)은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제공되는 부위이며, 특히 내력과 외력에 견고함을 부여하기 위해 곡률지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110)의 내면 중 상기 상면프레임(120) 혹은, 저면프레임(130)이 결합되는 어느 한 끝단 부위에는 상면프레임(120) 혹은, 저면프레임(130)이 얹히는 얹힘단(111)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110)의 내면 중 양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4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홈(1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장단(113)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110)의 내면 중 중앙측 부위에는 해당 모서리프레임(110)의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강도보강부재(11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나사홈(112)은 두 측면프레임(140)과의 나사 결합시 체결 부위로 사용됨과 더불어 상기 각 연장단(113) 중 상기 얹힘단(111)과 동일 방향측에 위치되는 연장단(113)의 경우 상기 얹힘단(1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114)는 상기 모서리프레임(110)의 내면 중 서로 대칭되는 부위로부터 해당 모서리프레임(110)의 방사 방향을 향해 돌출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서로 만나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면프레임(120)은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110)들 중 상측의 두 모서리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상면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면프레임(120)은 상기 두 모서리프레임(110) 사이에서 상하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른 개폐를 통해 후술될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각 동작 부품에 대한 간단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개폐를 위한 구조는 상기 얹힘단(111)이 형성된 모서리프레임(110)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161)과, 상기 상면프레임(1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돌출턱(161)에 구속되거나 혹은, 돌출턱(161)으로부터 이탈되는 회전 조작체(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어느 한 측 벽면 중 전방 및 후방의 끝단에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123)가 더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프레임(110)의 얹힘단(111)과 연장단(113) 간의 연결 부위에 절곡 형성된 걸림턱(115) 내로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면프레임(130)은 상기 각 모서리프레임(110)들 중 하측의 두 모서리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면서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저면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저면프레임(130)에는 복수의 환기공(131)(첨부된 도 2 참조)이 관통 형성되면서 케이스체(100) 내의 저부측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40)은 상기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양 측면을 각각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두 측면프레임(140)은 링형의 가이드부재(170)에 의해 각 모서리프레임(110)과 상면프레임(120)의 양측 끝단 및 모서리프레임(110)과 저면프레임(13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측면프레임(140)의 외면에는 거치봉(141)이 각각 구비됨과 더불어 이러한 각 거치봉(141)에는 내부챔버(200) 내의 가습 및 산소공급을 위한 가습기(142) 및 산소공급기(143)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50)는 상기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내부챔버(200) 내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과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개폐도어(150)는 케이스체(100)의 개방된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이렇게 개방된 전면을 통해 내부챔버(200) 내로 애완동물을 수용시키거나 혹은, 내부챔버(200) 내의 애완동물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50)의 일단측 상면 및 저면은 상기 케이스체(10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150)의 타단측에는 상기 개폐도어(150)의 구속 또는, 구속 해제를 위한 구속스위치부(180)가 더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개폐도어(150)의 면상에는 개폐막(151)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환기구(152)가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구속스위치부(180)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181) 및 걸림부재(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상기 누름부재(181)의 누름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182)가 회전되면서 내부챔버(200)의 전면 테두리 부위로부터의 걸림이 해제됨과 더불어 비 누름 조작시에는 탄력부재(183)의 복원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182)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내부챔버(2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걸려 구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구속스위치부(180)의 구조로 인해 상기 내부챔버(2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부재(182)의 걸림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챔버(200) 내의 애완동물에 의해 개폐도어(150)가 열림 방향으로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개폐도어(150)의 원치않은 개방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챔버(200)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에 설치되면서 애완동물의 인큐베이팅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내부챔버(200)는 첨부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체로 형성되며, 테두리프레임(210)과 몸체프레임(220) 및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테두리프레임(210)은 사각틀 구조로 형성되면서 전면의 테두리부위로 제공되고, 상기 몸체프레임(220)은 양측 벽면(221)과 바닥면(222) 및 배면의 일부(223)를 형성하는 부위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30)은 상면(231) 및 배면의 나머지 일부(234)를 형성하는 부위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프레임(220) 및 상부프레임(230)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챔버(200)의 배면을 형성하도록 한 구조는 최소한의 결합 부위로 내부챔버(200)를 구성하여 틈새 발생으로 인해 야기되는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조립 작업이 최대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프레임(220)은 상기 바닥면(222)을 기준으로 양측을 상향 절곡하여 양측 벽면(221)을 형성함과 더불어 후방측 부위를 상향 절곡하여 상기 배면의 일부(223)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230)은 상면(231)을 기준으로 후방측 부위를 하향 절곡하여 상기 배면의 나머지 일부(23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최소한의 조립 공정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프레임(220)과 상부프레임(230) 간의 각 대향 부위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어진 결합부재(240)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40)는 서로 대각되는 두 면이 상기 각 프레임(220,230)의 끝단면에 밀착되면서 볼팅 체결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내부챔버(200) 내로 노출되는 면은 라운드지게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기밀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200) 중 상부프레임(230)이 제공하는 상면의 중앙측 부위에는 통과공(231)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통과공(231)의 어느 한 측편에는 제1공기유입구(234) 및 제1공기유출구(235)가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200)를 이루는 몸체프레임(220) 내의 바닥면 중 전방측 부위에는 첨부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일시 저장하도록 여타 부위에 비해 하향 요입되게 형성된 배설물받이(250)가 상기 내부챔버(200)의 바닥면과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내부챔버(200)를 이루는 몸체프레임(220)에 결합 설치된다. 즉, 상기한 배설물받이(25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배설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배설물로 인해 애완동물이 다시금 오염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챔버(200)의 바닥면과 상기 배설물받이(250) 간의 결합 부위 사이에는 패킹부재(260)(첨부된 도 2 및 도 11 참조)를 구비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결합 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틈새를 통한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챔버(200)의 상면 양측에는 후술될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가이드(27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270)는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동작 제어를 위한 메인컨트롤유닛(310)과, 각종 동작 정보의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창(320)과, 동작 제어를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330)와, 상기한 각 구성 요소가 일괄적으로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수납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340)는 서랍 구조로 형성되면서 그 전면만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나머지 부위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상측 공간인 내부챔버(200)의 상면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며, 이때 상기 수납부(340)의 전면에는 상기한 디스플레이창(320) 및 각종 조작 스위치(330)가 제공되고, 상기 수납부(340) 내의 설치공간에는 상기 메인컨트롤유닛(31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수납부의 양측면은 내부챔버(200)의 상면 양측에 고정된 각 안내가이드의(270) 안내를 받도록 설치되면서 서랍식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체(100)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체(100)의 양측 내벽면에는 구속플랜지(101)가 절곡 형성되어 제공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수납부(3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구속플랜지(101)에 맞물리는 구속턱(341)이 돌출 형성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수납부(340)가 케이스체(100) 내에 수납될 경우 구속플랜지(101)가 구속턱(341)에 맞물려 구속됨에 따라 상기 수납부(34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으로 인해 원치않게 야기될 수 있는 취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수납부(340)에는 수납부(340)가 케이스체(100) 내의 공간에 수납될 경우 내부챔버(200) 상면의 통과공(231)에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연통공(342)(첨부된 도 21 참조)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부챔버(200) 상면의 제1공기유입구(234)와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제2공기유입구(343) 및 상기 제1공기유출구(235)와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제2공기유출구(344)가 각각 관통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순환부(400)는 내부챔버(200) 내의 공기 순환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공기순환부(40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수납부(340)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31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순환부(400)는 첨부된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 중 상기 제2공기유입구(343) 및 제2공기유출구(344)의 형성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제2공기유입구(343) 및 제2공기유출구(344)를 동시에 덮도록 설치되는 덕트몸체(410)와, 상기 덕트몸체(410) 내부 중 상기 제2공기유입구(343)와 연통되는 공간 및 제2공기유출구(344)와 연통되는 공간 사이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덕트몸체(410) 내의 후방측 공간에는 상기 제2공기유출구(344) 및 상기 덕트몸체(410)의 개방된 후면 중 어느 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구획플레이트(4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430)는 상기 덕트몸체(410)의 후방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431)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431) 중 상기 덕트몸체(410)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부채꼴 구조의 틸팅기어(432)가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덕트몸체(410)의 외면에는 상기 틸팅기어(432)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33)가 축결합되면서 상기 틸팅기어(432)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용모터(434)가 더 구비된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내부챔버(200) 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다시금 내부챔버(200) 내로 재순환되도록 하여 내부챔버(200) 내의 온도가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부챔버(200) 내의 공간에 대한 환기가 필요할 경우는 상기 내부챔버(200) 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새로운 공기가 개폐도어(150)의 환기구(152)를 통해 내부챔버(200) 내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부(500)는 내부챔버(200) 내로 조명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이와 같은 조명부(50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수납부(34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31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부(500)는 첨부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40)의 상면 중 상기 연통공(342)에 인접되게 위치되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램프(510)와, 상기 조명램프(510)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342)의 직상방측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조명램프(510)의 발광에 따른 조명을 상기 내부챔버(200) 내부로 반사시켜 제공하는 반사덕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직접광의 제공이 아닌 반사광의 제공을 통해 조명의 설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높이 역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중 케이스체(100)의 저면프레임(130)과 내부챔버(200)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내부챔버(2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600)가 더 구비됨(첨부된 도 2 참조)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냉각부(6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내부챔버(200) 내부가 항상 애완동물에 쾌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냉각부(600)는 첨부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챔버(20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열교환되는 쿨링패드(610)와, 상기 쿨링패드(610)의 저면에 밀착 설치됨과 더불어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쿨링패드(610)와의 접촉면은 흡열 반응을 수행함과 더불어 그 반대면은 발열 반응을 수행하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열전소자(620)와, 상기 열전소자(620)의 발열 반응이 이루어지는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핀(630)과, 상기 방열핀(630)으로 방열공기를 송풍하는 방열팬(6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부챔버(200) 내의 저면에 대한 직접적인 흡열 반응을 통해 단순한 내부챔버(200) 내의 온도 저하뿐 아니라 애완동물이 시원함을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열전소자(620)는 그 모두를 내부챔버(2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측이 흡열반응을 수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빠른 냉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내부챔버(200) 내부에 대한 난방 기능도 추가로 제공하고자 한다면 일부의 열전소자(620)는 내부챔버(2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측이 흡열반응을 수행하도록 배치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의 열전소자(620)는 내부챔버(200)의 내면에 밀착되는 측이 발열반응을 수행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650은 단열재로써 상기 열전소자(620)의 발열 및 흡열 반응에 의한 쿨링패드(610)의 열기가 외부로 실내로 방열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도면 부호 660은 결합블럭으로써 상 열전소자(620)를 상기 단열재(650) 및 방열핀(63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중 개폐도어(150)에 설치되는 개폐막(151)은 당겨서 개방하거나 밀어서 닫는 회전 조작으로써 환기구(152)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환기구(152)의 둘레측 어느 한 부위에는 두 힌지플레이트(153)가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히 돌출된 형성되고, 상기 개폐막(151)의 어느 한 부위는 상기 두 힌지플레이트에 힌지(155)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두 힌지플레이트(153)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환기구(152)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개폐막(151)에는 상기 두 힌지플레이트(153)가 통과되도록 절개된 절개홈(154)이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절개홈(154)은 힌지(155) 결합부위로부터 내부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개폐막(151)의 개방시 상기 절개홈(154)에 상기 힌지플레이트(153)가 점차적으로 압입되면서 완전히 개방되지 않도록 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개폐막(151)의 개방시 상기 개폐막(151)이 완전히 개방되어 개폐도어(150)의 벽면에 부딪힘에 따라 야기되는 충격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작용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내 환경으로부터 격리하여 치료 혹은, 회복시킬 필요가 있는 애완동물이 발생될 경우 해당 애완동물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내부챔버(200) 내에 수용시킨 다음 개폐도어(150)를 닫아 상기 내부챔버(2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한다.
이때, 사용자는 구속스위치부(180)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도어(150)가 내부챔버(200)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폐도어(150)에 형성된 각 환기구(152)의 개폐막(151)을 조작하여 상기 환기구(152)가 폐쇄되도록 함과 더불어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각종 조작 스위치(330)를 조작하여 내부챔버(200) 내의 온도, 습도, 산소 공급량을 설정함과 더불어 조명램프(510)의 온오프 여부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사용자에 의한 각종 동작 제어의 설정이 완료되면 이 설정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메인컨트롤유닛(310)이 각 동작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메인컨트롤유닛(310)은 설정된 내부챔버(200) 내의 온도를 토대로 냉각부(600)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고, 설정된 습도와 산소 공급량을 토대로 가습기(142) 및 산소공급기(143)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설정된 조명램프(510)의 온 오프 여부를 토대로 조명부(5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동작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정보(예컨대, 내부챔버 내의 온도, 습도, 산소량 등)는 디스플레이창(320)을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현재 운전 상태에 관련한 각종 정보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공기순환부(400)의 송풍팬(420)이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의 정보에 따라 동작되며, 이로써 내부챔버(200)의 내의 공기는 제1공기유출구(235) 및 제2공기유출구(3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해당 내부챔버(200)의 덕트몸체(410) 내로 배출됨과 더불어 상기 덕트몸체(410) 내를 유동하면서 상기 송풍팬(420)을 통과한 공기는 구획플레이트(430)의 안내를 받아 제2공기유입구(343) 및 제1공기유입구(2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다시금 상기 내부챔버(200) 내의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내부챔버(200) 내의 온도는 적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환기 운전이 선택될 경우에는 틸팅용모터(434)의 구동에 의한 구획플레이트(4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제2공기유입공(343)은 상기 구획플레이트(430)에 의해 폐쇄됨과 동시에 덕트몸체(410)의 후면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내부챔버(200)의 내로부터 제1공기유출구(235) 및 제2공기유출구(3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몸체(410)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실내(케이스체의 외부 공간)로 배출된다.
특히, 이때에는 개폐도어(150)의 개폐막(151)을 조작하여 환기구(152)를 개방시킴으로써 실내의 새로운 공기가 상기 환기구(152)를 통해 내부챔버(200) 내로 유입되면서 상기 내부챔버(200) 내를 환기시키게 된다.
만일, 내부챔버(200) 내에 수용된 애완동물이 배설을 하였을 경우 이 배설물은 상기 내부챔버(200)의 전방측 저면에 구비된 배설물받이(250) 내에 모여서 저장되며, 이로써 애완동물이 자신의 배설물로 인해 더럽혀짐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술 후 회복을 위한 애완동물의 경우는 통상의 실내 온도에 비해 시원한 환경으로 유지시켜야만 하며, 이의 경우 메인컨트롤유닛(310)은 냉각부(600)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내부챔버(200)의 냉방이 선택될 경우 상기 메인컨트롤유닛(310)은 열전소자(620)로의 전원 공급 및 방열팬(640)으로의 전원 공급을 통한 냉방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열전소자(620)의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는 면과 맞닿은 쿨링패드(610)가 냉각되고, 이렇게 냉각된 쿨링패드(610)는 내부챔버(200)의 저면과 열교환되면서 상기 내부챔버(200)의 저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열전소자(620)의 발열 반응이 이루어지는 면과 맞닿은 방열핀(630)으로는 상기 열전소자(620)로부터 발생된 열이 전도되고, 이렇게 전도된 열은 방열팬(640)에 의한 방열 공기로써 방열된다.
한편, 전술된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동작 도중 예상치 못한 고장이 발생될 경우나 조명램프(510)의 교체,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단순히 케이스체(100) 중 상면프레임(120) 만을 분리하여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로 해당 고장 부위의 수리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만일, 상기한 작업만으로는 수리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취출한 후 AS를 위한 업체로 배송한다.
즉,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전체를 AS 업체로 배송하는 것이 아니라 컨트롤 어셈블리(300)만 취출하여 배송되도록 함에 따라 배송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케이스체(100) 내의 내부챔버(200) 상면에 배치함에 따라 케이스체(10))의 상면프레임(120)만 분리하는 조작을 통해 손쉽게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해당 부위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될 수 있기 때문에 수리를 위한 배송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케이스체(100)의 각 모서리 부위가 여타의 벽면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모서리프레임(110)으로 구성되며, 특히 이러한 각 모서리프레임(110)은 곡률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모서리프레임(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연장단(113) 및 강도보강부재(114)에 의해 내력과 외력에 대한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내부챔버(200)의 저면에 냉각부(600)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내부챔버(200) 내부 공간에 대한 냉방 운전이 가능하여 애완동물의 회복을 위한 최적 조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를 이루는 내부챔버(200)의 몸체프레임(220)과 상부프레임(23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어진 결합부재(240)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결합 부위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내부챔버(200)에 배설물받이(250)가 추가로 제공되어 해당 배설물받이(250)에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배설물로 인한 애완동물의 재오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개폐도어(150)의 개폐를 위한 구속스위치부(180)의 구조로 인해 내부챔버(2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부재(182)의 걸림 부위(걸림 면적)가 최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으로써 내부챔버(200) 내의 애완동물에 의해 개폐도어(150)가 열림 방향으로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개폐도어(150)의 원치않은 개방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수납시 케이스체(100)의 양측 내벽면에 절곡 형성된 구속플랜지(101)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수납부(340) 양측면에 형성된 구속턱(341)에 맞물려 구속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어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흔들림으로 인해 원치않게 야기될 수 있는 컨트롤 어셈블리(300)의 취출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조명부(500)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해당 조명부(50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전체적인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의 높이 역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는 공기순환부(4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내부챔버(200) 내의 공기가 계속해서 내부챔버(200) 내에서만 순환되도록 하거나 혹은, 내부챔버(200) 내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내의 새로운 공기를 내부챔버(200) 내로 유입하는 환기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도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케이스체;
    상기 케이스체 내에 설치되면서 애완동물의 인큐베이팅 공간을 제공하며,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내부챔버;
    동작 제어를 위한 메인컨트롤유닛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 중 상기 내부챔버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외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취출되도록 설치되는 컨트롤 어셈블리;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내부챔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혹은, 내부챔버를 환기시키도록 동작되는 공기순환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내부챔버 내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챔버는
    전면의 테두리부위를 형성하는 사각틀 구조의 테두리프레임과,
    양측 벽면과 바닥면 및 배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몸체프레임과,
    상면 및 배면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어지며 서로 대각되는 두 면이 상기 몸체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끝단면에 밀착되면서 볼팅 체결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내부챔버 내로 노출되는 면은 라운드지게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각각의 대향 부위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사각틀 구조로 형성되면서 전면의 테두리부위로 제공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을 상향 절곡하여 양측 벽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후방측 부위를 상향 절곡하여 상기 배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면을 기준으로 후방측 부위를 하향 절곡하여 상기 배면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챔버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가이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상기 각 안내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서랍식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취출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면상에는 복수의 환기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환기구는 개폐막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기구의 둘레측 어느 한 부위에는 두 힌지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히 돌출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폐막의 어느 한 부위는 상기 두 힌지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두 힌지플레이트의 지지를 받아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막에는 상기 두 힌지플레이트가 통과되도록 절개된 절개홈이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절개홈은 힌지 결합부위로부터 내부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개폐막의 개방시 상기 절개홈에 힌지플레이트가 점차적으로 압입되면서 완전히 개방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챔버 내의 저면 전방측 부위에는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일시 저장하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배설물받이가 상기 내부챔버와는 별개로 제공되어 상기 내부챔버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내부챔버와 배설물받이 간의 결합 부위 사이에는 해당 결합 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틈새를 막기위한 패킹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챔버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는 이격되게 위치된 제1공기유입구 및 제1공기유출구가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는 해당 컨트롤 어셈블리가 케이스체 내로 수납될 경우 상기 제1공기유입구와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제2공기유입구 및 상기 제1공기유출구와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제2공기유출구가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는
    저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 중 상기 제2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출구의 형성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제2공기유입구 및 제2공기유출구를 동시에 덮도록 설치되는 덕트몸체와,
    상기 덕트몸체 내부 중 상기 제2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공간 및 제2공기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 사이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몸체 내의 후방측 공간에는 상기 제2공기유출구 및 상기 덕트몸체의 개방된 후면 중 어느 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구획플레이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는 상기 덕트몸체의 후방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중 상기 덕트몸체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부채꼴 구조의 틸팅기어가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덕트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틸팅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축결합되면서 상기 틸팅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용모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챔버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에는 해당 컨트롤 어셈블리가 케이스체 내로 수납될 경우 상기 통과공과 일치되면서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상면 중 상기 연통공에 인접되게 위치되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램프와,
    상기 조명램프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의 직상방측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조명램프의 발광에 따른 조명을 상기 내부챔버 내부로 반사시켜 제공하는 반사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의 저면과 내부챔버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내부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내부챔버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열교환되는 쿨링패드와,
    상기 쿨링패드의 저면에 밀착 설치됨과 더불어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쿨링패드와의 접촉면은 흡열 반응을 수행함과 더불어 그 반대면은 발열 반응을 수행하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 반응이 이루어지는 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으로 방열공기를 송풍하는 방열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5. 제1항, 제3항, 제4항,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과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16. 삭제
KR1020187007084A 2017-07-18 2017-07-18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102039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688 WO2019017505A1 (ko) 2017-07-18 2017-07-18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732A KR20190009732A (ko) 2019-01-29
KR102039368B1 true KR102039368B1 (ko) 2019-12-05

Family

ID=6501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084A KR102039368B1 (ko) 2017-07-18 2017-07-18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56211A4 (ko)
KR (1) KR102039368B1 (ko)
CN (1) CN110708954B (ko)
WO (1) WO2019017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74B1 (ko) * 2019-09-18 2021-11-08 주식회사 프레밀리 반려동물용 냉난방 하우스
KR102646398B1 (ko) * 2021-06-16 2024-03-08 최군식 송아지 인큐베이터
WO2024106759A1 (ko) * 2022-11-18 2024-05-23 (주)오토일렉스 동물용 인큐베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19Y1 (ko) * 2002-04-23 2002-07-13 김희집 수납가구형 개집(애견 집)
KR200387111Y1 (ko) * 2005-03-30 2005-06-17 김정만 듀얼 안전창이 구비된 애완동물 보호기
JP2009118767A (ja) 2007-11-14 2009-06-04 Tokyo Menitsukusu:Kk ペット用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7744A (en) * 1961-01-31 1965-06-08 Air Reduction Incubator
DE1604121A1 (de) * 1965-07-08 1970-09-10 Aaberg C Anlage zur Bewerkstelligung von Lufterneuerung in Raeumen,insbesondere Staellen
JPH10150877A (ja) * 1996-11-22 1998-06-09 Tokyo Menitsukusu:Kk ペットその他動物等の収容箱
KR100343625B1 (ko) 1999-09-17 2002-07-11 서경 동물용 인큐베이터
US6217437B1 (en) * 1999-11-05 2001-04-17 Lab Products, Inc. Double-sided work station
US6775567B2 (en) * 2000-02-25 2004-08-10 Xenogen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JP2004524084A (ja) * 2001-02-06 2004-08-12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モータ速度制御部を備えた乳児用哺育器
KR200300258Y1 (ko) 2002-08-21 2003-01-14 정우협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JP2005021092A (ja) * 2003-07-03 2005-01-2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飼育槽
KR20050102548A (ko) * 2004-04-22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KR200365892Y1 (ko) 2004-08-13 2004-10-27 천재민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100664446B1 (ko) * 2004-09-16 2007-01-03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실험용 동물 운반상자
KR100497737B1 (ko) 2004-12-07 2005-06-29 천의규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US20110061600A1 (en) * 2006-08-17 2011-03-17 Innovive, Inc. Containment systems and components for animal husbandry
US8935991B2 (en) * 2007-12-22 2015-01-20 Mark Patrick Santo Small animal incubator with a removable drawer
KR20100053335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10091930A (ko) * 2010-02-08 2011-08-17 정광균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CN201986499U (zh) * 2011-01-10 2011-09-28 威海高赛金属制品有限公司 仔猪保温箱
CN203708997U (zh) * 2014-02-24 2014-07-16 周满辉 一种动物用保温箱
KR20160003450U (ko) *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러브펫코리아 쾌적한 환경 유지를 위한 격리챔버가 구비된 분양장
CN106561467A (zh) * 2015-10-09 2017-04-19 曾辉赛 一种新型宠物箱
CN205284542U (zh) * 2015-12-08 2016-06-08 福建省德化县锦龙陶瓷有限公司 一种陶瓷加热式宠物保温箱
CN106937604A (zh) * 2016-01-03 2017-07-11 王金酒 一种环保型仔猪保温装置
CN106069799B (zh) * 2016-07-27 2022-04-19 孟克达来 多功能移动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19Y1 (ko) * 2002-04-23 2002-07-13 김희집 수납가구형 개집(애견 집)
KR200387111Y1 (ko) * 2005-03-30 2005-06-17 김정만 듀얼 안전창이 구비된 애완동물 보호기
JP2009118767A (ja) 2007-11-14 2009-06-04 Tokyo Menitsukusu:Kk ペット用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6211A4 (en) 2021-03-17
WO2019017505A1 (ko) 2019-01-24
CN110708954A (zh) 2020-01-17
CN110708954B (zh) 2021-11-05
EP3656211A1 (en) 2020-05-27
KR20190009732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368B1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JP4053430B2 (ja) 空気調和器の室内機
KR101963814B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US10724167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20180249827A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10835036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CN108571846A (zh) 冷藏模块及包括其的浴室管理器
JPH10150877A (ja) ペットその他動物等の収容箱
WO2002103251A2 (en) Air conditioner
JP2006308180A (ja) 送風装置、熱交換型換気装置、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JP2016154592A (ja) 収納家具
TWI639405B (zh) Heating conditioner
KR101226268B1 (ko) 토출구 풍향자동조절기능 및 자동개폐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닛
GB2108816A (en) Housing piglets
JP7360860B2 (ja) 乾燥機
JP578098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の室内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4398788B2 (ja) 電子レンジ
CN110213851B (zh) 加热烹调器
JP2005106298A (ja) 冷蔵庫
KR101001318B1 (ko) 청정 자돈사
CN217357299U (zh) 空调
JP459670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9037154A (ja) 動物飼育ラック
JP7096586B2 (ja) ペットハウス
KR20240073419A (ko) 동물용 인큐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