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548A -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548A
KR20050102548A KR1020040027962A KR20040027962A KR20050102548A KR 20050102548 A KR20050102548 A KR 20050102548A KR 1020040027962 A KR1020040027962 A KR 1020040027962A KR 20040027962 A KR20040027962 A KR 20040027962A KR 20050102548 A KR20050102548 A KR 2005010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nts
animals
plant growth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희
유우열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548A/ko
Publication of KR2005010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규모의 독립된 생활공간이 구비됨으로써 가정에서도 애완용 동·식물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생육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는, 동·식물이 수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과 연통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메인유닛(20)과;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일조량을 조절하는 조명부재(30)와; 메인유닛(20) 및 조명부재(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애완용 동·식물의 생활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할 수 있어, 환경조건에 민감한 동·식물을 기르기가 쉽고 용이하다.

Description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ANIMAL AND PLANT REARING APPARATUS FOR HOME}
본 발명은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규모의 독립된 생활공간이 구비됨으로써 가정에서도 애완용 동·식물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생육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취미 및 여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증가로 인해 애완용 동물이나 식물을 가정에서 직접 기르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기르는 동·식물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온도와 습도 및 일조량 등과 같은 환경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아 기르기가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이구아나 또는 난 등과 같은 동·식물을 키우는 가정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대부분은 단순히 애완용 동·식물을 일정 공간에 별도로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조건에 민감한 동·식물을 기를 경우에는 그에 따른 생활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 즉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거나 집안 내부의 온도와 습도 및 일조량 조절을 통해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동·식물의 생활환경 조성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될 뿐 아니라 집안의 쾌적한 거주환경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여 거주인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집안 내의 환경조건을 항상 애완용 동·식물의 생활환경에 적합하게 유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애완용 동·식물의 생활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식물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통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메인유닛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일조량을 조절하는 조명부재와;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조명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하게 마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 및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팬과; 상기 본체 내의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가습기와; 상기 본체 내의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내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하우징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메인유닛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는 기르고자 하는 동·식물이 수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과 연통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메인유닛(20)과;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재(30)와; 메인유닛(20) 및 조명부재(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housing)(10)은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14)를 포함한다. 본체부(12)의 개방 부위 및 그에 따른 덮개부(14)의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하우징(10)은 수용되는 동·식물의 생활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부공간부를 가지며, 특히 외벽은 외부와의 단열효과를 가지기 위해 단열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 벽면에는 메인유닛(20)과 연통되는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수용되는 종에 따라, 즉 동물 또는 식물에 따라 그 내부구조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메인유닛(main unit)(20)은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동·식물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메인유닛(20)은 하우징(10)과 인접하게 마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2) 및 하우징(10)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25)와; 본체(25) 내에 마련되는 팬(26)과; 본체(25) 내의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가습기(27)와; 본체(25) 내의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히터(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5)는 공기유로를 갖는 사각함체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22) 상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필터(29)가 마련되어 있다.
팬(26)은 공기흡입구(22)를 통해 외부공기를 본체(25)에 강제적으로 인입하여 공기배출구(24)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가습기(27)는 팬(26)의 후방에 위치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히터(28)는 가습기(27)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0) 내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0) 및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60)가 각각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의 환경조건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하우징(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7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급수관(10)의 구조,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고 급수되는 물의 양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조명부재(30)는 하우징(10)의 상측에 마련되어, 하우징(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동·식물의 일조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구조 및 설치위치는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하우징(10)의 외측부 일측에 마련되며, 메인유닛(20) 및 조명부재(30)는 물론이고 온도센서(50) 및 습도센서(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온도센서(50) 및 습도센서(60)는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40)에 전달함으로써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먼저, 컨트롤러(40)를 통해 수용되는 동·식물에 가장 적합한 환경조건을 입력한 후, 온(on)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메인유닛(20)이 동작하여 외부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하우징(10) 내부로 공급함과 아울러 조명부재(30)가 동작하여 하우징(10) 내부에 빛을 비추게 된다.
이러한 메인유닛(20) 및 조명부재(30)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10) 내부가 수용된 동·식물에 가장 적합한 환경조건으로 조성되면, 컨트롤러(40)가 이를 감지하여 메인유닛(20) 및 조명부재(30)의 동작이 정지된다.
이 때, 온도센서(50) 및 습도센서(60)는 하우징(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상태를 감지하여 환경조건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 동작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 내에서 애완용 동·식물의 생활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할 수 있어, 발육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조건에 민감한 동·식물을 기르기가 쉽고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하우징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메인유닛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메인유닛
25 : 본체 26 : 가습기
28 : 히터 29 : 공기필터
30 : 조명부재 40 : 컨트롤러
50 : 온도센서 60 : 습도센서
70 : 급수관

Claims (4)

  1. 동·식물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통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메인유닛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일조량을 조절하는 조명부재와;
    상기 메인유닛 및 상기 조명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하게 마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 및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팬과; 상기 본체 내의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가습기와; 상기 본체 내의 공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KR1020040027962A 2004-04-22 2004-04-22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KR20050102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62A KR20050102548A (ko) 2004-04-22 2004-04-22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62A KR20050102548A (ko) 2004-04-22 2004-04-22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48A true KR20050102548A (ko) 2005-10-26

Family

ID=3728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62A KR20050102548A (ko) 2004-04-22 2004-04-22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5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75B1 (ko) 2004-05-17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 동물 사육용 집
WO2019017505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오토일렉스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75B1 (ko) 2004-05-17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 동물 사육용 집
WO2019017505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오토일렉스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CN110708954A (zh) * 2017-07-18 2020-01-17 株式会社奥托艾莱克斯 宠物用保温箱
CN110708954B (zh) * 2017-07-18 2021-11-05 株式会社奥托艾莱克斯 宠物用保温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888B1 (ko) 생물 성장환경 조성장치
KR101644336B1 (ko) 계사 내부의 환기 및 온도 조절 장치
KR20190089481A (ko) 가정용 식물재배를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KR102048183B1 (ko) 곤충 생태관
CN207185539U (zh) 一种具有环境监控的养猪舍
KR20150015131A (ko) 비닐하우스용 항온 항습 장치
KR102048146B1 (ko) 곤충 생태관
KR20110107135A (ko) 버섯 재배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가정용 자동 버섯 재배기
KR101503240B1 (ko) 양식장 수온 조절 장치
KR200475073Y1 (ko) 버섯재배용 항온항습기
KR20050102548A (ko) 가정용 동·식물 생육장치
CN204830334U (zh) 超声波加湿器
CN208821318U (zh) 植物培育装置
CN207531469U (zh) 一种带有蓄热功能的温室大棚烘干建筑
CN216821357U (zh) 黑水虻幼虫养殖箱
KR20160084356A (ko) 습도에 따른 온도를 제어하는 동식물 생육용 온풍기
CN213029301U (zh) 一种用于苗木工厂化快速繁育生产的智能监控系统
CN213463351U (zh) 养殖结构
CN114190337A (zh) 黑水虻幼虫养殖箱
CN210017516U (zh) 一种爬虫宠物保温箱
CN211430436U (zh) 一种壁式芽苗菜培育装置
CN208903152U (zh) 基于物联网的畜牧养殖智慧风机
CN208581593U (zh) 一种植物培养箱
KR20210000877U (ko) 캣 그라스 재배장치
CN211085346U (zh) 一种生态环境模拟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