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146B1 - 곤충 생태관 - Google Patents

곤충 생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146B1
KR102048146B1 KR1020180054205A KR20180054205A KR102048146B1 KR 102048146 B1 KR102048146 B1 KR 102048146B1 KR 1020180054205 A KR1020180054205 A KR 1020180054205A KR 20180054205 A KR20180054205 A KR 20180054205A KR 102048146 B1 KR102048146 B1 KR 10204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logical
space
ecological space
control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481A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용인곤충테마파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인곤충테마파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인곤충테마파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1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생태관에 관한 것으로, 곤충의 생육과 생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생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생태공간을 외부와 소통시키는 소통도어를 구비하고, 상측이 개방된 관본체; 상기 생태공간에서 곤충의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관본체의 개방된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생태공간과 외부의 생활공간을 서로 구분시키고, 상기 생태공간의 빛과 온도를 조절하는 환경조절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생태환경에서 습도와 환경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관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구획판에 의해 상기 관본체와 구분되며, 상기 생태공간으로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부와, 상기 가습부 및 환경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 컨트롤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곤충 생태관{Apparatus for insect ecology}
본 발명은 곤충 생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비의 생태를 유지할 수 있고 최적의 생태환경을 조성하며 나비의 성장 과정에 따라 그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곤충 생태관에 관한 것이다.
곤충은 종류와 습성이 다양해서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애완용, 화분매개용, 식용, 실험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 중에 나비는 일반적인 곤충과 달리 외형과 몸의 색깔이 다양하고 화려하며, 성장과정이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의 탈바꿈 단계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교육 소재나 애완용으로 많이 길러진다.
나비는 곤충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 소재로도 자주 등장함으로써, 친근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자기방어수단이 없기 때문에 교육과 체험학습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나비는 성장과정의 특성으로 인해, 생육을 위해서 전용 생태관을 필요로 한다.
나비의 생육 및 생태유지를 위한 일반적인 생태관은, 나비의 관찰을 위해 내부 식별이 가능한 사육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식물 등이 구비된다. 일반적인 생태관은 내부의 생태환경이 외부의 생활환경과 흡사한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비와 같은 곤충의 생태유지를 위한 생태환경 조성이 어렵고, 나비의 성장과정에 맞춰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없으며 나비의 생존율을 낮추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6830호 「화분매개용 곤충 사육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비와 같은 곤충의 생태유지를 위한 맞춤형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생태환경에서 습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나비의 성장과정에 맞춰 생태환경을 성장 과정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나비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생태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생태관은, 곤충의 생육과 생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생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생태공간을 외부와 소통시키는 소통도어를 구비하고, 상측이 개방된 관본체; 상기 생태공간에서 곤충의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관본체의 개방된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생태공간과 외부의 생활공간을 서로 구분시키고, 상기 생태공간의 빛과 온도를 조절하는 환경조절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생태환경에서 습도와 환경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관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구획판에 의해 상기 관본체와 구분되며, 상기 생태공간으로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부와, 상기 가습부 및 환경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 컨트롤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의 환경조절부는, 상기 생태공간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생태공간을 향하는 커버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도광원들; 상기 생태공간에 태양빛과 대응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도광원들 사이에 마련되어 생태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연광원들; 상기 생태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광원들 및 자연광원들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열광원들; 상기 생태공간의 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순환개구와, 상기 순환개구에 마련되며 생태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필터망을 구비한 공기순환구역; 및 상기 생태공간에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광원들 사이에 배치되고 팬의 회전력으로 생태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기류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부는, 상기 컨트롤 블록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로부터 습기를 발생시키는 가습수단; 및 상기 습기를 생태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가습수단과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생태공간에 배치되며, 가습수단에서부터 상기 생태공간까지 습기 이동로를 형성하는 이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부는, 상기 이동관의 일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습기 이동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관의 타측은, 방사형으로 분기되어 복수의 습기 이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생태공간의 중심축을 향해 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습기의 배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내측 둘레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곤충 생태관은, 관본체의 내부에 생태공간이 형성되고 소통도어에 의해 그 생태공간과 외부가 서로 소통되고, 관본체의 상측에 커버가 결합되고, 그 커버에 마련된 환경조절부에 의해 생태공간의 빛과 온도가 조절되며, 컨트롤 블럭이 구획판에 의해 관본체와 구분되며, 컨트롤 블럭의 가습부가 생태공간에 습기를 공급하고 제어부가 그 가습부 및 환경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나비와 같은 곤충의 생태유지를 위한 맞춤형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생태환경에서 습도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나비의 성장과정에 맞춰 생태환경을 성장 과정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비의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커버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컨트롤 블럭 및 가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Ⅳ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에 채용된 가습부의 이동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가습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본 발명은 나비, 애벌레 등 다양한 곤충의 생육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는 상기 곤충들 중 나비의 생태환경 조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커버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컨트롤 블럭 및 가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Ⅳ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은 관본체(100), 커버(200), 컨트롤 블럭(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본체(100)는 내부에 생태공간(S)이 형성된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개방되며, 외측에 개폐 가능한 소통도어(110)를 구비하여 그 생태공간(S)과 외부 생활공간을 서로 소통될 수 있게 함으로써, 곤충의 생육과 생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나비의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본체(100)는 내부의 생태공간(S)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투명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생태공간(S)에 나비의 생태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식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본체(100)는 개방된 상측이 커버(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생태공간(S)과 외부가 분리되어 나비의 생태환경과 외부의 생활환경이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관본체(100)는 하측이 구획판(400)과 결합되어 폐쇄되고 그 구획판(400)을 중심으로 컨트롤 블럭(300)과 구분된다.
상기 관본체(100)는 외측에 소통도어(110)를 구비함으로써, 생태공간(S)에 식물이나 토양 등을 용이하게 반입 또는 반출시킬 수 있게 하고, 청소 등의 유지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기 커버(200)는 관본체(100)의 개방된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생태공간(S)과 외부의 생활공간을 서로 구분시키고 상기 생태공간(S)의 빛과 온도를 조절하는 환경조절부(210)를 구비함으로써, 생태공간(S)에 조성된 나비의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200)는 관본체(10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생태공간(S)를 향하는 내측면에 환경조절부(210)를 구비하며, 컨트롤 블럭(300)에 마련된 제어부(320)와 그 환경조절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200)의 환경조절부(210)는 상기 내측면에 마련된 브라켓(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그 커버(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고장 발생 시 용이한 기기 교체를 가능하게 하고 비전문가에 의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컨트롤 블럭(300)은 관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구획판(400)에 의해 상기 관본체(100)와 구분되고, 가습부(310)를 구비하여 생태공간(S)에 습기를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320)를 구비하여 그 가습부(310)와 환경조절부(2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태환경에서 습도와 조도 및 온도를 조절하게 한다.
상기 컨트롤 블럭(300)은 관본체(100)와 대응되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제어부(320)와 가습부(310)를 수용할 수 있고, 개폐 가능하여 관리자에 의한 제어부(320) 및 가습부(310)의 용이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가습부(310)는 컨트롤 블럭(3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곤충 생태관은, 관본체(100)의 내부에 생태공간이 형성되고 소통도어(110)에 의해 그 생태공간(S)과 외부가 서로 소통되고, 관본체(100)의 상측에 커버(200)가 결합되고, 그 커버(200)에 마련된 환경조절부(210)에 의해 생태공간(S)의 빛과 온도가 조절되며, 컨트롤 블럭(300)이 구획판(400)에 의해 관본체(100)와 구분되며, 컨트롤 블럭(300)의 가습부(310)가 생태공간에 습기를 공급하고 제어부(320)가 그 가습부(310) 및 환경조절부(2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나비와 같은 곤충의 생태유지를 위한 맞춤형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나비의 성장과정에 맞춰 생태환경을 성장 과정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비의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커버(200)의 환경조절부(210)는, 조도광원들(211), 자연광원들(212), 열광원들(213), 공기순환구역(214) 및 기류발생기(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조절부(210)의 조도광원들(211)은, 커버(2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브라켓에 의해 그 내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생태공간(S)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생태공간(S)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도 광원들(211)은 LED 광원으로 이루어져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연광원들(212)은, 커버(200)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도광원들(211)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생태공간(S)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그 생태공간(S)에 태양빛에 대응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자연광원들(212)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320)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광원들(213)은, 조도광원들(211) 및 자연광원들(212)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커버(20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백열등과 같이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과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생태공간(S)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열광원들(213)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320)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순환구역(214)은, 커버(200)에 형성된 구멍 형태의 순환개구(H)와 그 순환개구(H)에 마련된 필터망(F)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생태공간(S)의 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게 하고, 생태공간(S)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기류발생기(215)는 커버(200)에서 상기 조도광원들(211) 사이에 배치되고 팬의 회전력으로 상기 생태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생태공간(S)에 상승기류를 형성시키고 나비의 생육과정에서 그 나비의 활동성을 유지 및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앞서 설명한 환경조절부(210)의 조동광원들(211), 자연광원들(212), 열광원들(213) 및 기류발생기(215)는 공기순환구역(214)을 제외한 커버(200)의 나머지 구역에 설치되어 조도와 온도, 상승기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나비의 성장과정에 맞춰 단계별로 맞춤형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나비의 활동성을 증대시키고 외부환경과 독립된 나비의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컨트롤 블럭(300)의 가습부(310)는 가습수단(311) 및 이동관(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습수단(311)은 컨트롤 블럭(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고 물을 저장하며 그 물로부터 습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습수단(311)은, 컨트롤 블럭(30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 블럭(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수단(311)은 이동관(312)과 착탈되게 연결되어 물의 보충이나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관(312)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가습수단(311)과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획판(400)을 관통하여 생태공간(S)에 배치되어 그 가습수단(311)에서부터 생태공간(S)까지 습기 이동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관본체(100)의 생태공간(S)에 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이동관(312)은, 가습수단(311)이 컨트롤 블럭(300)의 외부에 마련된 경우, 그 외부에서 컨트롤 블럭(30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며 구획판(400)을 관통한 후 생태공간(S)까지 연장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환경조절부(210)에 포함된, 조도광원들(211)과 자연광원들(212)에 의해 생태공간(S)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열광원들(213)에 의해 생태공간(S)의 온도를 조절하며, 공기순환구역(214)과 기류발생기(215)에 의해 생태공간(S)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며, 가습부(310)의 가습수단(311)에서 발생된 습기를 이동관(312)으로 생태공간(S)에 공급함으로써, 나비의 생태환경을 맞춤형으로 조성할 수 있고 나비의 활동성을 증대시켜 그 나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생태공간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태관에 채용된 가습부의 이동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가습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가습부(310)에 포함된 이동관(312)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이동관(312)은 개폐밸브(3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313)는 이동관(312)의 일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그 이동관(312)의 습기 이동로(P)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나비의 생태환경에서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개폐밸브(313)는 상기 생태공간(S)의 습도가 기설정된 수치를 넘어선 경우, 제어부(302)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습기 이동로(P)를 차단하여 습기가 생태공간(S)으로 공급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한편, 개폐밸브(313)는 상기 생태공간(S)의 습도가 기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302)의 제어신호에 의해 반대로 작동되어 습기 이동로(P)를 개방하여 습기가 생태공간(S)으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생태공간(S)의 온도, 조도, 습도 등의 감지는 제어부(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동관(312)의 타측은 방사형으로 분기되어 복수의 습기 이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40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생태공간(S)의 중심축을 향해 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생태공간(S) 전체에 고르게 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이동관(312)의 타측은 내측 둘레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생태공간(S)으로 배출되는 습기의 배출력을 증대시켜 단시간에 그 생태공간(S)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가습부(310)는 가습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펌프는 이동관(312)을 따라 이동하는 습기를 보다 빨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습수단(311)에서 생태공간(S)까지 습기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에어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펌프는 이동관(312)과 연결되고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그 이동관(312)으로 공기를 주입시켜, 생태공간(S)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기류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생태공간(S)에 상승기류가 요구될 경우 상기 제어부(320)는 가습부(31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에어펌프를 구동시킨다. 이때, 에어펌프는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를 상기 이동관(312)으로 주입시키며, 그 이동관(312)의 타측을 통해 그 공기가 생태공간(S)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기류발생기(215)와 함께 나비의 비행에 필요한 상승기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킨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관본체 200: 커버
210: 환경조절부 211: 조도광원들
212: 자연광원들 213: 열광원들
214: 공기순환구역 215: 기류발생기
300: 컨트롤 블럭 310: 가습부
311: 가습수단 312: 이동관
320: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곤충의 생육과 생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생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생태공간을 외부와 소통시키는 소통도어를 구비하고, 상측이 개방된 관본체; 상기 생태공간에서 곤충의 생태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관본체의 개방된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생태공간과 외부의 생활공간을 서로 구분시키고, 상기 생태공간의 빛과 온도를 조절하는 환경조절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생태환경에서 습도와 환경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관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구획판에 의해 상기 관본체와 구분되며, 상기 생태공간으로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부와, 상기 가습부 및 환경조절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 컨트롤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환경조절부는, 상기 생태공간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생태공간을 향하는 커버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도광원들; 상기 생태공간에 태양빛과 대응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도광원들 사이에 마련되어 생태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연광원들; 상기 생태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광원들 및 자연광원들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열광원들; 상기 생태공간의 공기와 외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순환개구와, 상기 순환개구에 마련되며 생태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필터망을 구비한 공기순환구역; 및 상기 생태공간에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광원들 사이에 배치되고 팬의 회전력으로 생태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기류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생태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54205A 2018-05-11 2018-05-11 곤충 생태관 KR10204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05A KR102048146B1 (ko) 2018-05-11 2018-05-11 곤충 생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05A KR102048146B1 (ko) 2018-05-11 2018-05-11 곤충 생태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178A Division KR102048183B1 (ko) 2019-10-31 2019-10-31 곤충 생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81A KR20190129481A (ko) 2019-11-20
KR102048146B1 true KR102048146B1 (ko) 2019-11-22

Family

ID=6872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05A KR102048146B1 (ko) 2018-05-11 2018-05-11 곤충 생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34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도심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먹이원 공급장치
KR20220060432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듈형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수분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1200B (zh) * 2022-05-30 2023-06-06 唐山师范学院 一种用于蜗牛养殖的生态养殖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002A (ja) 2002-10-21 2004-05-20 Eco Up:Kk 植物育成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440539Y1 (ko) * 2006-10-30 2008-06-17 임순자 관상식물용 쇼케이스
KR200468972Y1 (ko) 2011-02-15 2013-09-10 김영일 곤충류 행동반응 측정장치
KR101312680B1 (ko) * 2011-10-12 2013-09-27 경기도 주광성 곤충 생태체험관
KR101451343B1 (ko) * 2013-01-29 2014-10-16 조수희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002A (ja) 2002-10-21 2004-05-20 Eco Up:Kk 植物育成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440539Y1 (ko) * 2006-10-30 2008-06-17 임순자 관상식물용 쇼케이스
KR200468972Y1 (ko) 2011-02-15 2013-09-10 김영일 곤충류 행동반응 측정장치
KR101312680B1 (ko) * 2011-10-12 2013-09-27 경기도 주광성 곤충 생태체험관
KR101451343B1 (ko) * 2013-01-29 2014-10-16 조수희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34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도심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먹이원 공급장치
KR20220060432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듈형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수분 공급장치
WO2022097827A1 (ko) * 2020-11-04 2022-05-1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도심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먹이원 공급장치
KR102533492B1 (ko) * 2020-11-04 2023-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도심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먹이원 공급장치
KR102533488B1 (ko) * 2020-11-04 2023-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듈형 버그 하우스 및 이를 위한 수분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81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146B1 (ko) 곤충 생태관
KR101422636B1 (ko)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KR101670059B1 (ko) 식물재배장치
KR101812211B1 (ko) 식물재배 및 곤충사육을 위한 태양광 발전 컨테이너
KR102048183B1 (ko) 곤충 생태관
EP3389358A1 (en) Apparatus for growing vegetables, mushrooms, ornamental plants and the like
US20030150394A1 (en) Self-contained tropical rainforest vivarium system
CN108419564B (zh) 一种智能种植箱
KR101422996B1 (ko) 다용도 수경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KR20110047811A (ko) 가정용 식물 재배 장치
CN104396630A (zh) 一种家用叶类蔬菜培养箱及程序化培养方法
KR20200002432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160108055A (ko) 수경재배장치
KR100866578B1 (ko) 식물 재배기
CN103444468A (zh) 家庭微农场
KR102107635B1 (ko) 인삼재배용 스마트팜 시스템
KR102207579B1 (ko) 식물 생장 재배상
KR101850683B1 (ko) 난 재배 전용 하우스
CN208754846U (zh) 一种羊肚菌菌种的培养设备
RU26763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208821318U (zh) 植物培育装置
KR20130015090A (ko) 식물재배장치
AU2021101457A4 (en) Photo Hydroponics Chamber with Automatic Climate Control
CN213486268U (zh) 一种芽苗菜培育装置
CN204362670U (zh) 一种家用叶类蔬菜培养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