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987B1 -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Google Patents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7987B1 KR102037987B1 KR1020180053258A KR20180053258A KR102037987B1 KR 102037987 B1 KR102037987 B1 KR 102037987B1 KR 1020180053258 A KR1020180053258 A KR 1020180053258A KR 20180053258 A KR20180053258 A KR 20180053258A KR 102037987 B1 KR102037987 B1 KR 1020379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te
- door body
- hole
- airbag
- deploy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은, 인플레이터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이 내측에 수납되는 상부개방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에어백의 외부 전개를 허용하는 전개공이 관통형성된 슈트; 상기 전개공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공을 개폐하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도록 상기 슈트와 상기 도어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부; 및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에 걸쳐 내설되어 상기 도어몸체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몸체, 회동부 및 슈트에 걸쳐 내설 즉, 금형 내에 이서트되어 도어몸체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부재가 도어몸체, 회동부 및 슈트와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를 이룸에 따라, 에어백의 과도한 전개압력에도 도어몸체가 슈트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는 강성이 구조적으로 확보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의 전개작동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이 보다 저감될 수 있고, 또한, 조립 부품의 단순화를 통해 에어백케이싱의 용이한 제조 및 생산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에어백케이싱의 도어가 파단되어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도어측 부근의 내구성을 강화한 에어백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안전벨트와 더불어 차량의 충돌시 대표적인 탑승자 보호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차량의 보급 확대와 안전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의 증대는, 더욱 안전하고 즉각적인 반응으로 작동하는 한편,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에어백에 대한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촉진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 등에 부응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0853호의 에어백 모듈은, 내부에 인플레이터 및 쿠션(에어백)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슈트와, 슈트에 일체로 형성되되 차량에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 쿠션의 전개에 따라 슈트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한 후 에어백 하우징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슈트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이 가능한 에어백 도어로 구성되어 쿠션 전개시 힌지부 파손을 방지하고 티어라인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에어백 도어에 대하여 에어백의 전개압력이 과다하게 작용하게 되는 경우, 전개압력은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따라 선형운동을 하는 도어 측벽에 의해 일부 완충되지만, 이후 힌지부를 기준으로 도어 본체를 강하고 급격하게 강제 회전시키게 된다.
결국, 별도의 보강구조 없이 도어 본체와 단일한 사출물로 형성된 힌지부에는 구조적으로 강한 응력이 집중됨에 따른 힌지부의 파단이나 파열로 도어 본체가 슈트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는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탑승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것으로, 에어백의 전개압력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어 본체가 슈트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에어백 장치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과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에어백케이싱의 도어가 에어백의 과도한 전개압력에도 쉽게 파단되어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도어측 부근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한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은 에어백케이싱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인플레이터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이 내측에 수납되는 상부개방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에어백의 외부 전개를 허용하는 전개공이 관통형성된 슈트; 상기 전개공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공을 개폐하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도록 상기 슈트와 상기 도어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부; 및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에 걸쳐 내설되어 상기 도어몸체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슈트는, 중앙에 상기 전개공이 형성된 판상의 슈트몸체와, 상기 슈트몸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슈트측벽과, 상기 하우징에서 다수 개로 돌출형성된 체결고리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슈트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상기 슈트측벽 및 상기 체결공에 걸쳐 내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시트형상의 금속, 합성수지,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내설되는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다수개의 결합강화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는 인서트된 상기 보강부재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도어몸체 및 상기 슈트보다 얇은 두께로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강화공은 상기 도어몸체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1 강화공, 상기 회동부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2 강화공, 상기 슈트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3 강화공 및 상기 체결공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4 강화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강화공은, 상기 도어몸체의 원활한 회전작동과 상기 회동부의 강성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회동부와 접하게 되는 면적의 50% 내지 65%에 해당하는 비율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결합강화공의 주변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결합강화공의 주변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2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백케이싱은, 이격배치되며 상기 도어몸체와 상기 슈트 간을 연결고정하되,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 압력을 분산한 후 파단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몸체, 회동부 및 슈트에 걸쳐 내설 즉, 금형 내에 이서트되어 도어몸체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부재가 도어몸체, 회동부 및 슈트와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를 이룸에 따라, 에어백의 과도한 전개압력에도 도어몸체가 슈트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는 강성이 구조적으로 확보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의 전개작동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이 보다 저감될 수 있고, 또한, 조립 부품의 단순화를 통해 에어백케이싱의 용이한 제조 및 생산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100)은, 에어백(AB)의 과도한 전개압력에도 도어몸체(130)가 슈트(120)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는 강성을 구조적으로 확보하여 차량 충돌시 에어백(AB)의 전개작동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을 보다 저감하면서도 조립 부품의 단순화를 통해 용이한 제조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100)은, 하우징(110), 슈트(120),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보강부재(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보강부재(150)의 형태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도 4 내지 도 6의 변형예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10)은, 인플레이터(IF)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AB)이 내측에 수납되는 상부개방형 구조의 구성요소로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사출성형 또는 금속판재를 소재로 한 프레스성형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쪽으로 오목한 그릇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슈트(120)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부 주변 둘레를 따라 이격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고리(112)와, 이외 슈트(120)와의 나사체결 등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고리(112)는, 하우징(110)과 후술할 슈트(12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1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돌출형성된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고리(112)는 슈트(120)와의 결합과정에서 탄성변형된 후 슈트(120)에 형성된 체결공(126)에 대하여 각각 걸리도록 탄성복원됨으로써 상호 간은 걸림 결합을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110)과 슈트(120) 간이 조립고정될 수 있다.
슈트(120)는, 상술한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10) 내에 수납된 에어백(AB)의 외부 전개를 허용하는 전개공(121)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슈트(1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슈트몸체(122), 슈트측벽(124) 및 체결공(126) 등을 포함하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슈트몸체(122)는 중앙에 전개공(121)이 형성된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원, 타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링형상의 판재일 수 있고, 중앙에 마련된 전개공(121)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트몸체(122)는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하고 전개공(121) 또한 직사각형으로 제작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링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슈트몸체(122)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차량 실내공간에 마련된 크래쉬 패드(미도시)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크래쉬 패드는 차량 충돌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피해를 막기 위해 차량 실내공간에 마련되는 완충용 마감부재로서, 에어백케이싱(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차량충돌시 에어백(AB)의 전개에 의해 일영역이 파단 내지 절개됨으로써, 에어백(AB)에 의한 탑승자 보호가 가능해진다.
슈트측벽(124)은, 슈트몸체(122)에서 링형상을 이루며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구성요소로서, 그 내측에 하우징(11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태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하우징(110)의 내측에 슈트측벽(124)이 삽입되도록 설계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슈트측벽(124)의 일측에는 상술한 하우징(110)과의 나사체결 등을 위해 대응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공(12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서 다수 개로 돌출형성된 체결고리(112)에 대응하여 각각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슈트측벽(124)에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도어몸체(130)는, 상술한 슈트몸체(122)의 전개공(121)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전개공(121)을 개폐하게 하게 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AB)의 압력에 의해 슈트(120)로부터 분리된 후 후술할 회동부(140)의 변형을 통해 슈트(120)에 대해 상대회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몸체(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몸체(122)의 전개공(1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개공(121)이 위치하는 공간에서 전개공(121)과 미소하게 이격된 상태로 다수의 연결리브(160)에 의해 슈트몸체(122)와 상호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슈트몸체(122)와 도어몸체(130) 간을 연결고정하기 위해 미소한 틈 사이에서 이격형성되는 다수의 연결리브(160)는, 차량 충돌시 전개되는 에어백(AB)의 압력에 의해 각각 파단된다.
이때, 다수의 연결리브(160)가 파단되기 전까지 에어백(AB)의 전개 압력을 도어몸체(130) 전체로 분산하면서 에어백(AB)을 설계된 전개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연결리브(160) 간 이격거리(배치)나 연결리브(160)의 두께(굵기) 및 그 개수 등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어몸체(130)의 상면에도, 슈트(120)본체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차량 실내공간에 마련된 크래쉬 패드(미도시)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몸체(130)는, 연결리브(160) 및 다수의 돌기와 함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140)는 슈트(120)와 도어몸체(130) 사이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몸체(130)가 슈트(120)에 대하여 상대회전토록 하는 가요성의 구성요소로서, 슈트몸체(122)와 슈트측벽(124)이 연결되는 부근에서 도어몸체(1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140)는 도어몸체(130)의 자유로운 회동을 유도할 수 있는 가요성 부재라면, 그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몸체(130) 및 슈트(120)보다 얇은 두께로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절곡형성된 정현파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회동부(140)의 형상은, 회동부(140)의 원활하고 자유로운 회동을 도모하기 위한 것인 한편, 에어백(AB)의 전개압이 도어몸체(130) 등에 가해지는 경우 절곡된 형상만큼 펴지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회동부(140) 자체의 파손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동부(140)는, 도어몸체(130) 및 슈트(120)와 함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에어백(AB) 전개시 충격에 의해 필연적으로 펴지면서 회전함으로 인해 다른 구성들에 비해 취약할 수밖에 없는 회동부(140)의 강성을 보강 내지 강화하는 한편, 회동부(140)와 함께 휘어지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대체적으로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슈트(120)에 걸쳐 내설(LI)되어 궁극적으로 도어몸체(130)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부재(150)는 시트형상의 금속, 합성수지, 직포(케블라) 또는 부직포 등을 소재로 내설(LI)될 위치에 대응한 형상으로 별도의 성형장치 등을 통해 미리 제작된 후, 상술한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슈트(120)를 형성하는 금형 내에 인서트(LI)된 다음,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슈트(120)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금형 내로 인서트되는 보강부재(150)는, 회동부(140)의 강성을 보강 내지 강화할 수 있도록 회동부(140) 주변의 내측에 구조화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몸체(130), 회동부(140)와 및 슈트몸체(122)에 걸치며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강부재(1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강화공(152)이 관통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슈트몸체(122)와 내설(LI,인서트)되는 보강부재(150) 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보강부재(150)와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슈트몸체(122) 간의 결합력 증대는, 금형 내로 사출된 용융 수지가 결합강화공(15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결합강화공(152)은, 구체적으로 제1 강화공(152a), 제2 강화공(152b) 및 제3 강화공(152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강화공(152a)은 도어몸체(130) 측에 내설되는 보강부재(150) 일영역에 관통형성되어 도어몸체(130)와의 결합력을 증대하는 구성요소이고, 제2 강화공(152b)은 회동부(140) 측에 내설되는 보강부재(150) 일영역에 관통형성되어 회동부(140)와의 결합력을 증대하는 구성요소이며, 제3 강화공(152c)은 슈트(120) 측에 내설되는 보강부재(150) 일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슈트(120)와의 결합력을 증대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제2 강화공(152b)은, 보강부재(150)가 회동부(140)와 접하게 되는 면적의 50% 내지 65%에 해당하는 비율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해 회동부(140)를 통한 도어몸체(130)의 원활한 회전작동은 물론, 회동부(140)가 쉽게 파단되지 않도록 하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즉, 제2 강화공(152b)의 전체적인 크기를 보강부재(150)와 회동부(140)가 접하게 되는 면적의 50% 이하로 제작하게 되면, 도어몸체(130)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반면에, 제2 강화공(152b)의 전체적인 크기를 보강부재(150)와 회동부(140)가 접하게 되는 면적의 65% 이상으로 제작하게 되면, 도어몸체(130)의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는 하나 에어백(AB)의 전개압력이 크게 작용하게 될 경우, 회동부(140) 주변에 파단이나 파열이 발생할 소지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위 범위로 제2 강화공(152b)의 크기를 제한하게 된 것이다.
상술한 제1,2,3 강화공(152a 내지 152c) 각각은,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이나 크기는 보강부재(150), 슈트(120), 도어몸체(130), 회동부(140)의 구조적 조건에 따라 필요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보강부재(150)는, 도 2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강화공(152)의 주변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절곡부(154) 및 결합강화공(152)의 주변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2 절곡부(1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강화공(152) 주변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는 버링(burring)구조의 제1 절곡부(154) 및 제2 절곡부(156)에 의해,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및 슈트(120) 각각은 사출성형시 보강부재(150)와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접촉한 상태로 경화됨에 따라 보강부재(150)를 더욱 견고히 지지고정할 수 있게 되며, 회동부에(140) 주변의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슈트(120)나 도어몸체(130)로부터 보강부재(150) 자체가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재(1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몸체(130), 회동부(140), 슈트측벽(124) 및 체결공(126)에 걸치며 대체로 'ㄱ' 자로 절곡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재(15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대부분 유사하나 슈트몸체(122)가 아닌 슈트측벽(124)과 체결공(126)에 걸치도록 내설(LI)되고, 제1 강화공(152a), 제2 강화공(152b), 제3 강화공(152c) 이외에 제4 강화공(152d)을 더 포함하게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추가된 제4 강화공(152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26) 측에 내설(LI)되는 보강부재(150) 일영역에 관통형성되어 슈트(120)의 체결공(126) 측과 결합력을 증대하는 구성요소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슈트몸체(122)가 아닌 슈트측벽(124)과 체결공(126)에 각각 걸치도록 'ㄱ' 자로 보강부재(150)를 절곡형성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슈트(120) 측과 보강부재(150) 간의 접촉면적을 실시예의 경우보다 증대하여 양자 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또한, 에어백(AB)의 과도한 전개압력에 의해 회동부(140)(및 슈트측벽(124))가 파단되면서 보강부재(150) 및 도어몸체(130)가 일체를 이루며 슈트(12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경우라도, 하우징(110)의 체결고리(112)에 보강부재(150)의 제4 강화공(152d)이 걸리게 하여 도어몸체(130)의 이탈이 더욱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변형예에 의한 보강부재(150)로 인해 도어몸체(130)의 이탈 위험은 더욱 감소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에어백(AB)모듈의 사용에 따른 사고의 위험성 또한 저감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F: 인플레이터 AB: 에어백
100: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110: 하우징 112: 체결고리
120: 슈트 121: 전개공
122: 슈트몸체 124: 슈트측벽
126: 체결공 130: 도어몸체
140: 회동부 150: 보강부재
152: 결합강화공 152a: 제1 강화공
152b: 제2 강화공 152c: 제3 강화공
152d: 제4 강화공 154: 제1 절곡부
156: 제2 절곡부 160: 연결리브
100: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110: 하우징 112: 체결고리
120: 슈트 121: 전개공
122: 슈트몸체 124: 슈트측벽
126: 체결공 130: 도어몸체
140: 회동부 150: 보강부재
152: 결합강화공 152a: 제1 강화공
152b: 제2 강화공 152c: 제3 강화공
152d: 제4 강화공 154: 제1 절곡부
156: 제2 절곡부 160: 연결리브
Claims (9)
- 인플레이터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이 내측에 수납되는 상부개방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에어백의 외부 전개를 허용하는 전개공이 관통형성된 슈트; 상기 전개공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공을 개폐하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도록 상기 슈트와 상기 도어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부; 및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에 걸쳐 내설되어 상기 도어몸체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시트형상의 금속, 합성수지,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다수개의 결합강화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는 인서트된 상기 보강부재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결합강화공의 주변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결합강화공의 주변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2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중앙에 상기 전개공이 형성된 판상의 슈트몸체와, 상기 슈트몸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슈트측벽과, 상기 하우징에서 다수 개로 돌출형성된 체결고리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슈트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상기 슈트측벽 및 상기 체결공에 걸쳐 내설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도어몸체 및 상기 슈트보다 얇은 두께로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인플레이터에 의해 전개되는 에어백이 내측에 수납되는 상부개방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상기 에어백의 외부 전개를 허용하는 전개공이 관통형성된 슈트; 상기 전개공이 위치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공을 개폐하는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슈트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도록 상기 슈트와 상기 도어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부; 및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에 걸쳐 내설되어 상기 도어몸체의 파단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는,
중앙에 상기 전개공이 형성된 판상의 슈트몸체와, 상기 슈트몸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슈트측벽과, 상기 하우징에서 다수 개로 돌출형성된 체결고리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슈트측벽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시트형상의 금속, 합성수지,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다수개의 결합강화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도어몸체, 상기 회동부 및 상기 슈트는 인서트된 상기 보강부재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결합강화공은,
상기 도어몸체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1 강화공, 상기 회동부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2 강화공, 상기 슈트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3 강화공 및 상기 체결공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제4 강화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화공은,
상기 도어몸체의 원활한 회전작동과 상기 회동부의 강성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회동부와 접하게 되는 면적의 50% 내지 65%에 해당하는 비율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케이싱은,
이격배치되며 상기 도어몸체와 상기 슈트 간을 연결고정하되,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 압력을 분산한 후 파단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3258A KR102037987B1 (ko) | 2018-05-09 | 2018-05-09 |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3258A KR102037987B1 (ko) | 2018-05-09 | 2018-05-09 |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7987B1 true KR102037987B1 (ko) | 2019-10-30 |
Family
ID=6846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3258A KR102037987B1 (ko) | 2018-05-09 | 2018-05-09 |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798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1907A (ja) * | 2004-08-16 | 2006-02-23 | Moriroku Co Ltd |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
US7195280B2 (en) * | 2003-11-20 | 2007-03-27 | Autoliv Asp, Inc. | High internal pressure fabric airbag with exposed inflator |
KR20120045640A (ko) * | 2010-10-29 | 2012-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힌지 구조 |
KR101260853B1 (ko) | 2010-11-29 | 2013-05-06 | 덕양산업 주식회사 | 에어백 모듈 |
-
2018
- 2018-05-09 KR KR1020180053258A patent/KR1020379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95280B2 (en) * | 2003-11-20 | 2007-03-27 | Autoliv Asp, Inc. | High internal pressure fabric airbag with exposed inflator |
JP2006051907A (ja) * | 2004-08-16 | 2006-02-23 | Moriroku Co Ltd |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
KR20120045640A (ko) * | 2010-10-29 | 2012-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힌지 구조 |
KR101260853B1 (ko) | 2010-11-29 | 2013-05-06 | 덕양산업 주식회사 | 에어백 모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29027B2 (en) | Controlled tether arrangement for an airbag | |
US9045106B2 (en) | Safety device for vehicle | |
KR100506720B1 (ko) | 커튼 에어백 장착 차량의 필러트림 설치 구조 | |
CN101918249B (zh) | 车辆用安全气囊装置 | |
US8191924B2 (en) | Dashboard | |
KR101113667B1 (ko) | 차량의 에어백 장착용 크래쉬패드 | |
US7025377B2 (en) | Curtain air bag device | |
US8172258B2 (en) | Ramp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US11554744B2 (en) | Covering cap for an airbag module and airbag module having such a covering cap | |
JP3959673B2 (ja) |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 |
CN111301334B (zh) | 气囊装置的罩体 | |
US8662526B2 (en) | Airbag device for passenger's seat | |
KR102037987B1 (ko) | 도어측 강화형 에어백케이싱 | |
JP2948849B2 (ja) | ガスバッグのカバー体 | |
JP4379287B2 (ja) |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 |
JP3937308B2 (ja) | 車両内装部材 | |
US11358557B1 (en) | Airbag housing with sacrificial seam | |
US8641084B2 (en) | Ageing-resistant mounting for inflatable airbag module | |
JP7234857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CN109153361A (zh) | 驾驶席安全气囊模块的安装装置 | |
JP2005075141A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 |
US8029015B2 (en) | Airbag cover and airbag apparatus | |
KR100602677B1 (ko) |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구조 | |
KR100462115B1 (ko) | 슬라이딩 힌지를 이용한 에어백 도어 장착구조 | |
KR20100031940A (ko) | 차량용 에어백 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