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627B1 -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627B1
KR102037627B1 KR1020190024436A KR20190024436A KR102037627B1 KR 102037627 B1 KR102037627 B1 KR 102037627B1 KR 1020190024436 A KR1020190024436 A KR 1020190024436A KR 20190024436 A KR20190024436 A KR 20190024436A KR 102037627 B1 KR102037627 B1 KR 10203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tank
feed
sea urchin
urch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헌
김정욱
양재훈
Original Assignee
(주)다오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오넥스 filed Critical (주)다오넥스
Priority to KR102019002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우리나라 연근해의 해저에 분포하는 해적생물의 유용한 활용과 적극적 개체 조정을 위해 해저의 성게를 수집하여 육상에서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성게에서 성게알을 생산하기 위해 적절한 사료를 제공한다. 사료공급을 통해 해적생물의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연근해의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매년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수출을 통한 산업화를 구현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Device for aqua-culture of Echinoidea.}
본 발명은 연안에서 서식하는 성게를 채집하여 육상 양식장에서 일정기간 축양하는데 필요한 성게 육상 축양용 양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성게를 육상에서 축양하여 성게의 생식소를 생산하기 위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성게알 채취 산업은 1990년대 일본수출을 통해 수산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였으나, 2002년 중국, 칠레, 멕시코산에 가격 경쟁에 밀려 한국산의 일본시장에서 퇴출되기에 이르게 되었다.
성게는 극피동물문의 성게 강에 속하는 수산동물로서 섬게라고도 한다. 성게는 모두 바다에서 살며 세계적으로 약 900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 나라 해역에서는 약 30종이 알려져 있다. 몸은 구형·반구형·심장형 또는 편평한 반상(盤狀)이고 불가사리류와는 달리 팔을 가지지 않는다.
체벽의 표면은 섬모가 나 있는 표피로 덮여 있고, 그 안에 탄산칼슘성분을 가지는 두꺼운 골판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단단한 껍데기를 이룬다. 골판은 긴 가시가 있는 다섯 줄의 간보대(間步帶)와 가시가 없는 다섯 줄의 보대로 구분되는데, 보대에는 수많은 관족(管足)들이 두 줄로 배열되어 있다. 간보대의 긴 가지는 움직일 수 있고, 보대의 관족들은 신축성이 있어 성게류는 이들 가시와 관족으로 운동한다.
입은 몸의 아랫면 복판에 열려 있고 항문은 입과 반대쪽인 윗면 또는 뒷면에 열려 있다. 항문 주위에는 다섯 개의 생식판과 한 개의 천공판이 있는데, 생식판에는 각각 한개의 생식공이 있다. 입이 있는 부위를 위구부(圍口部)라고 하며 이곳의 가시는 이로 변하고, 안에 저작기(咀嚼器)가 있다. 이 저작기는 흔히 아리스토텔레스등이라고 불린다. 소화관은 길고 단순한 관이며, 몸속을 돌고 있다. 성게류는 종류에 따라 식성이 다르기는 하지만, 많은 종류가 암석을 덮는 해조나 고착성 동물을 먹는다. 암수 딴 몸이고 다섯 개의 생식선이 각 간보대의 안쪽에 한 개씩 붙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 연안의 해저환경은 수온상승 등의 온난화로 인해 오랫동안 갯녹음 현상과 바다의 사막화가 진행되었다. 해조류가 사라진 연안에는 이상 번식한 보라성게의 대군락이 형성되었고 이들 성게는 해저면에 섭식할 먹이가 충분하지 않아 알을 형성하지 못하는 상품성이 없는 성게가 주를 이룸으로서 바위등에서 자라나는 해조류를 섭이함으로서 해양 생태계의 균형이 깨진 상태의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통계에 의하면 갯녹음 현상의 진행은 동해안 70%, 서해안과 남해안이 30~40% 진행되고 있으며, 경상북도는 해적 생물로 지정하여 매년 불가사리와 같이 성게 퇴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갯녹음 현상(바다의 사막화) 원인은, 바다의 생태계의 변화, 해수온의 상승 등 여러 요인이 있기 때문에 성게만의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가까운 일본 카나카와 현 미우라 만의 사례 등을 보면 성게의 퇴치 작업을 통한 해조류의 복원과 이를 통한 연근해 연안의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이를 근거로 갯녹음 현상 방제 가이드라인 책정과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보라성게의 퇴치 작업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갯녹음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경우, 보라성게의 이상 번식을 확인할 수 있고, 개체수가 많은 보라성게의 적극적 개체 조정을 위한 퇴치물의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함으로서 성게 몸체에서 성게알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연근해의 해적생물을 수산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해적생물의 관리를 통해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성게알의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외국으로부터 매년 수입이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대일본 수출을 통한 산업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라 성게 산업화를 위해 연중 보라 성게의 생식소를 생성하고, 채취 수율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한 축양 실험 및 연구를 진행하여, 성게 육상 축양에 필요한 양식수조 및 양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등록 특허번호 제10-1871507호는 규조류, 담녹조류 및 남조류를 포함하는 미세조류(microalgae)를 이용하여 포복성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배양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무척추동물 유생 배양용 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0628호는 부착규조류와 미세조류를 자연광을 이용한 실내배양하는 단계와 농축기를 이용한 수확하는 단계를 거쳐 해조류와 혼합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캡슐화를 통해 전복 종묘생산시 초기 사료 및 사료첨가제로 이용함으로써 전복 양식시 부착규조류 배양을 위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동물성단백질을 식물성단백질로 대체하여 식품안정성을 높일뿐만 아니라 성장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복양식용 천연 사료첨가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번호 제10-1710301호는 일정 부피를 갖는 수조 바닥에 부착기질을 바닥면에 수평으로 형성하고 제주도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소통시켜 부착성 규조류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성 규조류가 부착된 부착기질을 실외수조로 이동시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기질을 회수하여 홍해삼 양식조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홍해삼 양식조에 홍해삼과 부착성 규조류를 동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착성 미세조류를 이용한 홍해삼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국내등록특허번호 제10-1938942호는 지충이 10중량%, 모자반 5중량%, 다시마 4중량%, 미역 3중량%, 청각분말 2중량%, 단백사료 6중량%, 육성사료 20중량%, 펄 50중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절편형태로 반죽하고, 20-25℃의 온도를 유지하며 실온에서 12시간 발효시켜 절편형 고체형태로 건조시키는 어미해삼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연근해의 해저에 분포하는 해적생물의 유용한 활용과 적극적 개체 조정을 위해 해저의 성게를 수집하여 육상에서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성게에서 성게알을 생산하기 위한 성게 육상 축양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를 제공한다. 성게의 육상 축양을 통해 해적생물의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연근해의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매년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수출을 통한 산업화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사각형상의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면과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한면의 외벽과 마주하는 외벽의 중앙을 세로로 연결하는 중앙분리판이 형성되어 일정의 공간을 복수개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과 외벽에는 일정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해수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 용기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가로로 긴 장방형의 수조바닥과 일정 높이의 수조 외벽이 둘러싸며 상부가 개구되어 사육수와 연안에서 채포된 성게가 입식될 수 있는 축양 공간이 형성되는 축양수조가 일정 간격을 갖고 세로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축양수조의 세로방향 끝단에는 정방형의 사각수조가 복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진 입식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가 형성되고 입식 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의 세로방향 끝단에는 해수저장조가 형성되며, 지하관정 또는 해수는 해수저장조에 일시 보관되며, 해수저장조와 연결된 사육수 공급파이프는 축양수조와 입식 순치용 수조 연결되고 공급되고, 다시 축양수조와 연결되는 사육수 퇴수 파이프는 입식 순치용 수조로 연결되어 정화장치를 거쳐 배출되도록 형성된 성게 육상 축양용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성게 육상 축양용 용기가 성게 육상 축양용 양식 장치를 이루는 축양수조에 1열 또는 2열로 복수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발명은 바다에서 채집된 성게를 입식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에 보관하여 절식한 상태에서 5일 내지 7일간 축양하면서 바다에서 섭식한 먹이를 배설하고 바다 수온과 사육 수온의 온도차를 줄여가는 수온 순치 과정을 갖는 단계; 수온 순치 과정에서 가시가 탈락된 성게를 배제하고 건강한 성게를 선별하여 축양수조로 분배하여 16~18도의 해수를 1일 2~3회 환수하면서 90일 내지 100일간 사료를 급이하여 사육하는 단계; 사육된 성게를 탈각하여 성게알을 회수하는 성게 육상 축양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에서 성게 축양에 제공되는 사료는 어류발효액으로 발효된 양배추로서 어류 발효액은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어종으로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성게 육상 축양용 양식수조 및 양식장치를 이용하여 갯녹음 현상이 진행되는 연안에서 번식하는 성게를 채집하여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함으로서 성게 몸체에서 성게알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해적생물의 관리를 통해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성게알의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외국으로부터 매년 수입이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대일본 수출을 통한 산업화 창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수온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용기 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사료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 전과 후에 얻어진 성게의 난소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 양산화를 위한 성게 축양 수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 양산화를 위한 일련의 성게 축양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성게 육상수조 축양을 위한 양식장치 및 육상 축양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수온 선정 실험
연안의 해저에서 서식하는 보라 성게를 채집하여 육상 축양 시, 가장 적합한 수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1월부터 2월까지 약 30일 동안 본 출원인의 사업장 내 1개 격실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성게의 개체 수는 총 150 미로서 지역의 해녀들이 연안에서 채집한 살아 있는 보라 성게를 선발하였다 실험 개체 선발 기준은 움직임이 활발한 건강한 성체(가시 제외한 본체의 지름 5cm 이상 크기)를 선발하여 입식하되, 외관상 가시가 빠지거나 상처가 식별되는 성체는 제외하였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수온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실험은 해수용 전열기를 이용하여 수조 A(8~10℃), 수조 B(12~14℃), 수조 C(16~18℃), 수조 D(20~22℃), 수조 E(24~26℃) 5종류의 수온 조건()을 구성하여 상기 수온을 유지한 총 5개의 수조에 성게를 각각 30미씩 입식하였다. 각각의 수조별 고정 조건은 동일한 사료 급이조건으로 절단한 양배추 및 배추를 동일한 사료 급이량으로 급이하였다. 사료 급이량은 개체 중량의 2 중량% / 1일의 양으로 하여 4일 간격으로 1회 8 중량%를 급이하였다.
각각의 실험수조는 동일한 실험 공간 및 장비로서 1톤 물탱크와 300리터 수조 5기를 연결하여 부분 순환식으로 동일한 유수량 유지하여 각 수조별 30미의 동일한 개체량 투입하여 동일한 실험 기간 30일 동안 실험하였다.
실험 및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먹이 활동은 전 수조에서 먹이 활동을 확인되나, 수조B(12~14℃), 수조C(16~18℃), 수조 D(20~22℃) 비교적 활발한 먹이 활동을 보였다. 폐사율(입식 후 폐사한 성게 개체수 ÷ 입식한 성게 개체수) × 100, * 실험 간 중간 수율 체크를 위해 임의로 탈각한 개체 수는 제외함. )은 수온이 높은 수조 D(20~22℃/19%), 수조 E(24~26℃/26%)에서 비교적 높은 폐사율이 확인되었고, 성게의 수율(생식소 중량 ÷ 성체의 피중량) × 100, * 생식소의 중량은 탈각 후 나오는 5개 생식소 중량의 합)은 전 수조에서 비슷한 수율(10~12%)을 보였다.
육상 축양 시, 가장 적합한 수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 연구 결과, 보라 성게는 수온 8~26℃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수온에서도 먹이 활동 및 활동성에서 문제가 없으나, 20℃ 이상의 수온에서는 폐사율도 비례해서 높아지며, 특히 24℃ 이상의 수온에서는 폐사율이 급격하게 높아지지며, 26 ~ 28℃에서는 먹이 활동이 50% 이하로 떨어지며, 28℃ 이상에서 먹이활동이 거의 없고 폐사가 시작되며, 32℃ 에서 전량 폐사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24℃ 이상의 수온에서는 사료의 부패가 빨라지며, 사육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 관찰되므로, 12~20℃ 미만의 수온 환경이 보라 성게의 축양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수조 A, B의 조건은 수온이 낮아, 여름철 축양이 곤란하고 수조 D 조건 역시 수온이 높아 겨울철 축양이 곤란하여, 향후 산업화 단계에서 수온조절을 위한 시설비 및 운전비 절감을 위해 연중 수온 15~19℃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하 해수 관정 유수식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하여 수조 C(16~18℃)의 수온 환경을 보라 성게의 육상 축양 수온으로 선정하였다. 지하관정을 통한 해수개발로 17℃ 전후의 안정적인 수원을 공급가능하며 지하관정은 25m 이하의 관정깊이에서는 그 지역의 연평균 기온이 관정의 수온을 얻을수 있고 유수식 축양 시스템을 채택하여 1일 2~3회 환수를 조건으로 축양가능하다.
2. 사육용 축양 용기 선정실험
해저에서 서식하는 보라 성게를 채집하여 육상 축양 시, 가장 적합한 수조의 공간 및 섭식 효율(사료 접근도)이 높은 축양용기 형태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60일 동안 본 출원인의 사업장 내 1개 격실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성게의 개체 수는 총 195 미로서 지역의 해녀들이 연안에서 채집한 살아 있는 보라 성게를 선발하였다 실험 개체 선발 기준은 움직임이 활발한 건강한 성체(가시 제외한 본체의 지름 5cm 이상 크기)를 선발하여 입식하되, 외관상 가시가 빠지거나 상처가 식별되는 성체는 제외하였다.
실험은 각기 다른 3종류의 축양용기를 제작하고 각각의 축양 수조 용기에 성게를 각 60미씩 입식하여 축양용기의 세로의 단면에 붙는 성게의 습성 및 양산화 대비 축양 공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성능이 우수한 축양용기를 선정하였다.
본원발명에서 제작된 각기 다른 3종류의 축양용기는 ⓛ 기본형 300리터 크기의 고무 수조 (세로 단면적의 합 : 14,240cm²), ② 기본형 수조 300L 고무 수조 내부에 54 x 37 x 31cm(가로 x 세로 x 높이)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 2개를 넣고,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성게를 입식한 축양용기(이하 축양용기 A 타입이라 한다, 세로 단면적의 합 : 11,284cm²), ③ 기본형 수조 300L 고무 수조 내부에 54 x 37 x 31cm(가로 x 세로 x 높이)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 2개를 넣고, 플라스틱 용기의 정중앙에 세로의 판을 삽입하여 플라스틱 용기를 2 구획으로 분할하여, 세로 단면적을 극대화한 개선형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 B타입이라 한다; 세로 단면적의 합 : 16,684cm²) 각각의 용기 내부에 성게 입식하였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용기선정을 위한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각각의 수조별 고정 조건은 동일한 사료 급이조건으로 절단한 양배추를 동일한 사료 급이량으로 급이하였다. 사료 급이량은 개체 중량의 2 중량% / 1일의 양으로 하여 4일 간격으로 1회 8 중량%를 급이하였다.
각각의 실험수조는 동일한 수온 조건으로 해수용 전열기 및 직수 사용으로 16~18℃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동일한 실험 공간 및 장비로서 각각의 수조가 부분 순환식으로 동일한 유수량 유지하여 각 수조별 60미의 동일한 개체량 투입하여 동일한 실험 기간 60일 동안 실험하였다.
실험 및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먹이 활동은 3개의 수조 모두 활발한 먹이활동을 보였고 사료 잔여량(찌꺼기)은 수조A(기본형) > 수조B(용기A타입 적용) > 수조C(용기 B타입 적용) 순으로 확인되었다.
폐사율(입식 후 폐사한 성게 개체수 ÷ 입식한 성게 개체수) × 100, * 실험 간 중간 수율 체크를 위해 임의로 탈각한 개체 수는 제외함. )은 전 수조에서 특이한 및 대량 폐사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수조B(용기 A타입 적용)에서 비교적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용기별 폐사율은 수조 A(기본형,15%), 수조B(용기 A타입 적용,20%), 수조 C(용기 B타입 적용,17%)로 나타났다.
성게의 수율(생식소 중량 ÷ 성체의 피중량) × 100, * 생식소의 중량은 탈각 후 나오는 5개 생식소 중량의 합)은 전 수조에서 비슷한 수율(10~12%)의 범위를 보였고, 수조 각각을 살펴보면 수조 B(용기 A타입 적용 18%)와 수조 C(용기 B타입 적용 18%)가 동일한 수율을 보이며, 수조 A(기본형 16%)의 수율은 다소 낮았다. 수조별 각 개체별 수율 편차는 수조 A(기본형) > 수조 B(용기 A타입 적용) > 수조 C(용기 B타입 적용) 순으로 확인되며, 수조 C(용기 B타입 적용)의 성게 개체의 수율이 고르게 상향 평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각기 다른 타입의 전 수조에서 보라 성게의 활발한 먹이 활동이 관찰되었으나, 향후 산업화를 위해서는 ① 양산화를 위한 효율적인 축양 공간 사용을 고려하면 수조C(용기B타입 적용) = 수조B(용기A타입 적용) > 수조A(기본형)의 순으로 나타났고, ② 수율의 상향 평준화를 위한 섭식 효율성(사료 접근도, 세로 단면적 확보)을 고려하면 수조C(용기B타입 적용) > 수조B(용기A타입 적용) > 수조A(기본형)으로 특정되며, ③ 폐사율을 낮추기 위한 개체별 활동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수조A(기본형) ≥ 수조C(용기B타입 적용) > 수조B(용기A타입 적용)의 순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조 C(용기 B타입 적용)를 양산화 단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축양 용기로 판단하였다.
3.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사료 선정 실험
성게 축양을 위해 1년 연중 보존력이 뛰어나고, 먹이 활동에 도움을 주는 개선된 사료를 선정하기 위하여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60일의 기간 동안 본 출원인의 사업장 내 1개 격실에서 실시하였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개선된 사육 사료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실험에 사용된 성게의 개체 수는 총 130 미로서 지역의 해녀들이 연안에서 채집한 살아 있는 성게를 선발하였다 실험 개체 선발 기준은 움직임이 활발한 건강한 성체(가시 제외한 본체의 지름 5cm 이상 크기)를 선발하여 입식하되, 외관상 가시가 빠지거나 상처가 식별되는 성체는 제외하였다.
실험은 축양 수조 2개에 수조에 각각 57미씩 성게를 입식하고 기존 양배추 사료(수조 D)와 개선된 양배추 사료(수조 E)를 각각 급이하였다. 기존 양배추 사료는 임의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생양배추를 사용하였다.
개선된 양배추 발효 사료는 양배추를 채썰기 폭 10~20mm, 길이 3~4cm 크기로 균일하게 절단하여 양배추와 양배추 중량의 0.3 내지 0.7 중량%의 어류 발효액을 첨가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제조한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된 어류 발효액은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어종이 발효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어류 발효액은 발효하고자 하는 생선과 식염을 3 : 1의 중량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발효는 5 ~ 25℃의 상온에서 6개월 내지 1년 발효하고 상기 발효된 생선을 여과시켜 어류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된 생선은 다시 정수한 해수에 넣고 가열 후 생선을 건지고, 다시 여과된 다른 생선을 넣어 가열시키는 단계를 반복 후 얻어진 생선 삶은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선 삶은 물 농축액은 생선 액젓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각각의 실험수조는 동일한 실험 공간 및 장비로서 1톤 물탱크와 300리터 수조 5기를 연결하여 부분 순환식으로 동일한 유수량 유지하여 동일한 수온 16~18℃ (해수용 전열기 및 직수 사용)의 조건을 유지하였다. 사료 급이는 개체 중량의 2중량%/1일의 양을 4일 간격으로 1회 8중량%를 급이하였다.
실험 및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먹이 활동은 수조D(기존 사료), 수조E(개선 사료) 모두 활발한 먹이 활동을 확인되나, 수조E에서 1미의 성게 개체가 촉수를 사용하여 여러 조각의 사료를 동시에 잡고 먹이 활동을 하는 모습이 확인됨으로서 특히 높은 사료 접근도를 보였다. 사료 잔여량(찌꺼기)은 수조 D(기존 사료) > 수조 E(개선 사료)로 나타나 수조 E 에서 비교적 빠른 먹이 소비활동이 확인되었다.
전 수조에서 특이한 대량 폐사는 확인되지 않았고, 폐사율(입식 후 폐사한 성게 개체수 ÷ 입식한 성게 개체수) × 100, * 실험 간 중간 수율 체크를 위해 임의로 탈각한 개체 수는 제외함. )은 수조 D(기존 사료, 18%), 수조 E(개선 사료, 17%)의 폐사율이 확인되었고, 성게의 수율(생식소 중량 ÷ 성체의 피중량) × 100, * 생식소의 중량은 탈각 후 나오는 5개 생식소 중량의 합)은 수조 D(기존 사료, 18%)와 수조 E(개선 사료, 21%)의 값을 보였고, 수조 E(개선 사료)가 중간 수율 체크 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보라 성게는 수조 D(기존 사료)와 수조 E(개선 사료) 의 폐사율은 비슷한 수준이나, 수율은 개선사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 사료가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개선사료는 양산화 / 산업화 대비 사료 저장 및 수중 보존성이 좋아, 생양배추 대비 사료의 상온 저장성이 뛰어나고, 수중 보존성이 좋으며, 급이 후, 발생되는 사료 찌꺼기의 부패율이 낮아 수질 관리에 도움을 준다.
성게의 먹이 활동에서도 수조 단면에 붙어서 촉수를 사용하여, 먹이를 확보하는 성게는 개선 전 육상 채소류와 같이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사료에 대한 접근도는 다소 떨어지나, 섭취가 용이하게 작고 균일하게 절단한 형태의 양배추 사료는 성게가 촉수를 사용하여 사료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여 빠른 속도의 먹이 소비 활동을 보였다. 특히 개선된 사료는 수중에 침지되어 성게의 사료접근성이 좋은 한편 어류발효액의 강한 향이 성게의 활발한 먹이 활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원발명의 실험결과 성게의 1일 개체 당 섭취 가능한 사료는 개체 중량의 2%이며, 사료급이 작업의 효율성과 사료의 수중 부패속도를 감안하여, 1회 급이는 4일 간격으로 개체중량의 8%(2%x4일)로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성게 수율의 평균 증감은 개체 중량의 0.1% / 1일이며, 성게의 섭식후 완전배설 시간은 약 48시간을 필요로 한다. 도 4에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통해 얻어진 성게의 난소 사진을 축양 전과 후로 나타내었다.
4.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상양식방법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장치는 가로로 긴 장방형의 수조바닥과 일정 높이의 수조 외벽이 둘러싸며 상부가 개구되어 사육수와 연안에서 채포된 성게가 입식될 수 있는 축양 공간이 형성되는 축양수조가 일정 간격을 갖고 세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성게 육상 양식수조, 상기 성게 육상 양식수조의 세로방향 끝단에는 정방형의 사각수조가 복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진 입식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가 형성되고 입식 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90)의 세로방향 끝단에는 해수저장조(80)가 형성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축양수조의 가로 길이는 30m, 폭은 65 cm, 높이는 32cm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단위 축양수조(50)는 세로방향으로 10개가 연결되어 하나의 성게 육상 양식수조(55)를 이루며, 육상 양식수조(55)가 6개로 연결되어 총 60개의 단위 축양수조로 이루어진다.
지하관정 또는 해수는 취수되어 해수저장조에 일시 보관되며, 해수저장조와 연결된 사육수 공급파이프(70)는 각각의 축양수조와 입식 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로 연결 공급되고, 다시 축양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는 사육수 퇴수 파이프(60)를 통해 입식 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로 연결되어 해수정화장치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거나, 사육수로 순환사용된다.
복수개의 축양수조에서는 성게의 생태 특성상 벽면에 붙어 먹이를 섭취하므로 접착면을 늘여서 고밀도의 축양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축양수조에는 사각형상의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면과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한면의 외벽과 마주하는 외벽의 중앙을 세로로 연결하는 중앙분리판이 형성되어 일정의 공간을 복수개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과 외벽에는 일정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해수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용기가 축양수조 내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일렬 또는 2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용기는 양식된 성게를 출하하는 경우 축양용기 각각을 컨베이어로 이송함으로서 성게알 채취장으로 이송하는데 편리하다. 컨베이어는 가로로 긴 장방형의 축양수조가 세로로 연결되어 이루는 외측의 사육수 공급파이프 또는 사육수 퇴수 파이프를 따라 설치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바다에서 채집된 성게는 우선 입식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에 보관되어 먹이공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주일 정도 축양하면서 바다에서 섭식한 먹이를 배설하도록 하며, 바다 수온과 사육 수온의 온도차를 줄여가는 수온 순치 과정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입식된 성게는 환경이 변화하여 바다에서 성장시킨 난소를 모두 방란하는 행동을 보이며, 일부 성게는 가시가 빠지면서 폐사하게 된다.
입식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에서 성장 가능한 성게를 선별하여 외부 수온을 사육온도 17도를 목표로 일주일간 순차적으로 순치한다. 여름철의 경우 외부수온은 대략 24도이므로 수온냉각기를 사용하여 1일 1도씩 하강 순치한다. 수온 순치가 안정되고 성장가능성이 없는 가시가 탈락된 개체를 선별한 후, 축양수조에 형성된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용기에 분배하여 90일 내지 100일간 사육한다. 육상수조 축양용 용기에 분배되는 성게의 개수는 몸체가 5cm 이상 되는 개체를 축양 박스 하나에 3kg 이하로 (2개의 공간에 각 15개체 이하) 하며, 개체 사이즈가 큰 경우는 하나의 공간에 10개체 정도로 유지하여 분배한다.
축양수조의 해수는 17℃ 전후로 1일 2 내지 3회 환수하며 축양수조 1개의 수량은 대략 1500톤이므로 60개의 축양수조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1일 환수량을 고려하면 해수는 3024톤 ~ 4536톤, 7.5마력 흡입 모터 4대~6대 필요하다. 축양수조에서 사용된 해수는 다시 축양수조와 연결되는 사육수 퇴수 파이프를 통해 입식 순치용 수조로 연결되어 해수 정화장치를 거쳐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 양산화를 위한 일련의 성게 축양 과정을 나타낸다. 축양된 성게는 최종 탈각 최소 2일 전 사료 급이를 중지하여 내장이 비어 있도록하는 것이 탈각 작업이 용이하다. 이상의 실험결과, 연안에서 서식하는 보라 성게는 적절한 수온과 사료 및 성게 습성에 맞춘 쾌적한 공간의 조건중 2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자연계 성게 대비 고부가가치의 성게알 상품을 연중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갯녹음 현상이 진행되는 연안에서 번식하는 성게를 채집하여 중간 축양을 통해 성게에서 성게알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라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또한 해적생물의 관리를 통해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성게알의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외국으로부터 매년 수입이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대일본 수출을 통한 신 산업화 창출을 구현할 수 있다.
50: 축양수조 55: 성게 육상 양식수조
60: 사육수 퇴수 파이프 70: 사육수 공급파이프
80: 해수저장조 90: 입식순치 및 배수정화용 수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바다에서 채집된 성게를 육상에 설치된 입식순치용 수조에 보관하여 절식한 상태에서 5일 내지 7일간 축양하면서 바다에서 섭식한 먹이를 배설하고 바다 수온과 육상 사육 수온의 온도차를 줄여가는 수온 순치 과정을 갖는 단계;
    수온 순치 과정에서 가시가 탈락된 성게를 배제하고 건강한 성게를 선별하여 양식수조로 분배하여 16~18도의 해수를 1일 2~3회 환수하면서 사료를 급이하여 사육하는 단계;
    상기 사료는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식염을 혼합하여, 5 ~ 25℃의 상온에서 발효하고 상기 발효된 생선을 여과시켜 어류발효액을 제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한 양배추와 상기 제조된 어류발효액을 양배추 중량의 0.3 내지 0.7 중량%로 첨가 혼합하여 상온에서 숙성하여 제조된 사료이며,
    상기 사육된 성게를 탈각하여 성게 생식소를 회수하여 출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게 육상 수조 양식방법
KR1020190024436A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KR10203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36A KR102037627B1 (ko)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36A KR102037627B1 (ko)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627B1 true KR102037627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36A KR102037627B1 (ko)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6336A (zh) * 2020-04-09 2020-06-19 海南蓝泰邦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白棘三列海胆苗种的培育方法
KR102542581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사행식 사육장치
KR102542583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230A (ja) * 2006-03-06 2007-09-20 Mita:Kk 野菜を与えるウニの養殖方法
KR20080013713A (ko) * 2007-07-04 2008-02-13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JP2009178139A (ja) * 2008-02-01 2009-08-13 Shizuoka Prefecture 甲殻類の飼育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飼育された甲殻類
KR20100013035A (ko) * 2008-07-30 2010-02-09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KR20140120343A (ko) * 2012-06-07 2014-10-13 주식회사제이엔비바이오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174580A (ja) * 2015-03-20 2016-10-06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畜養具
KR101710301B1 (ko) 2016-04-07 2017-03-06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앤씨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해삼양식방법
KR20170090628A (ko) 2016-01-29 2017-08-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양식용 천연 사료첨가제
KR101938942B1 (ko) 2016-11-01 2019-04-10 이재두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230A (ja) * 2006-03-06 2007-09-20 Mita:Kk 野菜を与えるウニの養殖方法
KR20080013713A (ko) * 2007-07-04 2008-02-13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JP2009178139A (ja) * 2008-02-01 2009-08-13 Shizuoka Prefecture 甲殻類の飼育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飼育された甲殻類
KR20100013035A (ko) * 2008-07-30 2010-02-09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KR20140120343A (ko) * 2012-06-07 2014-10-13 주식회사제이엔비바이오 새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174580A (ja) * 2015-03-20 2016-10-06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畜養具
KR20170090628A (ko) 2016-01-29 2017-08-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양식용 천연 사료첨가제
KR101710301B1 (ko) 2016-04-07 2017-03-06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앤씨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해삼양식방법
KR101938942B1 (ko) 2016-11-01 2019-04-10 이재두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등록 특허번호 제10-1871507호는 규조류, 담녹조류 및 남조류를 포함하는 미세조류(microalgae)를 이용하여 포복성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배양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무척추동물 유생 배양용 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6336A (zh) * 2020-04-09 2020-06-19 海南蓝泰邦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白棘三列海胆苗种的培育方法
KR102542581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사행식 사육장치
KR102542583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2675B (zh) 刺参池塘多物种立体综合生态养殖方法
US88202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quaculture
CN102415346A (zh) 南美白对虾的淡水养殖方法
CN104542407B (zh) 一种泥鳅苗种二级培育的方法
KR102037627B1 (ko)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CN103918615B (zh) 一种室内循环水立体养殖红沙蚕的方法
CN110235826A (zh) 一种红螯螯虾苗种暖棚标粗培育方法
KR20180047631A (ko) 어미 해삼 육상관리를 통한 해삼 인공종묘 생산시기 조절방법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CN105875496A (zh) 一种娃娃鱼的养殖方法
KR102037626B1 (ko)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CN107006406A (zh) 对虾和石斑鱼分隔混合集约化养殖方法
CN110250047B (zh) 一种工厂化养殖四指马鲅的方法
CN112616739A (zh) 一种盐田虾养殖有效防治桃拉综合征方法
CN112889720A (zh) 一种养殖斑节对虾的方法
CN112568159A (zh) 一种有机虾养殖病害防控方法
CN104642089B (zh) 一种江蓠与石斑鱼的混养方法
KR20180047632A (ko) 해삼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어미해삼의 육상 관리방법
CN111066695B (zh) 一种暗纹东方鲀、南美白对虾、空心菜立体种养的方法
Macintosh Aquaculture in coastal lagoons
KR101968913B1 (ko) 해삼 혼합 양식방법
Hartman et al. Carp aquaculture in Europe and Asia
CN112674005A (zh) 一种工厂化养殖斑节对虾的方法
CN112931332A (zh)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