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263B1 - 난각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각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263B1
KR102035263B1 KR1020190046721A KR20190046721A KR102035263B1 KR 102035263 B1 KR102035263 B1 KR 102035263B1 KR 1020190046721 A KR1020190046721 A KR 1020190046721A KR 20190046721 A KR20190046721 A KR 20190046721A KR 102035263 B1 KR102035263 B1 KR 10203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shell
zinc
montmorillonit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섭
Original Assignee
신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섭 filed Critical 신경섭
Priority to KR102019004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40Mineral licks, e.g. sal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8Silicates, e.g. perlites, zeolites or bentoni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몬모릴로나이트,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되, 상기 난각 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의 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 Capacity)이 3.5 meq/100g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생산되는 계란의 난각의 질, 특히 파란율을 감소시키고, 난각의 두께 및 파열강도가 향상되며, 산란계의 발육 및 산란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난각 개선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enriched egg shell}
본 발명은 난각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산화규소와 몬모릴로나이트 및 탄산칼슘을 포함함으로써 난각의 질, 특히 난각의 두께 및 파열강도가 향상되어 계란의 생산에서 부터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 파란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산란계의 발육 및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난각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계산업에서 난각질(shell)의 불량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하나의 큰 요인이며, 실제로 계란 껍질이 얇고 단단하지 못하여 산란 후 양계장으로 부터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에 전달되는 과정까지 계란 생산량의 약 10%가 파괴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계산업의 경우 모든 원료, 비용 등을 투입하여 생산된 최종산물인 계란의 파손은 직접적으로 양계업자의 수익에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산란으로 부터 유통과정에서 파손율을 줄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는 기존의 계란보다 껍질이 두꺼운 계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어 왔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 몇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었다. 예를 들어 산란계에게 산-염기 균형 조절제를 급여하거나, 칼슘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비타민 D3, 비타민 C, EDTA 등의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등을 양계사료에 첨가하여 왔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 즉 산-염기 균형 조절제는 외부환경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산란계의 경우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손실로 야기되는 호흡성 알칼리 중독현상을 예방 및 완화시킴으로써 약간의 난각질 개선 효과는 있으나 여름 이외의 계절에는 효과가 없으며, 칼슘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른 성분들은 칼슘흡수에는 도움을 주지만 다른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여 산란계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산란계는 1 일 1 회의 채란을 목표로 하고, 영양 관리, 질병 관리는 물론 일장(日長) 처리 등도 추가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그 생리상, 산란 가령과 함께 산란율 저하나 난질(卵質), 특히 난각(卵殼) 강도의 저하가 관찰되고, 생산성의 저하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특히 지금까지도 닭의 생리 현상을 사용하여, 강제 털갈이나 유도 털갈이 등을 유도하거나 절식 또는 빈영양 처리에 의해 산란율 및 난질 개선을 목표로 하는 수법이 있지만, 영양을 제한함으로써 감모율(폐사율)의 증가나 면역 기능의 저하, 면역 기능의 저하 후 산란율 회복이 극단적으로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관찰되는 경우가 있어 난각의 강도 등을 개선하는 방법은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3066호 (2006년 12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각 개선제로 몬모릴로나이트,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되, 상기 난각 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의 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 Capacity)이 3.5 meq/100g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파란율을 감소시키고, 난각의 두께 및 파열강도가 향상되며, 산란계의 발육 및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난각 개선제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각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몬모릴로나이트,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난각 개선제로, 상기 난각 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의 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 Capacity)이 3.5 meq/10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각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난각 개선제는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3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난각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 60 내지 90 중량%, 탄산칼슘 5 내지 30 중량% 및 이산화규소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산칼슘은 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피복제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황산아연, 산화아연, 초산아연, 탄산아연, 염화아연, 유당, 자당, 과당, 솔비톨, 포도당, 구연산 및 히스티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몬모릴로나이트,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되, 상기 난각 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의 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 Capacity)이 3.5 meq/100g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생산되는 계란의 난각의 질, 특히 파란율을 감소시키고, 난각의 두께 및 파열강도가 향상되며, 산란계의 발육 및 산란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각 개선제의 대상이 되는 산란계는 원종, 종계뿐만 아니라, 유전 개량에 의해 만들어 내어지는 실용계종, 교배종, 개량종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백색 레그혼종, 이사브라운종, 디캘브-워렌-섹살 링크종, 하버드-코멧종, 셰이버-스타크로스 579 종, 흑색 미노르카종, 황반 플리머스록종, 백색 플리머스록종, 로드아일랜드 레드종, 뉴햄프셔종, 아라우카나종, 오골계종, 폴리시종, 나고야 코친종, 히나이 토종닭종, 보리스 브라운종, 줄리아종, 줄리아 라이트종, 배브콕 B400 종, 소니아종, 마리아종, 로라종, 노보젠-화이트종, 노보젠-브라운종, 엘베종, 사쿠라종, 모미지종 등을 들 수 있는데, 그들의 교배종이나 개량종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산란계의 난간은 계란(egg)이 자궁부에 체류하는 동안에 형성되는데, 자궁부의 난각석은 혈액에서 유래한 분비액층에 고농도의 칼슘염형태로 함유되어 있고, 이 분비액에서 탄산칼슘이 방출되어 난각막 위에서 결정화 및 침착하여 난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는 상기 칼슘염의 칼슘 함량을 높이기 위해 몬모릴로나이트,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를 모두 포함하고 여기에 염기치환용량을 특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산란계의 칼슘과 아연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는 팽윤성 층상 규산염의 일종으로, 미국 남부지방, 특히 조지아 및 미시시피 지방의 광산에서 채굴된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얇은 구조의 단일층이 수십 층 적층된 중첩층을 가짐으로써 양호한 현탁성, 분산성, 요변성을 가지며, 수분을 잘 흡수하여 현저하게 겔화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팽윤성 층상형 무기화합물의 층간삽입 반응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팽윤특성을 갖는 층상형 무기화합물은 고유의 층간삽입 반응이 일어나는 물질이다. 층간삽입이란 2차원 격자구조를 갖는 무기층상 화합물의 층간에 수소결합, 이온교환, 쌍극자 인력 등의 다양한 화학적 구동력에 의한 새로운 물질이 층간에 삽입되는 반응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분과 무기염류가 층간에 삽입됨으로써 조성물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며, 무기염류가 소화되지 못하고 배설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체 부피의 몇 배 되는 양으로 불어나 소화관 내 영양소의 체류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효소에 의한 소화시간을 개선시키며, 필요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여 미네랄, 특히 칼슘염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특히 칼슘염의 공급 관련하여 전체 조성물의 염기치환용량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몬모릴로나이트의 첨가량을 조절하거나 후가공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산란계의 소화관내에서의 충분히 체류하고, 서서히 분해되어 칼슘이 흡수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사료를 섭취하지 않는 밤 시간 동안에 난각 형성에 필요한 칼슘을 충분하고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즉, 산란계의 장내에서 서서히 분해되어 칼슘이 흡수되면 혈액내의 칼슘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별히 생체대사 작용에 유효한 이온화된 칼슘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난각 형성에 유용한 칼슘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두꺼운 난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몬모릴로나이트는 입자의 형상 및 크기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입자의 모양은 구형, 침상 또는 판상, 입자의 크기는 0.0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이상인 경우 조성물 제조 시 작업효율성 및 팽윤특성, 유효성분의 서방 특성이 불량해지고, 0.01 ㎛이하인 경우 장 내에서 유효성분을 제대로 붙잡지 못하고 용출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염기치환용량(양이온교환능, Cation Exchange Capacity)은 3.5 meq/100g 이상인 것이 칼슘, 아연과 같은 유효성분의 포집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필요에 따라 입자의 층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유기물질을 개질제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층상형 무기화합물에 층간물성을 개질하는 층간개질제는 포스파티딜콜린, 레시틴, 테트라데실아민 (tetradecylamine),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dimethyldistearyl ammonium), 트리메틸테트라데실 암모늄(trimethyltetradecyl ammonium), 트리메틸헥사데실 암모늄 (trimethylhexadecyl ammonium), 트리메틸옥타데실 암모늄(trimethyloctadecyl ammonium), 벤질트리메틸 암모늄 (benzyltrimethyl ammonium), 벤질트리에틸 암모늄 (benzyltriethyl ammonium), 페닐트리메틸 암모늄 (phenyltrimethyl ammonium), 세틸트리메틸암모늄(Cetyltrimethylammonium),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니움(Dimethyldioctadecylamm onium), 벤잘코니움(Benzalkonium), 스테랄코늄(Stearalkonium), 데나토니움(Denatonium), 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테트라-n-부틸암모늄(Tetra-n-butylammonium) 및 폴리쿼터늄(Polyquaternium)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물질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인 용액합성법 및 건식법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으나 건식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공정의 단순화 및 경제성면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식법은 층간개질제와 몬모릴로나이트를 통상의 혼합방법에 의해 혼합하여 상기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에 개질제를 삽입하여 나노복합화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건식법은 상기 혼합 시에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총 고형분 중량기준으로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건식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층간개질제에 대하여 용해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물,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전체 난각개선제 조성물 100 중량% 중 60 내지 9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산란계의 탄소흡수율이 떨어지게 되며, 9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장내에서 지나치게 팽윤되어 산란계가 폐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산칼슘은 산란계에 칼슘을 공급하는 것으로, 난각의 주요 성분인 칼슘 카보네이트의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난각은 혈액에서 공급되는 칼슘과 탄산이온을 통해 자궁 내강에서 무기질화로 형성되는 것으로, 탄산칼슘이 자궁체액에서 칼슘과 탄산으로 이온화되어 형성됨으로 이들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혈액 내에 칼슘이온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와 관련된 효소인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CA)의 활력이 증가되어야 한다. 소화기관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운반된 칼슘의 대부분은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들은 자궁에서 유리된 후, 탄산이온과 결합하여 난각막에 침착된다.
이러한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이온으로 Zn2+, Ca2+, P-, Na+, K+, HCO3 -, Mg2+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칼슘(Ca2+)은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이온으로, 난각의 석회화는 Ca2+의 항상성과 이의 대사 경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상기 황(S2-)은 난각 단백질 glycoaminoglycan의 dermatan sulphate proteoglycan의 주요 성분이며, 또한 콜라겐 분자를 일정한 공간에 배열, 집합하여 섬유구조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아연(Zn2+)은 상기 CA 효소는 아연의 함량에 따라 친화력이 변화하는 효소로 아연의 흡수율이 불량할 경우, 이 효소의 이화작용(catabolism)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대사작용에 착안하여 칼슘의 공급원인 탄산칼슘을 첨가함과 동시에 상기 아연의 염을 첨가제로 혼합함으로써 산란계의 칼슘과 아연 섭취량을 높이고 난각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산칼슘은 분말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좋으며, 석회석 등과 같이 입경이 다양한 경우에는 0.1 내지 3㎜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산칼슘은 흡수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장용성 피복제로 표면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복제의 예를 들면, 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피복제는 상기 탄산칼슘의 첨가량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탄산칼슘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복제는 결착제인 젤라틴 또는 전분과 용매인 물을 혼합한 후, 상기 탄산칼슘에 분무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산화규소는 상기 조성물의 수분을 일정 이하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면, 탄산칼슘 및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 시 이들의 효과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첨가제를 흡착하고, 산란계 장내에서 이를 배출하는 담체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백색의 분말이며 유지 흡착량이 많은 것일수록 좋고 담체 100g 당 첨가제를 200㎖ 이상 흡착할 수 있는 것(유지 200 g/100 g담체 이상의 것)이 조성물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입자의 크기 및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이산화규소는 무정형일 수 있으며, 평균 입경이 1 내지 15㎛일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과 같은 항산화제가 코팅된 것이 조성물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산란계에 필요한 무기영양소 및 기타 영양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를 들면 황산아연, 산화아연, 초산아연, 탄산아연, 염화아연 등의 아연화합물(염), 유당, 자당, 과당, 솔비톨, 포도당, 구연산 및 히스티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산화아연과 같은 아연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란계의 난각 형성을 위한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므로 반드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첨가제 이외에도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물, 대두유, 채종유, 콘유 등의 식물유, 액체 동물유,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액체 담체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카세인나트륨, 아라비아고무, 구아검,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등의 수용성 다당류를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사료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사료의 예로는 당류(젖당, 트레할로스 등), 메이즈, 마일로, 밀기울, 미강, 탈지강, 건조강, 압편 보리, 압편 옥수수, 콩깻묵, 옥수수가루, 쌀가루, 콩가루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사료 100 중량부 대비 난각 개선제 조성물 1 내지 10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산란계의 성장 촉진에 유효한 성분, 영양 보조 성분,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성분 등의 임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임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엔테로코커스류, 바실루스류, 비피더스균류 등의 생균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의 효소 ; L-아스코르브산, 염화콜린, 이노시톨, 엽산 등의 비타민; 염화칼륨, 시트르산철, 산화마그네슘, 인산염류 등의 미네랄; DL-알라닌, DL-메티오닌, 염산 L-리신 등의 아미노산; 푸마르산, 부티르산, 락트산, 아세트산 및 그들의 염류 등의 유기산; 에톡시퀸,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의 항산화제 ; 프로피온산칼슘 등의 곰팡이 방지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카세인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점결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유화제;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등의 색소; 각종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류 등의 착향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산란계의 칼슘 및 아연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덱스트린이란 소화 흡수성이 우수하여 에너지원이 되는 물질로서 경장 영양제 등의 탄수화물원으로 옛날부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분을 분말상태로 가열 분해하여 조제한 배소 덱스트린의 구성성분 중에 소화효소(α-아밀라아제나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이며 분해되지 않는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난소화성 덱스트린이다.
상기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전분에 미량의 산을 첨가하여 고온에서 가열 분해하고 α-아밀라아제나 글루코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한 후 활성탄으로 탈색, 이온교환수지로 탈염 등 정제를 하고 크로마토 분핵으로 식이섬유 부분을 분취하여 얻은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옥수수, 밀, 카사바(cassava), 감자 등의 원료 전분에, 광산, 예를 들면 황산, 질산, 염산 등을 원료 전분의 질량에 대해 0.03 내지 0.1 중량% 첨가하여 수분을 3% 전후로 예비 건조시킨 후, 130 내지 180℃ 정도로 가열하여 얻어지는 백도(白度) 55 내지 65 정도, 난소화성 성분의 함유량이 50 내지 65 중량% 정도인 배소 덱스트린을 고온 하에서 가열하여 액화한 후, 글로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덱스트린의 소화성 성분을 클루코스로 가수분해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당화 공정이 끝난 후에는 당화액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로터리 진공필터 등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전체 난각 개선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산란계의 칼슘 및 아연 흡수 효과가 미비하여 난각의 기계적 물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5 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팽윤을 촉진하여 산란계가 폐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산란계)
산란계는 농가에서 사육 보유 중인 WL (White Leghorn Fowl, 백색레그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은 부화 후 32주령으로 동일 부화일령에 생산된 것으로 총 210수(7 처리(실시예 및 비교예) ×3 반복 ×10 수)를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
시중에서 판매되는 CP 18.5 %, ME 2,800 kcal/㎏, Ca 3.9 %인 산란중기사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5 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난각)
시험기간은 예비기간으로 15일 급여한 후, 본 시험기간을 45일로 하여 3일 간격으로 계란을 수거하였으며, 수거된 계란별로 하기 항목을 분석한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① 난각강도 : Texture Test Systems(T2100C, Food Technology C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② 난각색도 : Eggshell Color Fan((주)삼양사배합사료)과 Color Difference Meter(Color Questⓡ, Henterlab,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③ 난황색도 : 주 1회씩 총 6회에 걸쳐 주중 하루에 생산된 총 계란을 취하여 Egg yolk Color Fan(Roch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평균입경 10㎛의 몬모릴로나이트(CEC 4.70) 75 중량%에 탄산칼슘 15 중량% 및 이산화규소 5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산화아연, 비타민 D3을 적정량 혼합하였다. 그리고 믹서(Silverson)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15분간 교반하여 시료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탄산칼슘의 표면을 에틸셀룰로스로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젤라틴 0.5 중량부 및 에틸셀룰로스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액화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산칼슘을 피복기에 투입하고 35℃로 유지하면서 5㎖/분의 속도로 분무하여 코팅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첨가제로 산화아연과 황화아연이 1 : 1 중량비로 혼합된 아연 첨가제를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 더 첨가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첨가제로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더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배소 덱스트린에 물을 가하여 40질량%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5.5로 조정한 후, α-아밀라제(터마밀, 노보사제)를 고형분에 대해 0.1질량% 첨가하고,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액화하였다. 그리고 121℃에서 10분간 정치하여 α-아밀라제를 실활시켰다. 다음에, 온도를 60℃까지 냉각하고, 수산화나트륨, 염산을 이용하여 pH를 4.5로 조정한 후, 글루코아밀라제(AMG, 노보사제)를 고형분에 대해 0.6질량% 첨가하여 60℃에서 14시간 당화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이후 당화액을 80℃까지 가열하고, 염화아연탄(카보라핀 20, 일본인바이로케미컬즈사제)을 고형분에 대해 1.5질량% 첨가한 후에 60분 정치한 후 규조토 여과를 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조성물 제조 시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조성물 제조 시 이산화규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염기치환용량이 3.0인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사료로 상기 산란중기사료에 1 중량%의 토코페롤을 첨가한 것을 급여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41178645-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은 산란계에 급여 시 연란을 적게 낳아 난질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셀룰로스로 코팅한 탄산칼슘이 급여된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 난각의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조성물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더 첨가한 실시예 3은 가장 우수한 난각 물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난황색도에서도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더 첨가한 실시예 3의 착색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난황의 착색도는 계란의 영양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니나, 소비자의 기호도에 관련되어 있으며, 산란계의 소화기 장애나 기생충에 의한 질환이 발생된 경우 섭취량 감소 및 흡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난황색도와 산란율이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난각 개선제 조성물이 산란계의 건강 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몬모릴로나이트 60 내지 90 중량%, 탄산칼슘 5 내지 30 중량% 및 이산화규소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난각개선제로, 상기 난각 개선제는 몬모릴로나이트의 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이 3.5 meq/10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각 개선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은 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피복제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각 개선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산아연, 산화아연, 초산아연, 탄산아연, 염화아연, 유당, 자당, 과당, 솔비톨, 포도당, 구연산 및 히스티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각 개선제 조성물.
KR1020190046721A 2019-04-22 2019-04-22 난각 개선제 조성물 KR10203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21A KR102035263B1 (ko) 2019-04-22 2019-04-22 난각 개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21A KR102035263B1 (ko) 2019-04-22 2019-04-22 난각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263B1 true KR102035263B1 (ko) 2019-10-22

Family

ID=6842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721A KR102035263B1 (ko) 2019-04-22 2019-04-22 난각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6675A (zh) * 2022-08-18 2022-11-15 山东和美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鸭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349A (ko) * 1997-08-05 1999-03-05 김길환 계란의 난각두께 강화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3066B1 (ko) 2005-07-26 2007-01-02 주식회사 농협사료 난각질 개선을 위한 브로멜라인이 함유된 산란계사료첨가용 조성물
KR20110018538A (ko) * 2009-08-18 2011-02-24 김영일 항산화물질 및 디에이치에이 함량이 높은 계란 및 이의 생산방법
WO2012070792A2 (ko) * 2010-11-26 2012-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피부 효능 물질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1674B1 (ko) * 2015-11-12 2016-10-10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파란, 점토광물 및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한 애완동물 사료용 또는 배합사료 보조용 다공질 과립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349A (ko) * 1997-08-05 1999-03-05 김길환 계란의 난각두께 강화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3066B1 (ko) 2005-07-26 2007-01-02 주식회사 농협사료 난각질 개선을 위한 브로멜라인이 함유된 산란계사료첨가용 조성물
KR20110018538A (ko) * 2009-08-18 2011-02-24 김영일 항산화물질 및 디에이치에이 함량이 높은 계란 및 이의 생산방법
WO2012070792A2 (ko) * 2010-11-26 2012-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피부 효능 물질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1674B1 (ko) * 2015-11-12 2016-10-10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파란, 점토광물 및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한 애완동물 사료용 또는 배합사료 보조용 다공질 과립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6675A (zh) * 2022-08-18 2022-11-15 山东和美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鸭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97503T3 (es) Alimento para animales que contiene fitasa y método
DE202006021148U1 (de) Stabile, haltbare Granulate mit aktiven Mitteln
CN110463859A (zh) 改善蛋鸡产蛋后期生产性能和蛋壳质量的预混合饲料
CN109221759B (zh) 一种提高夏季蛋鸡产蛋量的预混合饲料及其使用方法
KR102035263B1 (ko) 난각 개선제 조성물
EP3713423B1 (en)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a multiplier and modulator additive of the ruminal microbiote
CN114747688A (zh) 一种具有改善犬猫肠道功能的“四位一体”的组合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757608A (zh) 聚磷菌在饲料中的应用及添加剂、饲料和饲料的制备方法
CN109497275A (zh) 一种提高蛋鸡蛋壳品质的饲料
Senkoylu et al. Effects of whole wheat with or without xylanas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of layers and digestive organ development
CN104322908A (zh) 60-100kg民猪生长育肥猪专用饲料及制备方法
CN102326692B (zh) 一种大豆磷脂油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683974B (zh) 一种促进雏鸡生长的保健型浓缩饮料及其制备方法
JP4316566B2 (ja) 反芻胃内保護的及び反芻胃通過後有効な形態で投与される、塩化コリンを含有する粒子を含む組成物
CN113397061A (zh) 一种预防蛋鸡脂肪肝综合症的预混料
CN113100351A (zh) 一种饲料添加剂及其应用、一种用于缓解蛋鸡卵巢衰老的复方饲料
CN113180152A (zh) 一种抗热应激的饲用添加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02090536B (zh) 一种瘤胃屏障功能修复剂
CN112690364A (zh) 一种防止乳猪腹泻的饲料及其制备工艺
WO2002009532A1 (en) Method for increasing carcass yields in poultry
CN117859843B (zh) 一种蛋鸡用复合胆汁酸预混料的生产方法
CN107223781A (zh) 改善仔猪肠道健康和皮肤色泽的组合物
Zen et al. Improvement of nutritional quality of ruminant feed composed of soybean straw and ryegrass hay
CN112913985A (zh) 蛋鸡产蛋期饲料及其制备方法
BR112020007813B1 (pt) Procedimento para a produção de um aditivo multiplicador e modulador da microbiota ru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