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629B1 -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629B1
KR102034629B1 KR1020180004038A KR20180004038A KR102034629B1 KR 102034629 B1 KR102034629 B1 KR 102034629B1 KR 1020180004038 A KR1020180004038 A KR 1020180004038A KR 20180004038 A KR20180004038 A KR 20180004038A KR 102034629 B1 KR102034629 B1 KR 10203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unit
terminal
indoor uni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776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62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668 priority patent/WO2019139285A1/ko
Priority to US16/641,798 priority patent/US11333373B2/en
Publication of KR2019008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F28F13/125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by stir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2005/002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heat exchange fluid storag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2Mobile autonomous air conditioner, e.g. rob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F28D2020/0026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the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mobile containers for transporting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실내유닛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의 열을 방열시키고, 본체의 외부에 위치한 전열 터미널과 열접촉하는 방열부; 및 방열부가 전열 터미널과 열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MOBILE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공간에 배치되어 공조를 수행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실내공간의 온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장치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며, 냉방 동작시 상대적으로 높은 열을 발생시켜 주로 실외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는 공기조화공간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증발기를 통해 실내공간에 냉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고정된 위치에서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설치의 곤란성과 설치 비용부담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식 공기 조화기가 연구 개발되어 상용화 되고 있다.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이동성과 설치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으로 인해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냉각시킨 열량을 건물 밖으로 배출시킬 수가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축냉팩과 같은 임시 열량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냉각을 시키므로 짧은 시간이 지나면 냉각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축냉팩은 다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냉동고 등에 넣고 냉각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냉각사이클을 사용하는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 역시 증발기의 응축수를 응축기에서 증발시켜 방열하므로 결국 실내로 다시 열을 방출할 수 밖에 없어 실내 온도와 습도를 다시 상승키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593657 B1 (공고일자 2016.02.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조화 공간에서 이동하며 공조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응축 부하로 인한 열량이 공기조화공간으로 발산되지 않고 실외로 배출되는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자동으로 방열이 이뤄지는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실내유닛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의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한 전열 터미널과 열접촉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가 상기 전열 터미널과 열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조와 상기 방열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축열조에 축열된 열을 상기 방열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조에 배치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열부와 상기 흡열부를 열접촉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람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람 인식 센서; 및 상기 사람 인식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사람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제1압축기 및 제1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 유닛; 상기 제1압축기 및 제1응축기와 연결된 제1증발기와, 상기 제1증발기와 열교환하는 흡열부를 포함하는 전열 터미널; 및 상기 전열 터미널의 상기 흡열부에 분리 가능하게 열접촉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제2압축기, 제2응축기, 제2팽창기구 및 제2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제2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2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의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흡열부와 열접촉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가 상기 흡열부와 열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터미널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에는, 상기 방열부와 상기 흡열부의 열접촉 시 상기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은, 상기 축열조와 상기 방열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축열조에 축열된 열을 상기 방열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은, 상기 축열조에 배치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열부와 상기 흡열부를 열접촉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터미널에는 위치신호 발신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에는 상기 위치신호 발신부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신호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방열부가 열접촉하면 상기 제1압축기를 온 시킬 수 있다.
상기 전열 터미널은, 내부에 상기 제1증발기가 배치되고 터미널 흡입구 및 터미널 토출구가 형성된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제1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터미널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터미널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터미널은, 상기 흡열부와 상기 제1증발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흡열부의 열을 상기 제1증발기로 전달하는 터미널 히트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터미널은, 상기 흡열부에 연결된 터미널 히트 파이프; 및 상기 터미널 히트 파이프로 전달된 열이 축열되고, 상기 제1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터미널 축열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전열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축열조를 둘러싸는 단열 케이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에는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에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열접촉 시 상기 제1요철부에 접하고 상기 제1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는,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이 위치한 공조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실내유닛은,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에 접하는 고온부와, 상기 고온부의 열이 전달되는 저온부를 갖는 히트 파이프; 상기 저온부와 열교환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방열팬; 상기 방열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고, 공조공간과 실외를 연통하는 방열 덕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열 토출부; 및 상기 방열 토출부가 상기 방열 덕트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와 이격되고 상기 방열팬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열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실내 유닛은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공기조화공간(실내)에서 이동하며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조화공간(실내)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방될 수 있으며, 주방 등과 같이 큰 냉방부하가 요구되는 곳을 집중적으로 냉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식 실내 유닛의 방열부는 전열 터미널의 흡열부와 열접촉함으로써, 이동식 실내 유닛의 응축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공기조화공간(실내)로 발산하지 않고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조화공간(실내)의 온도가 재상승하지 않고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축열조의 축열 물질은 응축기의 열을 축열함으로써, 이동식 실내 유닛의 공조 시간이 길어지고 이동식 실내유닛과 전열 터미널의 잦은 열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실내 유닛의 히트파이프가 축열조와 방열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축열조와 방열부 간의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축열조의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감지하여 축열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축열이 기준치에 도달하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이동식 실내 유닛과 전열 터미널을 열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방열이 자동적으로 이뤄지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사람 인식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사람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유닛은 사용자를 따라다니며 냉풍을 토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실내유닛에서 전열 터미널로 전달된 열은, 실외 유닛과 전열 터미널에 배치된 냉각 사이클에 의해 실외로 방열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유닛의 방열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실내유닛과 전열 터미널의 열접촉 시, 전열 터미널의 전원 단자와 이동식 실내 유닛의 충전 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 유닛의 방열과 충전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고 별도의 충전작업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열 터미널에 터미널 축열조가 포함되어 전열 버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실외 유닛 및 전열 터미널의 냉각 사이클의 구동 횟수가 줄어들어 에너지 소모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전열 터미널에 복수개의 흡열부가 포함됨으로써 복수개의 이동식 실내 유닛이 동시에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열 터미널의 흡열부와 이동식 실내유닛의 방열부에는 서로 열접촉하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흡열부와 방열부간의 접촉 면적이 커져 열전달이 더욱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실외 유닛과 전열터미널 구성 없이 이동식 실내유닛 내부에 방열팬을 구비하고, 이동식 실내 유닛이 공조공간과 실외를 연통하는 방열 덕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직접 불어서 방열할 수 있고,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은 이동식 실내유닛의 구동부의 일 예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조공간(1)에서 이동하며 공조를 수행하는 이동식 실내유닛(6)과, 이동식 실내유닛(6)이 분리가능하게 열접촉되는 전열 터미널(5)과, 전열 터미널(5)에 연결되고 실외(2)에 배치된 실외 유닛(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 터미널(5)은 실내(1)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전열 터미널(5)과 실외 유닛(4)을 연결하는 배관은 설치벽(3)을 관통할 수 있다.
실외 유닛(4)는 실외 본체(40), 제1압축기(41), 제1응축기(42) 및 실외팬(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열 터미널(5)은 터미널 본체(50), 제1증발기(51) 및 흡열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 터미널(5)은 터미널 히트 파이프(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 본체(40)는 실외 유닛(4)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제1압축기(41), 제1응축기(42) 및 실외팬(43)이 배치될 수 있다. 실외 본체(40)에는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본체(50)는 전열 터미널(5)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제1응축기(42)가 배치될 수 있다.
흡열부(53)는 터미널 본체(5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열부(53)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후술할 방열부(74)가 열접촉될 수 있다.
흡열부(53)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흡열부(53)는 제1증발기(51)와 열교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터미널 히트 파이프(55)는 흡열부(53)와 제1증발기(51)에 각각 연결되어 흡열부(53)의 열을 제1증발기(51)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증발기(55)는 판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 히트 파이프(55)는 상기 판형 열교환기에 장착될 수 있다.
터미널 히트 파이프(55)의 내부에는 열전달 물질이 상변화하며 순환하므로 열전도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다만, 전열 터미널(5)이 터미널 히트 파이프(55)를 포함하지 않고, 흡열부(53)에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된 히트싱크가 형성되고 상기 히트싱크가 제1증발기(51)와 접하여 직접 열교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증발기(51)는 제1압축기(41) 및 제1응축기(4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응축기(42)와 제1증발기(51)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제1팽창기구(5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팽창기구(52)는 실외 본체(40) 내에 배치되거나, 터미널 본체(50) 내에 배치되거나, 도 2와 같이 실외 본체(40) 및 터미널 본체(5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증발기(51)와 제1압축기(41)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드라이어(44)가 설치될 수 있다. 드라이어(44)는 제1압축기(41)로 액냉매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외팬(43)은 제1응축기(42)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실외 본체(40)에 형성된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실외팬(43)에 의해 제1응축기(42)로 송풍되어 제1응축기(42)와 열교환할 수 있고, 실외 본체(40)에 형성된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제1압축기(41), 제1응축기(42), 제1팽창기구(52) 및 제1증발기(51)는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을 구성할 수 있다.
제1압축기(41)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1응축기(42)로 유동되고, 실외팬(43)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제1팽창기구(52)에서 팽창되어 제1증발기(51)로 유동되고, 흡열부(53)에서 터미널 히트파이프(55)를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 이후, 냉매는 제1압축기(41)로 흡입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며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을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로 흡입된 열이 신속하게 실외로 방열될 수 있다.
한편, 이동식 실내 유닛(6)은 본체(60)와, 냉방용 냉각 사이클(63)과, 송풍팬(68)과, 축열조(70)와, 방열부(74)와, 구동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실내 유닛(6)은 히트 파이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60)는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60)에는 흡입구(61) 및 토출구(62)가 형성될 수 있다.
냉방용 냉각 사이클(63)은 제2압축기(64), 제2응축기(65), 제2팽창기구(66) 및 제2증발기(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압축기(64), 제2응축기(65), 제2팽창기구(66) 및 제2증발기(67)는 각각 본체(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증발기(67)는 제2압축기(64) 및 제2응축기(65)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팽창기구(66)는 제2응축기(65)와 제2증발기(67)를 연결하는 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증발기(67)와 제2압축기(64)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드라이어(69)가 설치될 수 있다. 드라이어(69)는 제2압축기(64)로 액냉매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압축기(64)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2응축기(65)로 유동되고, 축열조(70)에 담긴 축열 물질(71)과 열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제2팽창기구(66)에서 팽창되어 제2증발기(67)로 유동되고, 송풍팬(68)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이후, 냉매는 제2압축기(64)로 흡입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송풍팬(68)은 제2증발기(67)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68)은 흡입구(61)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제2증발기(67)와 열교환시키고 토출구(62)로 토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입구(61)로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덕트(76)를 통해 제2증발기(67)로 안내될 수 있고, 제2증발기(67)와 열교환하며 냉각되어 토출구(62)로 토출될 수 있다. 이로써, 공조공간(1)의 냉방이 이뤄질 수 있다.
축열조(70)는 제2응축기(65)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71)을 수용할 수 있다. 축열 물질(71)에 축열된 열이 주변으로 발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축열조(70)는 단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열물질(71)은 파라핀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응축기(65)는 축열조(7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응축기(65)의 적어도 일부는 축열조(70)의 축열물질(71)에 담길 수 있다.
축열조(70)에는 교반기(72)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기(72)는 축열물질(71)을 교반시켜 축열조(70) 내의 대류 열전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방열부(74)는 축열조(70)에 수용된 축열물질(71)의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히트 파이프(73)는 축열조(70)와 방열부(74)에 각각 연결되어 축열조(70)에 축열된 열을 방열부(74)로 전달할 수 있다.
방열부(74)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방열부(74)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파이프(73)의 내부에는 열전달 물질이 상변화하며 순환하므로 열전도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히트 파이프(73)의 고온부(73A)는 축열 물질(71)에 담길 수 있고, 상기 열전달 물질은 고온부(73A)에서 증발될 수 있다. 증발된 열전달 물질은 밀도차 등에 의해 방열부(74)와 접하는 저온부(73B)로 이동할 수 있고, 저온부(73B)에서 응축될 수 있다.
다만, 이동식 실내 유닛(6)이 히트 파이프(73)를 포함하지 않고, 방열부(74)에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된 히트싱크가 형성되고 상기 히트싱크가 축열물질(71)과 접하여 직접 열교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방열부(74)는 본체(60)의 외면에 배치되거나, 본체(60)의 외부에 대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74)는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에 열접촉할 수 있다. 방열부(74)와 흡열부(53)의 열접촉 시, 방열부(74)의 열은 흡열부(53)로 전도될 수 있다. 즉, 이동식 실내유닛(6)의 축열조(70)에서 히트파이프(73)를 통해 방열부(74)로 전달된 열은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로 전도되고, 앞서 설명한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에 의해 실외 유닛(4)에서 실외로 방출될 수 있다.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에는 제1요철부(54)가 형성되고, 이동식 실내 유닛(6)의 방열부(74)에는 제2요철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요철부(54)와 제2요철부(75)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흡열부(53)와 방열부(74)의 열접촉 시 제1요철부(54)와 제2요철부(75)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각 요철부(54)(75)에 의해 흡열부(53)와 방열부(74)간의 열접촉 면적이 넓어져 열전달이 더욱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구동부(80)는 모터(84, 도 5 참조)를 구비하고, 모터(84)를 구동함으로써 주바퀴(85)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60)를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80)는 이동식 실내유닛(6)을 전후좌우로 진행시키거나, 곡선주행시키거나,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80)는 이동식 실내유닛(6)을 공조공간(1)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80)는 이동식 실내유닛(6)을 전열 터미널(5)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방열부(74)를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와 분리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부(80)는 이동식 실내유닛(6)을 전열 터미널(5) 측으로 이동시켜, 방열부(74)를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와 열접촉시킬 수 있다. 구동부(8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공기조화 시스템은 컨트롤러(77), 통신부(110), 입력부(120), 전원부(130), 출력부(140), 메모리(150), 센싱부(16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실외 유닛(4), 전열 터미널(5), 이동식 실내유닛(6)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트롤러(77)가 이동식 실내 유닛(6)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원부(130)는 외부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이동식 실내 유닛(6)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이동식 실내유닛(6)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여, 이동식 실내 유닛(6)이 주행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동작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77)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감지하고,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외부 상용 전원과 연결된 충전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충전대로부터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는 배터리 감지부와 연결되어 배터리 잔량 및 충전 상태가 컨트롤러(77)에 전달될 수 있다. 출력부(140)은 컨트롤러(77)에 의해 상기 배터리 잔량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이동식 실내유닛(6) 중앙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이동식 실내 유닛(6)은 배터리의 무게 편중을 해소하기 위해 균형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전열 터미널(5) 및/또는 이동식 실내유닛(6)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입력부(120)는 확인버튼, 설정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버튼은 감지 정보,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맵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설정버튼은 상기 정보들을 설정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이전 사용자 입력을 취소하고 다시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재설정버튼,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 작동 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버튼, 충전대로 복귀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하드 키나 소프트 키, 터치패드 등으로 전열 터미널(5) 및/또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출력부(150)와 함께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전열 터미널(5) 및/또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부(140) 설치 위치나 설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출력부(140)는 배터리 상태, 희망 온도 또는 주행 방식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센싱부(160)가 검출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축열조(70)의 축열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센싱부(140)가 검출한 외부의 상태 정보,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지도 정보, 실내 온도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40)는, 컨트롤러(77)에 의해 수행되는 전열 터미널(5) 및/또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동작 과정 또는 동작 결과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컨트롤러(77)에 의해 생성된 경고 신호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 수단은 비퍼(beeper), 스피커 등의 음향을 출력하는 수단일 수 있고, 출력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소정의 패턴을 가진 오디오 데이터 또는 메시지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 터미널(5) 및/또는 이동식 실내 유닛(6)은 출력부(140)를 통해 주행 영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열 터미널(5) 및/또는 이동식 실내 유닛(6)은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화면이나 음향을 단말 장치가 출력하도록, 지도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통신부(110)릍 통해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 및/또는 특정 영역 내 위치한 타 기기와 유선, 무선, 위성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타 기기는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며, 일 예로, 타 공기 조화 장치, 난방 장치, 공기정화 장치, 전등, TV, 자동차, 청소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기기는, 문, 창문, 수도 밸브, 가스 밸브 등을 제어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기기는, 온도, 습도, 기압, 가스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 일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열 터미널(5)에 구비된 터미널 통신부와 이동식 실내유닛(6)에 구비된 유닛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통신부와 유닛 통신부는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타 기기와 각각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 또는 구동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오디오 정보, 영상 정보, 장애물 정보, 위치 정보, 지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메모리(150)는 주행 패턴, 냉각 사이클(17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RAM, PRAM 등일 수 있다.
센싱부(160)는 온도센서(78), 외부신호 감지센서(79A), 사람인식센서(79B), 실내 온도센서(79C)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78)는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축열조(7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축열 물질(71)에 축적되는 열량이 커질수록 온도센서(78)의 측정 온도는 상승할 수 있고, 온도 센서(78)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방열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축열조(70)의 축열 레벨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의미일 수 있다. 반대로 방열부(74)와 흡열부(53)가 열접촉하여 축열 물질(71)에 축적된 열량이 방열되면 온도 센서(78)의 측정 온도는 하강할 수 있고, 온도 센서(78)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방열해제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축열조(70)의 축열 레벨이 충분히 내려갔다는 의미일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온도 센서(78)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방열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구동부(80)를 제어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을 전열 터미널(5)로 접근시킬 수 있고, 방열부(74)를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에 열접촉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온도 센서(78)의 측정 온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하강하면 방열부(74)와 흡열부(53)간의 열접촉이 이뤄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온도 센서(78)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방열해제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구동부(80)를 제어하여 방열부(74)를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외부신호 감지센서(79A)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신호 감지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RF 센서(Radio Frequency Sens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신호 감지센서(79A)는, 전열 터미널(5)의 위치신호 발신장치(56)에서 발신된 신호를 감지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77)는 외부신호 감지센서(79A)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전열 터미널(5)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77)는 위치신호 발신장치(56)에서 발신되는 신호에 의해 이동식 실내유닛(6)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구동부(80)를 제어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을 전열 터미널(5)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전열 터미널(5)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충전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사람 인식센서(79B)는 공조 공간(1)에서 이동하는 사람(M)을 인식할 수 있다. 사람 인식센서(79B)는 메모리(150)에 기저장된 정보를 통해 움직이는 대상이 사람(M)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이동식 실내 유닛(6)을 추적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추적 모드 시 컨트롤러(77)는 사람 인식 센서(79B)의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식 실내유닛(6)이 사람(M)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도록 구동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유닛(6)은 사용자를 따라다니며 찬 공기를 불어줄 수 있고,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실내 온도센서(79C)는 실내, 즉 공조공간(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내 온도센서(79C)는 이동식 실내유닛(6) 및/또는 전열 터미널(5)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실내 온도센서(79C)에서 측정된 실내온도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동식 실내 유닛(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실내온도보다 낮도록 냉방용 냉각사이클(63)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 희망온도와 상기 실내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이동식 실내 유닛(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냉방용 냉각사이클(6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60)는 장애물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하부 카메라 센서, 상부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이동식 실내 유닛(6)에 설치될 수 있다. 장내물 감지 센서는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전방이나 측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장애물 감지 센서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 특히 장애물을 감지하여 검출 정보를 컨트롤러(77)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장애물 감지 센서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실내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컨트롤러(77)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실내유닛(6)은 장애물 감지 센서로 한 가지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일반적으로 원거리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며, 컨트롤러(77)는 발신부를 통해 방사된 초음파가 장애물 등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부에 수신되는 지의 여부로 장애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초음파 방사 시간과 초음파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7)는 발신부에서 방사된 초음파와, 수신부에 수신되는 초음파를 비교하여, 장애물의 크기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7)는 수신부에 더 많은 초음파가 수신될수록, 장애물의 크기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 역시 전방이나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 정보를 컨트롤러(77)에 전달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집안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컨트롤러(77)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실내유닛(6)은 장애물과의 충돌없이 특정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낭떠러지 감지 센서(또는 클리프 센서(Cliff Sensor))는, 다양한 형태의 광 센서를 주로 이용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을 지지하는 바닥 및 바닥에 놓인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PS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PSD 센서는 반도체 표면저항을 이용해서 1개의 p-n접합으로 입사광의 단장거리 위치를 검출한다. PSD 센서에는 일축 방향만의 광을 검출하는 1차원 PSD 센서와, 평면상의 광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2차원 PSD 센서가 있으며, 모두 pin 포토 다이오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PSD 센서는 적외선 센서의 일종으로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적외선을 송신한 후 장애물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즉, PSD 센서는 삼각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한다. PSD 센서는 장애물에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장애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되, 일반적으로 모듈 형태로 구성된다. PSD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의 반사율, 색의 차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가 지면을 향해 발광한 적외선의 발광신호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신호 간의 적외선 각도를 측정하여, 낭떠러지를 감지하고 그 깊이를 분석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낭떠러지의 지면 상태에 따라 통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낭떠러지의 통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7)은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통해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 및 낭떠러지 깊이를 판단한 다음,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통해 반사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만 낭떠러지를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77)은 낭떠러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의 들림 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는 이동식 실내유닛(6)에 구비되어, 이동 중 하방, 즉, 바닥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는 옵티컬 플로우 센서(Optical Flow Sensor)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는, 센서 내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하방 영상을 변환하여 소정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실내 유닛(6)에는 하나 이상의 광원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바닥면의 소정 영역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동식 실내유닛(6)이 바닥면을 따라 특정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에, 바닥면이 평탄하면 이미지 센서와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이동식 실내 유닛(6)이 불균일한 표면의 바닥면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의 요철 및 장애물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77)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광량 조절이 가능한 발광 소자,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의 미끄러짐과 무관하게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77)은 하부 카메라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7)는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에서 감지된 이동식 실내 유닛(6)의 하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끄러짐에 대응하도록 구동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카메라 센서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상방이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식 실내유닛(6)을 촬영할 수 있다. 이동식 실내유닛(6)이 복수의 상부 카메라 센서들을 구비하는 경우, 상부 카메라 센서들은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각도로 이동식 실내유닛(6)의 상부나 옆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77)는 냉각 사이클(170)을 제어할 수 있다. 냉각 사이클(170)은 앞서 설명한 냉방용 냉각 사이클(63)과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을 포함할 수 있다.
냉방용 냉각 사이클(63)은 이동식 실내 유닛(6)에 배치될 수 있고,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은 실외 유닛(4) 및 전열 터미널(5)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냉방용 냉각 사이클(63)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77)는 실내 온도센서(79C)에서 감지된 실내의 온도와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 희망 온도에 따라 냉방용 냉각 사이클(63)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는 이동식 실내유닛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7)는 송풍팬(68) 및 교반기(72)의 온오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7)는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동식 실내유닛(6)의 축열조(70)의 축열 레벨이 기준치에 도달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부(74)와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가 열접촉되면, 컨트롤러(77)는 제1압축기(41)를 온 시킬 수 있고, 냉매는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을 순환하며 흡열부(53)의 열을 실외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7)는 실외팬(43)의 온오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은 이동식 실내유닛의 구동부의 일 예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구동부(8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하 일 예에 따른 구동부(8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부(8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82)와 보조휠(8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80)는 각각 한 쌍의 구동휠(82)와 보조휠(8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휠(82)과 보조휠(83)는 본체(60, 도 2 참조)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동휠(82)은 모터(84)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7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조휠(83)에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보조휠은 구동부(80)의 주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각 구동휠(8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각 구동휠(82)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이동식 실내유닛(6)은 다양한 방향으로 주행 및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구동휠(82)은 메인바퀴(85), 보조바퀴(87), 모터(84), 기어유닛(86), 클러치부재(8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퀴(85)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외면에는 복수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바퀴(85)의 중심 부분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바퀴(87)의 표면 모양이 형성하는 마찰력은, 메인바퀴(85)의 표면 모양이 형성하는 마찰력보다 높을 수 있다. 보조바퀴(87)의 직경은 메인바퀴(85)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모터(84)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메인바퀴(85)는 기어유닛(86)을 통해 모터(84)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기어유닛(86)은 메인바퀴(85)와 모터(84)에 연결되어, 메인바퀴(85)로 모터(84)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기어유닛(86)은 모터(84)와 메인바퀴(85)에 각각 연결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어유닛(86)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모터(84)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메인바퀴(85)로 전달할 수 있다.
클러치부재(88)는 보조바퀴(87)와 기어유닛(86)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보조바퀴(87)로 모터(84)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부재(88)는 마그네틱 클러치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클러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보조바퀴(87)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클러치부재(88)는 컨트롤러(77)로부터 클러치부재(88)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클러치부재(88)는 메인바퀴(85)의 동력을 보조바퀴(87)와 배분시킬 수 있다.
클러치부재(88)가 온 상태인 경우, 클러치부재(88)는 회전 가능하며 보조바퀴(87)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동식 실내유닛(6)이 정상 주행 중인 경우 클러치부재(88)는 오프되며, 보조바퀴(87)는 지면 또는 장애물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이동식 실내유닛(6)의 메인바퀴(85)가 공회전 중이거나, 장애물에 구속된 경우, 클러치부재(88)는 온 되며, 보조바퀴(87)는 지면 또는 장애물과 접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장애물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클러치부재(8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애물과 관련된 정보는 장애물과 본체 사이의 거리, 장애물의 높이, 경사면, 형태, 표면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77)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진행방향 상에 놓여있는 장애물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 값 이상이면, 클러치부재(88)를 온시킴으로써, 보조바퀴(87)가 상기 장애물에 접촉하도록 구동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유닛(6)이 주행중에 메인 바퀴(85)가 공회전하거나 장애물에 구속되더라도, 보조 바퀴(87)가 구동되어 공회전 상태 또는 구속 상태를 벗어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열 터미널(5)은, 터미널 본체(50)에 터미널 흡입구(57) 및 터미널 토출구(5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열 터미널(5)은 터미널 본체(50) 내에 배치된 터미널 송풍팬(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송풍팬(59)는 터미널 흡입구(57)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제1증발기(51)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터미널 토출구(58)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제1증발기(51)는 흡열부(53)의 열에 의해 냉매가 증발될 수도 있고, 터미널 송풍팬(59)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매가 증발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77)는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와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부(74)가 열접촉하면 터미널 송풍팬(59)을 오프 시킬 수 있다.
반면, 컨트롤러(77)는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와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부(74)가 분리된 상태에서 터미널 송풍팬(59)을 온 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77)는 흡열부(53)와 방열부(74)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제1압축기(41)를 온 시켜 냉매가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을 따라 순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전열 터미널(5)의 터미널 토출구(58)에서는 차가운 냉풍이 토출되어 공조공간(1)의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전열 터미널(5)은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뿐 아니라 공조 공간(1)의 냉방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실내유닛(6)은 사용자를 추적하며 집중 냉방을 수행할 수 있고 전열 터미널(5)은 공조공간(1)을 전체적으로 냉방시키는 전체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열 터미널(5)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50A)가 구비되고, 이동식 실내 유닛(6)에는 방열부(74)와 흡열부(53)의 열접촉 시 전원 단자(50A)에 접속되는 충전 단자(6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충전 단자(60A)는 앞서 설명한 전원부(130, 도 3 참조)에 포함되는 배터리(60B)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 단자(60A)가 전열 터미널(5)의 전원 단자(50A)에 접속되면 배터리(60B)의 충전이 이뤄질 수 있다.
이동식 실내 유닛(6)의 방열을 위해 방열부(74)가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에 열접촉하면, 이동식 실내 유닛(5)의 충전 단자(60A)는 전열 터미널(5)의 전원 단자(50A)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 유닛(5)의 축열조(70)의 방열과 배터리(60B)의 충전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전열 터미널(5)은 충전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별개의 충전대가 불필요하여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간소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열 터미널(5)은 흡열부(54)로 전달된 열이 축열되고, 제1증발기(51)와 열교환하는 축열 물질(91)이 수용된 터미널 축열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전열 터미널(5)은 흡열부(53)와 제1증발기(51)가 곧바로 열교환하지 않고 축열 물질(91)을 매개로 하여 열교환할 수 있다. 축열 물질(91)은 전열 버퍼로 명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열부(53)와 연결된 터미널 히트 파이프(55)는 터미널 축열조(90)에 연결되어 축열 물질(91)에 접할 수 있고,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부(74)와 열접촉된 흡열부(53)의 열이 터미널 히트 파이프(55)를 통해 축열 물질(91)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증발기(51)는 터미널 축열조(90)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축열 물질(91)에 접할 수 있고, 축열 물질(91)에 축열된 열에 의해 제1증발기(51)를 통과하는 냉매가 증발될 수 있다.
터미널 본체(50)는 단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케이스는 터미널 축열조(9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터미널 축열조(90)에 축열된 열이 공조 공간(1)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미널 축열조(90)에는 교반기(92)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기(92)는 축열물질(91)을 교반시켜 터미널 축열조(90) 내의 대류 열전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교반기(92)는 컨트롤러(7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미널 축열조(90)에는 터미널 온도센서(9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 온도센서(93)는 터미널 축열조(9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축열 물질(91)에 축적되는 열량이 커질수록 터미널 온도센서(93)의 측정 온도는 상승할 수 있고, 터미널 온도 센서(93)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터미널 방열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터미널 축열조(90)의 축열 레벨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의미일 수 있다. 반대로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이 작동하여 축열 물질(91)에 축적된 열량이 방열되면 터미널 온도 센서(93)의 측정 온도는 하강할 수 있고, 터미널 온도 센서(93)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터미널 방열해제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터미널 축열조(90)의 축열 레벨이 충분히 내려갔다는 의미일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터미널 온도 센서(93)의 측정 온도가 상기 터미널 방열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제1압축기(41) 및 실외팬(43)를 온 시켜 냉매가 방열용 냉각 사이클(45)를 따라 순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77)는 터미널 온도 센서(93)의 측정 온도가 상기 터미널 방열해제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제1압축기(41) 및 실외팬(43)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방열용 냉각 사이클(45)은 이동식 실내 유닛(6)의 방열부(74)와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가 열접촉할 때마다 구동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방열을 수행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열 터미널(5)의 흡열부(53)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대의 이동식 실내유닛(6)의 각 방열부(74)가 각 흡열부(53)에 열접촉될 수 있다. 즉, 단일의 전열 터미널(5)이 복수대의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앞선 제1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복수대의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을 동시에 수행할 경우 방열에 소모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우려가 있다.
반면 본 실시예는 축열 물질(91)이 전열 버퍼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동식 실내유닛(6)에서 전달된 열이 우선적으로 터미널 축열조(90)에 축열될 수 있다. 즉, 복수대의 이동식 실내유닛(6)의 방열에 소모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실외 유닛(4, 도 2 참조) 및 전열 터미널(5, 도 2 참조)을 포함하지 않고, 설치벽(3)에 방열 덕트(30)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덕트(30)는 공조공간(1)과 실외(2)를 연통할 수 있다.
방열 덕트(30)에는 방열 덕트(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이동식 실내유닛(5)의 후술할 방열 토출부(94)가 방열 덕트(3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고, 방열 덕트(3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폐쇄될 수 있다.
이동식 실내유닛(6)은 상기 방열 덕트(30)를 통해 축열조(70)의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동식 실내 유닛(6)은 방열부(74, 도 2 참조) 대신 방열팬(95) 및 방열 토출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팬(95)는 히트 파이프(73)의 저온부(73B)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팬(9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히트 파이프(73)의 저온부(73B)와 열교환할 수 있다. 즉, 축열조(70)에 축열된 열은 히트파이프(73)의 고온부(73A)에서 저온부(73B)로 전달되고, 저온부(73B)의 열은 방열팬(95)에 의해 송풍된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동식 실내 유닛(6)의 본체(60)에는 방열 흡입구(93)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 흡입구(93)는 흡입구(61) 및 토출구(62)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팬(95)은 방열 흡입구(93)로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본체(10) 내부의 덕트를 통해 히트 파이프(73)의 저온부(73B)로 안내되어 열교환할 수 있으며, 열교환된 공기를 방열 토출부(94)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즉, 방열 토출부(94)는 방열팬(9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방열 토출부(94)는 후술할 덕트 연결부(31)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고, 방열 토출부(94)에서 토출된 공기는 덕트 연결부(31) 및 방열 덕트(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외(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식 실내 유닛(6)의 축열조(70)에 축열된 열이 실외로 방열될 수 있다.
다만, 이동식 실내 유닛(6)의 본체(60)에는 방열 흡입구(93)가 형성되지 않고 흡입구(61)로 흡입된 공기가 방열팬에 의해 송풍되어 히트 파이프(73)의 저온부(73B)와 열교환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방열 토출부(94)는 이동식 실내유닛(6)의 본체(6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열 토출부(94)는 설치벽(3)의 방열 덕트(30)와 직접 연결되거나, 덕트 연결부(31)를 통해 방열 덕트(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열 토출부(94)가 덕트 연결부(31)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덕트 연결부(31)와 방열 토출부(9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호간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연결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80)는 이동식 실내유닛(6)을 덕트 연결부(3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방열 토출부(94)를 덕트 연결부(31)와 분리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부(80)는 이동식 실내유닛(6)을 덕트 연결부(31) 측으로 이동시켜, 방열 토출부(94)를 덕트 연결부(31)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동식 실내유닛(6)의 외부신호 감지센서(79A)는, 덕트 연결부(31)의 위치신호 발신장치(32)에서 발신된 신호를 감지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77)는 외부신호 감지센서(79A)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덕트 연결부(31)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77)는 위치신호 발신장치(32)에서 발신되는 신호에 의해 이동식 실내유닛(6)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구동부(80)를 제어하여 이동식 실내유닛(6)을 덕트 연결부(3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7)는 방열 토출부(94)와 덕트 연결부(31)가 연결된 상태에서 방열팬(95)을 온 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직접 불어서 방열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제1내지 제3실시예보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방열 덕트 31: 덕트 연결부
4: 실외 유닛 41: 제1압축기
42: 제1응축기 43: 실외팬
45: 방열용 냉각 사이클 5: 전열 터미널
51: 제1증발기 52: 제1팽창기구
53: 흡열부 54: 제1요철부
55: 터미널 히트 파이프 57: 터미널 흡입구
58: 터미널 토출구 59: 터미널 송풍팬
6: 이동식 실내 유닛 60: 본체
61: 흡입구 62: 토출구
63: 냉방용 냉각 사이클 64: 제2압축기
65: 제2응축기 66: 제2팽창기구
67: 제2증발기 68: 송풍팬
70: 축열조 71: 축열 물질
73: 히트 파이프 74: 방열부
75: 제2요철부 77: 컨트롤러
80: 구동부 90: 터미널 축열조
93: 방열 흡입구 94: 방열 토출부
95: 방열팬

Claims (20)

  1.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의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한 전열 터미널과 열접촉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가 상기 전열 터미널과 열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와 상기 방열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축열조에 축열된 열을 상기 방열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에 배치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열부와 상기 전열 터미널을 열접촉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사람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람 인식 센서; 및
    상기 사람 인식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사람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배치된 이동식 실내 유닛.
  6. 제1압축기 및 제1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 유닛;
    상기 제1압축기 및 제1응축기와 연결된 제1증발기와, 상기 제1증발기와 열교환하는 흡열부를 포함하는 전열 터미널; 및
    상기 전열 터미널의 상기 흡열부에 분리 가능하게 열접촉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제2압축기, 제2응축기, 제2팽창기구 및 제2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제2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제2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의 열을 방열시키고, 상기 흡열부와 열접촉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가 상기 흡열부와 열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터미널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에는, 상기 방열부와 상기 흡열부의 열접촉 시 상기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충전 단자가 구비된 공기 조화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은,
    상기 축열조와 상기 방열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축열조에 축열된 열을 상기 방열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은,
    상기 축열조에 배치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열부와 상기 흡열부를 열접촉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터미널에는 위치신호 발신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에는 상기 위치신호 발신장치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신호 감지센서가 구비된 공기 조화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방열부가 열접촉하면 상기 제1압축기를 온 시키는 공기 조화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터미널은,
    내부에 상기 제1증발기가 배치되고 터미널 흡입구 및 터미널 토출구가 형성된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제1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터미널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터미널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터미널은,
    상기 흡열부와 상기 제1증발기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흡열부의 열을 상기 제1증발기로 전달하는 터미널 히트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터미널은,
    상기 흡열부에 연결된 터미널 히트 파이프; 및
    상기 터미널 히트 파이프로 전달된 열이 축열되고, 상기 제1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터미널 축열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복수개인 공기 조화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축열조를 둘러싸는 단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에는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에는,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열접촉 시 상기 제1요철부에 접하고 상기 제1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요철부가 형성된 공기 조화 시스템.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상기 이동식 실내 유닛이 위치한 공조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9.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시키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응축기의 열이 축열되는 축열 물질이 수용된 축열조;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물질에 접하는 고온부와, 상기 고온부의 열이 전달되는 저온부를 갖는 히트 파이프;
    상기 저온부와 열교환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방열팬;
    상기 방열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고, 공조공간과 실외를 연통하는 방열 덕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열 토출부; 및
    상기 방열 토출부가 상기 방열 덕트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실내 유닛.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와 이격되고 상기 방열팬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열 흡입구가 형성된 이동식 실내 유닛.
KR1020180004038A 2018-01-11 2018-01-11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3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38A KR102034629B1 (ko) 2018-01-11 2018-01-11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PCT/KR2018/016668 WO2019139285A1 (ko) 2018-01-11 2018-12-26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US16/641,798 US11333373B2 (en) 2018-01-11 2018-12-26 Air conditioning robo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038A KR102034629B1 (ko) 2018-01-11 2018-01-11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776A KR20190085776A (ko) 2019-07-19
KR102034629B1 true KR102034629B1 (ko) 2019-11-08

Family

ID=6721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038A KR102034629B1 (ko) 2018-01-11 2018-01-11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3373B2 (ko)
KR (1) KR102034629B1 (ko)
WO (1) WO2019139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2357A1 (ja) * 2016-11-16 2018-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制御装置及び空気調和制御方法
US11320160B2 (en) 2018-11-28 2022-05-03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Mobile air conditioning unit
CN109579197A (zh) * 2019-01-14 2019-04-05 张晓庆 移动空调及其制冷方法
CN113970173B (zh) * 2020-07-24 2023-09-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子机、子机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419907B1 (ko) * 2020-10-20 2022-07-13 주식회사 센추리산업 포터블 냉방기
WO2023164374A1 (en) * 2022-02-24 2023-08-31 Xtend Ai Inc. Robot air filter
GB2604781B (en) * 2022-02-24 2023-04-19 X Tend Robotics Inc Robot air filter
CN115540073B (zh) * 2022-09-09 2023-07-18 河南翰宇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宿舍用可移动式空调机
KR102535189B1 (ko) * 2022-11-24 2023-05-30 주식회사 오투트리 고순도 중대형 산소 발생 장치 및 공조장치의 통합제어 방법
KR102524250B1 (ko) * 2022-11-24 2023-05-30 주식회사 오투트리 고순도 중대형 산소 발생 장치 및 공조장치 통합제어 시스템
JP7468762B1 (ja) 2023-09-14 2024-04-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74A (ja) 2004-01-16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冷却機と室内機の組合せ、室内機及び冷却機
KR100570300B1 (ko) 2004-12-31 2006-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2차유체 순환식 이동형 멀티에어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368A (en) * 1990-02-07 1991-04-09 Calmac Manufacturing Corporation Coolness storage air conditioner appliance
JP3063348B2 (ja) * 1992-01-29 2000-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間接冷媒空調装置、間接冷媒空調装置用の脱着型熱交換器及び間接冷媒空調方法
KR100357105B1 (ko) * 2000-04-04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388556B1 (ko) * 2001-06-25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에어컨
KR20100121616A (ko) * 2008-02-15 2010-11-18 아이스 에너지, 인크. 다수의 냉매 및 공통 증발기 코일을 갖춘 냉각 루프를 이용하는 열에너지 저장 및 냉각 시스템
KR20110073764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축열형 공기조화기
US9606586B2 (en) * 2012-01-23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at transfer device
KR101593657B1 (ko) 2014-12-26 2016-02-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에어컨
KR102413687B1 (ko) * 2016-05-23 2022-06-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로봇 공조장치
US10704790B2 (en) * 2016-05-23 2020-07-07 Hanon Systems Moveabl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74A (ja) 2004-01-16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冷却機と室内機の組合せ、室内機及び冷却機
KR100570300B1 (ko) 2004-12-31 2006-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2차유체 순환식 이동형 멀티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5379A1 (en) 2020-11-12
US11333373B2 (en) 2022-05-17
KR20190085776A (ko) 2019-07-19
WO2019139285A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629B1 (ko)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08550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0161063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30307A1 (en) Device to detect heat source,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cting heat source
KR2009008447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19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9784496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53239B1 (ko) 공기조화기
JP2513005B2 (ja) 空気調和機
JPH0520659B2 (ko)
JP2765355B2 (ja) 空気調和機
JP2009109025A (ja) 空気調和機用リモコン
CN104006446A (zh) 室内机和空气调节装置
KR20080111623A (ko) 센서의 측정영역 지시장치 및 그 지시방법
JPH0379942A (ja) 空気調和機
JP4042480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7040407A (ja) 空気調和機
JPH07293970A (ja) 人体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調装置
WO2019044240A1 (ja) 冷蔵庫
KR10164519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47586B1 (ko) 지능형 냉난방시스템
JP2019120686A (ja) 判定システム、空調システム、判定方法、プログラム
KR10150194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638272Y2 (ja) 空気調和機
JPH0816542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