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083B1 - 산업용 기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083B1
KR102034083B1 KR1020197015697A KR20197015697A KR102034083B1 KR 102034083 B1 KR102034083 B1 KR 102034083B1 KR 1020197015697 A KR1020197015697 A KR 1020197015697A KR 20197015697 A KR20197015697 A KR 20197015697A KR 102034083 B1 KR102034083 B1 KR 10203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unit
cover
case
filter
indust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628A (ko
Inventor
요시카즈 무라타
히로시 와타나베
다카히로 와타나베
다카시 안도
겐이치 시모다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산업용 기기는, 팬(32)을 가지는 팬 유닛(30)과, 팬 유닛(30)을 격납하는 케이스(21)를 구비하며, 케이스(21)는, 전면(21a)과 하면(21b)이 이루는 모서리부 또는 전면(21a)과 상면이 이루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30)이 전방으로부터 착탈되는 팬 유닛 격납부(22)가 마련되어 있다. 팬 유닛(30)은, 팬 유닛 격납부(22)로부터 떼어내는 조작을 받는 파지부를 전면에 구비한다.

Description

산업용 기기
본 발명은, 팬 유닛을 교환할 수 있는 산업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중에는, 냉각이 필요한 전자 부품을 가지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냉각이 필요한 전자 부품을 가지는 전자기기에는, 냉각용의 팬(fan)이 실장된다. 특허 문헌 1에는, 공냉 팬 유닛을 전자기기 케이스에 마련된 삽입 선반인 셸프(shelf)의 팬 유닛 삽입구에 삽입하여, 전자기기의 내부를 냉각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공냉 팬 유닛을 간단히 팬 유닛이라고 칭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5-51085호 공보
한편, 산업용 퍼스널 컴퓨터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등과 같은 산업용 기기는, 오피스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자기기와 달리, 계속적인 가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팬 유닛과 같은 정기 교환 부품은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근래, 산업용 기기의 처리의 고도화에 따라, 산업용 기기 내부의 발열이 문제가 되어, 산업용 기기로의 냉각용의 팬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팬 유닛을 산업용 기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용한 경우, 팬 유닛을 산업용 기기의 중앙부 부근에 마련하기 때문에, 산업용 기기 내부의 전자 부품 배치의 자유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산업용 기기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팬 유닛이 산업용 기기의 중앙부 부근에 마련되면, 산업용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산업용 기기 내부의 전자 부품 배치의 자유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자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팬 유닛을 착탈할 수 있는 산업용 기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팬(fan) 유닛과, 팬 유닛을 격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케이스는, 전면(前面)과 하면이 이루는 모서리부 또는 전면과 상면이 이루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이 전방으로부터 착탈되는 팬 유닛 격납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산업용 기기는, 전자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팬 유닛을 착탈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을 경사진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좌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케이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 격납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 격납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를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산업용 기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배면이 지지 부재(70)에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70)는, 공장 내의 벽 등에 장착되고, 산업용 기기(100)를 규정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산업용 기기는, 공장 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산업용 기기의 메인터넌스를 번잡하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산업용 기기(100)는, 중앙연산 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특정용도용 집적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저항 또는 콘덴서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을 탑재한 회로 기판을, 케이스(21)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 상의 전자 부품은, 동작시에 발열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팬의 냉각 대상이 된다. 또, 회로 기판은, 케이스(21)의 내부의 배치 면적에 따라서, 단수 또는 복수매가 된다.
산업용 기기(100)의 케이스(21)는, 케이스(21)의 전면(前面)(21a)과 하면(21b)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 격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팬 유닛 격납부(22)에 격납된 팬 유닛(30)은, 산업용 기기(100)의 일부가 되어 동작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유닛(30)은, 산업용 기기(100)의 전방으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 가능하다. 팬 유닛(30)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통 모양의 케이스부(31)의 내부에 팬(32)을 내장하고 있다. 팬 유닛(30)은, 하면으로부터 빨아들인 공기를 상면으로부터 토출하는 것에 의해서 팬(32)이 발생시킨 기류를 산업용 기기(100) 내에 보내어 산업용 기기(100) 내의 냉각 대상을 냉각한다. 따라서, 산업용 기기(100)는, 공기를 넣을 간극이 하부에 확보된 상태로 지지 부재(70)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 산업용 기기(100)의 케이스(21)는, 케이스(21)의 전면(21a)과 하면(21b)과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 격납부(22)가 형성되어 있지만, 케이스(21)의 전면(21a)과 상면과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 격납부(22)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 산업용 기기(100)의 케이스(21)는, 케이스(21)의 측면과 하면과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 격납부(22)가 형성되어도 좋고, 또는, 케이스(21)의 측면과 상면과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 격납부(22)가 형성되어도 좋다. 케이스(21)의 측면과 하면과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 또는 케이스(21)의 측면과 상면과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 격납부(2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팬 유닛(30)은, 산업용 기기(100)의 측부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방향은, 도 1 중의 Y축을 따른 방향이고, 좌우 방향은 도 1 중의 X축을 따른 방향이고, 상하 방향은 도 1 중의 Z축을 따른 방향이다. 또, +X방향을 좌(左), -X방향을 우(右), +Y방향을 전(前), -Y방향을 후(後), +Z방향을 상(上), -Z방향을 하(下)로 정의한다. 또, 도 1에서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의 정의는, 다른 도면의 산업용 기기(100), 및 팬 유닛(30)에서도 적용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을 경사진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좌측면의 확대도이다.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는, 좌면부(31a) 및 우면부(31b)에 가이드 리브(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의 전면부(31c)의 상단부에는, 고정 훅(34)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훅(34)은, 산업용 기기(100)의 팬 유닛 격납부(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걸림벽(241)에 걸리는 훅부(341)와, 팬 유닛 격납부(22)로부터 떼어내는 조작을 받는 떼어냄 조작부인 파지부(34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팬 유닛(30)은, 팬 유닛 격납부(22)로부터 떼어내는 조작을 받는 떼어냄 조작부를, 떼어냄 방향측의 면인 전면에 구비하고 있다. 팬 유닛(30)이, 떼어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팬 유닛 격납부(22)로부터 팬 유닛(30)을 떼어내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파지부(342)는, 전면부(31c)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있고, 팬 유닛(30)의 착탈 조작시에 유저에 의해서 파지된다. 고정 훅(34)은, 전면부(31c) 내에 설치된 미도시의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파지부(342)에 눌러 내리는 힘을 가하면, 파지부(342)와 함께 훅부(341)의, 전면부(31c) 상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이 감소한다. 파지부(342)에 눌러 내리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케이스부(31)의 전면부(31c)의 상단부로부터의 고정 훅(34)의 돌출량은 원래대로 되돌아간다. 훅부(341)의 후면(341a)은 상단측일수록 전방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훅부(341)는, 팬 유닛 격납부(22)의 내부 벽면과 접촉하는 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팬 유닛(30)이 팬 유닛 격납부(22)에 격납되고, 팬 유닛 격납부(22) 내부에 마련된 압출 기능에 의해, 팬 유닛(30)이 팬 유닛 격납부(22)로부터 전방으로 밀어 내는 힘이 가해지면, 훅부(341)의 평면의 일부와 팬 유닛 격납부(22)의 내부 벽면이 접촉하며, 이 접촉에 의한 반발력과 전술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서 팬 유닛 격납부(2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00)의 측부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하는 구조의 경우는, 팬 유닛(30)은, 팬 유닛 격납부(22)로부터의 떼어냄 방향측의 면에 파지부(342)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00)의 좌측으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하는 구조인 경우는, 팬 유닛(30)은, 좌측면에 파지부(342)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마찬가지로,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00)의 우측으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하는 구조인 경우는, 팬 유닛(30)은, 우측면에 파지부(342)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사시도이며, 팬 유닛(30)을 경사진 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의 후면(31d)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e)가 마련되어 있고, 볼록부(31e)에는 커넥터(35)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팬 유닛(30)은, 팬(32)이 설치되는 공간의 하측에 필터(36)가 배치된다. 즉, 팬 유닛(30)은, 팬(32)의 흡기측에 필터(36)를 가지고 있다. 필터(36)는, 금속제의 메쉬 형상이며, 정기적으로 청소 작업을 행하여 부착한 먼지를 제거하면, 필터(36) 자체를 교환할 필요는 없다. 팬 유닛(30)에 필터(36)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팬 유닛(30)이 발생시키는 기류에 먼지가 포함되어, 냉각 대상인 전자 부품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며, 팬 유닛(30)을 경사진 하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팬 유닛(30)에는, 케이스부(31)의 하면의 개구를 덮는 격자 모양의 커버(37)가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부(31)에 장착된 커버(37)는, 팬 유닛(30)의 하면을 이룬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케이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필터(36)와 커버(37)와의 사이에는, 필터(36)를 팬 유닛(30)의 외부와 절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공간 거리(L)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36)와의 절연이 유지되지 않게 되는 거리까지 필터(36)에 손가락을 가까이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손가락으로부터 필터(36)에 정전기가 튀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37)는, 팬 유닛 격납부(22)로의 팬 유닛(30)의 장착 방향측이 되는 단부에 마련된 힌지 구조에 의해,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팬 유닛 격납부(22)로의 팬 유닛(30)의 장착 방향측이 되는 단부는, 후단부(37a)이다. 또, 팬 유닛(30)을 좌측으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하는 구조인 경우는, 팬 유닛 격납부(22)로의 팬 유닛(30)의 장착 방향측이 되는 단부는, 우측 단부이다. 또, 팬 유닛(30)을 우측으로부터 팬 유닛 격납부(22)에 착탈하는 구조인 경우는, 팬 유닛 격납부(22)로의 팬 유닛(30)의 장착 방향측이 되는 단부는, 좌측 단부이다. 커버(37)는, 필터(36)를 덮는 폐쇄 위치와, 필터(36)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커버(37)의 전방 단부(37b)에는,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와 걸리는 클로(claw)(37c)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37)의 측면(37d)에는, 클로(37c)와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시에 파지되는 개방 조작용의 오목부(37e)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7e)는, 커버(37)를 개방하는 조작을 받는 개방 조작부이다. 팬 유닛(30)이 힌지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해, 필터(36)를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어, 필터(36)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쉬워진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 격납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팬 유닛 격납부의 확대도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팬 유닛 격납부(22)의 좌측의 벽(22a) 및 우측의 벽(22b)에, 팬 유닛(30)의 가이드 리브(33)와 걸리는 팬 유닛 고정 가이드(22c)가 마련되어 있다. 또, 산업용 기기(100)는, 커넥터(22e)가 실장된 기판(26)을 팬 유닛 격납부(22)의 후방에 가지고 있다. 팬 유닛 격납부(22)의 후방의 벽(22d)에는 노치(22f)가 마련되어 있고, 커넥터(22e)는, 노치(22f)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22e)에 대해서, 팬 유닛 격납부(22)의 후방의 벽(22d)보다도 전방으로부터 노치(22f)를 통과하여 빼고 꽂음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용 기기(100)는, 팬 유닛 격납부(22)의 상부에,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는, 산업용 기기(100)의 케이스(21)의 전면(21a)에 이르고 있고, 산업용 기기(100)의 전방으로부터 오목부(23) 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산업용 기기(100)는, 오목부(23)의 좌우 양 옆에, 고정 훅(34)의 훅부(341)가 걸리는 걸림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4)의 전방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걸림벽(241)이 존재하고 있다. 걸림부(24)에 훅부(341)가 배치되면, 훅부(341)와 걸림벽(241)이 걸린 상태가 된다.
파지부(342)가 파지되어 고정 훅(34)이 전면부(31c) 내에 밀어넣어진 상태에서는, 걸림벽(241)은 훅부(341)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즉, 파지부(342)를 파지하여 고정 훅(34)을 전면부(31c) 내에 밀어넣으면, 훅부(341)와 걸림벽(241)과의 걸림은 해제된다.
팬 유닛(30)측의 커넥터(35)는, 후면(31d)에 마련된 볼록부(31e)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31e)가 노치(22f)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벽(22d)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22e)에 커넥터(35)를 감합(嵌合)시킬 수 있다.
산업용 기기(100)로부터 팬 유닛(30)을 떼어낼 때는, 엄지 이외의 손가락으로 팬 유닛(30)의 하면을 이루는 커버(37)를 누르면서, 오목부(23)에 엄지를 삽입한다. 산업용 기기(100)의 하부에는, 팬 유닛(30)이 공기를 넣기 위해서 간극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산업용 기기(100)가 지지 부재(70)에 고정된 상태인 채로 팬 유닛(30)의 하면을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다. 그리고, 엄지로 파지부(342)를 아래방향으로 눌러 전면부(31c) 내에 고정 훅(34)을 밀어넣어, 훅부(341)와 걸림벽(241)과의 걸림을 해제한다. 커넥터(35, 22e)의 삽발(揷拔, 넣고 빼냄) 방향은 팬 유닛 고정 가이드(22c)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훅부(341)와 걸림벽(241)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팬 유닛(30)을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커넥터(35, 22e)의 감합이 해제된다. 커넥터(35, 22e)의 감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팬 유닛(30)을 더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가이드 리브(33)가 팬 유닛 고정 가이드(22c)에 의해 안내되어 팬 유닛(30)은 슬라이드하여, 산업용 기기(100)의 전방으로 분리된다.
산업용 기기(100)에 팬 유닛(30)을 장착할 때에는, 가이드 리브(33)와 팬 유닛 고정 가이드(22c)를 맞추어, 팬 유닛(30)을 후방으로 밀어넣는다. 훅부(341)의 후면(341a)과 걸림벽(241)의 전면이 부딪치면, 고정 훅(34)이 전면부(31c) 내에 밀어넣어지면서, 팬 유닛(30)은 팬 유닛 격납부(22)의 후방의 벽(22d)에 가까워져 간다. 팬 유닛(30)이 팬 유닛 격납부(22)의 후방까지 도달하면, 커넥터(35)와 커넥터(22e)가 감합한다. 커넥터(35, 22e)가 감합하면, 훅부(341)가 걸림벽(241)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 훅(34)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부(24)에 배치되고, 훅부(341)와 걸림벽(241)이 걸린다. 훅부(341)와 걸림벽(241)이 걸리는 것에 의해, 팬 유닛(30)은 산업용 기기(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팬 유닛(30)을 팬 유닛 격납부(22)에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팬 유닛(30)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를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팬 유닛(30)이 산업용 기기(100)에 고정되면, 커버(37)의 측면(37d)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 조작용의 오목부(37e)는 산업용 기기(100)의 케이스(21)에 의해서 숨겨진다. 따라서, 팬 유닛(30)이 산업용 기기(1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37)를 열 수 없다.
또, 커버(37)는, 후단부(37a)에 마련된 힌지 구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00)에 장착하기 위해서 팬 유닛(30)을 파지할 때에, 팬 유닛(30)의 하면을 이루는 커버(37)는 엄지 이외의 손가락으로 눌려져, 커버(37)에는 닫히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커버(37)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팬 유닛(30)을 팬 유닛 격납부(22)에 장착하려고 하면, 팬 유닛(30)을 파지시킨 시점에서 커버(37)가 닫혀진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가동중에 갑자기 커버(37)가 열리는 것은 방지된다.
또, 힌지 구조는, 반드시 커버(37)의 후단부(37a)에 마련될 필요는 없고, 커버(37)의 전단부(37b)에 마련되어도 괜찮다. 힌지 구조를 커버(37)의 전단부(37b)에 마련하면, 커버(37)가 전개(全開) 상태에서도 팬 유닛(30)의 하면을 파지할 때에 커버(37)에 닫히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팬 유닛(30)과 산업용 기기(100)와의 걸림을 해제할 때에 조작하는 파지부(342)가 산업용 기기(100)의 케이스(21)의 전면(21a)측으로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용 기기(100)의 전방으로부터 팬 유닛(30)의 떼어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팬 유닛(30)과 산업용 기기(100)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에 이어서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00)로부터 분리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팬 유닛(30)을 용이하게 산업용 기기(10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팬 유닛(30)을 장착할 때도 마찬가지로, 산업용 기기(100)의 전방으로부터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팬 유닛(30)을 용이하게 산업용 기기(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전방으로부터 팬 유닛(30)을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용 기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팬 유닛(30)의 착탈 작업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케이스(21)의 전면(21a)과 하면(21b)이 이루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30)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케이스(21) 내부에 팬 유닛(30)에 의해서 분단되지 않은 합쳐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산업용 기기(100)는, 예를 들면, 전자 부품의 탑재된 전자 기판이 복수매 있는 경우, 복수매의 전자 기판을 접근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판 사이의 전기 배선을 용이하게 부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산업용 기기(100)는, 전자 부품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케이스(21)의 전면(21a)과 하면(21b)이 이루는 모서리부에, 팬 유닛(30)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배면이 지지 부재(70)에 고정되어 지지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어도, 팬 유닛(30)을 떼어내어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 만일, 산업용 기기의 상면에 팬 유닛을 설치한 경우, 팬 유닛을 착탈하는 조작용의 조작부 및 팬 유닛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산업용 기기의 상면에 마련할 필요가 있고, 팬 유닛의 착탈 작업은 산업용 기기의 상면측으로부터 행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다. 따라서, 산업용 기기의 상면측에 팬 유닛을 설치하면, 팬 유닛의 착탈 작업의 작업성이 낮아져 버린다. 또, 산업용 기기의 상부에 팬 유닛의 착탈 작업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생기고, 작업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산업용 기기를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떼어내어 팬 유닛의 착탈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라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만일, 팬 유닛을 산업용 기기의 하면에 설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산업용 기기의 하부에 팬 유닛의 착탈 작업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생기고, 작업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산업용 기기를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떼어내어 팬 유닛의 착탈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라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착탈 가능한 팬 유닛(30)에 필터(36)를 탑재했기 때문에,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00)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필터(36)의 청소를 행할 수 있고, 산업용 기기(100)측에 필터(36)를 장착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필터(36)의 청소 작업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산업용 기기(100)의 하부에 필터(36)의 청소 작업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산업용 기기(100)를 운용함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케이스(21) 전체의 하면에 필터(36)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산업용 기기(100)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도, 필터(36)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팬 유닛(30)을 냉각 대상의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필터(36)를 작게 하면 산업용 기기(100) 내를 흐르는 기류가 가늘어져, 냉각 성능이 저하해 버리지만,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하부로부터 냉각 대상으로 기류를 내뿜기 때문에, 필터(36)를 작게 해도 냉각 성능은 손상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는, 하부로부터 냉각 대상으로 기류를 내뿜기 때문에, 열을 발(發)하는 전자 부품이 냉각 대상인 경우에도, 전자 부품이 발하는 열에 의해 팬(32)이 쬐어지지 않아, 팬(3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커버(37)를 개폐시키는 기구는 힌지 구조이었지만, 슬라이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커버(37)는, 힌지 구조 및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지 않고, 개방시에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로부터 분리하는 구조라도 좋다. 개방시에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로부터 분리하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팬 유닛(30)의 케이스부(31) 및 커버(37)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필터(36)는, 금속제의 필터로 한정되지 않고, 수지제의 필터라도 좋다. 또, 필터(36)는, 청소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필터로 한정되지 않고, 유리 섬유 필터와 같은 일회용식의 필터라도 좋다. 또, 필터(36)에는, 청소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필터와 일회용식의 필터를 병용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산업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4에서는, 산업용 기기(110)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산업용 기기(110)의 일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산업용 기기(110)는, 케이스(21)의 내부에, 기류의 도달 범위를 제한하는 칸막이판(25)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산업용 기기(100)와 서로 다르다. 칸막이판(25)은, 팬 유닛 격납부(2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는,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10)의 전방으로부터 착탈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칸막이판(25)은, 팬 유닛 격납부(22)의 좌우에 위치하지만, 팬 유닛(30)을 산업용 기기(110)의 측부로부터 착탈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팬 유닛 격납부(22)의 측면에 배치된 칸막이판(25)은, 팬 유닛 격납부(22)의 전후에 위치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칸막이판(25)은, 평면 모양의 부재이다. 산업용 기기(110)는, 칸막이판(25)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 냉각 대상인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즉, 산업용 기기(110)는, 칸막이판(25)을 경계로 팬 유닛(30)과 동일측에 발열하는 전자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21)의 내부에 칸막이판(25)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냉각 대상이 아닌 전자 부품에는, 팬 유닛(30)이 발생시키는 기류가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21)의 내부에 칸막이판(25)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팬 유닛(30)으로부터 나온 기류가 직접 닿지 않는 부분에도, 팬 유닛(30)으로부터 나온 기류에 의해 공기가 빨아 당겨짐으로써 다른 기류가 발생한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산업용 기기(110)는, 케이스(21)의 내부에 칸막이판(25)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팬 유닛(30)으로부터 나온 기류가 직접 닿지 않는 부분에 다른 기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산업용 기기(110)는, 팬 유닛(30)에 의한 냉각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산업용 기기(110) 내에 먼지가 침입하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36)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또, 산업용 기기(110)가 발열원이 되는 전자 부품을 복수 내장하는 경우에는, 동작시에 발열하는 전자 부품을 팬 유닛(30)에 의한 냉각 범위에 집약하고, 열을 발하지 않는 전자 부품을 팬 유닛(30)에 의한 냉각 범위 밖에 집약함으로써, 열을 발하지 않는 전자 부품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케이스(21)의 내부에서, 칸막이판(25)에 의해 팬 유닛(30)과 떨어진 부분, 즉 팬(32)에 의한 냉각 범위 밖에는, 팬 유닛(30)으로부터 나온 기류, 및 팬 유닛(30)으로부터 나온 기류가 발생시키는 다른 기류는 통과되지 않기 때문에, 팬 유닛(30)에 의한 냉각 범위 밖의 전자 부품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21 : 케이스 21a : 전면
21b : 하면 22 : 유닛 격납부
22a, 22b, 22d : 벽 22c : 팬 유닛 고정 가이드
22e, 35 : 커넥터 22f : 노치
23, 37e : 오목부 24 : 걸림부
25 : 칸막이 26 : 기판
30 : 팬 유닛 31 : 케이스부
31a : 좌면부 31b : 우면부
31c : 전면부 31d, 341a : 후면
31e : 볼록부 32 : 팬
33 : 가이드 리브 34 : 고정 훅
36 : 필터 37 : 커버
37a : 후단부 37b : 전단부
37c : 클로 37d : 측면
70 : 지지 부재 100, 110 : 산업용 기기
241 : 걸림벽 341 : 훅부
342 : 파지부

Claims (9)

  1. 팬(fan) 유닛과,
    상기 팬 유닛을 격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전면(前面)과 하면이 이루는 모서리부 또는 전면과 상면이 이루는 모서리부에, 상기 팬 유닛이 전방으로부터 착탈되는 팬 유닛 격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팬 유닛은, 흡기측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필터를 덮는 커버를 가지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커버를, 상기 필터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필터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를 개방하는 조작을 받는 개방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팬 유닛을 상기 팬 유닛 격납부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 조작부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 유닛은, 상기 팬 유닛 격납부로부터 떼어내는 조작을 받는 떼어냄 조작부를 전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 유닛 격납부의 측면에는, 상기 팬 유닛이 발생시키는 기류가 상기 케이스 내의 냉각 대상 외의 전자 부품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팬 유닛 격납부로의 상기 팬 유닛의 장착 방향측이 되는 상기 커버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5. 팬 유닛과,
    상기 팬 유닛을 격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측면과 하면이 이루는 모서리부 또는 측면과 상면이 이루는 모서리부에, 상기 팬 유닛이 측부로부터 착탈되는 팬 유닛 격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팬 유닛은, 흡기측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필터를 덮는 커버를 가지며,
    상기 팬 유닛은, 상기 커버를, 상기 필터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필터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를 개방하는 조작을 받는 개방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팬 유닛을 상기 팬 유닛 격납부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 조작부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팬 유닛은, 상기 팬 유닛 격납부로부터 떼어내는 조작을 받는 떼어냄 조작부를, 상기 팬 유닛 격납부로부터의 떼어냄 방향측의 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팬 유닛 격납부의 측면에는, 상기 팬 유닛이 발생시키는 기류가 상기 케이스 내의 냉각 대상 외의 전자 부품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팬 유닛 격납부로의 상기 팬 유닛의 장착 방향측이 되는 상기 커버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금속제이며,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필터와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는, 상기 필터를 상기 팬 유닛의 외부와 절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공간 거리가 확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KR1020197015697A 2017-03-31 2017-03-31 산업용 기기 KR102034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779 WO2018179405A1 (ja) 2017-03-31 2017-03-31 産業用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28A KR20190068628A (ko) 2019-06-18
KR102034083B1 true KR102034083B1 (ko) 2019-10-18

Family

ID=6367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697A KR102034083B1 (ko) 2017-03-31 2017-03-31 산업용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07480B1 (ko)
KR (1) KR102034083B1 (ko)
CN (1) CN110050126B (ko)
TW (1) TWI669452B (ko)
WO (1) WO2018179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37A (ko) * 2020-07-31 2022-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CN115823027B (zh) * 2022-12-30 2023-07-21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在线柜用抗环境力学的可更换风机组件及三废处理装置
CN115955821B (zh) * 2022-12-30 2023-09-08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用于在线柜操作箱三废处理的风冷循环系统及操作箱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896A (ja) * 1981-11-24 1983-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回路装置の空気冷却装置
JPH0514555Y2 (ko) * 1987-08-12 1993-04-19
JPH02237098A (ja) * 1989-03-09 1990-09-19 Toshiba Corp 電子機器の冷却構造
JP2566280Y2 (ja) * 1991-09-12 1998-03-25 富士通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
JP3220523B2 (ja) * 1992-07-10 2001-10-2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X線マスク
JP2582746Y2 (ja) * 1992-09-07 1998-10-08 横河電機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
JP3296181B2 (ja) * 1996-04-03 2002-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装置の冷却構造
TW374843B (en) * 1998-03-17 1999-11-21 Hitachi Ltd Whole air conditioner
JP4233408B2 (ja) * 2003-07-30 2009-03-04 富士通株式会社 空冷ファンユニット
JP4328770B2 (ja) * 2006-01-26 2009-09-09 エヌイーシーコンピュータテクノ株式会社 電子機器用冷却装置及びフィルター目詰まり検出方法
JP2009257108A (ja) * 2008-04-12 2009-11-05 Nec Saitama Ltd ファンの風向き制御機構及び風向き制御方法
JP5381019B2 (ja) * 2008-05-30 2014-01-08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DE102010016504B4 (de) * 2010-04-19 2014-05-15 Rittal Gmbh & Co. Kg Filtereinheit für einen Schaltschrank
JP4995959B2 (ja) * 2010-09-28 2012-08-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装着方法を複数経路設けた筐体
US9723748B2 (en) * 2014-08-25 2017-08-01 Jabil Inc. Electronic module with removable fan assembly
WO2016088711A1 (ja) * 2014-12-05 2016-06-09 株式会社明電舎 フィルタの取付構造及び収納盤
JP2016111915A (ja) * 2014-12-05 2016-06-20 株式会社明電舎 フィルタの取付構造及び収納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628A (ko) 2019-06-18
CN110050126A (zh) 2019-07-23
JP6407480B1 (ja) 2018-10-17
TW201837318A (zh) 2018-10-16
WO2018179405A1 (ja) 2018-10-04
TWI669452B (zh) 2019-08-21
CN110050126B (zh) 2021-05-07
JPWO2018179405A1 (ja)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4155B2 (en) Fan holder
KR102034083B1 (ko) 산업용 기기
US20100238619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1083428B (zh) 逆变器装置
US9578783B2 (en) Miniature multilayer radiative cooling case wtih hidden quick release snaps
US20100079947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8140055A (ja) 電子機器
JP2003015776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部品実装方法
US20070089862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including dust mask
JP4829192B2 (ja) 電子機器
TWI446852B (zh) 閂鎖機構
JP6384670B2 (ja) 空冷式電気機器、及び、空冷式電気機器におけるエアフィルタの着脱方法
EP2456292A1 (en) Mounting apparatus for fans
TWI651041B (zh) 產業用機器
KR101178825B1 (ko) 장착 부품 및 전자 기기
US20090223652A1 (en) Heat dissipating module
CN211607209U (zh) 散热模组及电子设备
JP2008159925A (ja) 電子機器
JP2012034733A (ja) 遊技機
JP6360103B2 (ja) 作業性の良いファン保守構造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JP2019096636A (ja) 伝送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39305A (ja) 加熱調理装置
TWI623256B (zh) Electrical machine
JP5249742B2 (ja) 電子機器の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2018116949A (ja) 筐体及び表示装置の筐体と筐体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