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642B1 -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 Google Patents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642B1
KR102033642B1 KR1020170169476A KR20170169476A KR102033642B1 KR 102033642 B1 KR102033642 B1 KR 102033642B1 KR 1020170169476 A KR1020170169476 A KR 1020170169476A KR 20170169476 A KR20170169476 A KR 20170169476A KR 102033642 B1 KR102033642 B1 KR 10203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dam
container
injection
inj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9093A (en
Inventor
김성줄
서정도
안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642B1/en
Priority to CN201880079794.1A priority patent/CN111448012A/en
Priority to JP2020531030A priority patent/JP2021505397A/en
Priority to EP18888361.5A priority patent/EP3725430A4/en
Priority to PCT/KR2018/015563 priority patent/WO2019117553A1/en
Publication of KR2019006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0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8Refining the metal by circulating the metal under, over or around we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용융물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융물 주입부가 배치되며, 타측에 용융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및 일면이 주입부를 직접 마주보도록 주입부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용기의 바닥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양 측벽에 연결되며, 이때, 주입부 하측의 용융물의 낙하 영역에 설치되고, 상면이 용융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댐을 포함하는 용융물 처리 장치로서, 상승류의 도달 면적을 증가시키고, 용융물의 정체 영역을 줄여, 개재물 제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물 처리 장치가 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melt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melt injection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the melt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one side is located between the injection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 so as to directly face the injection porti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t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both side w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is installed in the falling region of the melt of the lower side of the injection portion,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dam,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elt, to increase the reach area of the upward flow, A melt processing apparatus is proposed that can reduce the stagnant area of the melt and improve the ability to remove inclusions.

Description

용융물 처리 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Melt Treatment Equipment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본 발명은 용융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체 영역을 줄여 개재물 제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lt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lt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ability to remove inclusions by reducing the stagnant area.

통상적인 연속주조 설비는, 용강(molten steel)을 운반하는 래들(Ladle), 래들에서 용강을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턴디시(Tundish), 턴디시로부터 지속적으로 용강을 공급받으면서 이를 주편(Slab)으로 1차 응고시키는 주형(Mold), 주형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인발되는 주편을 2차 냉각시키며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냉각대로 구성된다.Conventional continuous casting facilities include ladles carrying molten steel, tundish for temporarily storing molten steel from ladle, and continuously receiving molten steel from tundish to slab. It consists of a mold which first solidifies, a cooling stand which performs a series of molding operations and cools the casting continuously drawn from the mold.

연속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주조 공정을 수행할 때 턴디시내에 용강을 충분한 시간 동안 체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턴디시의 내부에 용강을 충분한 시간 동안 체류시켜야, 용강에서 개재물을 원활하게 부상 분리시킬 수 있다. 용강을 턴디시내에 충분한 시간 동안 체류시키기 위해서는 턴디시내에 용강의 상승류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When performing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in which castings are cast using a continuous casting facility, it is important to keep molten steel in the tundish for a sufficient time. For example, the molten steel must be kept inside the tundish for a sufficient time to smoothly separate the inclusions from the molten steel. In order for the molten steel to remain in the tundish for a sufficient time, the upward flow of the molten steel must be actively induced in the tundish.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댐과 위어를 이용한 용강의 유동 제어 방식에서 탈피하여, 댐과 보조댐 및 유도댐 등 턴디시 내에 다수의 내화물 댐을 구축한 후, 보조댐을 통해 용강중에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적극적으로 용강의 상승류를 유도하는 방식이 제시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임팩트 패드와 분리 벽을 쉬라우드 노즐의 하측에 설치한 후, 용강을 임팩트 패드에 충돌시키고, 분리 벽과 임팩트 패드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켜 적극적으로 용강의 상승류를 유도하는 방식이 제시된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breaks away from the flow control method of molten steel using dams and weirs, constructs a plurality of refractory dams in tundish such as dams, auxiliary dams and induction dams, and then injects argon gas into the molten steel through auxiliary dams. As a method of inducing an upward flow of molten steel is presented.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the impact pad and the separation wall are installed under the shroud nozzle, and then the molten steel is collided with the impact pad and pass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ion wall and the impact pad to actively induce upward flow of the molten steel. The way is presented.

하지만 특허문헌 1과 2에 제시된 방식들은 다수의 댐을 턴디시내에 구축하기 위한 제작 비용이 추가되고, 설치 작업이 복잡해지며, 다수의 내화물 댐과 분리 벽의 배면(턴디시의 출강구를 향하는 면) 및 임팩드 패드에서 먼 영역 부근에 용강의 흐름 속도가 매우 낮은 정체 영역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s prop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dd manufacturing costs for constructing a large number of dams in tundish, complicated installation work, and a large number of refractory dams and a rear surface of the dividing wall (the side facing the tundish outlet). And increasing the stagnant region where the flow rate of the molten steel is very low near the region far from the impact pad.

특히, 턴디시내에 용강의 정체 영역이 증가하면, 용강이 정체 영역내에 체류하는 정도가 심해지고, 용강의 체류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진다. 즉, 턴디시내에 용강의 정체 영역이 증가하면, 용강이 턴디시내에서 적정한 체류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다. 또한, 개재물이 정체 영역으로 들어서게 되면 용강의 낮은 흐름 속도 때문에 개재물이 정체 영역 중심에 체류하다가 용강에서 부상 분리되지 못하고, 주형에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주편에 개재물성 품질 불량을 야기시킨다.In particular, when the stagnant region of the molten steel increases in the tundish, the extent to which the molten steel stays in the stagnant region becomes severe,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molten steel becomes excessively long. In other words, if the stagnant area of molten steel increases in the tundish, the molten steel cannot secure an appropriate residence time in the tundish. In addition, when the inclusions enter the stagnant region, the inclusions stay in the center of the stagnant region due to the low flow rate of the molten steel, but are not separated from the molten steel, and flow into the mold and finally cause the interfering quality defects in the cast steel.

따라서, 용강중에 존재하는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위해 용강의 충분한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것 못지않게 용강의 적정한 체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체 영역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즉, 턴디시내에 용강을 충분하면서도 적정한 시간 동안 체류시키면서 정체 영역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턴디시내에 용강의 상승류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면서도 정체 영역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proper residence time of molten steel as well as to secure sufficient residence time of molten steel for floating separation of inclusions present in molten steel.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gestion area.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size of the stagnant region while keeping the molten steel in the tundish for a sufficient tim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formation of stagnant areas while actively inducing the upward flow of molten steel in the tundish.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is invention is publish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KRKR 10-2014-008512710-2014-0085127 AA KRKR 10-160230110-1602301 B1B1

본 발명은 용기내에 수용되는 용융물의 충분하고도 적정한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용융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l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nsuring a sufficient and proper residence time of a melt contained in a container.

본 발명은 용융물의 정체 영역을 줄여 개재물 제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lt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stagnant area of the melt to improve inclusion removal ability.

본 발명은 용융물의 상면에 도달하는 상승류를 넓게 분포시킬 수 있는 용융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l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idely distributing an upward flow re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el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는, 내부에 용융물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융물 주입부가 배치되며, 타측에 용융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및 일면이 상기 주입부를 직접 마주보도록 상기 주입부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양 측벽에 연결되는 댐;을 포함하고, 상기 댐은 상기 주입부 하측에 형성되는 용융물의 낙하 영역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용융물의 상부에 위치한다.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lt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melt injection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the melt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dam disposed between the injection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 so that one surface thereof directly faces the injection portion, and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container and connected to both sidew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dam is formed of a melt formed below the injection portion. It is installed in the drop zone,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above the melt.

상기 댐은 상기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dam may be installed at an edge of the falling area.

상기 댐은 타면이 상기 배출구측의 폭 방향 측벽을 직접 마주볼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dam may directly face the side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let side.

상기 낙하 영역의 크기는 상기 주입부의 내경의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댐의 일면과 상기 주입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낙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falling region may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dam and the injection portion may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alling region.

상기 댐의 일면과 상기 주입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주입부의 내경의 2.5 배 내지 5 배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dam and the inje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range of 2.5 to 5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ion.

상기 댐은 상면 높이가 상기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5배 내지 0.75배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dam may have a top surface in a range of 0.5 times to 0.75 times the height of the melt surface.

상기 댐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hole formed in the dam.

상기 관통구는 상기 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벽이 상기 바닥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am, is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the inner wall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융물의 탕유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용기의 바닥에 댐을 설치하고, 댐의 상면 높이를 최적화하여 용융물의 유동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용기내에 수용되는 용융물의 충분하고도 적정한 체류 시간을 확보하고, 용융물의 정체 영역을 줄여 개재물 제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탕유부내의 용강의 강한 흐름을 용융물의 상면으로 유도하며 상승류를 형성하여 용융물의 상면에 도달하는 상승류를 넓게 분포시킬 수 있고, 개재물 제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m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so as to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melted oil part of the melt,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am may be optimized to optimize the flow field of the melt. As a result, a sufficient and proper residence time of the melt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secured, and the stagnant area of the melt can be reduced to improve the inclusion removal ability. In addition, a strong flow of the molten steel in the molten metal portion can be induc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lt to form an upward flow, thereby allowing a wide distribution of the upward flow re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elt, and further improving the ability to remove inclusions.

따라서, 용융물 중의 개재물을 원활하게 부상 분리시켜, 용융물의 청정도를 향상시키고, 용융물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inclusions in the melt can be smoothly floated and separated to improve the cleanliness of the mel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made of the melt.

또한, 용기 내에 용융물의 유속 감소를 위한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용기내에 설치되는 내화물 구조물의 크기와 개수를 최소화 및 최적화할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additional structure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melt in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d optimize the size and number of refractory structures installed in the container,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유동 평가를 위한 모델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유동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유동 평가 결과에서 도출된 용융물의 유동 특성의 정량적 수치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유동 평가를 위한 모델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유동 평가 결과에서 도출된 용융물의 유동 특성의 정량적 수치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유동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ling structure for the flow evaluation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low evaluation result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quantitative value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melt derived from the flow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ling structure for the flow evaluation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quantitative value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melt derived from the flow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low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views of a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는 용융물의 상면의 상승류 도달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용융물의 정체 영역을 줄여, 개재물 제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는 제철소의 연속주조 공정에 적용되나, 각종 용융물을 이용한 다양한 주조 공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속주조 공정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stagnant area of the melt while increasing the upflow reach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elt to present a technical feature that can improve the inclusion removal ability.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steel mill,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asting processes using a variety of mel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때, 도 7은 용융물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용융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폭 방향 일 측벽(1a)과 폭 방향 타 측벽(1b)이 서로 이격된 방향이 일 방향이고, 주입부(2)가 연장된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그리고 일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모두 교차하는 방향이 타 방향이다. 예컨대 도 8의 댐(3)이 연장된 방향이 타 방향이다. 일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고, 타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며,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7 and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one side wall 1a and the width direction other side wall 1b shown in FIG. 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o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jection part 2 extends is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crossing both the one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is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am 3 of FIG. 8 extends is another direction. One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height direc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용융물 처리 장치는, 내부에 용융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융물 주입부(2)가 배치되며, 타측에 용융물 배출구(1c)가 형성되는 용기(1), 일면이 주입부(2)를 직접 마주보도록 주입부(2)와 배출구(1c)의 사이에 위치하고, 용기(1)의 바닥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양 측벽(1d)에 연결되는 댐(3)을 포함한다.7 and 8, a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ontainer 1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side, a melt injecting unit 2 is disposed at one side, and a melt outlet 1c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one side of the melt processing unit is formed. It is located between the injection portion 2 and the discharge port (1c) to face directly, and includes a dam (3)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connected to both longitudinal side walls (1d).

이때, 댐(3)은 주입부(2) 하측에 형성되는 용융물의 낙하 영역에 설치되고, 상면이 용융물의 상부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dam 3 is installed in the fall region of the melt formed below the injection portion 2, and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above the melt.

용융물(미도시)은 용강을 포함할 수 있다. 용융물은 운반용기 예컨대 래들(미도시)에 담겨 용융물 처리 장치까지 운반되어, 용기(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주입부(2)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부(2)를 통해 용융물이 용기(1)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물론, 용융물은 용강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The melt (not shown) may comprise molten steel. The melt may be conveyed in a conveying container such as a ladle (not shown) to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disposed above the vessel 1, and connected to the injector 2. The melt may be injected into the container 1 through the injection part 2. Of course, the melt can vary in addition to molten steel.

한편, 용융물의 하부는 용기(1)의 바닥부터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5 배의 높이 미만까지인 구간이다. 또한, 용융물의 상부는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5 배의 높이부터 용융물의 탕면 높이까지인 구간이다. 예컨대 용기(1)의 바닥 높이가 0 이고, 용융물의 탕면 높이가 1 이면, 0 부터 0.5 미만까지의 높이가 용융물의 하부이고, 0.5 이상부터 1 까지의 높이가 용융물의 상부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rt of the melt is a s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to less than 0.5 times the height of the melt surface height. The upper part of the melt is a section from a height of 0.5 times the height of the melt surface to the melt surface height of the melt. For example, if the bottom height of the container 1 is 0, and the melt surface height of the melt is 1, the height from 0 to less than 0.5 is the lower portion of the melt, and the height from 0.5 or more to 1 is the upper portion of the melt.

여기서, 용융물의 탕면 높이는 연속주조 공정 중의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 용기(1)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용융물의 높이를 의미한다. 예컨대 용융물의 탕면 높이를 용강 레벨 또는 탕면 레벨이라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정상 상태는 용기(1) 내부에서의 용융물 흐름에 대한 정상 상태를 의미한다.Here, the melt surface height of the melt refers to the height of the melt formed at a constant height in the container 1 in a steady state during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For example, the melt surface height of the melt may be referred to as a molten steel level or a melt surfac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teady state means a steady state with respect to the melt flow inside the vessel 1.

주입부(2)는 용융물이 통과 가능한 내화물 노즐로서, 쉬라우드 노즐일 수 있다. 주입부(2)는 머니퓰레이터(미도시)에 장착되고, 머니퓰레이터의 상승에 의해, 상단의 개구가 운반용기의 콜렉터 노즐(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주입부(2)는 용기(1)의 일측에 배치되고, 용기(1)의 바닥에서 이격되고, 하단의 개구가 용기(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용융물 중에 침지될 수 있다.The injection unit 2 is a refractory nozzle through which the melt can pass, and may be a shroud nozzle. The injection part 2 is mounted in a manipulator (not shown), and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can be coupled to the collector nozzle (not shown) of the container by the raising of the manipulator. The injection part 2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an opening at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1, and at least a part thereof can be immersed in the melt.

주입부(2)의 하측에 용융물의 낙하 영역(이하, 낙하 영역)이 형성된다. 낙하 영역은 주입부(2)를 통과하여 용기(1)내에 주입된 용융물이 가장 먼저 통과하는 영역이다. 낙하 영역에서는 주입부(2)로부터 낙하 공급된 용융물이 용기(1)의 바닥에 충돌한 후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바닥을 따라 소정의 속도로 유동할 수 있다. 이후, 낙하 영역에서 멀어지면서 용융물의 속도가 차츰 줄어들고, 용융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를 가지고 정상적인 흐름 속도로 유동할 수 있다.The falling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lling region) of the melt is formed below the injection portion 2. The drop region is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melt injected into the container 1 passes through the injection section 2 first. In the dropping region, the melt supplied by dropping from the injection unit 2 may collide wit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and flow at a predetermined speed along the bottom with relatively high energy. The speed of the melt then gradually decreases away from the drop zone, and the melt can flow at normal flow rates with relatively low energy.

낙하 영역은 용기(1)의 바닥상에 형성되며, 그 중심(c)이 주입부(2)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 방향의 중심축(미도시)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낙하 영역의 크기 예컨대 일 방향의 너비는 주입부(2)의 내경의 크기에 비례한다. 주입부(2)의 내경이 커지면 주입부(2)의 내경에 비례하여 낙하 영역의 크기도 커진다. 여기서, 주입부(2)의 내경은 주입부(2)의 하단의 개구를 기준으로 한 내경이고, 일 방향은 용기(1)의 연장 방향으로서, 주입부(2)에서 배출구(1c)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dropping regio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and its center c is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a vertical axis (not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injection portion 2. The size of the drop region, for example, the width in one dir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section 2.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ion 2 increases, the size of the drop region also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ion 2.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art 2 is an inner diameter based on the opening of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part 2, and one direction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tainer 1, and is directed from the injection part 2 toward the discharge port 1c. Direction.

일 방향으로의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 끝단과 중심(c) 간의 거리는 주입부(2)의 내경(d)의 2.5 내지 5 배일 수 있다. 낙하 영역에서는 용융물이 소정 범위의 속도로 활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낙하 영역의 용융물은 의미 있는 속도를 가진다.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end of the falling region in one direction and the center c may be 2.5 to 5 times the inner diameter d of the injection part 2. In the drop zone, the melt can actively flow at a predetermined range of speeds. The melt in the drop zone has a significant velocity.

이때, 용융물이 의미 있는 속도를 가진다는 것은 용융물이 댐(3)과 충돌하여 범람한 후 하강하는 대신에 상승류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낙하 영역에서의 용융물 흐름은 용기(1)내의 용융물 전체 유동의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 같은 점에서 낙하 영역은 상당히 의미 있는 영역이다. 한편, 낙하 영역을 탕유부라고도 한다.In this case, the melt having a meaningful speed means that the melt has a speed enough to form an upward flow instead of falling after colliding with the dam 3 and flooding. The melt flow in the drop zone can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entire melt flow in the vessel 1, in which the drop zone is a significant area. On the other hand, a falling area is also called a hot water part.

용기(1)는 내부에 용융물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융물 주입부(2)가 배치되고, 타측에 용융물 배출구(1c)가 형성된다. 용기(1)는 예컨대 턴디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턴디시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방형의 턴디시일 수 있다.The container 1 has a melt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 melt injecting portion 2 is disposed at one side thereof, and a melt discharge port 1c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container 1 may for example comprise a tundish. In this case, the tundish may be a rectangular tundish extending in one direction.

용기(1)는 일 방향과 일 방향에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바닥, 바닥의 테두리의 양측 장변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 양 측벽(1d), 및 바닥의 테두리의 양측 단변을 따라 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폭 방향 일 측벽(1a) 및 폭 방향 타 측벽(1b)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2)는 상대적으로 폭 방향 일 측벽(1a)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배출구(1c)는 상대적으로 타 측벽(1b)의 부근에 형성된다. 용기(1)의 바닥은 타측 높이가 일측의 높이보다 낮은 계단 형상일 수 있다.The container 1 has a rectangular bottom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crossing one direction, each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both long sides of the edge of the bottom, and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widthwise sidewalls 1a and widthwise other sidewalls 1b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s along the both side short sides of the edge of the bottom and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jection portion 2 is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one side wall 1a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scharge port 1c is formed rela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side wall 1b.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may have a step shape in which the other height is lower than the height of one side.

바닥, 길이 방향 양 측벽(1d), 폭 방향 일 측벽(1a) 및 폭 방향 타 측벽(1b)에 의하여 용융물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길이 방향 양 측벽(1d)은 타 방향으로 대향하고, 폭 방향 일 측벽(1a) 및 폭 방향 타 측벽(1b)은 일 방향으로 대향한다.The mel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y the bottom, both side walls 1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wall 1a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wall 1b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side walls 1d face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ne side wall 1a and the width direction other side wall 1b face in one direction.

바닥의 일측에 주입부(2)가 배치되되 바닥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용기(1)의 상부에 주입부(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의 타측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출구(1c)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1)의 하측에서 배출구(1c)를 관통하여 배출 노즐(미도시) 예컨대 침지 노즐이 설치되고, 침지 노즐의 하부를 감싸 주형(미도시)이 배치된다. 배출구(1c)는 슬라이드 게이트(미도시)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며, 용융물을 주형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주형은 용융물을 주편으로 응고시킬 수 있다.The injection part 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ttom but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ottom, and the injection part 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1. In addition, the outlet 1c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ischarge nozzle (not shown) such as an immersion nozzle is provid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c under the container 1, and a mold (not shown) is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immersion nozzle. The opening 1c may have an opening degree controlled by a slide gate (not shown), and may discharge the melt into the mold. The mold may solidify the melt into the slabs.

주형의 하측에 냉각대(미도시)가 설치된다. 냉각대는 주형에서 연속하여 인발되는 주편을 냉각 및 압하하며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대를 통과한 주편은 절단부(미도시)에서 절단되고, 압연 설비로 이송되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후처리 설비로 이송될 수 있다.A cooling stand (not shown) is provided below the mold. The cooling stand can perform a series of forming operations while cooling and depressing continuously cast pieces in the mold. The cast steel passing through the cooling stand may be cut at the cutting unit (not shown), and may be transferred to a rolling facility, or may be transferred to various post-treatment facilities depending on the use.

용기(1)는 주형(미도시)으로의 용융물 공급량을 조절 및 분배하는 기능과, 용융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 예컨대 철정압을 감소시키는 기능 및 용융물의 유동 제어를 통해 개재물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개재물의 제거를 위해 용기(1)의 바닥에 댐(4)이 설치된다. 댐(4)은 용융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용융물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융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슬래그 및 개재물을 용융물의 상면 예컨대 탕면으로 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용융물의 상면으로 부상된 슬래그와 개재물이 용융물에서 분리됨에 따라, 주형으로 개재물과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vessel 1 has a function of adjusting and dispensing a melt supply amount to a mold (not shown), a function of reducing a pressure such as iron static pressure by the load of the melt, and controlling the flow of the melt to remove the inclusions to improve cleanliness. Perform the function. At this time, the dam 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to remove the inclusions. The dam 4 serves to control the flow of the melt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melt, thereby causing the slag and inclusions contained in the melt to ri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lt, for example the hot water surface. As the slag and inclusions floating up the top of the melt are separated from the melt, incorporation of the inclusions and slag into the mold can be minimized.

댐(3)은 일면이 주입부(2)를 직접 마주보도록 주입부(2)와 배출구(1c) 사이에 위치하고, 용기(1)의 바닥에 설치되며,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 방향 양 측벽(1d)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연결된다. 댐(3)은 주입부(2)로부터 용기(1)로 공급되어 바닥을 따라 흐르는 용융물의 흐름을 용기(1)의 상부로 상승시킬 수 있다.The dam 3 is positioned between the injection part 2 and the discharge port 1c so that one surface thereof directly faces the injection part 2,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and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both side w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extended. It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faces of (1d). The dam 3 may be supplied from the inlet 2 to the vessel 1 to raise the flow of melt flowing along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vessel 1.

댐(3)의 일면은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댐(3)의 양 측면 중 폭 방향 일 측면(1a)과 주입부(2)를 향하는 면이다. 댐(3)의 타면은 상술한 댐(3)의 양 측면 중 폭 방향 타 측벽(1b) 및 배출구(1c)를 향하는 면이다. 이때, 댐(3)의 일면을 전면이라 하고, 댐(3)의 타면을 배면이라 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dam 3 is a surface facing the side surface 1a and the injection portion 2 in the width direction am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dam 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urface of the dam 3 is the surface which faces the other side wall 1b and the discharge port 1c of the width direction among the both sides of the dam 3 mentioned above. In this case, one surface of the dam 3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am 3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surface.

댐(3)의 일면이 주입부(2)를 직접 마주보도록 주입부(2)와 배출구(1c) 사이에 위치한다는 것은 댐(3)과 주입부(1) 사이에는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별도의 구조물에는 위어 및 보조 댐 등을 포함하는 각종 벽체, 임팩트 패드와 같은 용기 및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진 각종 구조물 등이 있다. 즉, 댐(3)과 주입부(2) 사이에는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댐(3)은 일면이 주입부(2)를 직접 마주볼 수 있다. 댐(3)이 주입부(2)를 직접 마주보고 설치됨에 의하여 낙하 영역으로 공급된 용융물이 방해 없이 댐(3)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용융물이 바닥에 낙하한 이후 가장 먼저 댐(3)에 충돌하여 상승류가 형성될 수 있다.The fact that one side of the dam 3 is located between the injection part 2 and the discharge port 1c so as to directly face the injection part 2 means that no separate structure is installed between the dam 3 and the injection part 1. Means that. Here, the separate structures include various walls, including weirs and auxiliary dams, containers such as impact pads, and various structures having various shapes. That is, since no separate structure is installed between the dam 3 and the injection unit 2, one side of the dam 3 may directly face the injection unit 2. By installing the dam 3 directly facing the inlet 2, the melt supplied to the drop zone is directly affected by the dam 3 without disturbing and the flow can be controlled. In other words, after the melt falls to the bottom, the first impact may occur on the dam 3 to form an upward flow.

이때, 낙하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융물이 가진 운동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용융물의 상승류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댐(3)은 낙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낙하 중인 용융물과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도록, 댐(3)은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낙하 영역내의 용융물과 마주보도록 타 방향으로 설치된다. 댐(3)은 이러한 설치 위치에서 용기(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용기(1)의 바닥을 따라 흐르는 용융물과 가장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즉, 댐(3)은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부에서 낙하 영역내의 용융물에 직접 노출되며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직접 접촉한다는 것은 용융물이 예컨대 별도의 구조물에 먼저 접촉하여 흐름이 제어되기 전에 용융물과 댐(3)이 우선하여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낙하 영역내에는 댐(3)만 형성되므로 낙하 영역내의 용융물은 용기(1)의 바닥과 측벽들을 제외하고는 댐(3)과 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momentum of the melt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drop zone, the dam 3 may be installed in the drop zone to effectively induce an upward flow of the melt. At this time, the dam 3 is provided in the other direction so as to face the melt in the falling region at the edge of the falling region so as to avoid direct collision with the falling melt. The dam 3 may first contact the melt flowing alo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in th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1 to the other side in this installation position. In other words, the dam 3 is directly exposed to the melt in the falling zone at the edge of the falling zone and can be in direct contact. In this case, direct contact means that the melt and the dam 3 preferentially contact before the melt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eparate structure, for example, and the flow is controlled. Of course, since only the dam 3 is formed in the drop zone, the melt in the drop zone may be in contact with the dam 3 exclusively except for the bottom and sidewalls of the container 1.

한편, 댐(3)은 타면이 배출구(1c)측의 폭 방향 측벽(1b)을 직접 마주볼 수 있다. 즉, 댐(3)과 배출구(1c) 사이에도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처럼 용기(1)의 내부에는 하나의 댐(3)만 설치되고, 용융물은 하나의 댐(3)에 의해서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for the dam 3, the other surface can directly face the width direction side wall 1b by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c. That is, no separate structure is installed between the dam 3 and the outlet 1c. As such, only one dam 3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 and the melt may be controlled by one dam 3.

댐(3)의 일면과 주입부(2) 사이의 거리는 낙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낙하 영역의 크기가 커질수록 댐(3)의 일면과 주입부(2) 사이의 거리(L)가 멀어질 수 있다. 이때, 댐(3)의 일면과 주입부(2) 사이의 거리는 주입부의 내경(d)의 2.5 배 내지 5 배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댐(3)의 적어도 일면이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댐(3)은 상면이 용융물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용기(1)의 일측 부근의 바닥을 기준으로, 댐(3)의 상면 높이(H)는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5배 내지 0.75배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댐(3)의 상면 높이가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5 배 미만이면 원활한 상승류를 형성할 수 없고, 용융물이 탕면까지 넓은 면적으로 상승하기 어렵다.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75배를 초과하면 용융물의 탕면에 상승류가 넓게 퍼지는 것을 오히려 댐(3)이 방해할 뿐 아니라, 특히, 댐(3)의 상면 높이가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0.75배를 초과하면, 용융물이 현재의 탕면레벨보다 상승하여 오버플로우 되어 용기(1)의 외부로 흘러 넘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dam 3 and the injection portion 2 may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alling region. As the size of the falling area increases, the distance L between one surface of the dam 3 and the injection part 2 may be increased.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dam 3 and the injection portion 2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2.5 times to 5 times the inner diameter (d) of the injection portion. Thu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am 3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falling region. The dam 3 may have an upper surface at the top of the melt. Based on the bottom near one side of the container (1), the upper surface height (H) of the dam (3)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0.5 to 0.75 times the height of the melt surface. If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am 3 is less than 0.5 times the height of the molten metal of the melt, a smooth upward flow cannot be formed, and the melt hardly rises to the large surface of the molten metal. If the melt surface exceeds 0.75 times the height of the melt, the dam 3 will not only prevent widespread upflow of the melt surface, but in particular, the top surface of the dam 3 will exceed 0.75 times the melt surface height. In this case, the melt may rise above the current level of the hot water surface and overflow to flow out of the container 1.

상기에서 설명한 용융물 처리 장치를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라고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면서, 댐(3)에 형성되는 관통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called a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a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dam 3 whil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관통구는 댐(3)의 하부에 형성되고, 용기(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벽이 용기(1)의 바닥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am (3), is formed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1 to the other side, the inner wall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1)내에 댐(3)만 설치하되, 그 설치 위치를 낙하 영역 가장자리부로 하고, 상면을 용융물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1) 내부 프로파일을 설계하고, 용융물의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낙하 영역에서부터 상승류를 만들 수 있고, 용기(1)내에 정체 영역이 10% 미만이 되도록 용융물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종래 대비 개재물 제거 효율을 5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어의 미사용에 따른 내화물 제작 비용 감소와, 용강 제조 원가 저감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댐 구조를 예컨대 극청정강 제조를 위한 정체 영역 10%미만의 턴디시 댐 구조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dam 3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which is the edge of the falling region, and the upper surface is positioned above the melt. By designing the inner profile of the vessel 1 and controlling the flow of the mel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an upward flow from the drop zone and induce a flow of the melt so that the stagnant region in the vessel 1 is less than 10%. In this way, the inclusion removal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50% or m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refractory due to the non-use of the weir, and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molten steel. The dam structure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tundish dam structure of less than 10% of the stagnation area for producing ultra-clean steel, for exampl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가 용융물의 정체 영역을 줄여 개재물 제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용융물의 상면에 도달하는 상승류를 넓게 분포시킬 수 있음을 비교 예들과 대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s that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idely distribute the upward flow re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elt while reducing the stagnant region of the melt to improve inclusion removal ability.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유동 평가를 위한 모델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유동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유동 평가 결과에서 도출된 용융물의 유동 특성의 정량적 수치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ling structure for the flow evaluation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low evaluation result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quantitative value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melt derived from the flow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는 연속주조 공정에 있어 댐의 형상과 설계치에 따라 용융물 중의 개재물을 극력 저감하기 위한 장치로, 용기(1)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을 구축한 후, 유동 특성을 분석하여 용기(1)의 내부 형상 이를테면 댐(3)의 형상과 설계치를 최적의 프로파일로 설계한 것이다.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ducing the inclusions in the melt as much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design value of the dam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after building the structure in various forms inside the container (1), flow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the internal shape of the container 1, such as the shape and design value of the dam 3, is designed with an optimal profile.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모델링 구조이고, 이때, 댐(3)의 상면 높이는 용융물 탕면 높이의 2/3인 예컨대 600mm일 수 있다. 도 1의 (b)는 제1비교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모델링 구조로, 용기(1)내에 일체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다. 도 1의 (c)는 주입부(2) 직하에 임팩트 패드(4)가 설치된 제2비교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모델링 구조이고, (d)는 낙하 영역에 상면의 높이가 40mm로 낮은 보조 댐(5)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관통구를 구비하는 댐이 설치된 제3비교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모델링 구조이다. 이때, 제3비교 예에서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댐이 주입부(2)를 직접 마주보도록 설치되지 않는다. 이때, 관통구를 구비하는 댐의 상면 높이는 용융물 탕면 높이의 1/2인 450mm 이고, 설치 위치는 낙하 영역의 외측이다. 한편, 제1실시 예의 댐(3)과 구분되도록 이하부터는 관통구가 구비된 댐을 도면부호 3'로 지칭한다.1 (a) is a modeling structure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dam 3 may be, for example, 600mm, which is 2/3 of the melt surface height. FIG. 1B is a modeling structure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no integral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1. FIG. 1C is a modeling structure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impact pad 4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injection unit 2, and (d) is an auxiliary surface having an upper surface of 40 mm having a lower height in the drop region. It is a modeling structure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e 3rd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dam 5 is provided and the dam provided with the through-hole is provided in the back. At this time, in the third comparative example, a dam having a through hole is not installed to directly face the injection unit 2.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dam provided with the through-hole is 450 mm, which is 1/2 of the height of the melt surface,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outside the drop zone. On the other han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dam 3 of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a dam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s referred to as 3 '.

도 1의 (e)는 본 발명의 제4비교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모델링 구조로서 낙하 영역내에 보조 댐(5)만 설치된다. 도 1의 (f)는 본 발명의 제5비교 예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모델링 구조로서 낙하 영역에서 멀리 벗어나 주입부(2)보다 배출구(1c)측에 더 가깝도록 예컨대 낙하 영역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1500mm인 위치에 보조 댐(5)이 설치된다. 한편, 도 1의 모델링 구조들에서 주입구 내경은 160mm로 하였다. FIG. 1E is a modeling structure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the auxiliary dam 5 is provided in the drop zone. Fig. 1 (f) shows a modeling structure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be far from the drop zone and closer to the outlet 1c side than the injection section 2, for example from the center of the drop zone. The auxiliary dam 5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where the distance is 1500 mm. Meanwhile, in the modeling structures of FIG. 1, the injection hole inner diameter was 160 mm.

도 2의 (a) 내지 (f)는 순서대로 도 1의 (a) 내지 (f)의 모델링 구조를 가지고 용기(1)의 내부 유동을 수치해석한 결과이다. 제2비교 예를 도시한 (c)의 경우, 용융물의 탕면을 향하는 상승류가 강하게 형성되나, 상승류 도달 면적(A)이 실시예1에 비하여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실시 예를 도시한 (a)의 경우 상승류 도달 면적(A)이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실시 예에서 탕면의 슬래그와 용융물의 개재물의 접촉 기회가 비교예들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다.2 (a) to 2 (f) are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of the internal flow of the container 1 with the modeling structure of (a) to (f) of FIG. In the case of (c) showing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it is confirmed that the upward flow toward the molten surface of the melt is strongly formed, but the upward flow reaching area A is smaller than in Example 1. In the case of (a) of the firs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upflow reaching area A is most widely distributed. Thus, in th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opportunity of contact between the slag of the hot water and the inclusions of the melt increases than the comparative examples.

도 2의 (a)의 실시예1과 (d)의 비교예3을 대비하면, 낙하 영역내에 댐(3)만 설치되어서 댐(3)이 보조 댐(5)보다 용융물과 먼저 접촉해야, 상승류 도달 면적(A)의 증대가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a)의 실시예1과 (e)의 비교예4를 대비하면, 상승류 도달 면적(A)의 증대을 위한 실시예의 댐(3) 높이의 설계치가 상당히 효과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a)의 실시예1과 (d)의 비교예3 및 (f)의 비교예5를 대비하면, 낙하 영역내에 댐(3)이 설치되는 것이 중요함을 볼 수 있다.In contrast to Comparative Example 3 of Embodiments 1 and (d) of FIG. 2A, only the dam 3 is provided in the drop zone so that the dam 3 contacts the melt before the auxiliary dam 5, so that the ri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the flow arrival area A is effective. In contrast to Comparative Example 4 of Embodiments 1 and (e) of FIG. 2A, it can be seen that the design value of the height of the dam 3 in the embodiment for increasing the upflow reach area A is quite effective. In contrast to Comparative Example 3 of Embodiments 1 and (d) of FIG. 2 (a) and Comparative Example 5 of (f),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ortant to install the dam 3 in the falling reg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댐(3)의 구조는 용융물내의 플러그 영역(plug volume)의 증대와 정체 영역(dead volume)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최적화된 프로파일로서, 체류시간분포곡선 그래프를 통해 용융물 중의 개재물 제거능을 평가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dam 3 of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mized profil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plug volume and reducing the dead volume in the melt. The graph can assess the ability to remove inclusions in the melt.

도 3은 도1에서 보여주고 있는 실시예와 비교예들의 모델링 형상에 대한 체류시간분포곡선 그래프를 통해 용융물의 유동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정량적 수치들을 나타낸다.FIG. 3 shows quantitative values for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melt through a residence time distribution curve graph for the modeling shap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hown in FIG. 1.

우선, 체류시간분포곡선은 수모델 실험을 위한 연속주조 설비를 구성한 후, 연속주조 공정의 수모델 실험을 수행하면서, 주입부에 소정량의 실험 용액(염료)을 2 내지 3 초간 주입하고, 배출구에서 시간에 따른 용액의 농도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무차원 시간축상에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First, th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curve constitutes a continuous casting facility for the water model experiment, and then, while performing a water model experiment of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injects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experimental solution (dye) into the injection portion for 2 to 3 seconds, and discharges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over time in the graph is represented on the dimensionless time axis.

즉, 체류시간분포곡선은 유동의 입구측에 염료를 투입했을 때 출구에서 측정되는 무차원 시간에 따른 표준 농도 그래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곡선을 수모델 실험 말고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도 있다. 체류시간분포곡선을 이용해서 예컨대 턴디시의 용량과 내부 형상 변경에 따른 용강의 혼합 정도 및 개재물 분리 부상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curve can be referred to as a standard concentration graph with dimensionless time measured at the outlet when dye is added to the inlet side of the flow. Of course, this curve can be derived using numerical analysis rather than numerical model experiments. Th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curve can be used to determine, for example, the degree of mixing of molten steel and the effects of inclusion separation by varying the capacity and internal shape of the tundish.

도면에서 최소 시간(Min. Time)은 실험 용액의 농도가 최초 검출된 시간이다. 피크 타임(Peak Time)은 실험 용액의 농도가 가장 높을 때의 시간이다. 평균 시간(Mean Time)은 용기(1)의 내용적을 주입부(2)에서의 용융물 주입 유량으로 나눈 값이다. 용융물 주입 유량은 실시예와 비교예들이 모두 같으나, 용기(1)의 내용적은 용기(1)의 내부 프로파일에 따라 각기 다르다.In the figure, the minimum time (Min. Time) is the time at which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solution was first detected. Peak time is the tim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solution is the highest. Mean Time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inner volume of the container 1 by the melt injection flow rate at the inlet 2. The melt injection flow rate is the same for both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contents of the vessel 1 vary depending on the internal profile of the vessel 1.

활성 평균 체류 시간(Active Mean residence time)은 측정된 평균 시간의 무차원 값이 2 이상일때의 곡선의 면적을 평균 체류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활성 영역 분율 또는 활성 체적 분율은 용강의 혼합이 일어나는 영역의 분율로서, 플러그 체적 분율과 믹스드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 정체 영역 분율 또는 정체 체적 분율은 용기내의 용융물의 평균 체류 시간의 두 배의 시간으로 매우 느리게 용융물이 유동하는 영역의 분율이다.The active mean residence time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rea of the curve when the dimensionless value of the measured average time is 2 or more by the average residence time. The active region fraction or active volume fraction is the fraction of the region where the mixing of the molten steel takes place and includes the plug volume fraction and the mixed volume fraction. The stagnant zone fraction or stagnant volume fraction is the fraction of the zone where the melt flows very slowly, twice as long as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the melt in the vessel.

예컨대 턴디시내의 용강 체적은 액티브 볼륨과 데드 볼륨으로 구분되는데, 액티브 볼륨은 용강의 혼합이 일어나는 영역이고, 데드 볼륨은 혼합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이다. 액티브 볼륨은 플러그 볼륨과 믹스드 볼륨으로 나뉘는데, 플러그 볼륨은 용강이 동일 속도 유동으로 파이프 유동을 하며 층간 혼합은 이루어지지 않고 유동 방향 즉, 가로 방향의 혼합이 전 영역에서 일어난다. 믹스드 볼륨은 혼합이 최대가 되는 영역으로 기계적 교반이 일어나는 영역이다. 데드 볼륨은 정체 영역이라고도 하며, 용기 내에서 아주 천천히 움직이며 평균 체류 시간보다 2배의 시간동안 머무는 유체 영역이다. 한편, 도면의 Vp는 플러그 체적 분율을 지칭하고, Vd는 정체 영역 분율을 지칭하며, Vm은 믹스드 체적 분율을 지칭한다.For example, the molten steel volume in the tundish is divided into an active volume and a dead volume. The active volume is an area in which molten steel is mixed, and the dead volume is an area in which no mixing occurs. The active volume is divided into a plug volume and a mixed volume. In the plug volume, molten steel is piped at the same velocity flow, and interlayer mixing is not performed, and the flow direction, that is, the mix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ccurs in the whole region. The mixed volume is the area where the mixing is maximized and where mechanical stirring takes place. Dead volume, also known as stagnant zone, is a fluid zone that moves very slowly in a vessel and stays twice as long as the average residence time. Meanwhile, Vp in the drawing refers to the plug volume fraction, Vd refers to the static region fraction, and Vm refers to the mixed volume fraction.

도면에서 정체 체적 분율이 작을수록 개재물 분리 부상에 유리하고, Vp/Vd값과 Vp/Vm 값이 클수록 개재물 부상 분리에 유리하다. 체류시간분포곡선 및 이로부터 도출되는 유동 특성의 정량적 수치들은 유동 해석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rawing, the smaller the static volume fraction, the more favorable the separation separation inclusion, and the larger the Vp / Vd value and the Vp / Vm value, the more favorable the separation separation inclusion. Since th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curve and the quantitative figure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are well known in the field of flow analys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피크 타임은 플러그 볼륨과 관련되는데, 실시예에서 가장 큰 값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1의 경우가 가장 좋은 결과이다. 정체 영역의 비율을 보면 실시예1과 비교예2가 10% 미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비교예들은 모두 10%를 넘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1과 비교예1을 대비하면, 정체 영역의 저감이 4.7% 내지 5.8% 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재물 제거능 측면에서는 41% 내지 50%의 개재물 제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개재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플러그 볼륨의 분율이 높고, 정체 영역의 분율이 낮아야 하는데, 실시예1과 비교예2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다.The peak time is related to the plug volume, which can be seen to show the largest value in the embodiment. The case of Example 1 is the best result. Looking at the ratio of the stagnant region,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are less than 10%. All other comparative examples can be seen to exceed 10%. In contrast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reduction of the stagnant area is effective to 4.7% to 5.8%. This is the inclusion removal effect of 41% to 50% in terms of inclusion removal 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the inclusions, the plug volume should be high and the retention area should be low.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show the best results.

하지만, 앞서 도 2를 참고할 때, 상승류의 도달 면적도 함께 고려하면, 실시 예의 경우가 비교예2보다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2는 제작이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하며 내구성에 취약점을 가지므로, 실시 예의 경우가 정체 영역을 줄이는 목적에 부합하면서도 구조도 단순하고 상승류도 탕면상에 넓게 분포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However, when referring to FIG. 2 above, considering the arrival area of the upward flow,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se of the embodiment is more effective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2. In addition, Comparative Example 2 has a complicated structure, high cost, and weakness in durability, so that the embodiment can meet the purpose of reducing the congestion area, bu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upflow can be wide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Prov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용융물 처리 장치의 유동 평가를 위한 모델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및 비교 예들에 따른 유동 평가 결과에서 도출된 용융물의 유동 특성의 정량적 수치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유동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eling structure for the flow evaluation of the mel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quantitative value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melt derived from the flow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low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3)의 상면 높이 설계치를 가지고 설치 위치와 개수와 관통구 여부를 바꿔가며 유동 평가를 더 진행하였다.Hereinafter, the flow evaluation was further carried out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number, and whether or not the through hole with the design valu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am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P1은 실시예1에 따른 댐(3) 설치 위치이고, P2는 P1에서 후방으로 거리 L 만큼 이격된 위치이고, P3는 P1에서 후방으로 거리 2L 만큼 이격된 위치이다. 이때, L은 500mm로 정하고 유동 평가를 하였다.In the figure, P1 is a dam 3 install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2 is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P1 by a distance L, and P3 is a position spaced rearwardly by a distance 2L from P1. At this time, L was set to 500 mm and flow evaluation was performed.

도 5의 위치는 댐(3) 설치 위치인데, 예컨대 비교예10과 11의 P1 + P2 는 P1위치와 P2위치에 댐(3)을 모두 설치한 것을 의미한다. 나머지들도 이와 마찬가지로 설치 위치를 나타낸다. 홀 여부는 배출구의 형성 여부를 의미한다.The position of FIG. 5 is a dam 3 installation position, for example, P1 + P2 of the comparative examples 10 and 11 means that the dam 3 was installed in the P1 position and the P2 position. The rest likewise indic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Whether it is a hole means whether the outlet is formed.

도 6의 (a)는 도 5의 실시예1에 대한 용기(1)의 내부 유동의 수치해석 결과이고, (b)는 실시예2에 대한 용기(1)의 내부 유동의 수치해석 결과이다.FIG. 6A is a numerical result of the internal flow of the container 1 for Example 1 of FIG. 5, and (b) is a numerical result of the internal flow of the container 1 for Example 2. FIG.

정체 영역의 값을 보면, 실시예1과 실시예2에서 매우 작은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1과 같이 댐을 구축하되, 배출구를 설치하면 개재물 제거능이 더욱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6 내지 17을 보면 댐을 멀리 설치하거나 낙하 영역 외에도 여러개 더 설치하는 것은 개재물 제거능에 악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용기(1) 내에 하나의 댐을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부에 설치하고 그 상면 높이를 용융물의 상부로 하면, 정체 영역의 크기를 5% 부근으로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면서, 도 6의 (a)와 (b)에 도시한 것처럼 상승류를 탕면의 넓은 영역에 도달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개재물의 극력 적감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value of the congestion region, it can be seen that in Example 1 and Example 2 has a very small value. In other words, the dam is constructed as in Example 1, but when the outlet is installed, the inclusion removal ability is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Comparative Examples 6 to 17, it can be seen that installing the dam far away or installing several more in addition to the drop zone adversely affects the ability to remove inclusions. Thus,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one dam is provided in the edge of the drop zone in the container 1 and its upper surface height is the upper part of the melt, the size of the stagnant zone can be considerably reduced to around 5%. As shown in (a) and (b) of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upward flow can reach a wide area of the hot water surface, and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inclusions is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이 설계된 댐(3)의 설계 인자를 다른 방식으로 더 설명하면, 낙하 영역의 중심(c)과 폭 방향 일 측벽(1a)의 거리는 낙하 영역의 중심(c)과 댐(3)의 일면 사이 거리보다 크고, 낙하 영역의 중심(c)과 댐(3)의 타면 사이 거리보다 작아야 하며, 댐(3)의 일 방향의 너비 예컨대 두께는 50mm 내지 200mm의 범위내여야 한다. 물론, 댐(3)의 상면 높이는 용융물 탕면 높이의 1/2 보다 크고 3/4 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설계치를 가지도록 댐(3)이 설계되었을 때, 정체 영역의 크기가 작으면서 상승류의 분포 면적이 넓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유동 평가 결과와 같이 효과적인 개재물 저감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sign factors of the dam 3 designed as described above are further explaine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 of the falling region and the one side wall 1a in the width direction is the center c of the falling region and the dam 3. It should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one side of the surface, and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 of the falling area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am 3, and the width, for example, the thickness in one direction of the dam 3, should be in the range of 50 mm to 200 mm. Of course, the top height of the dam 3 should be greater than 1/2 of the melt bath height and less than 3/4. When the dam 3 is designed to have such a design value, since the size of the stagnant region is small and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upward flow is large, effective inclusion redu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flow evaluation results is possible.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 같은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for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s and manner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by combining or crossing each other, and such modifications can be regarded a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 technical ideas,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You will understand.

1: 용기 2: 주입부
1c: 배출구 3: 댐
A: 상승류 도달 면적 d: 주입부 내경
1: container 2: injection section
1c: outlet 3: dam
A: Upflow reach area d: Injection part inner diameter

Claims (8)

내부에 용융물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융물 주입부가 배치되며, 타측에 용융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및
일면이 상기 주입부를 직접 마주보도록 상기 주입부와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양 측벽에 연결되는 댐;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측에 상기 주입부가 배치되고 그 타측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하나의 상기 댐이 설치되고,
상기 용기는, 장방형의 바닥, 상기 바닥의 장변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상기 길이 방향 양 측벽, 상기 바닥의 단변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폭 방향 일 측벽 및 폭 방향 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폭 방향 일 측벽 및 상기 댐은 상기 주입부 하측에 형성되는 용융물의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폭 방향 일 측벽과 상기 댐 사이에 상기 낙하 영역의 중심이 위치하고,
상기 낙하 영역의 중심에 상기 주입부의 중심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댐은 상면 높이가 용융물의 탕면 높이의 1/2 보다 크고 3/4 보다 작은 용융물 처리 장치.
A container in which a melt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 melt injection unit is disposed at one side, and a melt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A dam disposed between the injection part and the discharge port so that one surface thereof directly faces the injection part, the dam being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connected to both side w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tain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jection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one dam is installed therein.
The container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the longitudinal sidewalls each extending along a long side of the bottom, a width sidewall extending along the short side of the bottom and the other sidewall in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The width direction one side wall and the dam are provided at the edge end of the falling region of the melt formed below the injection portion,
The center of the fall region is located between the width side wall and the dam,
The center of the injection unit is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enter of the falling area,
Wherein said dam has an upper surface height greater than one half of the melt surface height and less than three quarter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은 타면이 상기 배출구측의 폭 방향 측벽을 직접 마주보는 용융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m is melt processing apparatus that the other surface directly facing the side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하 영역의 크기는 상기 주입부의 내경의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댐의 일면과 상기 주입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낙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는 용융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ze of the drop zone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ion,
And a distance between one side of the dam and the injection portion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alling reg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하 영역의 가장자리 끝단과 상기 주입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주입부의 내경의 2.5 배 내지 5 배의 범위로 형성되는 용융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tance between the edge end of the drop region and the injection portion is in a range of 2.5 to 5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용융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ough-hole formed in the da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상기 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벽이 상기 바닥에 직접 연결되는 용융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am, is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melt processing apparatus that the inner wa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KR1020170169476A 2017-12-11 2017-12-11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KR102033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76A KR102033642B1 (en) 2017-12-11 2017-12-11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CN201880079794.1A CN111448012A (en) 2017-12-11 2018-12-07 Molten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JP2020531030A JP2021505397A (en) 2017-12-11 2018-12-07 Melt processing equipment
EP18888361.5A EP3725430A4 (en) 2017-12-11 2018-12-07 Molten material processing device
PCT/KR2018/015563 WO2019117553A1 (en) 2017-12-11 2018-12-07 Molten material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76A KR102033642B1 (en) 2017-12-11 2017-12-11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093A KR20190069093A (en) 2019-06-19
KR102033642B1 true KR102033642B1 (en) 2019-11-08

Family

ID=6682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476A KR102033642B1 (en) 2017-12-11 2017-12-11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25430A4 (en)
JP (1) JP2021505397A (en)
KR (1) KR102033642B1 (en)
CN (1) CN111448012A (en)
WO (1) WO2019117553A1 (e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8356A (en) * 1979-03-26 1980-10-04 Kawasaki Steel Corp Decreasing method for inclusion in molten steel at continuous cast pouring time
JPS63174764A (en) * 1987-01-12 1988-07-19 Kawasaki Steel Corp Method for preventing molten steel oxidation at casting start in continuous casting
AU699807B2 (en) * 1995-01-26 1998-12-17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SE508311C2 (en) * 1995-08-16 1998-09-21 Mannesmann Ag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ly casting thin metal strips
JPH1094860A (en) * 1996-09-25 1998-04-14 Nippon Steel Corp Tundish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KR100379604B1 (en) * 1996-12-26 2003-07-10 주식회사 포스코 Structure of tundish for guaranteeing manufacture of clean steel during eccentric injection between ladle and tundish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JP3563222B2 (en) * 1997-01-31 2004-09-08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JP3612198B2 (en) * 1997-12-10 2005-0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ntinuous casting tundish
US6074600A (en) * 1999-05-26 2000-06-13 Armco Inc. Modification of tundish dam to minimize turbulence
KR20030044589A (en)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Tundish dam for guiding molten iron
US7611666B2 (en) * 2008-02-07 2009-11-03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mpany Tundish dry vibratable form
EP2193861A1 (en) 2008-12-02 2010-06-09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KR101322395B1 (en) * 2011-10-31 2013-10-29 주식회사 포스코 Tundish
CN103567423A (en) * 2012-07-28 2014-02-12 泰州市旺鑫耐火材料有限公司 Slag stopping wall of tundish
CN202701364U (en) * 2012-08-23 2013-01-30 北京科技大学 Long nozzle continuous casting tundish
KR101481602B1 (en) 2012-12-27 2015-01-12 주식회사 포스코 Continuous casting tundish and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KR20140129895A (en) * 2013-04-30 2014-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KR101526444B1 (en) * 2013-08-22 2015-06-05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eating of melting
CN103990787B (en) * 2014-05-16 2016-07-06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A kind of for removing the device and method of molten steel inclusion in continuous casting production
JP6428307B2 (en) * 2015-01-27 2018-11-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clean steel
EP3338913B1 (en) * 2015-08-17 2020-10-28 Nippon Steel Corporation Annular we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5397A (en) 2021-02-18
EP3725430A4 (en) 2020-12-30
EP3725430A1 (en) 2020-10-21
KR20190069093A (en) 2019-06-19
CN111448012A (en) 2020-07-24
WO2019117553A1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353B2 (en) Distributor for use in a method of casting hot metal
WO201319079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purity steel casting, and tundish
JP551623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cleanliness steel slab by continuous casting
KR20100066893A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KR102033642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JP2018051598A (en) Bottom pouring ingot-making equipment
KR101322395B1 (en) Tundish
JP5206591B2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JP201303500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cleanliness steel cast slab by continuous casting
KR20030044589A (en) Tundish dam for guiding molten iron
JP6818980B2 (en) Bottom pouring ingot equipment
KR20100035821A (en) Tundish
JP2012020315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high-cleanliness steel cast slab by continuous casting
JP5794969B2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JPH04238658A (en) Immersion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KR101981455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aterial
JP2019188425A (en) Tundish
KR100530102B1 (en) Molten steel flow distributing pad for the continuous casting tundish
JP5673162B2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JP3470537B2 (en) Inclusion removal method i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KR20120051410A (en) Block for flowing molten steel and tundish using the same
JPH10328794A (en) Method for removing inclusion i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JP2007054861A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cast slab
KR101615020B1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JPS6343752A (en) Molten metal vessel providing we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