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827B1 - 분리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827B1
KR102032827B1 KR1020147021392A KR20147021392A KR102032827B1 KR 102032827 B1 KR102032827 B1 KR 102032827B1 KR 1020147021392 A KR1020147021392 A KR 1020147021392A KR 20147021392 A KR20147021392 A KR 20147021392A KR 102032827 B1 KR102032827 B1 KR 10203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s
methanol
peak
arginine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238A (ko
Inventor
켄지 하마세
마사시 미타
요우스케 토우조
유키미츠 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4012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2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5/3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33Chiral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01J20/288Polar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Chiral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14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 B01J20/3217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 B01J20/3219Resulting in a chemical bond between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and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e.g. a covalent bond involving a particular spacer or linking group, e.g. for attaching an active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48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53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 cyclic structure not containing any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e.g. aromatic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57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together with at least one silicon atom,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61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together with at least one silicon atom,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 cyclic structure not containing any of the heteroatoms nitrogen, oxygen or sulfur, e.g. aromatic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3Coatings on a core, the core being particle or fiber shaped, e.g. encapsulated particles, coated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3/00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3/18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of substituted ureas
    • C07C273/1854Preparation of urea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of substituted urea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the N-C(O)-N- moi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8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 B01J2220/4812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starting material being of organic charac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8Use in a single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80Aspects related to 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분리제에 있어서,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13

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14

로 표시되는 기가 표면에 도입되어 있다.

Description

분리제 및 그 제조방법{SEPARATING AG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분리제, 분리제의 제조방법, 컬럼(column),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리방법 및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포유류 등 고등동물의 체내에서 다양한 거울상 이성질체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어, 거울상 이성질체 각각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아미노산이 단백질의 구성요소 및 영양원으로서 체내에 다량 존재하는 반면, 그 거울상 이성질체인 D-아미노산은 체내에 미량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D-아미노산을 분석할 때 다양한 펩타이드나 아미노 화합물의 방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분해능이 높은 분석에 사용되는 질량 분석법은,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리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량 분석을 하기 위해 분해능이 높은 광학 분할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형광유도체화한 아미노산을 SUMICHIRAL(등록상표) OA2500S((주)스미카 분석센터 제조)를 이용하여 광학 분할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역상(逆相) 컬럼과 광학 분할용 컬럼을 조합한 2차원 HPLC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미노산의 D체와 L체가 용출하는 순서가 일치하지 않을 뿐 아니라,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558호
"Pirkle 개량 컬럼에 의한 D-아미노산 측정법", [online], (주) 스미카 분석센터, Technical News, TN257, [2012년 1월 28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www.scas.co.jp/analysis/pdf/tn257.pdf>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아미노산 D체와 L체의 용출 순서를 일치시키고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제 및 상기 분리제를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분리제에 있어서, 화학식
[화학식 1]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1
로 표시되는 기(基) 또는 화학식
[화학식 2]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2
로 표시되는 기가 표면에 도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분리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화학식 3]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3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화학식 4]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4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基材)를 축합하는 공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화합물에 있어서, 화학식
[화학식 5]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5
또는 화학식
[화학식 6]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6
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미노산 D체와 L체의 용출 순서를 일치시키고,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제 및 상기 분리제를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시예 1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비교예 1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는 비교예 2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분리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가 표면에 도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미노산 D체와 L체의 용출 순서를 일치시키고,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제의 형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충진제, 연속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분리제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를 축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를 축합하면, 아미드 결합이 형성된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를 축합할 때에, 축합제를 첨가해도 좋다.
축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클로라이드 등의 트리아진계 축합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등의 카르보디이미드계 축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을 생성시킨 후,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와 반응시켜 분리제를 제조하여도 좋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의 형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입자, 연속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입자의 평균 직경은 일반적으로 1~200μm이며, 1~5μm가 바람직하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입자는 다공질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다공질 입자의 평균 구멍 직경은 일반적으로 1~50nm이며, 8~30nm가 바람직하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다공질 입자의 비표면적(比表面積)은 일반적으로 50~800m2/g이며, 100~600m2/g이 바람직하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다공질 입자의 시판품으로는, Mightysil NH2 (토소社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는, 기재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할 수 있는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리카, 실리카겔, 활성탄,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점토 광물, 폴리스틸렌, 스틸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규산 화합물, 폴리메타크릴산, 폴리히드록시메타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아가로오스, 덱스트린, 잔톤(xanthone), 수산아파타이트(hydoroxyapatite),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기재를 질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방법, 기재를 암모니아 플라즈마 처리하는 방법, 기재와 표면 처리제를 반응시키는 방법, 기재를 실리콘 기상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를 질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방법에서는,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기재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한다 (예를 들어,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116-119 (1999) 802-807, Colloids and Surfaces A : Physicochem.Eng.Aspects 195 (2001) 81-95, Macromol.Chem.Phys.200.989-996 (1999) 참조).
기재를 암모니아 플라즈마 처리하는 방법에서는, 암모니아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기재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한다.
기재와 표면 처리제를 반응시키는 방법에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알콕시실란, 클로로실란, 실라잔 등의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가수 분해에 의해 실라놀기를 생성할 수 있는 기, 실라놀기, 반금속 산화물 유래의 히드록실기 및/또는 금속 산화물 유래의 히드록실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한다.
기재를 실리콘 기상 처리하는 방법에서는, 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이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히드로실릴기를 도입한 후, 아미노기를 갖는 알켄을 반응시켜 기재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도입한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공평1-54379호, 특공평1-54380호, 특공평1-54381호 참조).
아미노기를 갖는 알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닐기를 갖는 아민, 아크릴기를 갖는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알켄이 갖는 아미노기는 부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에 의해 보호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아미노기를 갖는 알켄 대신에, 에폭시기 등의, 예를 들어, 디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아미노기를 도입할 수 있는 기를 갖는 알켄을 이용하여도 좋다.
광학 분할 컬럼은 전술한 분리제를 가지나, 충진제가 관에 충진되어 있어도 좋고, 연속 다공체가 관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관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스테인레스강, 수지, 유리, 석영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는 전술한 광학 분할 컬럼을 가지는데,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분리할 수 있는 역상 컬럼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경우, 역상 컬럼을 이용하여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분리한 후, 광학 분할 컬럼을 이용하여 분리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의 D체와 L체를 분리함으로써, 생체 시료 중의 D-아미노산과 L-아미노산의 함유량을 일제히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분리할 수 있는 역상 컬럼을 갖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생체 시료에 포함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떼어낸 후, 전술한 광학 분할 컬럼을 갖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떼어낸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여도 좋다.
또한, 고상(固相) 추출법을 이용하여, 생체 시료에 포함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추출한 후, 전술한 광학 분할 컬럼을 갖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추출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여도 좋다.
아미노산으로는, 비대칭 탄소를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알라닌, 시스테인,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이소로이신, 리신, 로이신,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프롤린, 글루타민, 아르기닌, 세린, 트레오닌, 발린, 트립토판, 티로신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 유도체를 합성할 때 사용되는 시약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플루오로-7-니트로-2,1,3-벤족사디아졸, o-프탈알데히드, 이소티오시안산페닐, 플루오레사민, 단실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분리제, 광학 분할 컬럼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는, 아미노산과 아미노산 유도체 이외에,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분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
L-로이신 520mg, 3,5-디니트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 420mg, 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m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1.5mL를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5mL를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체적비 3:1 인 초산에틸/헥산 혼합용매 6mL로 3회 분액한 후, 수상(水相)에 3N 염산 1.5mL를 추가하였다. 이어서, 초산에틸 10mL로 4회 분액한 후, 유상(油相)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5mL로 1회 분액하였다. 다음으로, 유상(油相)에 황산나트륨을 추가하여 건조시킨 후, 에버포레이터(evaporator)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이어서, 초산에틸 2mL를 가한 후 헥산을 가하여 재결정(再結晶)시켜서, 거친 결정을 얻었다. 다음으로, 거친 결정 150mg에 메탄올 200μL 및 0.1 질량%의 염산 수용액 100μL를 가한 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인 걸리버(일본분코社 제조)를 이용하여 조직을 떼어냈다. 이어서, 에버포레이터를 이용하여, 떼어낸 조직을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초산에틸 35mL로 2회 분액한 후, 유상(油相)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5mL로 1회 분액하였다. 다음으로, 유상(油相)에 황산나트륨을 가하여 건조시킨 후, 에버포레이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이어서, 초산에틸 2mL를 가한 후 헥산을 가하여 재결정시켜서, 무색의 바늘모양 결정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한편,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L-로이신 대신에 D-로이신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1HNMR]
Unity Plus 500 (Varian社 제조)를 이용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메탄올 중의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1 참조).
[화학 순도]
도 1의 1H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화학 순도를 분석했더니, 99% 이상이었다.
[광학 순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인 나노스페이스 SI-2 (시세이도社 제조)를 이용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광학 순도를 분석했더니, 99.8% 이상이었다. 한편,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 SUMICHIRAL(등록상표) OA-3200S (내경 1.5mm, 전장 250mm)
온도 : 25℃
이동상(移動相) : 구연산 0.2mM 메탄올 용액
이동상의 속도 : 200μL/min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다공질 구형 실리카겔 입자의 제조]
평균 입자 직경이 5μm, 평균 구멍 직경이 12.5nm, 비표면적이 300m2/g인 다공질 구형 실리카겔 입자 10g을, 물 15ml와 2-프로판올 15ml의 혼합 용매에 분산시킨 후,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5g을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85℃로 승온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이어서, 메탄올과 증류수로 여과물을 세정한 후 건조시켜서,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다공질 구형 실리카겔 입자를 얻었다.
[충진제의 제작]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0.7g을 물 30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 1.5 몰 당량의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클로라이드를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다공질 구형 실리카겔 입자 1.25g을 추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이어서,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으로 여과물을 세정한 후 건조시켜서 충진제를 얻었다.
[컬럼의 제작]
내경 1.5mm, 길이 250mm의 스테인레스강 관에 충진제를 충진하여 컬럼을 제작하였다.
[아르기닌(Arg)의 D체와 L체의 분리]
아르기닌의 질량비 1:4인 D체와 L체의 혼합물 50pmol을, pH 8.0인 200mM 붕산 나트륨 완충액 (pH8.0) 20μL와, 40mM 4-플루오로-7-니트로-2,1,3-벤족사디아졸의 무수시안화메틸 용액 5μL을 첨가한 후, 60℃에서 2분간 가열하여 형광유도체화하였다. 그런 다음, 0.5 % 트리플루오로초산 수용액 95μL를 첨가하여 측정시료를 얻었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SI-2 (시세이도社 제조)에 컬럼을 장착한 후, 다음 조건에서 측정시료 2μL을 주입하여, 아르기닌(Arg)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온도 : 25℃
이동상(移動相) : 메탄올
이동상의 유속 : 150μL/min
[히스티딘(His)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0.2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7.5/2.5)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히스티딘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프롤린(Pro)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3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70/3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프롤린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알라닌(Ala)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알라닌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발린(Val)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린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알로이소로이신(allo-Ile)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알로이소로이신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이소로이신(Ile)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소로이신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로이신(Leu)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로이신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아스파라긴(Asn)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2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80/2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파라긴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글루타민(Gln)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의 2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80/2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질량비가 1:4인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타민의 질량비가 1:4인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세린(Ser)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85/15)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린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알로트레오닌(allo-Thr)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알로트레오닌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트레오닌(Thr)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2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80/2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트레오닌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메티오닌(Met)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3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70/3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메티오닌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페닐알라닌(Phe)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50/5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닐알라닌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리신(Lys)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50/5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신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아스파라긴산(Asp)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50/5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파라긴산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글루타민산(Glu)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85/15)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루타민산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시스테인(Cys)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5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50/5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테인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티로신(Tyr)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3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70/3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티로신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트립토판(Trp)의 D체와 L체의 분리]
메탄올 대신에 구연산 1mM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체적비 90/10)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아르기닌의 D체 및 L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트립토판의 D체와 L체를 분리하였다.
도 2에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2로부터 모든 아미노산에서 D체가 L체보다 먼저 용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아미노산에서 피크-밸리 비율이 2.0 이상이고 대칭 계수가 4.0 미만이기 때문에,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피크-밸리 비율]
피크-밸리 비율은, D체 유래 피크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를 Hp,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 사이의 높이가 가장 낮은 점(피크의 골짜기)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를 Hv라고 하여, 식 Hp/Hv 로부터 산출하였다 (일본 약전 참조).
[대칭 계수]
대칭 계수는, 피크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의 1/10 높이에서의 피크의 폭을 W, W를 피크의 정점으로부터 기록지의 횡축으로 내린 수선에 의해 이분했을 때의 피크의 상승쪽 거리를 F라고 하여, 식 S = W / (2×F) 로부터 산출하였다.
한편,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은, W로서 피크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의 1/20 높이에서의 피크의 폭이 이용되고 있으나, 비교예 2의 아르기닌 (Arg)에서는, 피크의 골짜기가 피크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의 1/20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W로서 피크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의 1/10 높이에서의 피크의 폭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1)
컬럼으로 SUMICHIRAL(등록상표) OA-2500S (SCAS社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미노산의 질량비가 1:4인 D체와 L체의 혼합물을 분리하였다. 한편, SUMICHIRAL(등록상표) OA-2500S (SCAS社 제조)의 광학 활성 성분은 (S)-1-나프틸글리신이다.
도 3에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프롤린(Pro)은 L체가 D체보다 먼저 용출함에 비해, 프롤린(Pro) 이외의 아미노산은 D체가 L체보다 먼저 용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아미노산에서 피크-밸리 비율이 2.0 이상이고 대칭 계수가 4.0 미만이기 때문에, D체 유래 피크와 L 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컬럼으로 SUMICHIRAL(등록상표) OA-3100S (SCAS社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미노산의 질량비가 1:4인 D체와 L체의 혼합물을 분리하였다. 한편, SUMICHIRAL(등록상표) OA-3100S (SCAS 社 제조)의 광학 활성 성분은 (S)-발린이다.
도 4에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4로부터 모든 아미노산에서 D체가 L체보다 먼저 용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롤린(Pro)의 피크-밸리 비율이 1.6이고 트립토판(Trp)의 피크-밸리 비율이 1.3임에 비해, 프롤린(Pro)과 트립토판(Trp) 이외의 아미노산의 피크-밸리 비율은 2.0 이상이었다. 한편, 아르기닌(Arg)의 대칭 계수가 5.9이고 히스티딘(His)의 대칭 계수가 4.0 임에 비해, 아르기닌(Arg)과 히스티딘(His) 이외의 아미노산의 대칭 계수는 4.0 미만이었다. 따라서, 프롤린(Pro), 트립토판(Trp), 아르기닌(Arg) 및 히스티딘(His)의 D체 유래 피크와 L체 유래 피크의 분해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에 있어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충진제를 제작하면, 모든 아미노산에서 L체가 D체보다 먼저 용출한다.
본 국제출원은 2012년 1월 3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2-018838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국 특허출원 2012-018838의 모든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7)

  1.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7

    로 표시되는 기(基)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8

    로 표시되는 기가 표면에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제.
  2.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09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10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미노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기재를 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기재된 분리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분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5. 제4항에 기재된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6. 제4항에 기재된 컬럼을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법.
  7.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11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4072115319-pct00012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KR1020147021392A 2012-01-31 2013-01-31 분리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32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8838 2012-01-31
JP2012018838 2012-01-31
PCT/JP2013/052256 WO2013115334A1 (ja) 2012-01-31 2013-01-31 分離剤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238A KR20140122238A (ko) 2014-10-17
KR102032827B1 true KR102032827B1 (ko) 2019-10-16

Family

ID=4890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392A KR102032827B1 (ko) 2012-01-31 2013-01-31 분리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66826B2 (ko)
EP (1) EP2811295B1 (ko)
JP (1) JP5977765B2 (ko)
KR (1) KR102032827B1 (ko)
CN (1) CN104081198B (ko)
DK (1) DK2811295T3 (ko)
WO (1) WO2013115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3004B2 (ja) * 2013-06-14 2017-09-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吸着材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システム
JP6296533B2 (ja) * 2013-09-03 2018-03-20 株式会社 資生堂 システイン及びシスチンの定量方法
JPWO2018159841A1 (ja) 2017-03-03 2019-12-26 株式会社 資生堂 新規化合物、当該新規化合物を含む蛍光誘導体化用試薬、並びに当該新規化合物を用いたアミノ酸の光学異性体を光学分割する方法及び蛍光誘導体化されたアミノ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763A (ja) 1984-11-26 1986-11-28 Shiseido Co Ltd 処理粉体の製造方法
JPS63113081A (ja) 1985-07-29 1988-05-18 Shiseido Co Ltd 改質粉体
JP2703904B2 (ja) 1987-08-26 1998-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測定用探針基板
JPH06105286B2 (ja) 1987-08-26 1994-12-21 富士通株式会社 自動試験機能を有する電子回路パッケ−ジ
JPS6454381A (en) 1987-08-26 1989-03-01 Fujikura Ltd Optical fiber magnetic field sensor
US5338529A (en) 1992-04-27 1994-08-16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Recognition and separation of carbon clusters
JP2000074896A (ja) * 1998-08-31 2000-03-14 Sumika Chemical Analysis Service Ltd キラル固定相
JP4291628B2 (ja) 2003-06-12 2009-07-08 株式会社資生堂 液体クロマトグラフ装置及び試料に含まれる光学異性体の分析方法
CN100448881C (zh) * 2006-01-20 2009-01-07 中国农业大学 新型化学键合手性固定相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5116388B2 (ja) * 2007-07-25 2013-01-0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キラル固定相の光学異性体分離能の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bumi Oi 외 3인, Journal of Chromatography A, 689 (1995) 195-201*
Regis Technologis Chromatogarphy Catalog, 2011.08.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1295A4 (en) 2015-11-25
KR20140122238A (ko) 2014-10-17
EP2811295A1 (en) 2014-12-10
CN104081198B (zh) 2017-02-22
US20140378705A1 (en) 2014-12-25
JP5977765B2 (ja) 2016-08-24
DK2811295T3 (da) 2019-05-20
CN104081198A (zh) 2014-10-01
EP2811295B1 (en) 2019-03-13
US9266826B2 (en) 2016-02-23
JPWO2013115334A1 (ja) 2015-05-11
WO2013115334A1 (ja)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9091B1 (en) Separating agent for chromatograph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9154604B (zh) 用于对用两亲强碱性部分改性的聚糖进行分析的带电表面反相色谱材料方法
CN103301822B (zh) 一种极性液相色谱填料及其制备方法
Wen et al. Total synthesis of cyclomarin C
KR102032827B1 (ko) 분리제 및 그 제조방법
JP5914731B1 (ja) 親水性相互作用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及び親水性化合物の分離方法
CN110418795B (zh) 色谱组合物
Marszałł et al. A new approach to determine camptothecin and its analogues affinity to human serum albumin
US20210380503A1 (en) Method for the stereoisomerization of chiral compounds
Lämmerhofer et al. Chiral stationary phases derived from Cinchona alkaloids
Török et al.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enantioseparation of α-substituted glycine analogs on a quinine-based anion-exchanger chiral stationary phase under variable temperature conditions
Schade et al. Efficient synthesis of optically pure Nω-alkylated l-arginines
JP6267009B2 (ja) 光学異性体用分離剤
FI90410C (fi) Optisesti aktiivinen reagenssi ja menetelmä enantiomeeristen primaaristen ja sekundaaristen amiinien määrittämiseksi HPLC:llä
Péter et al. Chromatographic methods for monitoring the optical isomers of unusual aromatic amino acids
Guragain et al. An L-lysine derived organogelator-based stationary phase for mixed-mode liquid chromatography
Li et al. Synthesis and chromatographic properties of a chiral stationary phase derived from bovine serum albumin immobilized on magnesia‐zirconia using phosphonate spacers
WO2021100653A1 (ja) MR1タンパク質およびβ2ミクログロブリンタンパク質の複合体に結合しうる候補物質の捕捉方法、MR1タンパク質およびβ2ミクログロブリンタンパク質の複合体に結合しうる候補物質の製造方法、およびMAIT細胞のリガンド候補物質の製造方法
JPWO2002088048A1 (ja) 多環式構造を有する多糖誘導体よりなる分離剤
CA2571034A1 (en) New chiral columns with broad chiral selectivity
JP2023002911A (ja) 2-(2-オキソ-4-置換ピペラジニル)シクロアルキルカルバメート化合物又はその塩、当該化合物を用いる鏡像異性体の分析方法
JP2000074896A (ja) キラル固定相
RU254317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ногибридного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епара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носителя 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наночастиц металла
KR101089808B1 (ko) 자성 실리카 입자가 부착된 자성 키랄 고정상 및 이를 이용한 광학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
RUAN et al. Brush-type chiral stationary phases and their applications in D-amino acids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