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800B1 -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800B1
KR102032800B1 KR1020180045639A KR20180045639A KR102032800B1 KR 102032800 B1 KR102032800 B1 KR 102032800B1 KR 1020180045639 A KR1020180045639 A KR 1020180045639A KR 20180045639 A KR20180045639 A KR 20180045639A KR 102032800 B1 KR102032800 B1 KR 102032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olded body
rubber molded
housing
rubb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주
Original Assignee
최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주 filed Critical 최기주
Priority to KR102018004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8Thermoform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전 고무블록을 외부 오염물로부터 밀폐하여 보관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도 고무 성형체를 다시 밀폐하여 보관하여, 고무 소재의 변질을 방지하고 성형된 최종 제품의 불량률을 저감하도록 구현한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무블록을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블록 보관부;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로부터 상기 고무블록을 공급받아, 상기 고무블록을 가압 성형하여 고무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제조부; 및 상기 고무 성형체를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보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and keeping molded rubber}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부속부품으로 사용되기 위한 고무 성형체를 제조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부속부품으로서 사용되는 고무 성형체는, 상형과 하형을 가지어 캐비티(Cavity)가 형성된 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형과 하형의 사이에 단위편으로 된 고무블록을 삽입한 후 프레스를 고온 가압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때, 고무 성형체를 성형하는 동안 유압 프레스의 생산성과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형을 다단으로 설치함과 함께 진공 상자내에서 성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07296호(1994.10.19. 공고)는 고무성형용 유압프레스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중간판에 내장설치된 히터와,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열판 및 중간판에 설치된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접점을 상호 연결시켜주기 위한 접속편과 상기 접속편을 진퇴시켜주기 위한 제1실린더와 상기 중간판의 하강을 제어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를 회동시켜주기 위해 링크와 연결 설치된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7726호(2004.04.07. 등록)는 공기제거용 직포를 이용하여 오철 형상의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성형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부 몰드에는 고무제품에 돌설하여 있는 돌출부를 성형할 수 있는 오목부가 복수로 요설하여서 그 위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제거용 직포를 펼쳐놓고, 상기 공기제거용 직포위에는 고무성형물을 중합해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직포의 공극 사이로는 고무성형물이 압출되고, 오목부내의 집적공기는 원사의 미세한 공극으로 배출하여 오목부 내에는 고무성형물이 충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무성형용 프레스 및 고무제품 성형방법은, 성형 전 고무블록이 장시간 방치된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 고무의 재질이 변질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성형이 완료된 후에도 적절한 보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외부의 오염물에 의하여 변질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0729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2772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성형 전 고무블록을 외부 오염물로부터 밀폐하여 보관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도 고무 성형체를 다시 밀폐하여 보관하여, 고무 소재의 변질을 방지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한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고무블록을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블록 보관부;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로부터 상기 고무블록을 공급받아, 상기 고무블록을 가압 성형하여 고무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제조부; 및 상기 고무 성형체를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보관부를 포함하는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무블록이 보관되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로 결합하여, 상기 제1하우징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한 제1밀폐도어; 상기 제1밀폐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실린더; 및 상기 슬라이딩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유압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밀폐도어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밀폐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의 양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1밀폐도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공기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1유압공급기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실린더를 재작동하여 상기 제1밀폐도어를 다시 개폐시키기 위한 제1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밀폐도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와 상기 제1하우징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밀폐도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 판넬; 및 상기 투명 판넬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테두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 성형체 보관부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부로부터 고무 성형체를 공급받아 밀폐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한 제2밀폐도어; 상기 제2밀폐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밀폐도어의 일측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실린더 및 상기 회전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유압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따르면, 성형 전 고무블록을 외부 오염물로부터 밀폐하여 보관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도 고무 성형체를 다시 밀폐하여 보관하여, 고무 소재의 변질을 방지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따르면, 고무블록 보관부 및 고무 성형체 보관부의 도어가 하우징에 어긋나게 닫히는 경우, 상기 도어를 재작동하여 하우징을 완벽하게 밀폐시킴으로써, 외부 오염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고무블록 보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제조부의 하형을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제조부의 상형을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보관부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는, 냉장고의 부속부품으로 사용되기 위한 고무 성형체를 제조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는, 고무블록 보관부(100), 고무 성형체 제조부(200) 및 고무 성형체 보관부(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고무블록 보관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고무블록을 밀폐하여 보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은, 덩어리 형태로 구비되어, 소정의 크기를 가지도록 복수개로 절단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고무블록은, 단위편 형태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무블록은, 성형 전 단계의 고무 소재로서,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제1하우징(110), 제1밀폐도어(120), 슬라이딩 실린더(130) 및 제1유압공급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블록이 보관된다.
상기 제1밀폐도어(120)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로 결합하여, 상기 제1하우징(110)을 밀폐 또는 개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밀폐도어(120)는, 투명판넬(121) 및 테두리 프레임(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판넬(121)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면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면을 덮었을 때에, 그 내부가 육안으로 관찰되도록 한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122)은, 상기 투명판넬(121)의 테두리에 결합하여, 상기 투명판넬(121)의 모서리 부위를 보강한다.
상기 슬라이딩 실린더(130)는, 일측이 상기 제1밀폐도어(120)에 결합하고, 타측이 고정되어, 신축하면서 상기 제1밀폐도어(120)를 슬라이딩 이송시킨다.
상기 제1유압공급기(140)는, 상기 슬라이딩 실린더(13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실린더(130)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상기 제1밀폐도어(120)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밀폐도어(1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120)의 양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1밀폐도어(12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상기 제1감지센서(160)에서 공기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1유압공급기(140)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실린더(130)를 재작동하여 상기 제1밀폐도어(120)를 다시 개폐시키기 위한 제1제어기(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제어기(170)는, 사용자가 상기 제1유압공급기(140)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상기 제1밀폐도어(12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120)와 상기 제1하우징(11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는, 제1밀폐도어가 슬라이딩 구동하여 고무블록을 인출하기에 손쉬우며, 상기 제1밀폐도어가 상기 제1하우징에 어긋나게 닫히는 경우, 자동 재작동하여 상기 제1하우징을 밀폐되도록 폐쇄시킴으로써, 외부 오염물의 침입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제조부의 하형을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제조부의 상형을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제조부로부터 성형된 고무 성형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부(200)는,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100)로부터 상기 고무블록을 공급받아, 상기 고무블록을 가압 성형하여 고무 성형체를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부(200)는, 하부받침대(210), 하금형(220), 상금형(230) 및 덮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받침대(210)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하금형(220)을 받친다.
상기 하금형(220)은, 도 3을 참조하면, 상면에 정렬된 복수개의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면으로 상기 캐비티에 대응하여 고무블록이 안착된다.
상기 상금형(230)은, 상기 하금형(220)에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도 4와 같이 상기 하금형(220)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맞닿으며 상기 하금형(220)에 형성된 캐비티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면에 복수개의 캐비티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240)는 상기 상금형(230)의 상면에 결합하여, 상기 상금형(230)과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받침대(210)의 상측을 덮는다. 상기 덮개(230)의 상면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로 상기 덮개(230)를 들어올리거나 누름으로써, 상기 상금형(230)을 하금형으로부터 떨어뜨리거나 맞닿게 위치시킨다.
도 6은 도 1에서 나타낸 고무 성형체 보관부(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고무 성형체 보관부(300)는,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부(200)로부터 복수개의 고무 성형체를 공급받아 밀폐하여 보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 성형체 보관부(300)는, 제2하우징(310), 제2밀폐도어(320), 회전 실린더(330) 및 제2유압공급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우징(310)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부(200)로부터 고무 성형체를 공급받아 밀폐 상태로 보관한다.
상기 제2밀폐도어(320)는, 상기 제2하우징(310)의 상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2하우징(310)을 밀폐 또는 개방한다.
일 실싱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 및 제2밀폐도어(320)는,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밀폐도어(320)는, 상측에 고정되는 들림부재(3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실린더(330)는 상기 제2밀폐도어(320)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밀폐도어의 일측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상기 제2밀폐도어(320)를 상기 제2하우징(31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실린더(330)는, 상기 들림부재의(32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들림부재(321)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압공급기(340)는, 상기 회전 실린더(330)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 성형체 보관부(300)는, 상기 제2하우징(310)과 상기 제2밀폐도어(32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 성형체 보관부(300)는, 상기 제2감지센서(미도시)에서 공기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2유압공급기(340)를 구동하여 회전 실린더(330)를 재작동하여 상기 제2밀폐도어(320)를 다시 개폐시키기 위한 제2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에 따르면, 성형전 고무블록을 외부 오염물로부터 밀폐하여 보관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도 고무 성형체를 다시 밀폐하여 보관하여, 고무 소재의 변질을 방지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는, 고무블록 보관부 및 고무 성형체 보관부의 도어가 하우징에 어긋나게 닫히는 경우, 상기 도어를 재작동하여 하우징을 완벽하게 밀폐시킴으로써, 외부 오염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고무블록 보관부
110: 제1하우징
120: 제1밀폐도어
130: 슬라이딩 실린더
140: 제1유압공급기
150: 가이드레일
160: 제1감지센서
170: 제1제어기
200: 고무 성형체 제조부
300: 고무 성형체 보관부
310: 제2하우징
320: 제2밀폐도어
330: 회전 실린더
340: 제2유압공급기

Claims (5)

  1. 고무블록을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블록 보관부;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로부터 상기 고무블록을 공급받아, 상기 고무블록을 가압 성형하여 고무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제조부; 및
    상기 고무 성형체를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한 고무 성형체 보관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고무블록이 보관되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로 결합하여, 상기 제1하우징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한 제1밀폐도어;
    상기 제1밀폐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실린더; 및
    상기 슬라이딩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유압공급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성형체 보관부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 성형체 제조부로부터 고무 성형체를 공급받아 밀폐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2하우징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한 제2밀폐도어;
    상기 제2밀폐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밀폐도어의 일측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실린더 및 상기 회전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유압공급기;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2밀폐도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공기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2유압공급기를 구동하여 회전 실린더를 재작동하여 상기 제2밀폐도어를 다시 개폐시키기 위한 제2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밀폐도어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밀폐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밀폐도어의 양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1밀폐도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 보관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공기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1유압공급기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실린더를 재작동하여 상기 제1밀폐도어를 다시 개폐시키기 위한 제1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KR1020180045639A 2018-04-19 2018-04-19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KR102032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39A KR102032800B1 (ko) 2018-04-19 2018-04-19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39A KR102032800B1 (ko) 2018-04-19 2018-04-19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800B1 true KR102032800B1 (ko) 2019-10-16

Family

ID=6842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39A KR102032800B1 (ko) 2018-04-19 2018-04-19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032A (ja) * 1998-07-31 2000-02-15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の連続混練押出し装置
KR100427726B1 (ko) 2001-03-23 2004-04-27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공기제거용 직포를 이용하여 요철 형상의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성형 방법
JP2005096101A (ja) * 2003-09-22 2005-04-14 Toyoda Gosei Co Ltd ゴムの成形加工方法およびゴムの成形加工装置
KR101358149B1 (ko) * 2013-11-08 2014-02-04 맹성호 슬라이딩 도어를 통한 진공 밀폐가 가능한 진공 프레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032A (ja) * 1998-07-31 2000-02-15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の連続混練押出し装置
KR100427726B1 (ko) 2001-03-23 2004-04-27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공기제거용 직포를 이용하여 요철 형상의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성형 방법
JP2005096101A (ja) * 2003-09-22 2005-04-14 Toyoda Gosei Co Ltd ゴムの成形加工方法およびゴムの成形加工装置
KR101358149B1 (ko) * 2013-11-08 2014-02-04 맹성호 슬라이딩 도어를 통한 진공 밀폐가 가능한 진공 프레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7501A1 (en) Method and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a product arranged in a tray
EP1506852A4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IR TIRES
CN104526952B (zh) 用于生产汽车方向盘的聚氨酯发泡模架
US9643243B2 (en) Pressure casting machine
US4521172A (en) Moulding machines
KR102032800B1 (ko) 고무 성형체 제조 및 보관장치
US20190085441A1 (en) Hermetic Sealed Crucible And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The Same
JP3607579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CN207140156U (zh) 一种注塑件废料回收压缩装置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CN214690391U (zh) 一种小体积真空包装机
CN104139493B (zh) 全自动鞋模机械手机构
CN104139494B (zh) 全自动鞋模机械手装置
KR10197356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스윙 밸브
KR20120066427A (ko) 그린타이어의 진공 가류 콘테이너
JPH09183124A (ja) 真空排気機構を有するタイヤ加硫装置とタイヤ加硫方法
TWI581941B (zh) Eva模外真空射出成型方法
JP2007196402A (ja) 射出成形装置の安全扉装置
KR101864008B1 (ko) 타이어 가황용 금형의 컨테이너
KR102387617B1 (ko) 혼합물들의 진공 진동-압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33890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CN220517323U (zh) 一种可快速开模的鞋底模具
CN109454840A (zh) 一种具有自动取料机构的注塑模具
JP3094471U (ja) 真空射出成形機
CN212048144U (zh) 一种真空封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