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137B1 -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137B1
KR102031137B1 KR1020180071490A KR20180071490A KR102031137B1 KR 102031137 B1 KR102031137 B1 KR 102031137B1 KR 1020180071490 A KR1020180071490 A KR 1020180071490A KR 20180071490 A KR20180071490 A KR 20180071490A KR 102031137 B1 KR102031137 B1 KR 102031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camera
unit
cover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윤지홍
이상호
김승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7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21Devices for monitoring linings f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36Repairing linings by projecting or spraying refractory materials on the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27D2021/026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using a video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모니터링 장치는 수평 지지대, 카메라 유닛, 케이블, 및 냉각부를 포함한다. 수평 지지대는 분사 장치의 중앙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메라 유닛은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며, 용광로의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회전부와, 용광로의 내벽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카메라 유닛과 용광로 외부의 영상 모니터를 연결한다. 냉각부는 카메라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커버와, 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며 커버의 내측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용광로 내부의 이물질을 카메라의 바깥으로 밀어낸다.

Description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MONITORING DEVICE FOR INNER SPACE OF FURNACE}
본 발명은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광로 내벽에 부정형 캐스터블을 시공할 때 작업 상황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광로에 철광석과 코크스 및 기타 부원료를 연속으로 장입하면서 용광로의 하부에서 열풍을 공급하면 철광석과 코크스의 환원 반응에 의해 용선이 생산된다. 용광로는 철피와, 철피의 내벽에 부착된 내화물로 구성되고, 내화물은 철광석과 코크스의 마찰 및 고온의 가스 유속에 의해 경년에 따라 마모가 발생한다.
내화물이 손상되면 용광로의 내부 열이 철피에 전달되어 철피의 열변형과 크랙을 유발하므로 정상 조업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부정형 캐스터블 분사 장치를 용광로 내부에 설치하고, 마모가 발생된 내벽에 부정형 캐스터블을 분사하여 시공함으로써 철피의 손상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용광로 상부에서 용광로 내부를 보면서 부정형 캐스터블 분사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런데 용광로 내부에는 다량의 먼지와 코크스 연소에 따른 짙은 연기가 존재하므로 용광로 내부가 잘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용광로 내벽에 부정형 캐스터블이 균일하게 부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광로 내벽에 부정형 캐스터블을 시공할 때 작업자에게 용광로의 내부 상황을 전달하여 부정형 캐스터블이 균일하고 치밀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모니터링 장치는 수평 지지대, 카메라 유닛, 케이블, 및 냉각부를 포함한다. 용광로에는 분사 장치가 설치되며, 분사 장치는 권상기에 매달린 중앙 고정부와, 중앙 고정부에 결합되며 마모된 용광로의 내벽을 향해 부정형 캐스터블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 수평 지지대는 중앙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메라 유닛은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며, 용광로의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회전부와, 용광로의 내벽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수평 지지대와 중앙 고정부 및 권상기를 거쳐 용광로 외부로 인출되며, 카메라 유닛과 용광로 외부의 영상 모니터를 연결한다. 냉각부는 카메라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커버와, 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며 커버의 내측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용광로 내부의 이물질을 카메라의 바깥으로 밀어낸다.
분사 노즐은 제1 회전 구동부에 의해 중앙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고, 수평 지지대는 제2 회전 구동부에 의해 중앙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사 노즐과 카메라 유닛은 중앙 고정부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은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된 유닛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회전부를 매개로 유닛 본체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조명등은 유닛 본체의 상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는 유닛 본체의 하측부와 카메라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며, 아래를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갓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등은 커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 분사부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은 유닛 본체와 커버 사이에서 카메라가 위치하는 아래를 향해 개방된 공기 분사구를 가질 수 있다.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는 용광로 외부에 위치하는 조작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은 제2 회전 구동부와 카메라 유닛 및 냉각부와 무선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2 회전 구동부와 카메라 유닛 및 냉각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분사 노즐은 캐스터블 공급 호스와 연결될 수 있고, 공기 분사부는 공기 공급 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과 캐스터블 공급 호스 및 공기 공급 호스는 가이드 호스로 둘러싸여 용광로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는, 권상기에 설치되어 중앙부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용광로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 가이드 호스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중앙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 롤러 및 제2 가이드 롤러와, 제1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감속기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호스는 제1 가이드 롤러와 제2 가이드 롤러의 오목한 중앙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면 용광로 외부에서 용광로의 내부 상태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고,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부정형 캐스터블의 시공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캐스터블이 균일하고 치밀하게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용광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유닛과 냉각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냉각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이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용광로 내부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용광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용광로(100)는 철피(11)와 내화물(1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화물(12)이 용광로(100) 내부의 고온으로부터 철피(11)를 보호한다. 내화물(12)은 철광석과 코크스의 마찰 및 고온의 가스 유속에 의해 마모되므로, 노벽 보수를 위해 휴지기의 용광로(100)에 분사 장치(20)가 설치되어 마모가 발생한 부위에 부정형 캐스터블을 분사한다.
분사 장치(20)는 와이어(21)에 의해 권상기(13)의 후크(14)에 매달려 용광로(100)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 고정부(22)와, 중앙 고정부(2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노즐 지지대(23)와, 노즐 지지대(23)의 단부에 위치하며 노벽을 향해 부정형 캐스터블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24)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고정부(22)는 권상기(13)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분사 노즐(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노즐 지지대(23)는 회전 구동부(제1 회전 구동부(25))에 의해 회전하며 용광로(100)의 원주 방향에 따른 분사 노즐(2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노즐 지지대(23)는 길이 확장과 축소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용광로(100) 내벽과 분사 노즐(24)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용광로(100) 내부에는 용광로(100)의 상측 내벽과 중앙 고정부(22)를 연결하는 복수의 체인(26)이 설치되어 중앙 고정부(2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부호 27은 분사 노즐(24)로 부정형 캐스터블을 공급하는 캐스터블 공급 호스를 나타낸다. 캐스터블 공급 호스(27)는 중앙 고정부(22) 내부와 권상기(13)를 거쳐 용광로(100) 외부로 인출되며, 부정형 캐스터블 탱크(28)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30)(이하, '모니터링 장치'라 한다)는 분사 장치(20)와 함께 용광로(100) 내부에 설치되며, 분사 노즐(24)이 부정형 캐스터블을 용광로(100) 내벽에 분사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용광로(100) 바깥의 작업자에게 영상을 전송한다.
모니터링 장치(30)는 중앙 고정부(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 지지대(31)와, 수평 지지대(31)의 단부에 결합된 카메라 유닛(32)과, 카메라 유닛(32)과 용광로(100) 외부의 영상 모니터(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34)과, 카메라 유닛(32)에 설치되며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용광로(100) 내부의 이물질을 밀어내는 냉각부(35)를 포함한다.
수평 지지대(31)는 회전 구동부(제2 회전 구동부(36))를 매개로 중앙 지지대(22)에 결합되고,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하거나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회전 구동부(36)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기계 장치로 구성되며, 중앙 지지대(22)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 지지대(31)를 회전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유닛과 냉각부의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카메라 유닛(32)은 수평 지지대(31)의 단부에 결합된 유닛 본체(41)와, 회전부(42)를 매개로 유닛 본체(41)에 결합된 카메라(43)와, 유닛 본체(41)에 설치된 조명등(44)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등(44)은 용광로(100) 내벽에 빛을 제공하며, 카메라(43)는 빛이 제공된 용광로(100)의 내벽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조명등(44)은 유닛 본체(41)의 상측에서 용광로(100) 내벽을 향한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카메라(43)는 회전부(42)를 매개로 유닛 본체(4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4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기계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닛 본체(41)를 회전축으로 하여 카메라(43)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43)의 촬영 범위를 조정한다.
케이블(34)은 용광로(100) 내부의 카메라 유닛(32)과 용광로(100) 외부의 영상 모니터(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케이블(34)은 카메라(43)와 조명등(44)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과, 카메라(43)의 영상 정보를 영상 모니터(33)로 전송하는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34)은 카메라 유닛(32)으로부터 수평 지지대(31)의 내부와 중앙 고정대(22)의 내부 및 권상기(13)를 거쳐 용광로(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31)와 카메라 유닛(32)은 분사 노즐(24)과 별개로 제2 회전 구동부(36)에 의해 중앙 고정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카메라(43)는 분사 노즐(24)과 연계하여 분사 노즐(24)의 캐스터블 시공 과정을 촬영하거나, 분사 노즐(24)의 위치와 관계없이 용광로(100)의 내벽을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부정형 캐스터블 시공 과정에서 용광로(100) 내부는 여전히 고온이고, 다량의 먼지와 코크스 연소에 따른 짙은 연기가 존재한다. 모니터링 장치(30)의 냉각부(35)는 카메라(43) 주위를 냉각시켜 고온에 의한 카메라(43)의 손상을 방지하고, 다량의 먼지와 짙은 연기를 카메라(43) 밖으로 밀어내어 카메라(43)의 시야를 확보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냉각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냉각부(35)는 카메라(43)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카메라(43)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커버(51)와, 커버(51)의 상단에 설치된 고리 모양의 공기 분사부(52)를 포함한다. 공기 분사부(52)는 커버(51)의 내측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53)을 포함한다.
커버(51)는 유닛 본체(41)의 하측부와 카메라(43)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유닛 본체(4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아래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갓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등(44)은 커버(51)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커버(51)의 상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노즐(53)은 서로간 거리를 두고 공기 분사부(5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유닛 본체(41)와 커버(51) 사이에서 카메라(43)가 위치하는 아래를 향해 개방된 공기 분사구를 가진다. 공기 분사부(52)는 공기 공급 호스(54)를 통해 용광로(100) 외부의 압축 공기 탱크(55)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압축 공기를 제공받는다.
공기 분사부(52)는 카메라(43) 작동 시 압축 공기를 제공받아 복수의 노즐(53)에서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분사된 압축 공기 흐름은 풍속 냉각 효과에 의해 카메라(43) 주위를 냉각시키고, 용광로(100) 내부의 먼지와 짙은 연기를 카메라 바깥으로 밀어내어 카메라의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분사 장치(20)의 캐스터블 공급 호스(27)와 카메라 유닛(32)의 케이블(34) 및 냉각부(35)의 공기 공급 호스(54)는 중앙 고정부(22)로부터 권상기(13)를 향해 상승하고, 권상기(13)에 구비된 이송 장치(60)를 통해 용광로(100) 바깥으로 인출된다.
이송 장치(60)는 용광로(10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이송 장치(60A)와, 용광로(100) 외부에 위치하는 제2 이송 장치(60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송 장치(60A)는 후크(1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이송 장치(60B)는 수평 방향으로 제1 이송 장치(60A)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송 장치(60A, 60B)는 중앙 고정부(22) 하강 시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를 용광로(100) 내부로 이송하고, 중앙 고정부(22) 상승 시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를 용광로(100) 바깥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이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제2 이송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제1 이송 장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제1 이송 장치(60A)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이격된 제1 가이드 롤러(61) 및 제2 가이드 롤러(62)와, 제1 가이드 롤러(61)의 회전축에 설치된 감속기(63) 및 구동 모터(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요성(flexible) 가이드 호스(70)가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를 완전히 둘러싸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1, 62)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1, 62)는 중앙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호스(70)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1, 62)의 중앙부에 밀착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1, 62)의 오목한 중앙부는 가이드 호스(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가이드 롤러(61)의 일단과 제2 가이드 롤러(62)의 양단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모터(64)는 중앙 고정부(22) 하강 시 제1 가이드 롤러(61)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호스(70)를 용광로(100) 내부로 이송하고, 중앙 고정부(22) 상승 시 제1 가이드 롤러(61)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호스(70)를 용광로(100) 바깥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가이드 호스(70) 없이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가 나란히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1, 62)에 밀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이송 과정에서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면서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61, 62)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반면, 가이드 호스(70)가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를 완전히 둘러싸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케이블(34)과 두 개의 공급 호스(27, 54)는 가이드 호스(70)와 제1 및 제2 이송 장치(60A, 60B)에 의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중앙 고정부(22)의 높이 변화에 연동하여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용광로(100) 외부에는 영상 모니터(33)와 더불어 제1 및 제2 조작 패널(81, 82)이 위치한다. 제1 조작 패널(81)은 분사 장치(20)와 무선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분사 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2 조작 패널(82)은 모니터링 장치(30)와 무선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되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링 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용광로 내부의 사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30)를 이용하면 용광로(100) 외부에서 용광로(100)의 내부 상태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고, 분사 노즐(24)에서 분사되는 부정형 캐스터블의 시공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캐스터블이 균일하고 치밀하게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용광로 11: 철피
12: 내화물 13: 권상기
14: 후크 20: 분사 장치
24: 분사 노즐 30: 모니터링 장치
31: 수평 지지대 32: 카메라 유닛
33: 영상 모니터 34: 케이블
35: 냉각부 36: 제2 회전 구동부
60: 이송 장치

Claims (9)

  1. 용광로 내부에서 권상기에 매달린 중앙 고정부와, 제1 회전 구동부에 의해 중앙 고정부에 결합되며 마모된 용광로의 내벽을 향해 부정형 캐스터블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사 장치가 설치된 용광로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제2 회전 구동부에 의해 상기 중앙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며, 용광로의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회전부와, 용광로의 내벽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 지지대와 상기 중앙 고정부 및 상기 권상기를 거쳐 용광로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과 용광로 외부의 영상 모니터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카메라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커버와, 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며 커버의 내측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용광로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카메라의 바깥으로 밀어내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중앙 고정부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수평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된 유닛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회전부를 매개로 상기 유닛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등은 상기 유닛 본체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닛 본체의 하측부와 상기 카메라의 상측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며, 아래를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갓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부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서 상기 카메라가 위치하는 아래를 향해 개방된 공기 분사구를 가지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광로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회전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냉각부와 무선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회전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상기 냉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패널을 더 포함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캐스터블 공급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분사부는 공기 공급 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캐스터블 공급 호스 및 상기 공기 공급 호스는 가이드 호스로 둘러싸여 상기 용광로의 외부로 인출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 고정부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상기 용광로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 상기 가이드 호스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중앙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 롤러 및 제2 가이드 롤러와, 제1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감속기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호스는 상기 제1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 가이드 롤러의 오목한 중앙부에 밀착되는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KR1020180071490A 2018-06-21 2018-06-21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KR102031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490A KR102031137B1 (ko) 2018-06-21 2018-06-21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490A KR102031137B1 (ko) 2018-06-21 2018-06-21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137B1 true KR102031137B1 (ko) 2019-10-11

Family

ID=6821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490A KR102031137B1 (ko) 2018-06-21 2018-06-21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370A (ja) * 1994-03-25 1995-10-13 Sumitomo Metal Ind Ltd 窯炉内溶射補修部の観察窓装置
JPH07316614A (ja) * 1994-05-18 1995-12-05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JPH11302711A (ja) * 1998-04-23 1999-11-02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KR100629408B1 (ko) * 2005-04-15 2006-09-28 조선내화 주식회사 고로 노벽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370A (ja) * 1994-03-25 1995-10-13 Sumitomo Metal Ind Ltd 窯炉内溶射補修部の観察窓装置
JPH07316614A (ja) * 1994-05-18 1995-12-05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JPH11302711A (ja) * 1998-04-23 1999-11-02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KR100629408B1 (ko) * 2005-04-15 2006-09-28 조선내화 주식회사 고로 노벽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057B1 (ko) 텔레비젼 모니터를 갖는 원격제어 방출장치
US3917170A (en) Mobile refractory gunning apparatus
WO2006056350A1 (en) Device for distrubuting material into a furnace
JP2018021922A (ja) 検査および修理モジュール
ITMI20012052A1 (it) Procedimento per la capitazione e l'abbattimento delle polveri volatili
KR102031137B1 (ko) 용광로 내부 모니터링 장치
WO2013107078A1 (zh) 一种高炉炉顶溜槽布料器
JPH07316614A (ja)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IT201900003401A1 (it) Macchina per la pulitura di camere di rigenerazione di forni, particolarmente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di vetro.
JPH11279606A (ja)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US4860422A (en) Rebuilding of the stack, bosh and hearth of a blast furnace using a remote controlled refractory gunning device
CN209144183U (zh) 一种机械臂式的高炉炉顶点火装置
US48802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ning a refractory lined vessel
JPH0618226Y2 (ja) 炉内壁吹付け補修装置
KR101987654B1 (ko)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CN218465873U (zh) 一种吊装式烘烤器及具有该吊装式烘烤器的rh真空罐
JPH11302711A (ja)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US4875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ning blast furnace
JPS6028651Y2 (ja) 高炉炉壁損傷部の補修装置
US47935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ning blast furnace
CN113124687B (zh) 一种碳化硅冶炼炉用粉料出料车
JPS6029585A (ja) 耐火物の熱間吹付け補修装置
CN113751235B (zh) 一种应用于高炉耐火材料自动喷补机器人
JPS5935558Y2 (ja) 高炉熱間炉壁補修装置
KR100405640B1 (ko) 고로 노벽 보수장비의 스프레이 노즐 수평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