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83B1 -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83B1
KR102029383B1 KR1020170106515A KR20170106515A KR102029383B1 KR 102029383 B1 KR102029383 B1 KR 102029383B1 KR 1020170106515 A KR1020170106515 A KR 1020170106515A KR 20170106515 A KR20170106515 A KR 20170106515A KR 102029383 B1 KR102029383 B1 KR 10202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dium
rotating shaft
media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593A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7010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가 진입되는 매체 이송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매체를 이송시키는 제1 롤러, 제1 롤러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 롤러와의 사이에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하고, 제1 롤러와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됨에 따라 자신의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제2 롤러의 어느 일부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제2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클리닝부는 제2 롤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도록 제2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 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기기는 매체의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매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롤러가 마련되는데, 롤러는 매체를 이송시키다, 매체에 묻은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어, 이송되는 타 매체에 이물질을 옮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롤러의 축이 회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발력을 제공하여, 롤러를 매체 측으로 가압하여, 롤러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가 진입되는 매체 이송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매체를 이송시키는 제1 롤러, 제1 롤러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 롤러와의 사이에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하고, 제1 롤러와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됨에 따라 자신의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제2 롤러의 어느 일부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제2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클리닝부는 제2 롤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도록 제2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와 접촉되게 구비된 클리닝부에 의하여,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부는 롤러의 축이 회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발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롤러를 매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롤러가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금융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매체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및 2 롤러 사이에 매체가 진입 시, 클리닝부가 제2 롤러를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기기(1)는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융기기(1)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 획득부는 통장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장을 인식하기 위한 통장 처리 모듈(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 획득부는 카드의 입출이 가능하고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처리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객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근거리 통신,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융기기(1)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융기기(1)는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의 고객정보 획득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매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매체 처리 장치 제어부와,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듈은 하부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하부 모듈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이 연결되지 않고 다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입출금부(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금부(12,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매체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및/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매체 수납공간은 구획부재에 의해서 다수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입출금부(12,13)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및 상품권과 같은,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금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매체는 낱장 또는 번들 단위로 입출금부(12,13)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매체가 낱장 또는 번들 단위로 입출금부(12,13)로 방출될 수 있다.
또는, 입출금부(12,13) 내에서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 공간과 매체가 인출되는 인출 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입출금부가 독립적인 매체 인입 모듈과 매체 인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감별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별 모듈은 매체의 입금 거래 과정, 출금 거래 과정 등에서 매체의 권종, 두께, 금액 등을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기 위한 일시 집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시 집적 모듈은 고객이 매체를 금융기기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입출금부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할 수 있다.
일시 집적 모듈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 보관부로 이송될 수 있다. 또는 일시 집적 모듈은, 입출금부로 이송될 매체를 일시 집적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보관부는, 다수의 매체 보관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매체 보관 모듈(16)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 모듈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폐 보관 모듈 및 수표 보관 모듈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매체 보관부는 지폐 보관 모듈 만 또는 수표 보관 모듈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다수의 매체 보관 모듈은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표 보관 모듈이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보충회수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충회수 모듈에는 매체 보관부에 보충할 매체 및 매체 보관부로부터 회수된 매체 중 하나 이상의 매체가 보관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는 회수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 모듈에는, 매체의 입금 거래 과정, 매체의 출금 거래 과정, 매체의 보충 과정 및 매체의 회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에서 불량 매체인 것으로 판단된 매체가 회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출금부로 인출되었으나, 고객이 미수취한 매체 및/또는 감별 모듈에서 불량 매체로 판단된 매체 또는 감별 모듈에서 미인식된 매체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처리 장치는 금융기기에 수표 입/출금 기능이 포함 될 경우, 입출금부로부터 이송된 입금 수표가 회수되는 입금 수표 회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금 수표는 금융기기를 운용하는 은행에서 발행된 자행 수표와 다른 은행으로부터 발행된 타행 수표가 구분되어 회수될 수 있다. 입금 수표 회수 공간은 회수 모듈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회수 모듈 내에 구획된 공간에 구분되어 집적될 수도 있다. 회수 모듈 및/또는 수표 회수 공간은 계원 또는 관리자 등이 도어를 개방시켜 회수 모듈 및/또는 수표 회수 공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금융기기의 최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처리 장치에서는 입금을 위해 투입된 매체 또는 출금을 위해 방출될 매체가 각각의 모듈들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를 이송시키는 롤러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롤러들 사이에 진입되는 매체의 두께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 도 2는 도 1의 매체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 및 2 롤러 사이에 매체가 진입 시, 클리닝부가 제2 롤러를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전술한 바와 같이, 금융기기(1)는 입출금부(12,13), 매체 처리 장치(100)를 포함하며, 매체 처리 장치(100)는 매체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입출금부(12,13)에 입금된 매체나 출금되는 매체 또는 입출금부(12,13)에 입금된 후에 반송되는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에 구비된 롤러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100)는 제1 롤러(110), 제2 롤러(120), 클리닝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롤러(110)는 매체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롤러(110)는 매체가 진입되는 매체 이송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롤러(120)는 제1 롤러(11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롤러(110)와의 사이에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120)의 외측에는 회전축(130)이 배치되어, 회전축(130)을 따라 제2 롤러(120)는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120)는 자신의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롤러(110)쪽 또는 제1 롤러(110)의 반대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롤러(120)는 제1 롤러(110)와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될 시, 제2 롤러(120)는 제1 롤러(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롤러(120)는 자신의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시, 회전각도는 매체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매체가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 사이에 진입되기 전이나, 통과 후에는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가 맞닿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120) 및 제1 롤러(110)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될 시, 제2 롤러(120)는 제1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제2 롤러(120)의 축이 회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클리닝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의 외주면에 간섭되게 접촉될 수 있으며, 제2 롤러(12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금융기기에 매체가 투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면서, 이물질이 묻은 매체에 의하여, 롤러에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매체에 의하여, 롤러에 이물질이 부착되게 되면, 이송라인을 이동하는 다른 매체에 이물질이 전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매체를 이송시키는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클리닝부(150)가 긁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후술할 브래킷(160)에 고정되는 일단부(151)와, 타단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타단부(152)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제2 롤러(120)를 제1 롤러(110)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120)와 접촉되어 회동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도록, 제2 롤러(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레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140)는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140)의 일단부(141)에는 제2 롤러(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레버(140)와, 제2 롤러(120)는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될 시, 제2 롤러(120)는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클리닝부(150)는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제2 롤러(120)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제2 롤러(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로 진입되는 매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레버(140)의 회전 각도는 커지게 될 수 있으며, 레버(140)와 연결된 제2 롤러(120)가 제1 롤러(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클리닝부(150)는 레버(140)와 연결된 제2 롤러(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보다, 제2 롤러(120)를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브래킷(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160)에 클리닝부(150)의 일단부(151)는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160)에 고정되지 않은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롤러(120)를 제1 롤러(110)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매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 롤러(110), 제2 롤러(120), 클리닝부(150), 브래킷(160)은 케이스(180)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80)는 매체 이송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매체가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180)에 홀(181)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브래킷(160)은 레버(14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30)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140) 및 제2 롤러(1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시, 브래킷(160)에 고정된 클리닝부(150)에 의하여, 제2 롤러(120)가 제1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려는 것을 저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의 축이 회전축(130)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대하여,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롤러(120)를 기준으로 제1 롤러(110)의 반대쪽에서, 제2 롤러(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슬라이딩되게, 제2 롤러(120)의 외주면에 간섭되게 접촉되어, 이물질을 긁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에 의하여, 제2 롤러(120)는 제1 롤러(110)측으로 눌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및 2 롤러 사이에 매체가 진입 시, 클리닝부가 제2 롤러를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클리닝부(150)는 회전축(130)에 수직한 평면에 클리닝부(150)를 투영했을 때를 기준으로, 클리닝부(150)는 회전축(130)과 브래킷(1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매체가 진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축(130), 제2 롤러(120)가 자전하는 제2 자전축(121), 브래킷(160)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전축(121)은 회전축(13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30)과 브래킷(160)은 제2 롤러(120)를 기준으로 제1 롤러(110)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일예로, 롤러(110,120)들 사이에 매체가 진입될 시, 제2 자전축(121)이 회동하는 제1 방향 측에 브래킷(1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브래킷(160)에 구비된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를 기준으로 제1 롤러(110)의 반대쪽인 영역에 중심이 위치하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원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원호 형상이라 함은, 개략적인 원호 형상일 수 있다. 클리닝부(150)의 일단부(151)에서 타단부(152)가 곡면 형상이면 모든 만족한다.
일예로, 클리닝부(15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120)와 접촉되어야 함으로, 열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PET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가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 사이에 진입되기 전이나, 통과 후에는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가 맞닿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될 시,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자전축(121)이, 제2 자전축(121)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롤러(110)가 자전하기 위한 제1 자전축(111)을 향해 가압시키도록, 제2 롤러(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전축(121)과, 제1 롤러(110)가 자전하기 위한 제1 자전축(111)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면에 수직한 동일 수직선 상을 기준으로, 제1 자전축(111)과, 제2 자전축(12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과 20~60°의 각도를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클리닝부(150)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탄성에 의한 변형되는 각도가 20~60°일 수 있다.
일예로, 수직선을 기준으로, 클리닝부(150)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브래킷(160)을 기준으로, 탄성에 의한 변형되는 각도가 20~60°일 수 있다.
일예로, 수직선과, 클리닝부(150)의 일단부(151)와 연결된 브래킷(160)은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클리닝부(150)의 일단부(151)와 연결된 브래킷(160)을 기준으로,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까지의 각도는 20~6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110,120)들 사이에 매체가 진입 시,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롤러(120)와 접촉되어 회동될 수 있다.
제1 자전축(111)과, 제1 자전축(111)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자전축(121)을 경유하는 직선이 최단거리를 형성하도록 클리닝부(150)의 타단부는 제2 롤러(12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직선과 만나는, 제2 롤러(120)의 외주면의 영역 근처에 접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로부터 제2 자전축 및 제1 자전축(111,121)은 일직선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자전축(121)이 회동하려는 방향에 대하여, 반발력을 제공하여, 제2 롤러(120)의 상부 영역을 가압하여, 제1 롤러(1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롤러(120)에 슬라이딩되게 접촉되어, 제2 롤러(120)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자전축(111)과, 제2 자전축(121)을 경유하는 직선의 길이가 길게 될 시, 매체의 두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없어, 클리닝부(150)의 타단부는 제2 롤러(120)에 접촉되게 마련되어, 제2 자전축(12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롤러(110)측으로 제2 롤러(120)를 가압하여, 매체에 밀착시킴으로써, 매체를 빠르게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150)는 제2 롤러(12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2 롤러(120)를 제1 롤러(110)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전술한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로 진입되는 매체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일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레버(140)의 타단부(14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레버(140) 타단부(142)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매체가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 사이에 진입되기 전이나, 통과 후에는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가 맞닿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에, 1 롤러와 제2 롤러(120)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될 시, 제2 롤러(12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클리닝부(150)의 타단부는 제2 롤러(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이격은 매체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으며, 매체 두께에 따라, 레버(140)의 타단부(14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레버(140) 타단부(142)의 위치 변화를 통하여,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두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 사이로 매체가 지나가면 그 두께만큼 제2 롤러(120)가 도면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며, 제2 롤러(120)를 회동시키는 회전축(130)과 연결된 레버(140)의 타단부(142)는 도면의 우측방향을 향해, 매체의 두께만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센서(미도시)는 매체가 이송라인을 따라 2장 이상이 겹쳐서 지나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의 센싱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매체가 2장 이상이 겹쳐서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매체가 겹쳐 지나갔는지와, 두께가 일반 매체와 다른 이상매체의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부(150)는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로 매체가 진입될 시, 제2 롤러(120)를 제1 롤러(110)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롤러(1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는, 진동이 감쇄됨으로써,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에 이동하는 매체의 두께 산출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매체를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묻은 제2 롤러(120)가 회전할 시, 클리닝부(150)의 타단부(152)는 제2 롤러(120)와 접촉간섭을 함으로써, 제2 롤러(12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클리닝부(150)에 의하여, 제2 롤러(120)에 이물질이 없는 채로, 제1 롤러(110)측으로 접촉시켜,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및 2 롤러(110,120)는 매체에 밀착되어 매체를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120)의 사이에 이동하는 매체의 두께 산출이 보다 정확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100: 매체 처리 장치
110: 제1 롤러 120: 제2 롤러
130: 회전축 140: 레버
150: 클리닝부 160: 브래킷

Claims (11)

  1. 매체가 진입되는 매체 이송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로 상기 매체가 진입됨에 따라 자신의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의 어느 일부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2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로 상기 매체가 진입되는 중에 상기 제2 롤러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서 상기 매체의 두께 산출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매체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클리닝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매체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롤러가 자전하기 위한 제2 자전축, 및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로 상기 매체가 진입되는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2 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롤러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 상기 클리닝부를 투영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브래킷의 사이이며, 또한 상기 제2 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롤러의 반대쪽인 영역에 중심이 위치하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원호 부분을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가 자전하기 위한 제1 자전축과 상기 제2 자전축은, 지면에 수직한 동일 수직선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클리닝부는,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과 20~60도의 각도를 형성하게 배치되는, 매체 처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롤러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2 롤러의 외주면에 간섭을 통해 슬라이딩 접촉되는 매체 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고정된 일단부와,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1 롤러가 자전하기 위한 제1 자전축과, 상기 제1 자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롤러가 자전하기 위한 제2 자전축을 최단거리로 경유하는 직선이 상기 제2 롤러의 외주면과 만나는 영역에 접촉되는 매체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고정된 일단부와,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롤러가 자전하기 위한 제2 자전축이, 상기 제2 자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가 자전하기 위한 제1 자전축을 향해 가압되게, 상기 제2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매체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로 상기 매체가 진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 및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로 진입되는 매체의 두께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레버의 타단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9. 삭제
  10. 매체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매체나 출금되는 매체 또는 상기 입출금부에 입금된 후에 반송된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매체 처리 장치는,
    상기 매체가 진입되는 이송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로 상기 매체가 진입됨에 따라 자신의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의 어느 일부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2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로 상기 매체가 진입되는 중에 상기 제2 롤러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서 상기 매체의 두께 산출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금융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며, 회전하는 상기 레버의 변화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는 금융기기.
KR1020170106515A 2017-08-23 2017-08-23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KR10202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15A KR102029383B1 (ko) 2017-08-23 2017-08-23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15A KR102029383B1 (ko) 2017-08-23 2017-08-23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93A KR20190021593A (ko) 2019-03-06
KR102029383B1 true KR102029383B1 (ko) 2019-10-08

Family

ID=6576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15A KR102029383B1 (ko) 2017-08-23 2017-08-23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732B (zh) * 2020-09-15 2021-07-23 南京郦碗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便于存钞的金融电子用智能取款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6421A (ja) * 2008-12-22 2010-07-01 Oki Electric Ind Co Ltd ローラの異物除去装置
JP2015043150A (ja) 2013-08-26 2015-03-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異物除去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17004382A (ja) 2015-06-12 2017-01-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厚さ検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512B1 (ko) * 2010-04-23 2011-12-19 엘지엔시스(주) 매체두께 감지장치 및 금융 자동화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6421A (ja) * 2008-12-22 2010-07-01 Oki Electric Ind Co Ltd ローラの異物除去装置
JP2015043150A (ja) 2013-08-26 2015-03-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異物除去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17004382A (ja) 2015-06-12 2017-01-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厚さ検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93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2515B2 (ja) 自動取引装置
US9135788B2 (en) Check cashing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TWI403983B (zh) Pape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783061B2 (en) Storing information concerning suspect currency notes received in an ATM
JP5322770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9295132A (ja) 自動取引装置
JP5187157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JP2012068794A (ja) 自動取引装置
KR102029383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US8561888B1 (en) Check cashing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JP6004928B2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の取扱方法
JP2012003519A (ja) 紙幣取扱装置
KR10176250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10072287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의 현금회수방법
JP5630521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880453B1 (ko) 금융 기기
JP6825415B2 (ja) 硬貨鑑別装置及び現金処理装置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2950B1 (ko)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424927B1 (ko) 금융기기, 지분제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92478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KR101932189B1 (ko) 매체 입금장치 및 금융기기
JP6495159B2 (ja) 媒体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