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257B1 -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257B1
KR102028257B1 KR1020170161389A KR20170161389A KR102028257B1 KR 102028257 B1 KR102028257 B1 KR 102028257B1 KR 1020170161389 A KR1020170161389 A KR 1020170161389A KR 20170161389 A KR20170161389 A KR 20170161389A KR 102028257 B1 KR102028257 B1 KR 10202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rts
weight
atopic dermatiti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820A (ko
Inventor
강선혜
Original Assignee
강선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혜 filed Critical 강선혜
Priority to KR102017016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2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여 외부 자극에 대해 쉽게 반응하는 유소아의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천연 식물 추출물 및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위치하젤수를 포함함으로써 아토피 질환에 우수한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가지며 타 제품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보습력 및 보습 지속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dressing foa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에 관한 것이다.
태열은 유소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하는데 급성기에는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좁쌀처럼 돋거나 작은 물집이 잡히거나 습하고 딱지가 않는 등의 증상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가렵고 피부가 딱딱하게 되거나 두꺼워지거나 비늘처럼 일어나게 되고 탈색되는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따라서 만성 아토피 질환으로 발전되기 전 유소아기의 태열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토피 질환(태열)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는 만성의 염증성 피부상태를 나타내는 피부 질환으로 대게 유소아기간에 나타나 어른이 되어서도 지속되거나 일생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유소아기간에 주로 아토피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를 도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어린이의 10-20% 그리고 어른의 1-3%의 유발율을 보이며, 이러한 유발율은 지난 30년간 2-3배 증가하였고, 최근에는 성인에서도 유발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아토피 질환으로 인해 불면, 정서장애, 학습장애 및 사회적 활동의 어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유전적인 요소와 함께 면역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유발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는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특히 아토피 질환은 보통 2개월~3세때 극성을 부리다가 12~13세쯤 그 증상이 거의 사라지게 되는데 17~18세에 갑자기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학계에서는 이를 성인 아토피라고 부르고, 성인 아토피는 17~18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30대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30대 이후에는 자연적 면역능력이 생기며 대부분 증세는 사라진다.
또한 아토피 질환의 70-80%를 차지하는 외인성 피부염은 IgE 관련 면역 기전에 의해 발생 되는데, 이 경우 T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성 면역 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부위에는 대식세포, Th 림프구, 비만세포 등 면역관련 세포의 침윤이 크게 증가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혈중 IgE의 농도가 높은데 이는 Th2 세포의 수가 증가하며 이 세포가 분비한 IL-4, 13 등 Th2 사이토카인의 B 림프구 자극을 통해 IgE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특히 초기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IL-4, IL-13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성인 아토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피부의 보습, 피부염 치료를 위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국소 면역 조절제와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된다. 또한 피부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하는 알레르겐과 같은 자극 물질 등을 피하며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를 시행하나, 이런 치료방법들은 유소아에게 적용하기 힘들 수 있다.
원인과 발생에 있어 유소아 아토피는 성인 아토피와 차이를 보인다. 유소아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외부 자극에 쉽게 반응하므로 2~3개월의 유아는 볼, 귀등 이후에 팔과 다리, 팔꿈치 안쪽 등에 주로 아토피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진물, 딱지, 고름 등의 증상을 보이며 기관지 천식이나 비염 등이 동반이 되기도 한다.
현재 아토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종래 특허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35374호 "번데기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및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42938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78488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등 다수의 특허출원이 존재하나 대부분 성인 아토피에 초점이 맞추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면역력이 약한 2~3개월에 발생하는 태열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하기에는 자극적인 부분들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여 유소아에게 자극없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35374호 "번데기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및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42938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78488 "발효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목적은 아토피 질환에 널리 사용되는 석유 등에서 만들어져 유소아용 보습제 오일로 많이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 등 자극성이 있는 원료들을 사용하지 않고, 유소아의 태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아토피 질환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중에 나와있는 유소아용 아토피 질환 완화용 피부 외용제 중 바르는 로션타입의 치료제는 보습효과가 오래 가지 않아 환부가 다시 건조되어 질환이 확대되거나 치료나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제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환부에 장시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제에 키위씨 오일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드레싱제를 피부로부터 제거할 때 통증이나 상처 없이 부드럽게 떼어지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Hydrolyzed Milk Protein) 및 위치하젤수(Witch Hazel Water)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귀리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망종화 추출물, 흑호두나무 추출물, 별꽃 추출물, 연교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8~10중량부, 캐모마일 추출물 8~10중량부, 귀리 추출물 3~8중량부, 에키네시아 추출물 1~2중량부, 서양톱풀 추출물 1~3중량부, 망종화 추출물 1~3중량부, 흑호두나무 추출물 1~2중량부, 별꽃 추출물 2~3중량부, 연교 추출물 3~8중량부, 오리나무 추출물 3~8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1~2중량부, 위치하젤수 20~30중량부 및 물 20~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하젤수는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무수 또는 함수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위치하젤수,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키위씨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귀리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망종화 추출물, 흑호두나무 추출물, 별꽃 추출물, 연교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드레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여 외부 자극에 대해 쉽게 반응하는 유소아의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천연 식물 추출물 및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위치하젤수를 포함함으로써 아토피 질환에 우수한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가지며 타 제품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보습력 및 보습 지속력을 나타낸다.
도 1은 유소아기간에 주로 아토피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드레싱제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드레싱제 및 타사 제품을 적용하였을 때의 알레르기 반응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싱제 및 타사 제품을 적용하였을 때의 보습 지속력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드레싱제 및 타사 제품을 적용하였을 때의 보습력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드레싱제를 아토피 질환에 적용한 결과로서 아토피 질환의 완치는 물론 아토피 질환 증세의 부분적 완치, 호전 및 경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드레싱제를 아토피 질환에 적용한 결과로서 아토피 질환 증세를 억제 또는 차단함으로써, 질환이 사전에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및 위치하젤수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귀리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망종화 추출물, 흑호두나무 추출물, 별꽃 추출물, 연교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은 항 염증 작용을 나타내므로 건조한 습진, 염증성 피부 발진, 찰과상 기타 상처 치료에 사용 되며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유소아 제품에도 사용이 되는 원료이다.
상기 캐모마일 추출물, 바람직하게 캐모바일 꽃 또는 잎 추출물의 주성분은 알파 비사보롤(a-Bisabolol), 알파 비사보롤 옥사이드 A, B, C, 매트리신 (matricin)등이 있고 다른 활성 성분들은 바이오 플라보노이드와 케르세틴을 하유하고 있는데 이ㄹ한 성분들이 항염작용에 도움을 준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와 류코트리엔 합성으로 염증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중 알파 비사보롤(a-Bisabolol)과 아피게닌(apigenin)은 사이클로옥시지나제(cyclooxygenase)와 리폭시게네이스(5-lipooxygenase )활성을 억제하였고, 카마아줄렌 (chamazulene)은 리폭시게네이스(5-lipooxygenase)만을 억제한다. 유독성을 줄인 피부염 외용제에서는 캐모마일을 함유한 연고가 0.1% 하이드로코티손을 포함한 연고보다 효과적이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임상에서 중증 아토피 질환 환자에게 2주간 캐모마일이 함유된 치료제를 사용 한 결과 홍반, 가려운증 등의 증상완화가 0.5% 하이드로코티손 함유 치료제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상기 귀리 추출물, 바람직하게 귀리짚 추출물에는 다당류 베타 글루칸과 이산화규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베타 글라칸은 면역력 강화를 이산화규소는 피부와 피하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높은 글루텐과 점액으로 풍부한 에몰리언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조한 피부, 가려움, 염증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며, 미국에서는 발진 및 일광 화상과 대상 포진 등의 가려운 피부에 많이 적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카페 인산 유도체의 일종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보고에 의하면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농도 2%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부환경에 의한 피부 노화 및 피부색, 기미, 주근깨 등과 같은 피부 현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황성산소종이 소거 효과가 우수하였고, B16 melanoma 세포 내에서 tyrosinase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 시키고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염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ndin)과 류코트리엔(Leukotriene)을 생성하는 효소 사이클로옥시지나제(cyclooxygenase)와 리폭시게네이스(5-lipooxygenase)활성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상기 서양톱풀 추출물의 주 성분은 비타민 A, B 복합체, C 그리고 바이오 프라보노이드, 콜린, 철, 이노시톨, 마그네슘,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휘발성유, 쿠마린, 락톤, 아미노산, 스테롤, 플라보노이드, 타닌, 사포닌, 살리실산, 당, 사이아니딘 등으로 되어 있으며, 상처 치유, 수렴, 항염 등의 효과가 있고 열을 내리게 하는 성질이 있다.
상기 망중화 추출물의 주성분은 타닌, 류코안토시아니딘(Leucoanthocyanidin), 테르펜(terpene)유의 주성분인 피넨(pinene), 카로틴(carotin), 루틴(rutin), 하이페로시드(hyperosode), 케르세틴(quercetin)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프로스타그라딘 (Prostagladin-E2 / PEG2)를 억제하는 성질이 있다.
상기 흑호두나무 추출물의 탄닌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수렴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비듬과 두피 가려움, 화상, 피부 가려움증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별꽃 추출물은 오일성 또는 수성 및 화장용으로 수용 가능한 유기용대 추출물로 피부 재생 조성물로 사용된다. 높은 아미노산 함량으로 항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습진, 발진, 과민반응, 염증 등을 치료하는 외용제에 사용된다.
상기 연교 추출물은 lgE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이 발현에 핵심적인 NFAT, AP-1, NE-kB의 신호전달 기전을 차단하여 IL-13, IL-5, GM-CSF, IL-4, TNF-α로 인한 아토피 염증반응을 조절한다고 하여 연교의 악티게닌(actigenin)은 사이토카인(cytokine)의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의 억제 기전인 JAK-STAT 신호 및 염증 유발 물질인 NO, PGE2, TNF-α, IL-1β, IL-6의 발현을 억제, 대장의 점액 조직의 구조손상을 감소시키고 IFN-γ의 분비를 줄여 장의 염증을 개선한다고 보고된다.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의 주성분으로는 루페논(lupenone), L-아미린(L-amyrin), 베타-아미린(β-amyrin), 글루테놀(glutenol), 타락세롤(taraxerol), 베툴린산 (betulinic acid) 등 여러 종류의 트리테로페노이드(triter- penoid) 외에 베타-시토스테롤 (β-sitosterol), 헤프타코산(heptacosane), 지방족 알코올, 피로카테콜(pyrocathechol)계 탄닌 함유하고 있다. 최근 연구보고 [오리나무유래 디아릴헵타노이드 허수테논의 T 세포활성억제 및 항아토피 효능연구_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5, No. 4, pp. 508~514 (2013)] 에 따르면 오리나무로부터 수 종의 다이어리헵타노이드 (diarylheptanoid compounds) 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들 중히르수테논 (hirsutenone - HST)에서 우수한 항아토피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은 알레르기 반응을 줄일 수 있도록 우유에서 얻어진 카제인 K를 레닌으로 가수분해시켜 당단백질을 단리 정제한 다음 분무 건조하여 제조되며, 이는 피막형성제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튼튼하게 하며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위치하젤수를 함유한 크림을 중증 아토피 질환 환자 72명에게 사용하는 임상실험에서 피부의 박리, 가려움증, 태선화 등의 중상감소가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8~10중량부, 캐모마일 추출물 8~10중량부, 귀리 추출물 3~8중량부, 에키네시아 추출물 1~2중량부, 서양톱풀 추출물 1~3중량부, 망종화 추출물 1~3중량부, 흑호두나무 추출물 1~2중량부, 별꽃 추출물 2~3중량부, 연교 추출물 3~8중량부, 오리나무 추출물 3~8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1~2중량부, 위치하젤수 20~30중량부 및 물 20~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아토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의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며, 보습력 및 보습 지속력 또한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물 추출물 및 위치하젤수의 유효 효과 및 함유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18998053-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하젤수는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유소아에게 상기 조성물을 적용 시 불필요한 피부 자극 등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무수 또는 함수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유소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추출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드레싱제, 연고제, 크림제, 로숀제, 액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및 스프레이제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위치하젤수,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키위씨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귀리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망종화 추출물, 흑호두나무 추출물, 별꽃 추출물, 연교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드레싱제를 제공한다.
상기 드레싱제는 유소아의 아토피 질환이 있는 환부, 예를 들어 양쪽볼, 무릎, 팔꿈치 안쪽 및 바깥쪽에 부착되어 아토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 기재는 본 발명의 내용 및 효과에 관한 일 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의 제조
실시예 1-1.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유소아의 태열치료를 위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열수 추출된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9.2g, 캐모마일 꽃/잎 추출물 8.5g, 귀리짚 추출물 4.25g, 에키네시아 추출물 1g, 서양톱풀 추출물 1g, 망종화 추출물 1g, 흑호두나무 추출물 1g, 별꽃 추출물 2g, 연교 추출물 6g, 오리나무 추출물 6.5g,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1.5g를,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오가닉 위치하젤수 및 일반 증류수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 58.05g에 순차적으로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으로 10분간 믹싱한 뒤 실온에 2시간 동안 숙성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드레싱제의 제조
유소아의 태열치료를 위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온도가 130℃의 혼련기에 고분자 크라톤 28g, 폴리이소부틸렌 14g을 넣고 30분간 용해하였다. 이후 상기 혼련기를 100℃로 감온한 후 파우더 형태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부여제 13g, 키위씨오일 8.5g, 아가 2g,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5g, 아가 1.8g, 펙틴 1.8g을 가하고 2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혼련기를 70℃로 감온하고 상기 실시예 1-1의 조성물 24.9g을 넣고 20분간 교반하였다. 잘 혼합된 내용물은 꺼내어 압축기에 넣고 0.4cm 두께의 평평한 모양으로 만들어 준 뒤 상온에서 식힌 후 건조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제의 형태의 예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싱제를 환부에 적절히 부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1> 알레르기 반응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드레싱제의 피부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아토피 질환을 가진 2~13세의 남자 3인, 여자 2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20~22℃ 및 40~60% 습도 조건에서 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EASI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 증상 조사) 중 과민반응을 유발할 경우 높아지는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인 Pruritus 수치, 수면방해 수치, DLQI 수치 등 세 가지 수치를 측정하도록 수행하였다. 상기 수치가 높아질수록 과민반응으로 인한 아토피 증상이 심한 것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드레싱제를 피부에 사용하였을 때, 미사용 또는 타사 제품 A, B에 비해 상기 세 가지 모두 수치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이 없고 아토피 증상완화 효과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보습력 및 보습지속력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드레싱제의 보습지속력 및 보습력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아토피 질환을 가진 2~13세의 남자 3인, 여자 2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20~22℃ 및 40~60% 습도 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아무런 제품을 바르지 않은 환자의 환부표면을 측정장비(Corneometer CM 825)로 특정한 뒤, 실시예 1의 드레싱제를 부착한 피부 및 타 회사 로션을 바른 직후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2시간 이후 같은 부위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습지속력을 측정하기 위해 24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보습 지속력 측정 결과를 도 4에, 보습력 측정 결과를 5에 나타내었다. Y축의 단위는 Hydration Value in Arbitrary Units(AU)이며, 30 AU 이하인 경우에는 피부가 매우 건조한 것을 의미하고, 30~45 AU인 경우에는 피부가 건조한 것을 의미하고, 45~55 UA인 경우에는 피부가 중간정도로 촉촉하고, 55 AU 이상인 경우에는 피부가 매우 촉촉함을 의미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레싱제를 적용한 후 시간이 흐름에도 본 발명의 드레싱제는 타사 제품에 비해 최대 2배의 보습 지속력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동안 우수한 보습지속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싱제는 부착(치료) 직후 및 2시간 후에도 타사 제품에 비해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여 외부 자극에 대해 쉽게 반응하는 유소아의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천연 식물 추출물 및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위치하젤수를 포함함으로써 아토피 질환에 우수한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가지며 타 제품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보습력 및 보습 지속력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식물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Hydrolyzed Milk Protein) 및 위치하젤수(Witch Hazel Water)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귀리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망종화 추출물, 흑호두나무 추출물, 별꽃 추출물, 연교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8~10중량부, 캐모마일 추출물 8~10중량부, 귀리 추출물 3~8중량부, 에키네시아 추출물 1~2중량부, 서양톱풀 추출물 1~3중량부, 망종화 추출물 1~3중량부, 흑호두나무 추출물 1~2중량부, 별꽃 추출물 2~3중량부, 연교 추출물 3~8중량부, 오리나무 추출물 3~8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1~2중량부, 위치하젤수 20~30중량부 및 물 2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하젤수는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무수 또는 함수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식물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밀크 프로테인, 위치하젤수,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키위씨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시멜로 뿌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귀리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망종화 추출물, 흑호두나무 추출물, 별꽃 추출물, 연교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드레싱제.
KR1020170161389A 2017-11-29 2017-11-29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KR10202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89A KR102028257B1 (ko) 2017-11-29 2017-11-29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89A KR102028257B1 (ko) 2017-11-29 2017-11-29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20A KR20190062820A (ko) 2019-06-07
KR102028257B1 true KR102028257B1 (ko) 2019-10-02

Family

ID=6684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89A KR102028257B1 (ko) 2017-11-29 2017-11-29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967B1 (ko) * 2019-11-28 2021-12-03 주식회사 래디안 별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192A (ja) 1999-08-25 2001-03-13 Sunstar Inc ランゲルハンス細胞の遊走抑制剤及び抗原提示抑制剤
US20090004301A1 (en) 2003-03-21 2009-01-01 Elizabeth Mazzio Method of treating dyshidrosis(pompholyx) and related dry skin disorders
US9226945B2 (en) 2007-09-26 2016-01-05 Nestec S.A. Prevention of allergy at wean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8439B1 (fr) * 2008-11-14 2013-03-01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avoine recoltees avant epiaison
KR20100087785A (ko) * 2009-01-29 2010-08-06 김연수 연교를 이용한 피부 질환 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336036B2 (ja) 2013-03-29 2018-06-06 ヤンセン・サイエンシズ・アイルランド・ユーシー ウイルス感染治療のための大環状デアザプリノン
CN104349488A (zh) 2013-08-09 2015-02-11 阿尔卡特朗讯 多点协作中的信令信息交换装置与方法
KR101566470B1 (ko) 2013-12-30 2015-11-05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192A (ja) 1999-08-25 2001-03-13 Sunstar Inc ランゲルハンス細胞の遊走抑制剤及び抗原提示抑制剤
US20090004301A1 (en) 2003-03-21 2009-01-01 Elizabeth Mazzio Method of treating dyshidrosis(pompholyx) and related dry skin disorders
US9226945B2 (en) 2007-09-26 2016-01-05 Nestec S.A. Prevention of allergy at w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20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75120B (zh) 一种湿疹乳膏剂
HRP20000711A2 (en) Substance mixture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ing olive oil and honey
KR20120000880A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8257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레싱제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3616586A (zh) 具有舒缓功效的护肤品组合物及制备方法
KR20190012324A (ko)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용 다시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U2014253131A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alanine-glutamine, hyaluronic acid and an oat extract and the use thereof in a composition intended for healing wounds and repairing skin lesions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10185251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지질 생성 억제 및 피지 분비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4625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황금 가수분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KR101134790B1 (ko)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Rezghi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products in radiotherapy-induced dermatitis: A comprehensive review
CN107260622B (zh) 一种生肌敛口滋润保湿防裂膏及其制备方法
KR101587870B1 (ko) 피부자극 및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20090085844A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CA3061545A1 (en) Skin care composition
KR20200114189A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대자호를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16327620B (zh) 一种婴幼儿用金盏花护肤油及其制备方法
KR20200008289A (ko) 인설 예방 및 완화용 한약재 조성물
AU2013254342B2 (en) New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ulcers
CN115671239B (zh) 一种抗炎消肿抑菌止痒防裂修复的冻愈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