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790B1 -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 Google Patents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790B1
KR101134790B1 KR1020090012243A KR20090012243A KR101134790B1 KR 101134790 B1 KR101134790 B1 KR 101134790B1 KR 1020090012243 A KR1020090012243 A KR 1020090012243A KR 20090012243 A KR20090012243 A KR 20090012243A KR 101134790 B1 KR101134790 B1 KR 10113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composition
cream
skin
hinokith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179A (ko
Inventor
김유정
장희경
전지현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1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7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 염증으로 인한 색소 침착을 저해시켜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노키티올, 백렴, 여드름, 염증 완화, 색소 침착 저해, 여드름 피부 개선

Description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skin containing Hinokitiol and Ampelopsis radix extract}
본 발명은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 염증으로 인한 색소 침착을 저해시켜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이란 피지가 나오다 막혀 모공내 각질비후현상(retention hyperkeratosis)으로 인해 생성되는 만성 피지선 염증질환으로서, 환자의 70~80%는 11~25세의 연령층에 집중되며, 경미한 여드름은 피부병이라기보다는 성장기의 피부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드름의 발생 원인은 크게 피지의 과다 분비, 모공의 감염, 모낭의 각질비후현상에 의한 협착, 여드름 균의 증식, 염증 반응 등으로 여드름 증세의 발전 정도에 따라 설명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여드름의 첫 번째 원인은 피지의 과다 분비이다. 피지는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물질로서 정상적인 양에서는 피부 외부의 유해 물질이 각질 세포 사이를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사춘기, 월경 전후, 임신 초기나 피임약 복용, 스트레스 등의 환경 하에서 인체는 정상 상태와는 다른 호르몬밸런스를 나타낸다. 이렇게 달라진 호르몬 밸런스는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고 이것은 피지의 과다분비로 유도된다. 또한 유전적으로 피지분비가 많은 경우도 있으며 외부 기온의 변화 또는 잘못된 식습관에 따른 피부온도의 증가에 의해서도 증가될 수 있다.
여드름의 두 번째 원인은 모공의 감염이다. 과도하게 분비된 피지에는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피부 표면의 pH를 높이고, 피부의 지질을 용해시켜 피부자체의 방어력을 저하시킨다. pH가 높아진 피부 표면에서는 여드름의 원인균이 증식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고 증식한 여드름균은 약해진 피부를 통해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증상에 따라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과다 분비된 피지가 피지선 주변의 모공에 쌓이면서 면포를 형성하게 되는 면포성 여드름이다. 1단계 면포성 여드름은 여드름 병변으로는 초기의 가벼운 단계이나 미용적으로는 좋지 않아 피부 고민이 된다. 이 단계에서는 잘 관리해주면 염증으로의 발전을 억제할 수 있다. 2단계 구진성 여드름 단계에서는 여드름균이 번식되어 염증 반응이 생기면서 붉은 여드름이 나타나는데 이를 구진이라 하며 적절한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흉터가 생길 수 있다. 3단계 화농성 여드름에서는 붉은색 여드름의 염증 반응이 더 심해지면서 내부에 고름 주머니가 생기는데 이를 농포라 하며 이 단계에 서는 치료 후에도 흉터가 남게 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마지막 4단계 결절성 여드름은 고름 주머니가 피부 안에서 터져 여드름 환부 주변에 더 많은 염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로 손가락만한 덩어리가 생기는데 이를 결절이라 하며 염증이 진피까지 파고 들어간 시기로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며 치료 시기도 장기화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여드름 단계에서 알 수 있듯이 염증 반응은 여드름의 증상을 악화시키고 치료 기간을 장기화하며 치료 후에도 흉터와 색소 침착을 남기므로 여드름 증상 완화를 위해 염증 예방 및 치료는 중요한 열쇠라 할 수 있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스트레스나 자외선과 같은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거나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려고 하는 방어 기전의 하나로서 신경, 혈관, 조직, 혈액 등과 세포 반응을 일으키는데 그 정도가 지나칠 경우 결과적으로 가려움, 발열, 발적 등이나 통증, 조직 손상 등의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 혹은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세포들이 분비하는 여러 화학 매개 물질이나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에 의해 혈관확장 등이 일어나고 투과성이 높아짐에 따라 항체, 혈장(plasma), 식균 세포들이 염증 부위로 몰려들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피부 염증 및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게 된다.
여드름으로 인한 색소침착도 이런 염증 반응에 의한 것인데, 여드름으로 인해 염증이 일어나면 그 부위에 적색 혹은 갈색의 색소 이상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염증이 발생하면서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이 증가하여 멜라닌 합성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외부 스트레스나 기후, 환경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항원에 의한 항체 반응이나 세포성 면역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는데, 여드름에 의한 염증은 이런 면역학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다.
염증을 담당하는 매개체로 혈관 활성 아민(Vaso-active amines),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Baso-active polypeptide)와 기타 매개물질 등이 있으며 혈관 활성 아민으로는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과 세레토닌 등이 있고 주로 혈관 확장과 투과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컴플리먼트(complement) 등이 혈관 수축 작용을 하고 그 외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제에 의해 생성된 아라키돈산은 다시 싸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 혹은 리포옥시게나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Physiol. Biochem. Pharmacol., 100, 1984,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8-0020853호).
이에, 화장품 업계에서는 염증성 매개물질의 조절에 의해 면역반응을 완화시키며, 피부 장벽 강화 기능, 피부 보호 기능을 통해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려는 시 도들이 있어 왔다. 구체적인 예로 염증성 매개물질의 조절 및 민감성 피부의 역반응 조절의 브레디키닌 길항제(bradykinin antagonist; USP 5,849,312 참조)가 있으며, 싸이토카인 중 하나인 TNF-α 저해제를 민감성 피부용 제제로 적용한 예가 있다(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5,851,556호).
현재까지 홍반이나 부종 같은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학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 물질로서 프루페남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으며 스테로이드계 물질로서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고(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그 외에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 등도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그러나 항염증제로 사용되고 있는 인도메타신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화할 경우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증제들은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한 결과,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의 혼합물이 여드름으로 의한 염증성 자극 완화 및 색소 침착 억제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부작용이 없으면서 여드름으로 인한 염증성 자극 완화 및 색소 침착 억제 효과가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매개인자인 PGE2의 발현을 억제하여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 염증을 억제하고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 여드름 염증으로 인한 색소 침착을 개선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궁극적으로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히노키티올(Hinokitiol)은 β-투야플리신(β-thujaplicin), 2-히드록시-4-이소프로필-시클로헵타-2,4,6-트리엔-1-온(C10H12O2) 또는 4-이소프로필트로폴론이라고도 명명되며, 분자 속에 방향성을 나타내는 7원자 고리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타이완편백(Chamaecyparis taiwanensis), 나한백(Thujopsis dolabrata) 등과 같은 측백나무과(科) 식물 또는 향나무 등의 정유(精油) 속에 존재한다. 백색 내지는 담황색의 결정으로 항균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 및 세포 부활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독성이 낮은 천연 물질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노키티올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측백나무과 식물 또는 향나무의 잎, 줄기, 나뭇가지에서 나오는 오일에서 산성성분을 추출하여 조제(粗製)한 히노키티올을 얻은 다음, 이것을 수증기 증류한 후 재결정시켜 순수한 히노키티올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노키티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0.00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 부작용과 제형 내 용해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백렴(白斂, 학명: Ampelopsis radix)은 가회 톱(Ampelopsis japonica)의 괴근으로, 긴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양쪽 끝이 뾰족한 모양이다. 맛이 쓰고 성질은 약간 차기 때문에 열을 식히고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복용 또는 외용으로 사용하며, 청열(淸熱) 작용으로 옹저, 종기 및 창양 등을 다스리고 새살이 돋게 하며, 악창이나 부스럼이 아물지 않거나 물이나 불로 상처를 받았을 때 새살을 돋게 하여 치료해 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렴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백렴을 혼합한 후,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0.0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 부작용과 제형의 불안정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염증성 매개인자인 PGE2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 및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고,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켜 여드름 염증으로 인한 색소 침착을 개선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함유한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형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화장료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과형 제형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의 여드름균 추출액 자극에 의한 PGE2 억제 효능 확인
시험 세포인 각질형성세포(세포주명: HaCaT, 구입처: Dr. N.E. Fusenig,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Heidelberg, Germany)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eum, FBS, 구입처: Gibco, USA)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구입처: Gibco, USA)을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구입처: Lonza, USA) 배지를 이용하여 24 웰 플레이트(24 well plate)에 약 3x105세포수/웰의 밀도로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이하 P.acne) 추출액 제조를 위해 혐기성 환경에서 배양한 P. acne를 5,000rpm으로 원심분리해서 배양배지와 여드름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여드름균에 PBS 1㎖을 넣고 30분 동안 소니케 이션해서 세포를 파쇄하여 아래 시험에 사용하였다. 무처리군을 대조군(control)으로 사용하고 실험군에는 여드름균 추출액과 함께 히노키티올(hinokitiol, 구입처: Bioland, 한국)을 농도 구배별로 처리하였고, 다른 실험군에는 여드름균 추출액과 농도 구배별로 처리한 히노키티올, 백렴 추출물(ampelopsis radix extract, 구입처: Bioland, 한국) 1%를 함께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군의 배양 배지를 수거하여 PGE2 ELISA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히노키티올 농도(ppm) PGE2 농도(nM) PGE2 농도의 평균 표준 편차율 % control
무처리 0 0.509 0.491 0.531 0.510 0.04 1
P.acne 추출액 + 히노키티올 0 2.835 3.032 1.565 2.477 0.32 4.8546819
5 1.417 0.938 1.441 1.265 0.22 2.479598
10 0.779 0.720 0.834 0.778 0.07 1.5239468
50 0.634 0.432 0.697 0.588 0.24 1.1516152
P.acne 추출액 + 히노키티올 + 백렴추출물1% 0 3.054 1.875 2.653 2.527 0.24 4.9526639
5 1.054 1.220 1.205 1.160 0.08 2.2725294
10 0.689 0.701 0.724 0.705 0.03 1.3808931
50 0.581 0.457 0.518 0.519 0.12 1.0164
표 1 및 도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여드름균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군은 무처리군에 비해 염증인자(PGE2)가 약 4.8배 증가했지만, 히노키티올을 처리시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인자의 발현이 억제되고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에 염증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히노키티올 50ppm과 백렴 추출물 1%로 처리할 경우에는 여드름균 추출물로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염증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여드름으로 인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한 색소 침착 감소 효능 확인
시험 세포인 Melan-α melanocyte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eum, FBS, 구입처: Gibco, USA)과 200nM TPA 추가한 RPMI 배지를 이용하여 24웰 플레이트(24 well plate)에 약 3x104세포수/웰의 밀도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예 1에서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 여드름균 처리 후 수거한 배지와 위의 실험에서 24시간 배양한 배지를 3:7의 비율로 섞어 상기 세포에 처리하였다. 혼합한 배지를 3일에 한번씩 교체해주었다. 6일 뒤 세포를 1N NaOH 200㎕에 녹인 후 405nm에서 스펙트로미터(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멜라닌이 들어있지 않은 blank 용액을 기준으로 멜라닌을 정량하고, 바이오-래드 단백질 분석 키트(Bio-Rad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멜라닌의 양을 단백질 양으로 나눠서(멜라닌의 양/단백질의 양) 멜라닌 상대량을 얻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히노키티올 농도(ppm) 멜라닌의 양 단백질의 양(㎍)
1 2 3 1 2 3
무처리 0 0.3658 0.3689 0.3662 0.1578 0.1815 0.1885
P.acne 추출물 + 히노키티올 + 백렴 추출물 1% 0 0.395 0.3997 0.4172 0.1507 0.1485 0.1620
5 0.3632 0.3683 0.377 0.1623 0.1532 0.1754
10 0.2945 0.2804 0.309 0.1508 0.162 0.155
50 0.2701 0.2696 0.2402 0.1892 0.182 0.193
히노키티올 농도(ppm) 멜라닌 상대량
(멜라닌의 양/단백질의 양)
멜라닌 상대량의 평균 % control 표준편차율
1 2 3
무처리 0 2.318 2.033 1.943 2.10 1.00 0.09
P.acne 추출물 + 히노키티올 + 백렴 추출물 1% 0 2.621 2.691 2.575 2.63 1.25 0.02
5 2.238 2.405 2.149 2.26 1.08 0.06
10 1.953 1.733 1.995 1.89 0.90 0.07
50 1.428 1.478 1.243 1.38 0.66 0.09
상기 표 2~3 및 도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여드름균 추출물때문에 염증인자의 발현이 증가되어있던 각질세포배지에 멜라닌 생성세포를 처리하면 멜라닌 합성량이 무처리군에 비해 약 25% 증가하지만,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에 의해 염증인자의 발현 증가를 억제시켰을 경우에는 증가했던 멜라닌의 합성량이 히노키티올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히노키티올 10ppm, 50ppm과 백렴 추출물 1%로 처리할 경우에는 여드름균 추출물로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군보다 멜라닌 합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해 여드름 염증으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 l 및 비교예 1~3의 화장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은 바이오랜드(Bioland)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비교예 3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베타인 2.0 2.0 2.0 2.0
피이지. 피피지-17.6 코폴리머 3.0 3.0 3.0 3.0
글리세린 1.0 1.0 1.0 1.0
부틸렌글라이콜 2.0 2.0 2.0 2.0
에탄올 7.0 7.0 7.0 7.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4 0.4 0.4 0.4
폴리소르베이트 20 0.15 0.15 0.15 0.15
살리실산 0.25 0.25 0.25 0.25
메틸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조합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히노키티올 0.001 0.001 - -
백렴 추출물 3.0 - 3.0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3] 여드름 개선 효과의 관능 평가
19~26세의 여성 중 여드름을 가진 20명에 대하여 각각 4주간 일반적인 화장수와 같은 사용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화장수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피부 개선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시험 물질 기간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 1 ++ +++ +++ +++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비교예 3 ± ± ± +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히노키티올 또는 백렴 추출물을 각각 함유하거나 모두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히노키티올과 백렴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실시예 1은 신속하고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의 여드름에 의한 염증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의 색소 침착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4)

  1. 히노키티올(Hinokitiol) 및 백렴(Ampelopsis radi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 염증 억제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노키티올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 염증 억제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 염증 억제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 염증 억제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12243A 2009-02-16 2009-02-16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KR10113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243A KR101134790B1 (ko) 2009-02-16 2009-02-16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243A KR101134790B1 (ko) 2009-02-16 2009-02-16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179A KR20100093179A (ko) 2010-08-25
KR101134790B1 true KR101134790B1 (ko) 2012-04-13

Family

ID=4275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243A KR101134790B1 (ko) 2009-02-16 2009-02-16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06B1 (ko) * 2019-07-22 2020-01-03 엘앤피코스메틱 (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67B1 (ko) 2017-05-22 2020-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히노키티올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6808115A (zh) * 2023-05-31 2023-09-29 姚美华 显齿蛇葡萄提取物在制备抑菌和/或修护产品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794A (ko) * 2002-04-22 2003-11-01 주식회사 웰스킨 히노키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794A (ko) * 2002-04-22 2003-11-01 주식회사 웰스킨 히노키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06B1 (ko) * 2019-07-22 2020-01-03 엘앤피코스메틱 (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179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ndir et al. Ethno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and dermatological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US20040214750A1 (en) Medicaments for healing skin conditions in humans
KR101799516B1 (ko)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00128733A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040101577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vulgaris and fabrication method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34790B1 (ko) 히노키티올 및 백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조성물
CN114146014A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CN116209425A (zh) 用于防止脱发和促进生发的组合物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329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30135528A (ko)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44196A1 (en) A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diseases and damages, the process for preparing of the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and its use
KR20070000675A (ko)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2742B1 (ko) 여드름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41059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10052896A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