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299B1 -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299B1
KR101083299B1 KR1020080086021A KR20080086021A KR101083299B1 KR 101083299 B1 KR101083299 B1 KR 101083299B1 KR 1020080086021 A KR1020080086021 A KR 1020080086021A KR 20080086021 A KR20080086021 A KR 20080086021A KR 101083299 B1 KR101083299 B1 KR 10108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weight
present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855A (ko
Inventor
박원석
신홍주
김도훈
박종희
이창근
김정환
고현주
서정아
황재성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86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2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 항소양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등의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본 발명은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또한, 유전, 염증, 양성 및 악성 종양, 호르몬, 외상 및 퇴행변성 등의 병적 변화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피부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피부 상피 내에 일련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 요인들로 인해 가려움, 부종, 홍반, 벗겨짐 등과 같은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는 상기와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주로 항히스타민 제, 비타민 연고 또는 부신피질호르몬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작용이 심한 경우도 많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우수한 항염 및 항소양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 0.001 내지 20중량%, 마치현 0.05 내지 3중량%, 고삼 0.05 내지 3중량% 및 옥죽 0.5 내지 30중량%의 양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전분, 카카오씨, 천궁 및 당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 중에서 상기 전분은 1 내지 50중량%, 상기 카카오씨는 1 내지 10중량%, 상기 천궁은 1 내지 10중량%, 및 상기 당귀는 0.5 내지 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염증, 급성 및 만성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 단순태선, 간찰진, 박탈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건선, 일광 피부염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피부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 항소양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토피 등의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 0.001 내지 20중량%, 마치현 0.05 내지 3중량%, 고삼 0.05 내지 3중량% 및 옥죽 0.5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성분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상기 성분 의 함량이 각각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보다 우수한 항염, 항소양 및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각각의 조성비가 하한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감소하며, 상한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타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감소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차 (Camellia Sinensis)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차는 보통 녹차잎으로부터 당분야 종사하는 자가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말 형태일 수 있고,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녹차는 카테킨 등의 폴리페놀류 등을 많이 함유하며, 성인병 예방 기능, 항산화, 항암 기능 및 살균 기능이 탁월하며, 여러 비타민과 미네랄 및 엽록소를 포함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2) 마치현 (Portulaca Oleracea)
마치현은 쇠비름이라고도 하며, 리그닌과 모리브덴 등의 치암의 성분이 풍부하고 발암물질을 분리하는 작용을 하고, 염증제거, 가려움증제거, 아토피성 염증제거 및 각종 피부염을 완화시키고, 피지조절작용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다.
(3) 고삼 (Sophora flavcscens)
고삼은 뿌리를 생약으로 사용하며 맛이 쓰지만 인삼과 같은 효과가 있다하여 고삼이라 하며, 식물 전체에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고삼의 뿌리는 1.1%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하며, 알칼로이드의 성분으로는 마트린(소포카르피딘),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아나기린, 메틸시티진, 바브티플린, 소포카르핀, 알로마트린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약 13%의 당분, 플라보놀 화합물인 이소안히드로이카리딘, 노르안히드로이카리딘 등을 함유하며, 가습 및 소염 효과를 나타낸다.
(4) 옥죽 (Polygonatum Officinale)
한방생약 중 보음의 효과가 알려져 있는 것 중의 하나인 옥죽(Polygonatum Officinale)은 둥글레의 근경으로, 생약의 이명(異名)은 지절(地節), 황지(黃地), 여위(女委) 등으로 불리운다. 옥죽은 기원식물이 둥글레로 다년생의 초본이며, 둥글레의 근경을 가을 또는 이른 봄에 채취하여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응달에서 말리거나 아니면 수증기로 쪄서 햇볕에 말려서 약용한다. 옥죽은 콘발라마린(convallamarin), 콘발라린(convallarin) 등의 스테로이성 사포닌(steroidal saponin)과 다수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하며, 강심 작용, 부신피질호르몬 유사 작용, 갈증완화 작용, 항산화 작용 및 피부 노화방지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외에도 전분(starch), 카카오씨, 천궁 및 당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은 옥수수, 감자, 쌀 등에서 분리한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피부의 삼투압을 낮추고,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전분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약 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카오(Theobroma Cacao) 씨는 카카오의 열매에서 지방 성물을 제거한 파우더로서, 여기에는 다양한 탄닌, 카테킨, 에피카테킨 등의 폴리페놀류 등이 함유되어 그 항산화 성질로 인해 피부 염증을 완화하고, 피부 노화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카카오씨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천궁(Cnidium Officinale)은 천궁의 뿌리에서 얻은 추출물로서 아데노신(adenosine),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페룰린산(fer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 진경 작용이 우수하고, 또한 항균작용 및 두통, 생리통, 생리불순, 부스럼 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천궁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맛이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미나리에 속하는 것으로, 그 뿌리를 말려서 사용한다. 이러한 당귀는 데쿠르신, 노다케네틴, 노다케닌 등의 쿠 마린 성분을 함유한 정유를 가지고 있으며, 옹, 창(종기) 등 화농성 염증 치료의 상비역으로 사용하고, 혈허나 혈조생풍의 증상인 피부질환에 유효하고 천천히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발병인 부르셀라증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당귀를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약 0.5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제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여 중량 100%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은 통상적인 건조 분쇄 방법에 따라 그 자체를 그대로 또는 세절 또는 분말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세절한 후, 열수추출을 하거나,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사용되며, 이러한 제조방법은 단순추출 및 용매분별 추출법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엑스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내용액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및 트라스트제, 패치제와 같은 외용제, 비수성용제, 동결건조제제 및 멸균 주사제와 같은 다양한 비경구형 제형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조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내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이 분산 또는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로션, 용액, 겔, 크림, 에몰리언트 크림,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용 제제일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의 경우, 피부 염증, 급성 및 만성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 단순태선, 간찰진, 박탈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건선, 일광 피부염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통상 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또는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형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보습크림, 영양크림, 팩, 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바디클렌저 또는 피부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 에멀젼, 가용화젤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입욕제 조성물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녹차 및 옥죽은 평균입경 10 내지 20 메쉬의 분말 형태로 각각 일반 녹차잎 및 둥글레의 근경을 건조 분쇄하여 준비하고, 마치현 및 고삼은 95-100℃에서 열수추출하여 추출물로서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준비된 녹차 7중량%, 마치현 1중량%, 고삼 1중량%, 옥죽 10중량%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입욕하는 물 1L당 0.5 내지 2g의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된 녹차 3중량%, 마치현 1중량%, 고삼 1중량%, 옥죽 10중량%, 평균 입경 10 내지 20 메쉬의 분말형태의 전분 10중량% 및 부형제로 덱스트린을 단순 혼합하여 입욕하는 물 1L당 0.5 내지 2g의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로서 상기 실시예 2에서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제외한 성분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TPA 유도 염증 억제 효과
테트라데카노일 포볼 아세테이트(Tetradecanoyl phorbol acetate; TPA) 유발성 마우스 귀 염증 모델을 이용하여 염증반응의 작용기전과 억제물질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De Young LM 등, Agents and Actions, 26; 335-341, 1989). 상기 조성물 성분의 염증 억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8주령의 ICR 마우스 수컷(한 군당 8마리)을 준비하였다. 비-처리군(non-treat; TPA를 처리하지 않고, 80% 에탄올 수 용액을 동량 도포한 군),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TPA를 처리하고, 80% 에탄올 수용액을 동량 도포한 군),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TPA를 처리하고 동일한 용액에 소염제로서 인도메타신(indomethacine; Sigma, USA)을 0.5mg씩 도포한 군)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였다. 녹차, 마치현, 고삼, 옥죽, 전분, 카카오씨, 천궁 및 당귀 처리군은 각각의 성분들을 1.0%의 농도로 동일한 에탄올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상기 음성 및 양성 대조군과 함께 TPA 도포 전에 2일 동안 하루에 2회씩 귀 부위에 전처리를 하였다. 아세톤에 2.5㎍/㎖ 농도로 녹인 TPA 용액 (Sigma, USA)을 모든 그룹의 마우스 왼쪽 귀에 2.5 ㎕씩 도포하여 피부자극을 유도하고, TPA 도포 30분 후에도 재도포하였다. TPA 도포 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마우스를 경추 탈골법으로 안락사시키고, 왼쪽 귀를 일정한 넓이로 채취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은 TPA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으로 인한 귀 부종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이는 소염제로 사용되는 인도메타신(0.5mg/ear)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응 억제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다시 계산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녹차는 87.65%, 마치현은 63.64%, 고삼은 58.62%, 옥죽은 23.03%의 억제율을 나타내며 TPA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으로 인한 귀 부종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인도메타신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억제율인 75.82%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억제율(%) = (TPA단독처리군-시험군) / (TPA단독처리군-TPA 비처리군)×100
시험예 2: C48/80 유도 가려움증 억제 효과
C48/80(Condensation product of N-methyl-pmethoxyphenethylamine with formaldehyde, Sigma, 미국)은 결합조직과 피부 비만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 등과 같은 매개물질들을 방출시켜 가려움을 유발시키는 물질로서 사람에서도 피내투여시 가려움을 유발시킨다(Rukwied et al., 2000, Br. J. Pharmacol., 142, pp1114-1120). 이에, 상기 C48/80을 이용하여 무모생쥐에서 가려움을 유발시킨 후, 각각의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가려움증이 억제되는지 실험하였다.
최종적으로 1중량%가 되도록 각각의 녹차, 마치현 및 고삼과 그 중 2가지를 조합한 혼합조성물(녹차/마치현, 녹차/고삼 및 마치현/고삼)과 3가지를 조합한 조성물(녹차/마치현/고삼) 및 본 발명의 녹차/마치현/고삼/옥죽을 조합한 조성물을 비히클(물/에탄올/부틸렌글리콜=5/3/2)에 용해시킨 후, 실험 4일전부터 암컷 무모생쥐(체중 28-32 g, 6~7마리/군)의 등 위쪽에 1일 2회 3일간 50㎕씩 도포하였다.
비교군으로서 비히클을 도포한 후, C48/80(20㎍/20㎕/마우스)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마우스의 등쪽에 피내투여(intradermal injection)하였고, 대조군으로서 비히클을 도포한 후, C48/80만을 마우스의 등쪽에 피내투여하였다.
이후, 각 군의 마우스들을 즉시 투명한 케이지에 넣고 미리 뒷다리에 삽입한 마그네틱 바(magnetic bar)를 탐지하는 마이크로액트(MicroAct ; Neuroscience, Japan) 기기를 이용하여 투여 부위를 긁는 횟수를 50분간 측정하여 그 횟수가 적을수록 가려움 억제효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삼았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4가지 성분을 조합할수록 그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긁는 횟수의 감소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한 결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녹차/마치현/고삼/옥죽을 사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같은 농도에서 높은 항소염 효능을 나타내었다.
가려움 억제율(%) = (C48/80 처리후 비히클액 처리군-시험군) / (C48/80 처리후 비히클액 처리군-C48/80 대신 생리식염수 처리 후, 비히클액 처리군)×100
Figure 112008062286567-pat00001
시험예 3: 아토피성 건조 및 소양 피부에서의 보습력 증가 및 가려움증 완화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증가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건조 및 소양증을 나타내는 20-30대의 아토피 피부질환 환자남녀 10명을 2개조로 나누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의 조에 나누어 주고, 매주 2회씩 2주에 걸쳐 욕조의 물 1L당 입욕제 1g 정도로 푼 다음 15~20분간 입욕하도록 하였다. 입욕 시험 전에 항온 및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으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팔다리 접힘부위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2주 경과 후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여 소양부위(팔다리 접힘 부위와 목 부근)의 가려움증 개선 정도를 0(나쁨), 1(보통), 2(좋음) 및 3(우수함)의 4등급으로 나타내어 설문으로 조사하여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임상 관찰자에 의한 자원자들의 아토피 증상지수(SCORAD index)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량 증가율, 가려움 개선 정도 및 아토피 증상지수 변화율을 측정한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량 증가율(%) 가려움 개선정도 SCORAD 변화율(%)
실시예 1 41 % 2.5 36 %
비교예 1 10 % 1.2 7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우수한 피부 수분량 증가, 가려움증 및 아토피 증상지수가 개선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농축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생약조성물 600 mg
올리고당 600 mg
배농축액 500 mg
혼합비타민 30 mg
딸기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30 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폴리에틸렌 재질의 포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농축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생약조성물 300 mg
유당 85 mg
옥수수전분 110 mg
미결정셀룰로오즈 63 mg
CMC-Ca 적량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적량
실리콘디옥사이드 적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또는,
실시예 1의 생약조성물 300 mg
폴아크릴산칼륨 80 mg
히드록시프로필셀롤로오즈 40 mg
경질무수규산 160 mg
글리세릴베헤네이트 적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코팅한 후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연질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생약조성물 300 mg
콩기름 480 mg
팜유 90 mg
황납 30 mg
통상의 연질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호박산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4. 경질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생약조성물 300 mg
유당 85 mg
옥수수전분 110 mg
미결정셀룰로오즈 63 mg
CMC-Ca 10 mg
통상의 경질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5. 패치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생약조성물 150 mg
살리실산글리콜 150 mg
1-멘톨 100 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28 mg
글리시리진산 적량
살리실산디펜히드라민 적량
통상의 패치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이 약 1매(14 cmX10cm, 14.0g)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의 TPA 유도 염증 억제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명의 유효성분들의 C48/80 유도 가려움증 억제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녹차, 마치현, 고삼 및 옥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 0.001 내지 20중량%, 마치현 0.05 내지 3중량%, 고삼 0.05 내지 3중량% 및 옥죽 0.5 내지 30중량%의 양을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전분, 카카오씨, 천궁, 및 당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을 1 내지 50중량%, 상기 카카오씨를 1 내지 10 중량%, 상기 천궁을 1 내지 10중량%, 및 상기 당귀를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이 소양증 또는 피부건조증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080086021A 2008-09-01 2008-09-01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8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21A KR101083299B1 (ko) 2008-09-01 2008-09-01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21A KR101083299B1 (ko) 2008-09-01 2008-09-01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55A KR20100026855A (ko) 2010-03-10
KR101083299B1 true KR101083299B1 (ko) 2011-11-15

Family

ID=4217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21A KR101083299B1 (ko) 2008-09-01 2008-09-01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143A (zh) * 2014-05-24 2014-09-24 邹峰 一种治疗疥疮的中药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707A (zh) * 2012-11-23 2013-03-20 王恩瀚 治疗小儿湿疹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961484B (zh) * 2012-12-22 2014-01-01 陈兴旺 一种用于坐浴治疗肛瘘切除术后的护理液
KR20180081186A (ko) * 2016-11-25 2018-07-1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수종의 한약 복합 추출물의 항균, 항염,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 p. 103-114, 2006-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143A (zh) * 2014-05-24 2014-09-24 邹峰 一种治疗疥疮的中药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55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10961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8329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26835A (ko) 염증 억제능을 갖는 녹차 산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5087A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20030055154A (ko)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JP2011195533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および抗老化剤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