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51B1 -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51B1
KR102027451B1 KR1020120123693A KR20120123693A KR102027451B1 KR 102027451 B1 KR102027451 B1 KR 102027451B1 KR 1020120123693 A KR1020120123693 A KR 1020120123693A KR 20120123693 A KR20120123693 A KR 20120123693A KR 102027451 B1 KR102027451 B1 KR 102027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ratin
skin
expression
seq
nucle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054A (ko
Inventor
김규한
이태룡
조은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2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4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12N2310/141MicroRNAs, miRN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miRNA의 혼성화능을 보유한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사용하여 각질 형성 조절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Micro RNA, and screening method using the micro RNA}
본 발명은 마이크로 RNA(microRNA: 이하 miRNA),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마이크로 RNA를 이용한 각질 형성 조절 물질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miRNA는 발달 시기, 세포사멸사, 지방 신진대사 및 조혈 세포 분화의 조절을 포함하는 여러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생명과학분야에서 매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암 등의 질병이나 발생 과정에서의 miRNA의 기능연구는 상당히 진행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과학에서의 miRNA 역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상태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층(epidermis)과 진피층(dermis)으로 나뉘는데, 표피층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은 분화에 따라 각질을 형성함으로 외부를 차단하여 내부를 보호한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있어서 miR-203, miR-31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외의 피부관련 특이적 miRNA와 기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2-0088895호 일본공개특허 제2009-143832호 한국공개특허 제1999-0022556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7233호 미국공개특허 제2011-0059917호
Lacz et al, Epidermolytic hyperkeratosis: a keratin 1 or 10 mutational event,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2005, 44,1-6 Choate et al., Mitotic Recombination in Patients with Ichthyosis Causes Reversion of Dominant Mutations in KRT10, Science. 2010 October 1, 330(6000), 94-97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각질 형성 물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사용하여 각질 형성 조절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miRNA의 혼성화능을 보유한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관련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각질 형성 조절 물질로서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a)상기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세포에 트랜스펙션시키는 단계; (b)상기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촉진하는지 또는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miRNA의 혼성화능을 보유한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각질과 관련한 전반적인 피부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노화 방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셀룰라이트 제거, 피부결 개선, 광노출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 어린선(ichthyosis) 예방 또는 개선, 표피각화 정상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개선, 탈모 방지 또는 개선 또는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가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시험물질이 케라틴 1, 케라틴 10 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 촉진제인지 억제제인지를 빠르고 간단하게 판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iRNA 핵산분자의 세포내 주입에 따른 케라틴 1과 케라틴 10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KRT: 케라틴).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miRNA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작은 RNA(endogenous small RNA)의 일종으로 단백질을 합성하지 않는 DNA에서 유래되어 헤어핀-구조 전사체(hairpin-shaped transcript)로부터 생성이 된다. miRNA는 표적 mRNA의 3‘-UTR의 상보적 서열(sequence)에 결합하여 그 mRNA의 번역 억제 또는 불안정화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그 표적 mRNA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리프레서(repressor) 역할을 하게 된다. 하나의 miRNA는 여러 개의 mRNA를 타겟팅하며, mRNA 역시 여러 개의 miRNA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miRNA 중 miR-994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제공한다.
5'- aaauuauuguacaucggaugag -3' (서열번호 1)
5'- cucauccgauguacaauaauuu -3' (서열번호 2)
상기 miRNA는 케라틴 1(keratin 1, ACCESSION NM_006121, VERSION NM_006121.3 GI:119395749) 또는 케라틴 10(keratin 10, ACCESSION NM_000421 XM_352919, VERSION NM_000421.3 GI:195972865)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miRNA 핵산분자의 단편 또는 유사체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의 혼성화능을 보유한 것을 의미하고, 이를 세포내로 주입하면 상기 miRNA의 과발현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 유사체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고,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 유사체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 상기 miRNA의 단편은 15개 이상의 염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는 aauuauugua를 포함할 수 있고, aauuauugua를 포함하는 15~23개의 연속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핵산 분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는 서열번호 1의 miRNA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안티센스 핵산 분자로서, 서열번호 1의 miRNA(miR-944)의 저해제(inhibitor)로 상기 서열번호 1의 miRNA에 하이브리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으로,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miRNA의 혼성화능을 보유한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관련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은 피부 각질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서, 케라틴 10은 케라틴 1과 헤테로 사량체를 만든다.
한편, 각질 세포에 존재하는 각질세포막(cornified envelope)이라 불리는 막상구조는 표피 각화 세포의 분화에 따라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여러 종의 각질세포막 단백질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에 따라서 가교되고 불용화되는 것으로 형성되는데, 이 각질세포막의 일부에는 세라미드 등이 공유결합하고 각질층에 있어서 장벽기능의 기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질세포막은 피부의 변조에 의하여 구조가 불완전하게 되며, 건선 등의 피부 질환에서는 최외층에 있어서 부서지기쉬운 형태로 된다. 이때,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은 피부 세포의 각질형성을 조절함으로써 표피각화를 정상화시킬 수 있으므로,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세포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조절을 통하여 피부 보습 증진,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하거나 셀룰라이트의 생성을 방지 또는 셀룰라이트를 제거하고, 아토피 증상을 경감 또는 치료할 수 있다(한국공개특허 제2012-0088895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9-143832호).
또한, 상기와 같은 케라틴 1 또는 케라틴 10 자체의 변형도 피부 건조증, 어린선(ichthyosis)과 같은 피부 각질과 관련한 증상의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을 조절하고 정상화시키게 되면 어린선과 같은 피부 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Lacz et al, Epidermolytic hyperkeratosis: a keratin 1 or 10 mutational event,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2005, 44,1-6; Choate et al., Mitotic Recombination in Patients with Ichthyosis Causes Reversion of Dominant Mutations in KRT10, Science. 2010 October 1; 330(6000): 94-97).
이 밖에도, 피부에 나타나는 염증을 수반하는 이상 증상으로서 광노출에 의한 멜라닌 세포의 파괴로 인한 피부 손상인 백반증, 접촉성 피부염, 원형탈모(모발 손실 전이나 모발 생장과 동시에 수반되는 소성, 소양성, 따금거림), 탈피, 건피증, 손바닥의 하이퍼리니어릴리(palmer hyperlinearily), 모공성각화증, 홍반 등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 각질형성에 관여하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한국 공개특허 제1999-0022556호).
또한, 케라틴 10의 경우 피부의 표피 각화세포의 노화에 따라 발현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케라틴 10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정상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케라틴 1의 과발현을 유도함으로써 탈모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도 가능하다(한국공개특허 제2008-0057233호 및 미국공개특허 2011-0059917).
상기 논문 및 특허문헌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 유사체는 상기와 같은 피부 각질관련 피부 상태에 영향을 주는 케라틴 1과 케라틴 10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각질화를 정상화시켜 주어, 피부 각질관련 증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피부 각질관련 피부상태를 전반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각질 관련 피부 상태 개선효과로서,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노화 방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셀룰라이트 제거, 피부결 개선, 광노출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 어린선 예방 또는 개선, 표피각화 정상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개선, 탈모 방지 또는 개선,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3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구체적으로 0.01~3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유산균 균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 외용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사용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시험물질에 대한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a)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를 세포에 트랜스펙션(transfection)시키는 단계; (b) 상기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또는 촉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miRNA 핵산분자, 그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는 세포의 리포좀(liposome) 또는 백터(vector)에 트렌스펙션시킬 수 있으며, 세포는 각질형성세포일 수 있다. 상기 트랜스펙션은 미세 주입법, 칼슘 포스페이트 공동-침전법, 전기 천공법 또는 리포좀 이용법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스크리닝은 시험 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지를 면역검정법(예를 들어 ELISA 또는 Immunoblot)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여부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인 RT-PCR 또는 ELISA 및 웨스턴블럿(immuno blot)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스크리닝을 통한 확인 결과 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 활성 또는 기능을 증가시키는 경우 케라틴 1, 케라틴 10, 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촉진제로 판정하고, 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 활성 또는 기능을 감소시키는 경우 케라틴 1, 케라틴 10, 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억제제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hsa-miR-944의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발현 측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hsa-miR-944(서열번호 1의 miRNA 핵산분자)의 케라틴 1과 케라틴 10의 발현 조절정도를 측정하였다.
인간유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hsa-miR-944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 올리고핵산(제조사:다마콘 Dharmacon, 제품명: miRIDIAN microRNA Human hsa-miR-944-Mimic, 5nmol,C-301276-01-0005, 실시예)을 농도가 20uM가 되도록 리포좀을 이용하여 트랜스펙션하여 세포 안으로 이동시켰다.
대조군은 어떠한 올리고핵산도 넣지 않은 샘플(비교예 1)과 본 발명의 miRNA 서열과는 전혀 중복되지 않는 올리고핵산(제조사:다마콘 Dharmacon, 제품명: miRIDIAN microRNA Mimic - Negative control #2, 5nmol, CN-002000-01-05, 비교예 2)을 트랜스펙션시킨 샘플을 이용하였다.
트랜스펙션시킨 세포를 CO2 5%가 포함된 37℃ 인큐베이터에서 약 6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트리졸(Trizol) 시약 1ml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그 다음, 분리한 RNA를 올리고 디티(oligo dT) 및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ase)를 이용하여 cDNA를 만들고, 케라틴 1(제조사: applied biosystems, 제품 assay ID: Hs00196158_m1) 및 케라틴 10(제조사: applied biosystems, 제품 assay ID: Hs00166289_m1)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해 real-time PCR 실험을 수행하고,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양을 관찰하였다.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양은 하우스키핑(house keeping) 유전자인 RPLP0의 mRNA 발현 양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sa-miR-944 의 모방체를 트랜스팩션한 실시예의 경우, 어떠한 올리고핵산도 넣지 않은 비교예 1과 본 발명의 miRNA 서열과는 전혀 중복되지 않는 올리고핵산을 트랜스펙션시킨 비교예 2의 경우보다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량이 월등히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서열 또는 이의 안티센스 핵산분자인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miRNA를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포함하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의 단편 또는 그의 유사체도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할 수 있다.
원료명 함량 (중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실시예의 hsa-miR-944 0.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로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할 수 있다.
원료명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의 hsa-miR-944 0.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할 수 있다.
원료명 함량 (중량%)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의 hsa-miR-944 0.01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팩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할 수 있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실시예의 hsa-miR-944 0.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적량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연고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할 수 있다.
원료명 함량(중량 %)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의 hsa-miR-944 0.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정제수 잔량
100
<110> AMOREPACIFIC CORPORATION <120> Micro RNA, and screening method using the micro RNA <130> 12P600/IND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944 <400> 1 aaauuauugu acaucggaug ag 22 <210> 2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944 <400> 2 cucauccgau guacaauaau uu 22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로 이루어지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관련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셀룰라이트 제거, 피부결 개선, 광노출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 어린선(ichthyosis) 예방 또는 개선, 표피각화 정상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개선, 탈모 방지 또는 개선 및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용 중 하나 이상의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으로서,
    (a)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로 이루어지는 분리된 miRNA 핵산분자를 세포에 트랜스펙션시키는 단계;
    (b) 상기 세포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촉진하는지 또는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 활성 또는 기능을 증가시키는 경우 케라틴 1, 케라틴 10, 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촉진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시험물질이 케라틴 1 및 케라틴 10 중 하나 이상의 발현, 활성 또는 기능을 감소시키는 경우 케라틴 1, 케라틴 10, 또는 케라틴 1 및 케라틴 10의 억제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miRNA 핵산분자는 세포의 리포좀 또는 백터에 트렌스펙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세포는 각질형성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KR1020120123693A 2012-11-02 2012-11-02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KR10202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93A KR102027451B1 (ko) 2012-11-02 2012-11-02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93A KR102027451B1 (ko) 2012-11-02 2012-11-02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54A KR20140057054A (ko) 2014-05-12
KR102027451B1 true KR102027451B1 (ko) 2019-10-02

Family

ID=5088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693A KR102027451B1 (ko) 2012-11-02 2012-11-02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776B1 (ko) * 2015-11-30 2023-07-10 (주)아모레퍼시픽 miRNA를 포함하는 흑색종 전이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6909A1 (fr) 2009-09-02 2011-03-10 L'oreal SIGNATURE microARN DE LA DIFFÉRENCIATION ÉPIDERMIQUE ET UTILIS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40232A1 (en) 1995-06-07 1996-12-19 Autoimmune, Inc. Oral tolerance in skin diseases presenting with t-cell mediated inflammation
KR101318521B1 (ko) 2005-08-23 2013-10-16 가오루 미야자키 피부 노화 마커와 그의 이용기술
JP2009143832A (ja) 2007-12-13 2009-07-02 Oji Paper Co Ltd 表皮角化正常化剤
KR20110059917A (ko) 2009-11-30 2011-06-08 김송이 에코매트
KR101785347B1 (ko) 2010-11-19 2017-10-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세포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6909A1 (fr) 2009-09-02 2011-03-10 L'oreal SIGNATURE microARN DE LA DIFFÉRENCIATION ÉPIDERMIQUE ET UTILISATIONS
US20120259000A1 (en) 2009-09-02 2012-10-11 L'oreal Epidermal differentiation microrna signature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NCBI Reference Sequence: NR_030642.1(2011.08.1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54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6243B2 (ja) 保湿効果又は老化防止効果を有する少なくとも2つの浸透圧調節物質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1938548B1 (ko)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색소형성유전자 발현조절용 조성물
KR101849102B1 (ko)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색소형성유전자 발현조절용 조성물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KR102027451B1 (ko)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사용하는 스크리닝 방법
EP3162358B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chemokine
AU2022379566A1 (en) Biosurfactant formulations for use in skincare and wound treatment
KR20200136928A (ko) 테트라셀미스 추출물
US20230073286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and reducing skin wrinkles, comprising viburnum stellato-tomentosum extract
KR20200048742A (ko) Hmga1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hmga1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33949B1 (ko) miRNA-630 및 이의 모방체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740A (ko) Dnaja1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dnaja1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20180032955A (ko) Tnfrsf14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tnfrsf14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610932B1 (ko) Card18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card18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JP5847090B2 (ja) 皮膚のバリア機能を改善するためのcertの発現を刺激する活性薬剤をス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
KR101871920B1 (ko)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0243B1 (ko) 마이크로 rna를 포함하는 색소형성유전자 발현조절용 조성물
KR102635297B1 (ko) Linc00302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linc00302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20180032954A (ko) Sh3bp4 억제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sh3bp4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1852440B1 (ko) 듀옥스 2 miRNA를 포함하는 피부 세포 분화 조절용 조성물
KR20170062862A (ko) Lipa 억제를 통한 흑색종 예방 또는 치료제, 및 그 스크리닝 방법
KR102264354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645432B1 (ko) 피부 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피부 세포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20200048738A (ko) Arid5b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arid5b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475128B1 (ko) Entpd4 억제를 통한 흑색종 예방 또는 치료제, 및 그 스크리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