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994B1 -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994B1
KR102025994B1 KR1020170179795A KR20170179795A KR102025994B1 KR 102025994 B1 KR102025994 B1 KR 102025994B1 KR 1020170179795 A KR1020170179795 A KR 1020170179795A KR 20170179795 A KR20170179795 A KR 20170179795A KR 102025994 B1 KR102025994 B1 KR 10202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unit
wheeled vehicle
roller
error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082A (ko
Inventor
류기현
배진민
조병옥
손성호
조문규
조은빛
박용관
Original Assignee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한국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7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9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6Two-wheel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G01M17/045Suspension or damping the vehicle wheels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와 계기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계기속도와 실제속도 간의 오차를 계산함에 정확한 속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방법을 위하여,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동력에 의해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타이어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롤러부와, 상기 이륜 자동차의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 시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륜 자동차의 상기 특정 계기속도와 상기 실제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하는 제어부룰 포함하는, 이륜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Test device for speedometer of two 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부로부터 회전수를 검출하여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이륜 자동차의 계기속도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함에 따라, 이륜 자동차의 정확한 속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 자동차는 차량 검사소나, 정비 업체, 또는 이륜 자동차의 생산 업체 등에서 이륜 자동차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성능 검사를 위한 여러 종류의 검사장치가 사용된다.
이륜 자동차의 검사로는 정기 검사, 배출가스 검사, 제동력 검사 및 속도계검사 등이 있다.
정기 검사는 검사소에서 일정 기간에 한번씩 이륜 자동차의 안전을 위해 수행하며, 이를 위해 검사소는 이륜 자동차의 다양한 검사를 위한 여러 종류의 검사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제동력 검사는 제동력이란 운전자가 주행중인 이륜 자동차를 정지할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공력 검사는 타이어를 회전하는 부재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검사한다.
속도계 검사는 계기속도와 실제속도가 일치하는지 검사하는 속도계 검사가 있다.
현재 운행 중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는 오차가 심하여, 운행자가 정확한 주행 속도를 감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운행자는 과속으로 인한 사고 등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일부 국가는 배기량 별 최고속도를 제한하는 규정이나 전기 이륜 자동차의 최고 속도를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 속도와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나타나는 계기속도와의 차이가 존재하여, 이러한 규정을 만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5721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방법은 실제속도와 계기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계기속도와 실제속도 간의 오차를 계산함에 정확한 속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동력에 의해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타이어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롤러부와, 상기 이륜 자동차의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 시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륜 자동차의 상기 특정 계기속도와 상기 실제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하는 제어부룰 포함하는, 이륜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가 특정 계기속도에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도록, 상기 계기속도가 특정 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상기 제어부에 알려주는 입력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지시부는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수 계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가 안착된 롤러부를 정지상태부터 구동하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회전속도 증가 단계와,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계기속도가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는 회전수 수신 단계와,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는 실제속도 계산 단계와, 상기 실제속도와 상기 특정 계기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상기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하는 오차율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속도 증가 단계 후 상기 회전수 수신 단계 전에,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된 계기속도가 상기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속도 증가 단계 전에, 알람 단계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계기속도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륜 자동차의 정확한 속도를 감지하여, 이륜 자동차의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방법을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계 검사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의 제어부(40)의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제동력 검사 장치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계 검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는 하우징부(10), 구동부(20), 롤러부(23, 24),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0)는 회전수 계측부(80), 롤링부(30), 리프트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우징부(10)는 검사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구동부(20)는 구동력을 발생하여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를 회전시킨다. 롤러부(23, 24)는 타이어가 안착될 수 있으며, 구동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타이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롤러부(23, 24)는 타이어와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롤러부(23, 24)의 회전수로부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계기속도와 실제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계기속도의 오차를 계산한다.
추가적으로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0)는 포함할 수 있는 회전수 계측부(80), 롤링부(30), 리프트부(미도시)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회전수 계측부(80)는 롤러부의 회전수를 계측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롤링부(30)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이어와 밀착되어 구동부의 회전 시에 타이어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리프트부(미도시)는 롤러부(23, 24)에 안착된 타이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부(10)는 검사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대략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우징부(10)는 금속 또는 합금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다르게 하우징부(10)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거나, 프레임 및 커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동부(20)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동력전달부(21)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부(20)는 동력전달부(21), 감속부(22) 및 연결부(25)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타이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동력전달부(21)는 서보모터, DC모터 등일 수 있다.
감속부(22)는 회전축에 의해 동력전달부(21)와 연결되고, 동력전달부(21)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후술하는 다른 회전축을 통해 동력전달부(21)의 회전동력을 롤러부(23, 24)에 전달한다.
연결부(25)는 후술할 롤러부의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를 연결한다. 연결부(25)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롤러부(23, 24)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동력전달부(21)는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 및 후술할 밀착 롤러부(34)와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감속부(22)는 동력전달부(21)와 일직선 상에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검사장치(1)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 구동부(20)와 롤러부(23, 24) 등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롤러부(23)는 감속부(22)에 연결되는 회전축의 일측과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감속부(22)와 연결되고, 감속부(22)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롤러부(23)의 회전축에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롤러부(24)는 제1 롤러부(23)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 롤러부(23)와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롤러부(24)는 후술하는 연결부(25)를 통해 제1 롤러부(23)가 회전하면 제1 롤러부(23)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롤러부(24)의 회전축에 스프로켓 또는 풀리가 설치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는 타이어와 미끄럼 방지 및 마찰력 증대를 위해 표면에 홈이나 너어링 가공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는 타이어와의 미끄럼 방지 및 마찰력 증대를 위해 그리트 그레이드(grit grade)와 에폭시 수지를 혼합 코팅한 미끄럼 방지 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검사장치(1)는 롤러부(23, 24)의 제1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계측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수 계측부(80)는 제1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4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수 계측부(80)는 제1 롤러부(23)와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인코더링(81)과, 인코더링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8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더링(81)은 제1 롤러부(23)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한다. 이때 인코더링(81)은 기어, 슬릿이 형성된 링 또는 다극으로 자화된 마그네틱 링일 수 있으며, 센서(82)는 인코더링에 적합한 광학식 센서 또는 자력 변화 감지 센서 등일 수 있다.
회전수 계측부(80)는 제1 롤러부(23)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롤러부(24)에 연결되거나 제1 롤러부(23) 및 제2 롤러부(24)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부(25)는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를 연결한다. 즉, 연결부(25)는 제1 롤러부(23)의 스프로켓(또는 풀리)과 제2 롤러부(24)의 스프로켓(또는 풀리)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연결부(25)는 체인 또는 벨트로 형성되어 제1 롤러부(23)의 회전력에 따라 제2 롤러부(24)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결부(25)는 동력전달부(21)와 감속부(22)에 인접하도록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의 스프라켓(또는 풀리)에 연결 설치된다. 즉, 연결부(25)가 동력전달부(21)와 감속부(22)에 인접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이에 따라 이륜 자동차의 제동력 검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어부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20)는 감속기(22)를 제외하고 동력전달부(21) 및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다르게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21)의 회전축은 제1 롤러부(23)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롤러부(23)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부(2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위에 소개된 구성요소에 한정하지 않고 그 구성요소가 변경될 수 있으며, 배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40)를 설명하면, 제어부(40)는 검사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가속부(41), 입력부(42), 실제속도 계산부(43) 및 오차율 계산부(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40)는 하우징부(10)의 외부에 배치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40)는 하우징부(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40)의 가속부(41)는 구동부(20)가 구동하도록 구동명령을 지시하고, 구동부(20)는 지시에 따라 구동하여 롤러부(23, 24)를 회전시킨다. 이때 가속부(41)는 롤러부(23, 24)가 정지된 상태에서 점차 가속하도록 구동부(20)에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부(41)는 롤러부(23, 24)의 속도를 0km/h에서 120km/h까지 점차적으로 가속하도록 구동부(20)에 명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속부(41)는 주파수를 변환하여 교류 모터의 주파수 변조로 롤러부(23, 24)의 회전속도를 변환한다.
제어부(40)의 입력부(42)는 롤러부(23, 24)의 회전수를 전달받아, 실제속도 계산부(43)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2)는 회전수 계측부(80)로부터 롤러부(23, 24)의 회전수를 전달받아, 실제속도 계산부(43)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42)는 후술할 입력지시부(70)로부터 지시를 받아, 지시 받은 시점에 회전수를 실제속도 계산부(43)로 전달할 수 있다.
실제속도 계산부(43)는 롤러부(23, 24)의 회전수로부터 실제속도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회전수 계측부(80)로부터 회전수를 수신하여, 제1 롤러부(23)의 선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롤러부(23)의 선속도는 타이어의 선속도와 동일하거나 이에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선속도로 여길 수 있다. 그리고 타이어의 선속도는 이륜 자동차의 실제 주행 속도로 여길 수 있다. 즉, 제1 롤러부(23)의 선속도는 이륜 자동차의 실제 주행 속도(이하 '실제속도'라 함)라 할 수 있다.
실제속도를 구하는 공식은 하기와 같은 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식 1: V1(실제속도(km/h)) = 60 π D nk×10-6
D: 롤러의 직경(mm)
nk: 정격회전속도(r/min) k=1,2,3,4,5,6
그리고 제어부(40)의 오차율 계산부(44)는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계기속도와 실제속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한다.
오차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하와 같은 식 2에 의해 계산된다.
식 2: δ(오차율)= [(V - V1) /V1] × 100%
V: 계기속도(km/h)
V1: 실제속도(km/h)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특정 계기속도에서 표시된 계기속도와 실제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계기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인 20km/h, 40km/h, 60km/h에서 회전수 계측부로부터 회전수를 전달받아, 각각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계기속도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계기판은 20km/h을 지시하여 계기속도가 20km/h이며, 실제속도가 19.50으로 계산된 경우, 식 2에 계기속도 및 실제속도를 대입하여, 2.60의 오차율을 결과값으로 계산한다. 또한, 계기속도가 40km/h, 실제속도가 39.50km/h로 계산된 경우, 오차율은 1,30이 된다. 또한, 계기속도가 60km/h. 실제속도가 59.50km/h로 계산된 경우, 오차율은 0.80이 된다.
제어부(40)는 위의 예시처럼 20km/h, 40km/h, 60km/h 등의 특정 계기속도에서 오차를 계산하기 위하여, 계기속도가 20km/h, 40km/h, 60km/h 등의 특정 속도에 도달하였다는 입력을 받고 그 순간 회전수 계측기(80)에서 측정된 회전수를 이용하여 실제속도를 계산한다. 이를 위하여 검사장치(1)는 계기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제어부(40)에 알려주는 입력지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지시부(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입력지시부(70)는 제어부(4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지시부(70)는 리모트 컨트롤러나 풋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입력지시부(70)는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계기속도가 특정 속도, 예컨대 20km/h, 40km/h, 60km/h 등에 도달하였을 때 버튼을 눌러, 계기속도가 특정 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입력부(42)는 입력지시부(70)의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회전수 계측부(80)로부터 입력지시부(70)의 신호를 수신하는 때의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구동부(20)의 속도를 증가하는 명령을 내려, 구동부(20)가 정지상태에서 점차적으로 롤러부(23)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롤러부(23)가 점차 가속함에 따라 계기판의 계기속도가 20km/h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입력지시부(70)의 버튼을 눌러 제어부(40)에 20km/h에 도달하였음을 알린다.
제어부(40)는 입력부(42)로 계기속도가 20km/h에 도달하였음을 전달받고, 그 순간의 롤러부(23)의 회전수를 회전수 계측부(8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의 입력부는 회전수를 실제속도 계산부(43)로 전송하고, 실제속도 계산부(43)는 위 식 1에 따라 실제속도를 계산한다.
그리고 오차율 계산부(44)는 실제속도 계산부로부터 실제속도를 수신하여, 식 1에 따라 계기속도인 20km/h와 비교 계산하여, 오차율을 계산한다.
제어부(40)는 사용자가 계기속도, 실제속도 및 오차율을 알 수 있도록 표시부(45)로 전송한다.
속도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40)는 위 과정을 기 설정된 특정 속도인40km/h, 60km/h 등 20km/h 증가할 때 마다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때, 롤러부(23)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제어부(40)는 입력지시부로부터 첫번째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계기속도가 20km/h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40)는 입력지시부(70)로부터 두번째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계기속도가 40km/h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40)는 세번째 신호 및 그 이후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계기속도도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지시부(70)는 제어부(40)의 입력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입력부(42)는 신호의 순서에 따라 계기속도가 20km/h, 40km/h, 60km/h 중 어느 것인지 오차율 계산부(44)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42)는 첫번째 신호 수신 시 20km/h의 계기속도를 오차율 계산부(44)로 전송하고, 두번째 신호 수신 시 40km/h의 계기속도를 오차율 계산부(44)로 전송한다.
또는, 입력지시부(70)는 오차율 계산부(44)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오차율 계산부(44)는 입력지시부(7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순서에 따라 계기속도를 계기속도가 특정 속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율 계산부(44)는 입력지시부(70)로부터 첫번째 신호 수신 시 계기신호를 20km/h로 설정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두번째 신호 수신 시 계기속도를 40km/h로 설정하여 오차를 계산한다.
한편, 검사장치(1)는 표시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율 계산부에서 계산된 오차율, 실제속도, 계기속도를 표시하여, 검사자 등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시부(45)는 LCD, LED 등의 모니터형태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50 및 60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사장치(1)는 지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0)가 하우징부(10)의 양측면 외측에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이륜 자동차의 제동력 검사시에 이륜 자동차가 넘어지지 않도록 이륜 자동차를 고정 지지한다. 이륜 자동차는 사륜 자동차와 달리 반드시 제동력 측정시에 운전자가 이륜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동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탑승자이 안전을 위해 반드시 지지부(50)로 이륜 자동차가 넘어지는 등의 돌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지부(5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이륜 자동차가 후술하는 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에 안착될 때에 실린더가 돌출되어 이륜 자동차를 고정지지한다. 또한, 이러한 실린더의 선단에는 이륜 자동차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50)가 하우징부(10)의 양측면 외측에 일체로 결합 설치됨에 따라 이륜 자동차의 제동력 검사장치의 소형화의 도모가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검사장치는 중량 측정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측정계(60)가 하우징부(10)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스톱으로 타이어의 하중을 측정한 데이터가 제어부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어 제동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방법은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가 안착된 롤러부(23)를 정지상태부터 구동하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회전속도 증가 단계(S30), 이륜 자동차의 특정 계기속도에서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수신하는 회전수 수신 단계(S40), 롤러부(23)의 회전수로부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는 실제속도 계산 단계(S50), 실제속도와 특정 계기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하는 오차율 계산 단계(S60)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1)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방법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검사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지만, 변경가능하다.
데이터 설정단계(S10)는 후술하는 알람 단계(S35)의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계기속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설정단계(S10)는 알람단계(S35)로부터 첫번째 신호 수신 시 계기속도를 특정 계기속도(예컨대, 20km/h)로 설정하고, 두번째 신호 수신 시 계기속도를 특정 속도(예컨대 40km/h)로 설정한다. 세번째 신호 및 그 이후 신호도 마찬가지이다.
이륜 자동차를 위치시키는 단계(S20)는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2)를 롤러부(23, 24)의제1 롤러부(23)와 제2 롤러부(24)에 위치시킨다. 이륜 자동차를 위치시키는 단계(S20)는 롤러부(23, 24)에 안착된 이륜 자동차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부(50)로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회전속도 증가 단계(S30)는 롤러부(23) 및 타이어가 정지상태에서 구동부(20)를 구동하여, 점차적으로 속도를 높여 롤러부(23) 및 타이어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롤러부(23) 및 타이어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의 계기속도는 0km/h부터 증가하게 된다. 이때, 주파수 변환장치로 교류 모터의 주파수 변조로 롤러부(23)의 회전 속도를 변환한다.
회전수 수신 단계(S40)는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계기속도가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하면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계기속도가 점차 증가하여 20km/h, 40km/h, 60km/h가 되었을 때 각각의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측정 또는 수신한다.
회전속도 증가 단계(S30) 후 회전수 수신 단계(S40)전에, 계기속도가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람 단계(S35)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롤러부(23)가 회전함에 따라 계기판의 계기속도가 20km/h가 되었을 때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측정 또는 수신할 것을 알려주면, 회전수 수신 단계(S40)에서 롤러부(23, 24)의 회전수를 수신한다. 즉, 회전수 수신 단계(S40)는 알람 단계(S35)의 신호 또는 지시에 따라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측정 또는 수신한다. 이러한 것은 계기속도가 40km/h, 60km/h일 때도 마찬가지이다.
실제속도 계산 단계(S50)는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전술한 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이때, 20km/h, 40km/h, 60km/h의 계기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실제속도를 계산한다.
오차율 계산 단계(S60)는 실제속도와 특정 계기속도를 전술한 식 2를 사용하여 비교 계산하여, 계기판에 표시된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계기판은 20km/h을 지시하였지만, 실제속도가 19.50으로 계산된 경우, 식 2에 계기속도 및 실제속도를 대입하여, 2.60의 오차율을 결과값으로 계산한다. 또한, 계기속도가 40km/h, 실제속도가 39.50km/h로 계산된 경우, 오차율은 1,30이 된다. 또한, 계기속도가 60km/h. 실제속도가 59.50km/h로 계산된 경우, 오차율은 0.80이 된다.
표시 단계(S70)는 오차율 계산 단계(S60)에서 계산된 오차율을 모니터 등의 표시부(45)에 표시한다. 이때, 20km/h, 40km/h, 60km/h의 계기속도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모든 계산이 완료된 후 한꺼번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의 특징은 입력지시부(70) 대신에, 제어부(40)와 이륜 자동차의 제어장치(100, 예컨대 ECU)를 통신하게 하여, 이륜 자동차의 계기속도를 직접 제어부(4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계기속도가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수신하여, 실제속도 및 오차율을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이륜 자동차는 OBD를 통해 실시간 바이크의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바이크의 상태정보에는 현재 속도를 포함한다. 제어장치로부터 얻는 현재 속도와 계기판의 계기속도가 일치하거나 매우 근접하다는 가정한다. 이하에서 현재 속도는 계기속도라 칭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OBD를 통해 이륜 자동차의 제어장치(100)와 연결되어, 이륜 자동차의 상태정보, 특히 계기속도를 수신한다.
롤러부(23)가 가속됨에 따라 계기속도가 0km/h에서 증가하여 특정 계기속도(예컨대 20km/h, 40km/h, 60km/h)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회전수 계측부(80)로부터 롤러부(23)의 회전수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특정 계기속도마다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오차율을 계산한다.
이러한 경우, 사람의 인위적인 동작이 배제되어 계기속도와 실제속도 간의 오차율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설정 단계(S10), 이륜 자동차 위치 단계(S2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방법과 동일하다. 연결단계(S25)는 검사장치의 제어부와 이륜 자동차의 제어장치를 OBD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이다.
연결이 완료되면, 회전속도 증가 단계(S30)는 롤러부(23, 24) 및 타이어가 정지상태에서 구동부를 구동하여, 점차적으로 속도를 높여 롤러부 및 타이어를 회전시킨다.
회전수 수신 단계(S41)는 이륜 자동차의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계기속도가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하면 롤러부(23, 24)의 회전수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계기속도가 점차 증가하여 20km/h, 40km/h, 60km/h가 되었을 때 각각의 롤러부(23, 24)의 회전수를 측정 또는 수신한다.
실제속도 계산 단계(S50)는 롤러부(23, 24)의 회전수를 전술한 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이때, 20km/h, 40km/h, 60km/h의 계기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실제속도를 계산한다.
오차율 계산 단계(S60)는 실제속도와 특정 계기속도를 전술한 식 2를 사용하여 비교 계산하여, 계기판에 표시된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한다.
표시 단계(S70)는 오차율 계산 단계(S60)에서 계산된 오차율을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1: 속도계 검사장치 10: 하우징부
20: 구동부 21: 동력전달부
22: 감속부 23: 제1 롤러부
24: 제2 롤러부 25: 연결부
30: 롤링부 40: 제어부
41: 가속부 42: 입력부
43: 실제속도 계산부 44: 오차율 계산부
45: 표시부 70: 입력지시부
80: 회전수 계측부 81: 인코더링
82: 센서.

Claims (7)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동력에 의해 이륜 자동차의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타이어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롤러부와 제2 롤러부를 구비하는 롤러부;
    상기 이륜 자동차의 특정 계기속도에 도달 시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로부터 상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륜 자동차의 상기 특정 계기속도와 상기 실제속도를 비교 계산하여,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속도의 오차율을 계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특정 계기속도에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도록, 상기 계기속도가 특정 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상기 제어부에 알려주는 입력지시부;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전수 계측부;
    상기 타이어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중량측정계; 및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면 외측에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상기 이륜 자동차의 검사시에 상기 이륜 자동차가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이륜 자동차를 고정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 계측부는,
    상기 제1 롤러부와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인코더링; 및
    상기 인코더링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명령을 전달하는 가속부;
    상기 입력지시부로부터 수신 받은 상기 계기속도의 특정속도와 상기 회전수 계측부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수신된 상기 롤러부의 회전수를 통해 상기 이륜 자동차의 실제속도를 계산하는 실제속도 계산부;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계기속도와 상기 실제속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실제속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하는 오차율 계산부; 및
    상기 오차율 계산부에서 계산된 오차율, 상기 실제속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실제속도 및 상기 이륜 자동차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계기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제속도 계산부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오차율 계산부는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식 1]
    V1(실제속도(km/h)) = 60 π D nk×10-6
    D: 롤러의 직경(mm)
    nk: 정격회전속도(r/min) k=1,2,3,4,5,6
    [식 2]
    δ(오차율)= [(V - V1) /V1] × 100%
    V: 계기속도(km/h)
    V1: 실제속도(km/h)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79795A 2017-12-26 2017-12-26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KR10202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95A KR102025994B1 (ko) 2017-12-26 2017-12-26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95A KR102025994B1 (ko) 2017-12-26 2017-12-26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82A KR20190078082A (ko) 2019-07-04
KR102025994B1 true KR102025994B1 (ko) 2019-11-04

Family

ID=6725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95A KR102025994B1 (ko) 2017-12-26 2017-12-26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929B1 (ko) 2023-05-24 2023-08-25 큐로테크 (주) 상하이동식 슬립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테스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871A (ja) 2002-03-04 2003-09-10 Honda Motor Co Ltd 二輪自動車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218A (ja) * 1994-10-19 1996-05-17 Nissan Altia Co Ltd 車両性能の多機能試験装置
KR101629528B1 (ko) 2008-09-08 2016-06-21 버크 이. 포터 머쉬너리 컴퍼니 차량 검사 조립체
KR20160115887A (ko) * 2016-09-22 2016-10-06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이륜 자동차의 종합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871A (ja) 2002-03-04 2003-09-10 Honda Motor Co Ltd 二輪自動車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3842148B2 (ja) 2002-03-04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自動車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929B1 (ko) 2023-05-24 2023-08-25 큐로테크 (주) 상하이동식 슬립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테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82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174B2 (en) Vehicle load weight detecting apparatus
US4158961A (en) Device for testing vehicles
EP1798077A3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alarming decrease in tire air-pressure
CN109017166B (zh) 一种利用声音检测轮胎气压的设备
KR102025994B1 (ko) 이륜 자동차의 속도계 검사장치
KR20160115887A (ko) 이륜 자동차의 종합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CN202362320U (zh) 滚筒式车速表检验台
CN106626991B (zh) 一种车辆轮胎磨损检测设备和方法及车辆控制系统
CN108973544B (zh) 一种利用电流检测轮胎气压的设备
EP18328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brake system of two-wheeled motor vehicle
CN110621972A (zh) 轮胎测试机、用于测试轮胎的方法以及计算机程序
CN102818547A (zh) 一种用于测量车辆离合踏板行程的工具
CN204575679U (zh) 汽车车速表检验台
RU135985U1 (ru) Мобильный роликовый стенд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тормозных механизм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N2762142Y (zh) 汽车轮速传感器测试装置
CN103558038A (zh) 牵引力控制检测系统
CN104266785B (zh) 踏板力检测仪
CN116147934A (zh) 一种叉车的动力性能检测设备及其应用
CN215639926U (zh) 一种实现就车式车轮平衡机平衡补偿点相位自动指示的测量装置
CN116577112A (zh) 一种叉车的动力性能检测方法
KR101887286B1 (ko) 이동식 이륜 자동차의 자동 종합 검사장치
KR102179282B1 (ko) 열차속도감지부의 테스트 시스템
CN208547484U (zh) 一种筒轴距可调的反力式汽车制动检测台
CN203798825U (zh) 大吨位汽车车速表检测装置
KR101887284B1 (ko) 이륜 자동차의 제동력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