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47B1 -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그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그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47B1
KR102025347B1 KR1020197017565A KR20197017565A KR102025347B1 KR 102025347 B1 KR102025347 B1 KR 102025347B1 KR 1020197017565 A KR1020197017565 A KR 1020197017565A KR 20197017565 A KR20197017565 A KR 20197017565A KR 102025347 B1 KR102025347 B1 KR 10202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thermocouple
pad
groove portion
groov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602A (ko
Inventor
고조 히라노
신이치 요시나가
쇼지 나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야마리산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리 센서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리산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리 센서 시스템 filed Critical 야마리산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부품 수를 억제함과 아울러,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여, 시스 열전대에 구부림이나 비틀림, 인장이 발생하더라도 패드로부터 빠져 버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고, 시스 열전대의 패드에 대한 착탈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수단)패드(1)에, 삽입·부착홈부(2)와 록킹홈부(3)가 형성되고, 시스 열전대(9)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91)이 형성되고, 록킹홈부(3)는,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되고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31)와, 비교적 폭이 좁은 제2홈부(32)가 형성된 내측으로 넓어진 홈(12)으로 구성되고, 록킹홈부(3)의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시스 열전대(9)에 장착된 빠짐방지부재(5)가 내벽면(12a)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시스 열전대(9)가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된다.

Description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그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본 발명은, 시스 열전대(sheathed thermocouple)를 패드(pad)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測溫 對象面)에 부착하는 부착구조, 이것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부착구조로서는, 3∼5mm 정도 두께의 금속판(패드)에 시스 열전대의 선단(先端)의 감온부(感溫部)를 끼우고 용접하여 고정한 패드 부착 열전대를 준비하고, 이것을 측온 대상면까지 인입하고, 선단의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용접함으로써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조가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도5를 참조).
또한 측온 대상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미리 고정된 패드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를 뒤에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상기 패드에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를 받아들이는 삽입·부착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삽입·부착홈에 있어서 시스 열전대를 받아들이는 입구부의 외측에, 시스 열전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파지하는 파지부(把持部)를 형성하고, 상기 시스 열전대가, 상기 측온 대상면에 고정된 패드의 상기 삽입·부착홈에 감온부가 삽입되어 부착되고, 또한 상기 파지부에 의하여 입구부 외측으로 나와 있는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2를 참조).
특허문헌2의 부착구조에 의하면, 시스 열전대를 패드에 용접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어, 시스관(sheath pipe)의 펑크나 그것에 의한 흡습(吸濕), 측정오차, 응답성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측온 대상면에 대한 접촉면이 되는 하면측의 후가공도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코스트 저감으로 연결되며, 응답성도 유지되고, 품질이 안정화 된다. 또한 패드만을 측온 대상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먼저 고정하기 때문에, 당해 작업을 할 때에 시스 열전대가 방해되지 않아서, 복잡하게 얽힌 보일러 튜브에 부착할 때에도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용접작업을 할 때에 열전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열 대미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열전대를 교환하는 경우에, 패드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시스 열전대만을 교환할 수 있어, 교환 코스트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부착구조는, 파지부로서 패드 본체의 입구부에 별도의 부재인 통모양체가 고정되고, 그 통모양체를 넘어가서 대략 ㄷ자 모양의 파지부재가 장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 수가 많아서 코스트가 높아지게 됨과 아울러, 통모양체에 시스 열전대로부터의 예상 외의 큰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고정부분이 파손될 우려도 있다. 또한 동(同) 시스 열전대에 구부림이나 비틀림, 인장 등이 발생하면, 통모양체의 내부에서 시스 열전대가 움직이게 되지만, 시스 열전대에 장착되는 파지부재는, 통모양체의 관통홈을 통하여 통모양체의 벽부를 넘어가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 열전대가 움직임으로써 파지부재가 통모양체의 벽부에 눌려져서 열려 버려서, 시스 열전대로부터 벗어나서 시스 열전대가 패드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통모양체를 넘어가서 장착되는 파지부재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파지편이 어느 정도 길게 설정되지만, 이러한 긴 파지편을 갖는 파지부재는, 파지편의 선단이 측온 대상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통모양체에 대하여 패드 본체의 상하방향을 향하여 장착할 수 없어, 상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장착은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나빠서 효율의 저하나 장착불량의 원인이 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45537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156788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이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측온 대상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미리 고정된 패드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를 뒤에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부착구조에 있어서, 부품 수를 억제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스 열전대로부터의 예상 외의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패드가 파손되지 않아서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여, 시스 열전대에 구부림이나 비틀림, 인장이 발생하더라도 패드로부터 빠져 버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고, 시스 열전대의 패드에 대한 착탈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이것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시스 열전대를 패드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에 부착하는 부착구조로서,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되는 상기 패드에, 상기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와,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스 열전대의 록킹홈부에 받아들여지는 영역의 소정 장소에, 대략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가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비교적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상기 시스 열전대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상기 시스 열전대가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2)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가, 접촉면의 반대측의 면에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장착되는 상기의 (1)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3)상기 록킹홈부를 구성하는 내측으로 넓어진 홈이,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와, 그 제1홈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내벽면이 시스 열전대의 시스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비교적 폭이 좁은 제2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 중에서 상기 제1홈부와 제2홈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접촉되어 멈추는 상기의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4)상기 패드가, 하면이 상기 접촉면이 되고 대략 평행한 상하면을 갖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착홈부로서 상기 접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이 패드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가,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연속하여 패드 가장자리부에 이르는 그 가장자리부로 개방된 홈이고, 상기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가 패드 상면에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상기의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5)상기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인 상기의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6)상기 록킹홈부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으로 넓어진 홈 전체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인 상기의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7)상기의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로서,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와,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비교적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 열전대는, 감온부가 상기 삽입·부착홈에 삽입되어 부착되고, 또한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상기 오목홈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패드.
(8)시스 열전대를 패드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에 부착하는 부착방법으로서,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되는 상기 패드에, 상기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와,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스 열전대의 록킹홈부에 받아들여지는 영역의 소정 장소에, 대략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가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비교적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상기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고정된 패드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상기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를 축방향을 따라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상기 록킹홈부에 삽입하여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의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시스 열전대를 향하여 대략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시스 열전대의 오목홈에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 열전대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상기 시스 열전대가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9)상기 시스 열전대가, 상기 패드에 장착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위치에서 굴곡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시스 열전대를 상기 패드에 장착한 후에,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하여 부착되는 영역의 축을 중심으로 시스 열전대 전체를 회전시키고, 그 시스 열전대의 굴곡부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측온 대상물을 따라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측온 대상물에 접촉된 상기 기단측의 영역을 측온 대상물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상기의 (8)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10)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상기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이, 판모양의 부착치구로서, 길이방향 일단측에 판두께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의 되돌림부를 갖는 부착치구의 상기 되돌림부를, 상기 패드의 록킹홈부의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에 개방부분을 통하여 삽입하고, 그 홈부의 내벽에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패드에 상기 부착치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부착치구의 타단측을 파지하고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위치를 부여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를 부여한 패드를 상기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의 (9)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11)상기 위치를 부여한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이, 상기 부착치구의 타단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점용접에 의하여 가고정하는 공정과, 가고정된 상기 패드를 상기 측온 대상면에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의 (10)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이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본원발명에 의하면, 패드에 상기 삽입·부착홈부와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패드 본체와는 별체로 구성된 통모양체를 패드 본체에 고정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패드 본체에 고정되는 종래의 통모양체에 비하여, 패드의 일부에 형성된 록킹홈부는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어, 시스 열전대로부터의 예상 외의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아 시스 열전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록킹홈부는,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비교적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록킹홈부의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시스 열전대에 장착된 빠짐방지부재가,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상기 시스 열전대가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빠짐방지부재는 록킹홈부의 내부에서 시스 열전대에 일체적으로 강고하게 맞물려서, 시스 열전대에 구부림이나 비틀림, 인장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의 파지부재와 같이 열려서 시스 열전대로부터 빠져 버리지 않아, 시스 열전대에 대한 강고한 맞물림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패드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부재는, 종래의 파지부재와 같이 통모양체로부터 받는 힘에 의하여 열려 버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긴 파지편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장착방향도 패드의 접촉면과 직교하는 방향(실시형태에서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접촉면)을 향하는 상하방향)을 따라 장착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록킹홈부의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가, 접촉면의 반대측의 면(실시형태에서는 상면)에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에서는, 현장에서의 시스 열전대의 탈착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록킹홈부를 구성하는 내측으로 넓어진 홈이,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와, 그 제1홈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내벽면이 시스 열전대의 시스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비교적 폭이 좁은 제2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 중 상기 제1홈부와 제2홈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접촉되어 멈추도록 구성하면, 간이한 구조로 빠짐방지부재와 함께 시스 열전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가, 하면이 상기 접촉면이 되고 대략 평행한 상하면을 갖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착홈부로서 상기 접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이 패드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가,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연속하여 패드 가장자리부에 이르는 그 가장자리부로 개방된 홈이고, 상기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가 패드 상면에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하면, 보다 간이한 구조이고 저코스트로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인 것에서는, 제조 코스트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홈부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으로 넓어진 홈 전체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인 것에서는, 제조 코스트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으로서, 특히 상기 시스 열전대가, 상기 패드에 장착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위치에서 굴곡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시스 열전대를 상기 패드에 장착한 후에,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하여 부착되는 영역의 축을 중심으로 시스 열전대 전체를 회전시키고, 그 시스 열전대의 굴곡부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측온 대상물을 따라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측온 대상물에 접촉된 상기 기단측의 영역을 측온 대상물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에서는, 굴곡된 시스 열전대의 기단측을 측온 대상물로부터 이간시켜서 손으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아울러, 시스 열전대를 패드에 장착한 후에는 시스 열전대를 측온 대상물을 따라 접촉시켜서 안정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 열전대를 굴곡시킨 것으로 하여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장착 후에 패드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를 회전시켜서, 시스 열전대를 측온 대상면에 따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패드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를 장착 후에 회전시키는 것은 파지부재가 탈락되어 시스 열전대가 빠져 버리기 때문에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부착구조에 의하여 처음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시스 열전대를 굴곡된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장착 후에도 굴곡부분이 시스 열전대의 인장 등의 힘을 흡수하여, 패드와의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상기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으로서, 판모양의 부착치구로서, 길이방향 일단측에 판두께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의 되돌림부를 갖는 부착치구의 상기 되돌림부를, 상기 패드의 록킹홈부의 비교적 폭이 넓은 홈부에 개방부분을 통하여 삽입하고, 그 홈부의 내벽에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패드에 상기 부착치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부착치구의 타단측을 파지하고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위치를 부여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를 부여한 패드를 상기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에서는, 측온 대상면이 작업하기 어려운 좁은 곳이더라도 상기 부착치구를 파지하여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를 부여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하여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효율 및 고정상태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한 후, 그 패드에 시스 열전대를 부착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부착치구를 록킹홈부에 삽입하여 부착한 그대로의 상태로 하여 둠으로써, 록킹홈부나 특히 삽입·부착홈부에 대하여 티끌이나 코팅재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 열전대와의 열전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위치를 부여한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부착치구의 타단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점용접에 의하여 가고정하는 공정과, 가고정된 상기 패드를 상기 측온 대상면에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동(同) 부착구조를 패드 상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3은, 동 단면도이다.
도4는, 동 부착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a는, 동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를 상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5b는, 동 패드를 하면(접촉면)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5c는, 동 패드를 록킹홈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6a는, 동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b는, 패드 본체를 접촉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7a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b는, 동 시스 열전대의 부착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패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a는, 부착치구를 패드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b는, 동 부착치구를 패드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a는, 부착치구를 사용하여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b는, 동 부착치구를 사용하여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부착치구를 사용하여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시스 열전대(sheathed thermocouple)의 부착구조(S)는, 도1∼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 열전대(9)를 패드(pad)(1)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測溫 對象面)(80)에 부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패드(1)는 측온 대상면(80)에 접촉면(10)을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된다. 패드(1)는, 도5a∼도5c 및 도6a, 도6b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이 상기 접촉면(10)이 되고 대략 평행한 상하면을 갖는 판재(板材)로 구성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관체(管體)의 측온 대상면(80)에 밀착되도록 그 측온 대상면(80)과 평행한 만곡면(灣曲面)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면(10)은, 측온 대상면의 형상을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상하면이 평행하지 않아도 좋다.
패드(1)는 평평한 판재를 굴곡시켜서 구성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평평한 판재의 하면측을 오목 곡면으로 절삭가공하고, 상면은 평면인채로 구성한 것도 좋다. 패드(1)의 소재는, 열전도율의 차이에 의한 온도분포의 흐트러짐을 피하도록 측온 대상물(8) 본 예에서는 보일러 튜브(boiler tube)와 동일한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재질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재가 사용되지만, 사용장소 및 목적에 따라 각종의 금속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또 그 두께도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측온 대상면(80)으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일러 튜브의 외벽면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패드(1)의 접촉면(10)은, 그 외벽면에 밀착되는 평행한 오목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의 측온 대상면(80)에 대한 고정은, 패드(1)의 록킹홈부(locking groove part)(3)측인 기단(基端)측의 변을 제외한 3변을 측온 대상면(80)에 용접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단, 용접 이외의 다른 부착수단으로 패드(1)를 측온 대상면(8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시스 열전대(9)는,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열전대 소선(熱電對 素線)을 선단(先端)이 봉지(封止)되는 금속시스(金屬sheath)에 전기절연재와 함께 내장한 종래부터 공지된 열전대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시스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SUS304, SUS316 등)이나 니켈크롬계 내열합금(인코넬(incone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장되는 열전대 소선은, 예를 들면 플러스측 소선에 니켈―크롬합금, 마이너스측 소선에 니켈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 내에 충전되는 전기절연재는 예를 들면 MgO나 Al2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선단부의 감온부(感溫部)(90)는, 시스 내측에 열전대 소선의 온접점(溫接點)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온접점은 금속시스에 비접촉의 것이나, 금속시스에 용접하여 형성한 것, 선단의 봉지 시에 시스 선단부와 일체화한 것 등 다양한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시스의 형상은, 원형 이외에 반원통 형상, 타원형 그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시스 열전대(9)는, 도2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1)의 록킹홈부(3)에 받아들여지는 영역(R2)의 소정 장소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91)이 형성되고, 그 오목홈(91)에 대하여 대략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5)가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패드(1)에는, 시스 열전대(9)의 감온부(90)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2)와, 상기 시스 열전대(9)의 상기 삽입·부착홈부(2)에 삽입되는 영역(R1)보다 기단측의 영역(R2)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9)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착홈부(2)는, 삽입되는 시스 열전대(9)의 감온부(90)의 시스 외면에 가능한 한 넓은 면적이 접촉하도록 패드(1)의 접촉면(1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 즉 그 축이 접촉면(10)과 평행한 홈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5a∼도5c 및 도6a,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중앙부에 형성되는, 접촉면(1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착홈부(2)의 내벽면은, 측온 대상면(80)으로부터 패드(1)에 전달된 열을 감온부(90)에 막히지 않게 전달하기 위하여 시스 열전대(9)의 감온부(90)의 시스 외주면에 접촉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착홈부(2)는 접촉면(10)으로 개구되는 홈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온부(90)의 시스 외주면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측온 대상면(80)에 직접 접촉시킬 수 있어, 패드의 박형화(薄型化)도 가능하게 된다.
삽입·부착홈부(2)는, 패드(1)의 접촉면(10)의 측(하면측)뿐만 아니라 상면으로도 개구되는 구멍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패드(1)를 더 박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스 열전대의 선단측일수록 측온 대상면(80)에 근접하도록 경사진 홈으로 할 수도 있다.
록킹홈부(3)는, 도5a∼도5c 및 도6a,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착홈부(2)에 연속하여 패드 기단측의 가장자리부(13)에 이르는 그 가장자리부로 개방된 홈이고, 삽입·부착홈부(2)에 가까운 내측에, 레이디얼 방향(본 예에서는 패드 상면(11))으로 외부로 개방된, 빠짐방지부재(5)를 받아들이는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기단에서)에는 비교적 폭이 좁은 제2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록킹홈부(3)는 제1, 제2홈부(31, 32)를 갖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홈부(32)는, 제1홈부(31)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내벽면이 시스 열전대의 시스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비교적 폭이 좁은 홈이다.
그리고 시스 열전대(9)의 감온부(90)가 삽입·부착홈부(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홈부(3)(내측으로 넓어진 홈(12))의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31)의 상기 외부로 개방된 부위(상면(11)측의 개구부(31a))로부터 빠짐방지부재(5)를 레이디얼 방향(본 예에서는 하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하고, 시스 열전대(9)의 상기 오목홈(91)에 장착함으로써, 도1∼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부재(5)가 록킹홈부(3)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30)에 접촉하여 멈추어서 시스 열전대(9)가 패드(1)에 대하여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제2홈부(31, 32)가 모두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上下 連通groove)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록킹홈부(3)를 구성하고 있는 내측으로 넓어진 홈(12) 전체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으로 되어 있다. 내측으로 넓어진 홈(12)은, 내측으로 넓어지면(외측으로 오므라지면) 둥근 모양이 있는 홈이나,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 홈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빠짐방지부재(5)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지의 금속제의 E형 스냅링(E型 snap ring)(E링)이 적합하지만, 그 이외에 예를 들면 공지의 활E형 스냅링, 크레센트형 스냅링, U형 스냅링, K형 스냅링 등 공지의 레이디얼 방향 부착 타입의 스냅링이나 그 밖의 대략 C자 모양의 스냅링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빠짐방지부재(5)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넓어진 홈(12)의 내벽면(30) 중에서 상기 제1홈부(31)와 제2홈부(32)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부(段差部)(12a)에 접촉되어 멈춘다.
빠짐방지부재(5)의 두께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착되는 시스 열전대(9)의 오목홈(91)의 축방향 폭보다 얇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에 의하여 패드(1)와 시스 열전대(9)의 사이에 상대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였을 때에, 패드(1)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9)를 축방향으로 풀어주어서, 변형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특히 보일러 튜브 등은 측온 대상면인 튜브 외벽이 열수축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많이 이동하기 때문에 상대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지만, 열전대에 외력이 작용하면 감온부에도 응력이 발생하여 측정오차로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대이동을 허용함으로써 감온부에 대한 과대한 응력, 이것에 의한 측정오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제1홈부(31)의 축방향 폭 즉 삽입·부착홈부(2)측의 끝면과 제2홈부(32)측의 단차부(21a) 사이의 거리는,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그 사이의 빠짐방지부재(5)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빠짐방지부재(5)의 두께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부착구조(S)에 대하여, 시스 열전대(9)를 패드(1)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80)에 부착할 때까지의 부착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측온 대상면(80)에 대하여, 패드(1)를 하면측의 접촉면(10)에 접촉시킨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 패드(1)의 고정은 다음의 순서로 실시한다. 즉 우선 도9a, 도9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부착치구(6)의 선단부(6a)를 패드(1)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부착치구(6)의 기단부(基端部)(6b)를 파지하여 측온 대상면에 패드(1)의 위치를 부여하고, 이 상태에서 패드(1)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한다.
고정은,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치구(6)의 기단부(6b)를 파지한 상태에서 패드(1)를 측온 대상면(80)에 점용접에 의하여 가고정(假固定)하는 공정과,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고정된 패드(1)를 측온 대상면(80)에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체 둘레 용접을 할 때에는 부착치구(6)를 파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부호 70은 점 용접부, 부호 71은 전체 둘레 용접부이다. 이 전체 둘레 용접을 할 때에는, 일시적으로 부착치구(6)를 패드(1)로부터 떼어내어도 좋다.
부착치구(6)는, 도9a,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모양의 본체부(60)의 길이방향 일단측(一端側)(선단부(6a))에, 판두께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의 되돌림부(61)를 갖고, 타단측(他端側)(기단부(6b))이 파지부(把持部)가 된다. 본 예에서는 금속제의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합성수지 그 이외의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되돌림부(61)는, 패드(1)의 록킹홈부(3)의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31)의 축방향 폭보다 넓어지도록 대략 V자 또는 U자 모양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제1홈부(31)의 개방부분(개구부(31a))을 통하여 삽입됨으로써, 그 되돌림부(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1홈부(31)의 내벽에 착탈할 수 있도록 압착된다.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한 후, 그 패드에 시스 열전대를 부착할 때까지의 사이에, 부착치구(6)는 패드(1)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록킹홈부(3)에 삽입되어 부착된 채의 상태로 하여 둔다. 이에 따라 시스 열전대를 부착할 때까지 기간이 긴 경우나 측온 대상면 및 패드에 코팅을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록킹홈부(3)나 특히 삽입·부착홈부(2)에 대하여 티끌이나 코팅재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 열전대와의 열전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측온 대상면(80)에 고정된 패드(1)로부터 부착치구(6)를 떼어냄과 아울러, 패드(1)의 삽입·부착홈부(2)에 시스 열전대(9)의 감온부(90)를 축방향을 따라 삽입한다. 시스 열전대(9)는 패드(1)에 장착되는 영역(R1, R2)보다 기단측의 위치에서 크랭크 모양으로 굴곡된 형상이기 때문에, 삽입할 때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굴곡부(92)보다 기단측의 영역(R3)을 측온 대상면(8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유지하면서 굴곡부(92)보다 선단측의 영역(R1, R2)을 측온 대상면(80)에 고정된 패드(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시스 열전대(9)의 감온부(90)를 갖는 영역(R1)의 삽입·부착홈부(2)로 삽입함에 따라, 시스 열전대(9)의 영역(R1)보다 기단측의 영역(R2)이 패드(1)의 록킹홈부(3)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다음에 록킹홈부(3)의 비교적 폭이 넓은 제1홈부(31)의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시스 열전대(9)를 향하여 대략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5)를 삽입하고, 그 제1홈부(31)에 위치하고 있는 시스 열전대(9)의 오목홈(91)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시스 열전대(9)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5)가, 록킹홈부(3)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12)의 내벽면(30)에 접촉하여 멈춤으로써, 시스 열전대(9)가 패드(1)에 대하여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된다.
그리고 다음에 도7a, 도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착홈부(2)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영역(R1)의 축을 중심으로 시스 열전대(9) 전체를 회전시키고, 그 시스 열전대(9)의 굴곡부(92)보다 기단측의 영역(R3)을 측온 대상물(8)을 따라 접촉시키고, 적절한 밴드 등에 의하여 측온 대상물(8)에 고정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 패드
2 : 삽입·부착홈부
3 : 록킹홈부
5 : 빠짐방지부재
6 : 부착치구
6a : 선단부
6b : 기단부
8 : 측온 대상물
9 : 시스 열전대
10 : 접촉면
11 : 상면
12 : 홈
12a : 단차부
13 : 가장자리부
30 : 내벽면
31, 32 : 제1, 제2홈부
31a : 개구부
60 : 본체부
61 : 되돌림부
70 : 점 용접부
71 : 전체 둘레 용접부
80 : 측온 대상면
90 : 감온부
91 : 오목홈
92 : 굴곡부
R1, R2, R3 : 영역
S : 부착구조

Claims (11)

  1. 시스 열전대(sheathed thermocouple)를 패드(pad)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測溫 對象面)에 부착하는 부착구조로서,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되는 상기 패드에, 상기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感溫部)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와,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基端側)의 영역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着脫)할 수 있도록 록킹(locking)하기 위한 록킹홈부(locking groove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시스 열전대의 록킹홈부에 받아들여지는 영역의 소정 장소에,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가 레이디얼(radial)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상기 시스 열전대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상기 시스 열전대가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폭이 넓은 홈부가, 접촉면의 반대측의 면에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부분을 통하여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장착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부를 구성하는 내측으로 넓어진 홈이,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폭이 넓은 제1홈부와,
    그 제1홈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내벽면이 시스 열전대의 시스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폭이 좁은 제2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 중 상기 제1홈부와 제2홈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부(段差部)에 접촉되어 멈추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하면이 상기 접촉면이 되고 평행한 상하면을 갖는 판재(板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착홈부로서 상기 접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이 패드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가,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연속하여 패드 가장자리부에 이르는 그 가장자리부로 개방된 홈이고,
    상기 폭이 넓은 홈부가 패드 상면에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넓은 홈부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上下 連通groove)인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부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으로 넓어진 홈 전체가, 패드 상하면으로 개방된 상하 연통홈인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의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로서,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와,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 열전대는, 감온부가 상기 삽입·부착홈에 삽입되어 부착되고, 또한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상기 오목홈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패드.
  8. 시스 열전대를 패드를 사이에 두고 측온 대상면에 부착하는 부착방법으로서,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되는 상기 패드에, 상기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착홈부와,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받아들여서 시스 열전대를 축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록킹하기 위한 록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스 열전대의 록킹홈부에 받아들여지는 영역의 소정 장소에,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가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부는, 상기 레이디얼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를 받아들이는 폭이 넓은 홈부를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가까운 내측에 갖고, 또한 폭이 좁은 홈부가 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넓어진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상기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고정된 패드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상기 시스 열전대의 감온부를 축방향을 따라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상기 록킹홈부에 삽입하여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록킹홈부의 상기 폭이 넓은 홈부의 외부로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내부의 시스 열전대를 향하여 C자 모양의 빠짐방지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시스 열전대의 오목홈에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 열전대에 장착된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상기 록킹홈부의 내측으로 넓어진 홈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상기 시스 열전대가 축방향 기단측으로 이동 불능이 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 열전대가, 상기 패드에 장착되는 영역보다 기단측의 위치에서 굴곡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시스 열전대를 상기 패드에 장착한 후에, 상기 삽입·부착홈부에 삽입하여 부착되는 영역의 축을 중심으로 시스 열전대 전체를 회전시키고, 그 시스 열전대의 굴곡부보다 기단측의 영역을 측온 대상물을 따라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시스 열전대의 상기 측온 대상물에 접촉된 상기 기단측의 영역을 측온 대상물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상기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하는 공정이,
    판모양의 부착치구로서, 길이방향 일단측(一端側)에 판두께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의 되돌림부를 갖는 부착치구의 상기 되돌림부를, 상기 패드의 록킹홈부의 폭이 넓은 홈부에 개방부분을 통하여 삽입하고, 그 홈부의 내벽에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패드에 상기 부착치구를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부착치구의 타단측(他端側)을 파지하고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접촉면이 접촉된 상태로 위치를 부여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를 부여한 패드를 상기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부여한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이,
    상기 부착치구의 타단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패드를 측온 대상면에 점용접에 의하여 가고정(假固定)하는 공정과,
    가고정된 상기 패드를 상기 측온 대상면에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KR1020197017565A 2017-02-28 2018-02-20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그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KR10202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6353 2017-02-28
JP2017036353A JP6164381B1 (ja) 2017-02-28 2017-02-28 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構造、該取り付け構造に用いるパッド、及び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方法
PCT/JP2018/006049 WO2018159391A1 (ja) 2017-02-28 2018-02-20 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構造、該取り付け構造に用いるパッド、及び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02A KR20190073602A (ko) 2019-06-26
KR102025347B1 true KR102025347B1 (ko) 2019-09-25

Family

ID=5935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565A KR102025347B1 (ko) 2017-02-28 2018-02-20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그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64381B1 (ko)
KR (1) KR102025347B1 (ko)
WO (1) WO2018159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6024A1 (en) * 2020-12-18 2022-06-22 WIKA Alexander Wiegand SE & Co. KG Thermocouple senso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6788A (ja) 2015-02-26 2016-09-01 山里産業株式会社 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構造及び該取り付け構造に用いる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737U (ja) * 1983-12-20 1985-07-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表面温度測定装置
JPH01145537A (ja) 1987-12-02 1989-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温度測定用熱電対
US5382093A (en) * 1993-02-22 1995-01-17 Gay Engineering & Sales Co., Inc. Removabl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JP2990326B2 (ja) * 1994-04-19 1999-12-13 中国電力株式会社 シース熱電対の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6788A (ja) 2015-02-26 2016-09-01 山里産業株式会社 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構造及び該取り付け構造に用いる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41709A (ja) 2018-09-13
KR20190073602A (ko) 2019-06-26
WO2018159391A1 (ja) 2018-09-07
JP6164381B1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3172B2 (ja) 温度測定器
JP5791412B2 (ja) セラミックヒーター
KR20050004056A (ko) 땜납 가열 기구 및 그의 선단 팁
US20130038053A1 (en) Welding joint and welding method for same, welding device, welding joint, resin pipe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JP5556575B2 (ja) 温度測定用熱電対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5347B1 (ko) 시스 열전대의 부착구조, 그 부착구조에 사용하는 패드 및 시스 열전대의 부착방법
JP5045454B2 (ja) 管壁への熱電対取付構造及び熱電対取付方法
JP6515584B2 (ja) 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構造及び該取り付け構造に用いるパッド、並びにシース熱電対の取り付け方法
JP5503717B1 (ja) 温度検出体、温度センサ及び温度検出体の製造方法
JP2017003351A (ja) センサ取付用部材
KR20120104723A (ko) 온도 측정 센서와 온도 측정 기기
JP4934536B2 (ja) スポット溶接検査装置
JP6701678B2 (ja) 温度測定用熱電対および温度測定用熱電対の取り付け構造
US20220146327A1 (en) Low profile surface temperature sensor
CN110560825B (zh) 传感器元件
JP4853235B2 (ja) 測温センサ
JP5402512B2 (ja) ホットスタンプ用金型
JP5392552B2 (ja) 冷媒配管の取付構造
JP2011000619A (ja) 半田ごて用先端チップ
CN213225792U (zh) 一种钣金件检测机构及其基准定位组件
JP2023066221A (ja) 温度センサ取付用治具
JP5401166B2 (ja) 樹脂製管の接続方法
JP6963316B2 (ja) センサ素子及び熱電対
US201201628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ctuation button
WO2020004149A1 (ja) ヒートパイプ構造体及びヒートパイプ構造体用かし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