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098B1 -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098B1
KR102025098B1 KR1020190062485A KR20190062485A KR102025098B1 KR 102025098 B1 KR102025098 B1 KR 102025098B1 KR 1020190062485 A KR1020190062485 A KR 1020190062485A KR 20190062485 A KR20190062485 A KR 20190062485A KR 102025098 B1 KR102025098 B1 KR 10202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point
road 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Priority to KR102019006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도로 작업구간에서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통행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는 신호 알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통행방향에 따라 도로 작업구간의 시작지점 또는 종료지점에 해당하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감지시간 및 감지시간부터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까지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 간의 거리와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작업구간에 통행을 허용하는 신호인 청신호와 통행을 금지하는 신호인 적신호가 교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로 작업구간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정된 변경 주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통행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되, 도로 작업구간에서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의 감지 여부 또는 감지 빈도 등에 따라 신호의 변경 주기를 원격 조정함으로써,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는 차량들에 안전을 보장하고, 통행 가능한 차선의 제한에 따른 교통정체를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Traffic signal notification system for Road work section}
교통신호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작업구간에서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의 통행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는 신호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는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 교통을 확보하고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로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표지판은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위한 정보, 운행경로와 관련된 정보, 교통행위에 대한 규제 또는 지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도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구간임을 알리는 도로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도로 작업구간이 일차선인 경우 또는 2차선 이상의 도로이지만 작업으로 인하여, 차량 통행이 가능한 차선이 제한되어, 지속적인 양방향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특정 방향을 따라 통행 중인 차량이 반대 방향에서 통행 중인 차량에 대하여, 반대방향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받지 못함으로 인하여, 작업구간을 통과하기가 어렵거나, 사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로 작업구간의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에서, 차량의 통행방향을 조정하거나, 반대방향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27876호(발명의 명칭: 도로표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통행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되, 도로 작업구간에서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의 감지 여부 또는 감지 빈도 등에 따라 신호의 변경 주기를 원격 조정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통행방향에 따라 도로 작업구간의 시작지점 또는 종료지점에 해당하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감지시간 및 감지시간부터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까지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 간의 거리와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작업구간에 통행을 허용하는 신호인 청신호와 통행을 금지하는 신호인 적신호가 교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로 작업구간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정된 변경 주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작업구간이 1차선인 경우,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여, 상기 제1 지점에 마련되는 제1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제2 지점에 마련되는 제2 신호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통신부와 원격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되, 특정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 정보와 설치된 지점의 GPS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한 차량 감지부를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통행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디폴트 값에 따라 조정하되, 상기 제1 지점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과 상기 제2 지점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빈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출력부 또는 제2 신호 출력부가 청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시작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면, 상기 청신호가 출력중인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적신호가 되도록 변경하되,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에 초과하면,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에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 중 가장 느린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시작지점에서 상기 종료지점까지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통행시간의 1.3~2.0배로 설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을 향해 송신신호를 송신하여, 변조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레이다(Rada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신호 출력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태양광 모듈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AC/DC 컨버터; 및 상기 태양광 모듈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 공급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충전된 배터리의 현재 전원량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고,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통행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되, 도로 작업구간에서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의 감지 여부 또는 감지 빈도 등에 따라 신호의 변경 주기를 원격 조정함으로써,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는 차량들에 안전을 보장하고, 통행 가능한 차선의 제한에 따른 교통정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지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지부(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차량의 통행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출력하되, 도로 작업구간에서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의 감지 여부 또는 감지 빈도 등에 따라 신호의 변경 주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차량 감지부(100), 제어부(200), 신호 출력부(300), 제1 통신부(400), 제2 통신부(500) 및 전원 공급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감지부(100)는 도로 작업구간의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 각각 설치되어,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의 감지시간 및 감지시간부터 제1 지점(P-1) 또는 제2 지점(P-2)을 통과하는 시간까지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감지부(100)는 특정 차량이 감지되어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면, 이벤트 정보와 설치된 지점의 GPS 정보를 매칭시켜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감지부(100)는,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을 향해 송신신호를 송신하여, 변조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레이다(110) 및 차량이 감지되면,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GPS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는 GPS 센서(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은, 차량의 통행방향에 따라 도로 작업구간의 시작지점에 해당하거나, 반대로 종료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의 제반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 간의 거리와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작업구간에 통행을 허용하는 신호인 청신호와 통행을 금지하는 신호인 적신호가 교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도로 작업구간이 1차선인 경우,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여, 제1 지점(P-1)에 마련되는 제1 신호 출력부(300) 및 제2 지점(P-2)에 마련되는 제2 신호 출력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디폴트 값에 따라 조정하되, 제1 지점(P-1)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과 제2 지점(P-2)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빈도 차이에 따라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에서의 청신호 출력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디폴트 값에 의해,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되, 동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제1 지점(P-1)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의 수가 제2 지점(P-2)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수보다 더 많다고 판단되면, 제1 지점(P-1)에서의 청신호 출력 시간이 더 길어지되도록 하고, 제2 지점(P-2)에서의 청신호 출력 시간이 더 짧아지도록, 신호들의 변경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GPS 정보가 매칭된 이벤트 정보가 전달되면, GPS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한 차량 감지부(100)를 식별하고,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신호 출력부(300) 또는 제2 신호 출력부(300)가 청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시작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면, 청신호가 출력중인 신호 출력부(300)의 신호를 적신호가 되도록 변경하되,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에 초과하면,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300)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하여,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는 차량들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00)는,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에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300)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하여, 도로 작업구간에 진입하되, 도로 작업구간을 통과하지 않고, 도로 작업구간에 정차하는 차량에 의해, 반대지점에서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00)는,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 중 가장 느린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시작지점에서 종료지점까지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기설정된 시간은, 제어부(200)에 의해 산출된 통행시간의 1.3~2.0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출력부(300)는, 도로 작업구간의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 각각 설치되어 조정된 변경 주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출력부(300)는, 청신호, 적신호, 황신호 등이 출력되기 위한 복수의 LED가 구비되어, 각각의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통신부(400)는, 차량 감지부(100) 및 신호 출력부(300)에 연결되도록,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50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1 통신부(400)와 원격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400)와 제2 통신부(500)는 각각 무선통신 모듈이 마련되어, 차량 감지부(100)로부터 생성된 정보들을 제어부(20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00)에서 신호 출력부(300)로 제어신호 및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0)는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 각각 설치되되, 신호 출력부(300)의 상측에 마련되는 태양광 모듈(610)이 구비되어, 차량 감지부(100) 및 신호 출력부(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차량 감지부(100), 신호 출력부(300), 제1 통신부(400) 및 전원 공급부(600)가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되, 복수로 마련되어,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 각각 배치되고, 제어부(200) 및 제2 통신부(500)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되, 제1 통신부(400) 및 제2 통신부(500)가 원격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00)가 제1 지점(P-1) 또는 제2 지점(P-2)에 배치되지 않아도, 제1 지점(P-1) 또는 제2 지점(P-2)에 마련된 신호 출력부(3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00)는, 신호의 변경 주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6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610), 배터리(620), AC/DC 컨버터(630) 및 전원 제어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610)은, 신호 출력부(300)의 상측에 마련되는 집광판이 구비되며, 배터리(62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배터리(620)는, 태양광 모듈(610)에 의해 충전되어, 차량 감지부(100), 신호 출력부(300) 및 제1 통신부(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C/DC 컨버터(630)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차량 감지부(100) 및 신호 출력부(3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제어모듈(640)은 태양광 모듈(610)에 의해, 배터리(620)가 충전되도록 하고, 충전된 배터리(620)에 의해 전원 공급이 수행되도록 하되, 충전된 배터리(620)의 현재 전원량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배터리(620)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고, AC/DC 컨버터(630)를 이용하여, 차량 감지부(100), 신호 출력부(300) 및 제1 통신부(4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본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도로 작업구간이 1차선인 경우,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여, 제1 지점(P-1)에 마련되는 제1 신호 출력부(300) 및 제2 지점(P-2)에 마련되는 제2 신호 출력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 감지부(100)가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의 감지시간 및 감지시간부터 제1 지점(P-1) 또는 제2 지점(P-2)을 통과하는 시간까지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10).
또한, 차량 감지부(100)는 특정 차량이 감지되어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면, 이벤트 정보와 설치된 지점의 GPS 정보를 매칭시켜(S520),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S525).
제어부(200)는, GPS 정보가 매칭된 이벤트 정보가 전달되면,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 간의 거리와 이벤트 정보에 매칭된 GPS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한 차량 감지부(100)를 식별하고,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방향을 판별하고,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 중 가장 느린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시작지점에서 종료지점까지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530).
이때, 제어부(200)는,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디폴트 값에 따라 조정하되, 제1 지점(P-1)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과 제2 지점(P-2)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빈도 차이에 따라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 중 현재 청신호가 출력되는 지점을 출발지점으로 하여, 청신호가 출력된 이후 통과한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고(S535), 현재 적신호가 출력되는 지점을 하여, 적신호가 출력된 이후 통과한 차량의 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S540).
그리고 제어부(200)는, 출발지점에서 통과한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면(S550-Yes), 출발지점에서 청신호가 출력중인 신호 출력부(300)의 신호를 적신호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S555).
또한, 제어부(200)는,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에 초과하면(S560-Yes),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300)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S565).
그리고 제어부(200)는, 양 통행방향의 차량 빈도를 추출하기 위해 기설정된 추출 시기가 도래하면(S570-Yes), 양 통행방향에 대한 차량의 통행 빈도를 추출할 수 있다(S580).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동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제1 지점(P-1)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의 수와 제2 지점(P-2)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수를 비교하여, 양 통행방향에 대한 차량의 통행 빈도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추출된 양 통행방향에 대한 차량의 통행 빈도를 이용하여, 신호 출력부(300)의 신호 변경 주기를 조정하는 기준인, 기설정된 수를 조정할 수 있다(S585).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동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제1 지점(P-1)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의 수가 제2 지점(P-2)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수보다 더 많다고 판단되면, 제1 지점(P-1)에서의 청신호 출력 시간이 더 길어지되도록 하고, 제2 지점(P-2)에서의 청신호 출력 시간이 더 짧아지도록, 신호들의 변경주기를 조정함으로써, 통행 가능한 차선의 제한에 따른 교통정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차량 감지부 110 : 레이다(Radar)
120 : GPS 센서 200 : 제어부
300 : 신호 출력부 400 : 제1 통신부
500 : 제2 통신부 600 : 전원 공급부
610 : 태양광 모듈 620 : 배터리
630 : AC/DC 컨버터 640 : 전원 제어모듈

Claims (11)

  1. 통행방향에 따라 도로 작업구간의 시작지점 또는 종료지점에 해당하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로 작업구간을 통행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감지시간 및 감지시간부터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까지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차량 감지부;
    상기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 간의 거리와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작업구간에 통행을 허용하는 신호인 청신호와 통행을 금지하는 신호인 적신호가 교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로 작업구간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정된 변경 주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작업구간이 1차선인 경우,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부 중 제1 지점에 마련되는 제1 신호 출력부 또는 제2 지점에 마련되는 제2 신호 출력부에 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차량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신호 출력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통신부와 원격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량 감지부는,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되, 특정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 정보와 설치된 지점의 GPS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한 차량 감지부를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통행방향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디폴트 값에 따라 조정하되, 상기 제1 지점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1 차량과 상기 제2 지점을 시작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하는 제2 차량의 빈도 차이에 따라 상기 신호들의 변경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출력부 또는 제2 신호 출력부가 청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시작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면, 상기 청신호가 출력중인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적신호가 되도록 변경하되,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면,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종료지점을 통과한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수가 기설정된 수에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적신호가 출력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청신호가 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에 따른 차량과의 거리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를 개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의 속도 중 가장 느린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시작지점에서 상기 종료지점까지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통행시간의 1.3~2.0배로 설정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시작지점을 통과하는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을 향해 송신신호를 송신하여, 변조된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레이다(Rada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신호 출력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태양광 모듈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AC/DC 컨버터; 및
    상기 태양광 모듈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 공급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충전된 배터리의 현재 전원량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고,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KR1020190062485A 2019-05-28 2019-05-28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KR10202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85A KR102025098B1 (ko) 2019-05-28 2019-05-28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485A KR102025098B1 (ko) 2019-05-28 2019-05-28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098B1 true KR102025098B1 (ko) 2019-09-26

Family

ID=6806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485A KR102025098B1 (ko) 2019-05-28 2019-05-28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39A1 (ko) * 2021-04-30 2022-11-03 원광전력주식회사 이동식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188A (ja) * 2000-04-06 2001-10-19 Komatsu Ltd 車両誘導信号システム
KR101147447B1 (ko) * 2011-07-05 2012-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808A (ko) * 2015-08-31 2017-03-08 (주)드림테크 차로간 원격 신호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743645B1 (ko) * 2016-11-25 2017-06-20 (주)세명이앤씨 태양광 발전 장치 기반의 무인 차량 흐름 통제 시스템
KR101927876B1 (ko) 2017-01-13 2018-12-11 (주) 세인 도로표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188A (ja) * 2000-04-06 2001-10-19 Komatsu Ltd 車両誘導信号システム
KR101147447B1 (ko) * 2011-07-05 2012-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808A (ko) * 2015-08-31 2017-03-08 (주)드림테크 차로간 원격 신호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743645B1 (ko) * 2016-11-25 2017-06-20 (주)세명이앤씨 태양광 발전 장치 기반의 무인 차량 흐름 통제 시스템
KR101927876B1 (ko) 2017-01-13 2018-12-11 (주) 세인 도로표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39A1 (ko) * 2021-04-30 2022-11-03 원광전력주식회사 이동식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KR20220149102A (ko) * 2021-04-30 2022-11-08 원광전력주식회사 이동식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KR102498035B1 (ko) * 2021-04-30 2023-02-08 원광전력주식회사 이동식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447B1 (ko)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8124B1 (ko) 스마트 교통 제어 시스템
US612480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raffic
CN103802830B (zh) 车辆的智能巡航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913662A (zh) 一种高速公路智能雾区引导系统
CN103606284B (zh) 一种智能匝道入口交通需求联合控制系统及方法
KR101101257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
CN104900076B (zh) 主干道与副干道无信号灯平交路口车辆安全警示系统
CN102034361A (zh) 一种具有提示功能的路口信号控制系统及其方法
CN109615875B (zh) 基于车道级的公路行车安全诱导系统
CN107972666B (zh) 在无线充电车道上行驶的车辆的车辆偏离预警系统及方法
CN207657709U (zh) 一种公路长下坡路段大货车档位提醒装置
CN206584534U (zh) 公路弯道会车警示装置
KR102025098B1 (ko) 도로 작업구간용 신호 알림 시스템
CN107993456A (zh) 基于人行道通行末期的单行道智能交通灯控制系统及方法
CN201845440U (zh) 一种交通指挥系统
US20100156669A1 (en) Method for running vehicles detecting network and system thereof
CN101540108B (zh) 视线障碍条件下的实时交通信号控制方法
CN104167096B (zh) 一种城市交通拥堵预警方法、装置与预警系统
CN204465953U (zh) 一种隧道智能照明及警示系统
KR100980486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사전 감지 및 안전운전 경고장치
KR101244088B1 (ko)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1034B1 (ko) 지자기 검지기와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차량검지시스템
CN108399758A (zh) 一种基于压电感应、发电的无信号控制“t”型平面交叉口实时车辆监测警示系统
KR102006823B1 (ko) 도로 전방 교통상황 알림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