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48B1 -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48B1
KR102024648B1 KR1020180044881A KR20180044881A KR102024648B1 KR 102024648 B1 KR102024648 B1 KR 102024648B1 KR 1020180044881 A KR1020180044881 A KR 1020180044881A KR 20180044881 A KR20180044881 A KR 20180044881A KR 102024648 B1 KR102024648 B1 KR 10202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t
growth
termi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덕일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양덕일
이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덕일, 이재훈 filed Critical 양덕일
Priority to KR102018004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웹서버간에 채팅창을 형성하고 채팅창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 모습이나 상태가 변형되도록 제어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상기 단말기는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가상의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 (b)상기 단말기는 상기 채팅방의 채팅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상기 캐릭터를 육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c)상기 단말기에서 수집 결과에 따른 키워드를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d)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치화되어 저장된 키워드에 따라 동작활성화아이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OF CHARATCER GROWING CONTENT BASED ON CHATTING DOCUMENTS}
본 발명은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반 또는 컴퓨터(PC)기반의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콘텐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채팅 내용(키워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육성되게 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 고양이, 말 등과 같이 주인에게 즐거움을 주는 반려동물을 기르며, 이를 통해 사람과 동물 모두에 이로운 공생 관계를 느끼게 해준다
언제부턴가 '애완동물' 보다는 '반려동물'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이 늘어나고, 동물도 가족이라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으나, 한 생명을 키우는 것이 마냥 쉽지는 않다.
예로 한 해에 유기되는 동물의 수가 2015년 기준 8만여 마리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반려 동물의 행동과 육성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 논의가 거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망을 통한 네트워크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용한 그래픽환경은 물론 게임, 정보 등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해짐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그룹으로 반려동물을 함께 육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초고속 통신망의 확충을 통해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사이버 공간내에서 현실상에서의 반려동물처럼 사육하고, 이를 통해 타 사용자와의 교류 또는 실제 쇼핑과 연계되거나, 비즈니스 콘텐츠에 활용되는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따르면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던 일정한 단말기 내에서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단계적으로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방법으로부터 PC 또는 이동이 가능한 휴대전화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가상 세계상의 반려동물을 현실상에서처럼 사육하여 사용자에게 간접적인 만족감을 주는 단순한 일련의 가상체험 프로그램의 일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단순하게 사육시스템의 테두리 내에서 단편적인 프로그램들을 적용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789080호(2007.12.18)
본 발명은 채팅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 및 채팅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주고, 필요정보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채팅 내용에 기반하여 성장하는 반려동물 등의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와의 교감을 나누면서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웹서버간에 채팅창을 형성하고 채팅창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 모습이나 상태가 변형되도록 제어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상기 단말기는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가상의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 (b)상기 단말기는 상기 채팅방의 채팅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상기 캐릭터를 육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c)상기 단말기에서 수집 결과에 따른 키워드를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d)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치화되어 저장된 키워드에 따라 동작활성화아이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에 의하면, 그룹원들간의 채팅 내용을 기반으로 성장되는 하나의 반려동물/캐릭터를 키움으로써, 그룹원들간의 재미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에 의하면, 채팅 중 자연스럽게 입력되는 단어에 의하여 반려동물이나 캐릭터의 성장모습,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반려동물/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는 현실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반려동물 육성 시뮬레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을 통하여 캐릭터 육성과 관련된 키워드를 웹서버(200)로 전송하고, 웹서버(200)로부터 관련 키워드에 해당하는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수신하여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하도록 동작한다.
즉, 본 발명의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채팅방을 생성하여, 해당 채팅방에서 함께 육성할 캐릭터로 선정하고, 채팅을 수행하고, 채팅 단어 중 캐릭터 육성과 관련된 키워드가 생성되면 이를 수치화하여 웹서버(200)로 전송하고, 웹서버(200)는 해당 캐릭터의 성장 모습 중 선택된 하나의 모습과 해당 캐릭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채팅방에 참여한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에 변경된 캐릭터의 성장 모습과 상태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채팅속에서 자연스레 발생하는 키워드(단어)에 의하여 반려동물의 성장모습이나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함으로써, 그룹원들끼리 채팅 내용을 기반으로 성장되는 하나의 반려동물/캐릭터를 키움으로써, 그룹원들끼리의 재미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2의 본 발명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110)와, 캐릭터 육성 프로그램과 채팅방을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 앱부(150)와,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40) 및 통신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웹서버(200)로부터 캐릭터의 성장 모습과 상태 정보에 관한 활성화 아이템을 수신하여 단말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웹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반려동물 캐릭터 육성과 관련된 활성화 아이템을 수신하여 테이블로 DB화하여 저장하는 단말기저장부(170)와, 실제 캐릭터의 사진을 찍어 올리거나 또는 채팅방에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올릴 수 있도록 카메라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키입력부(140)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성형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버튼 등을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웹통신, 무선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등)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웹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웹서버(200)와 통신하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 앱부(150)는 앱스토어 등을 통하여 관련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거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서버(2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회원가입을 통하여 웹서버의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e-mail 또는 비밀번호와 같이 회원 고유 ID와 함께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앱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웹서버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도 있으나,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단말기 제어부(120)는 사용자 앱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독하여 구동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채팅방과 반려동물 육성 캐릭터를 표시할 GUI화면을 단말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첫 화면은 도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구성도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부에는 육성할 캐릭터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캐릭터 표시부(a)가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닉네임을 표기하는 채팅사용자표시부(b), 그리고 채팅사용자표시부(b) 화면의 하부에는 채팅되는 내용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채팅창(c)과 채팅창(c)에 제시되는 단어 중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결정할 키워드들이 표시되는 반려동물 육성창(d)을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예는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나, 채팅창과 육성할 반려동물 캐릭터가 표시되고, 실제 채팅방에 초대된 참여자들의 닉네임이 표시되도록 하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제어부(12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반려동물 중 어느 하나의 가상의 캐릭터를 육성할 반려동물의 캐릭터 이미지로 선택하고, 표시된 채팅창에서 채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단말기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버(200)에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채팅과 연동되어 반려동물 육성을 시물레이션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앱부(150)에서 판독하여 설치한다.
사용자 앱부(15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웹서버(2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신부(210)와 통신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수신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 앱부(150)에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채팅창을 이용하여 채팅에 참가할 사용자들을 초대하여 채팅방을 설정한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12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닉네임 또는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단말기표시부(130)에 표시하도록 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참가자들이 채팅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채팅방은 하나 이상 설치하여 채팅방을 선택하여 할 수 있도록 하고, 초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시에는 실제 채팅방을 개설하여 채팅 즉, 반려동물 육성 채팅을 진행하고 있는 채팅방과 육성할 반려동물 캐릭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채팅방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채팅방에는 둘 이상의 단말기 사용자가 초대되어 채팅방을 형성하고 해당 채팅방을 대표하는 반려동물 캐릭터를 이미지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60)를 이용하여 캐릭터로 사용할 반려동물 이미지를 직접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키워드를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120)는 채팅방의 채팅 관련 데이터 및 채팅형태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단어 또는 형태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반려동물 성장 모습 및 상태와 관련된 기쁨, 화남, 슬픔, 식욕, 활동, 유흥, 성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키워드를 발췌하는 것이다.
이렇게 발췌된 키워드는 수집되어 단말기저장부(170)에 저장되고, 수집된 키워드에 대한 데이터는 메타데이터로 수치화된다.
수치화는 키워드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으로, 즉, 수치화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키워드의 가치를 평가하고, 평가 가치를 분류하여 반려동물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선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쁨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ㅋㅋㅋ"을 설정하였다면, "ㅋㅋㅋ"이 한번 표시되면 기쁨의 수치가 1이 되고, 다시 표시되면 기쁨이 2로 수치화되는 것이다.
화남의 경우에는 "욕설"이 포함될 수 있고, 슬픔에는 "ㅠㅠ"가 식욕에는 "맛집, 먹다"라는 키워드를 활동에는 축구, 테니스, 농구와 같은 운동이 유흥에는 PC방, 노래방, 술, 담배 등이 키워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태를 표시하는 "기쁨, 화남, 슬픔, 식욕, 얼굴, 체형, 동작, 도구"를 나타내는 단어들의 형태소(ㅋㅋㅋ, ㅠㅠ 등)를 분석하여 이를 메타데이터화하고, 수치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채팅방의 캐릭터가 유아기인 경우, "테니스"라는 키워드가 100번 발생하였다면 유아기의 캐릭터가 도구로 테니스채를 들고 운동을 하게 하는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런 동작활성화 아이템은 웹 서버(200)에서 수신되는 것이나,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동작활성화아이템에는 예를 들면 유아기에서 성숙기로 육성되는 단계를 표시할 수가 있는 데, 이는 분석된 메타데이터를 기준으로 얼굴, 체형, 동작, 소품의 외형이 얼마나 많이 변하였는 지를 수치화된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소정 레벨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성장 모습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캐릭터의 성장 모습은 알, 유아기, 성장기, 성숙기로 업그레이드 되게 하고, 상기 캐릭터의 상태는 얼굴, 체형, 동작, 소품 중 어느 하나로 외형을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체형의 경우는 슬림, 뚱뚱, 근육질, 키가 변할 수 있게 하고, 소품은 술, 담배, 축구공, 책, 마이크, 커피, 펜, 닭다리, 햄버거, 고기, 배드민턴채, 탁구채, 키보드, 노트북, 스마트폰, 하트, 19금동그라미, 숟가락, 포크, 기타, 돈, 모자, 안경, 강아지, 고양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의 성장 모습은 캐릭터의 기본 정면 얼굴과 무표정 캐릭터로 구성하고, 체형은 포대기에 쌓여 있는 모습과 앉아있는 모습, 기어다니는 모습으로 구성되는 유아기와, 주어진 캐릭터의 얼굴형상만 정면에서 분리한 얼굴과 체형은 기본체형, 마름, 뚱뚱함, 근육질로 구성하고, 팔다리가 움직이는 동작으로 구성되는 성장기가 포함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체형과 소품, 그리고 키워드 등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례로 몇가지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 통상적인 체형 구분시 사용될 수 있는 단어와 형태소, 또는 소품구분, 키워드 등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알에서 부화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의 조도센서를 통해 빛을 감지, 부화 전의 알을 따뜻하게 품어주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 디바이스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속도센서 연동 기능으로 알이 깨지기도 하고, 마이크를 통한 음성이나 소음 인식을 통해 영상 속 캐릭터가 놀라거나 경계할 수도 있으며, 화면의 터치패널로 쓰다듬기도 가능해 실제 동물을 키우는 것처럼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유아기는 수면, 수유, 주인인식 등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으며, 성장기는 걷기, 짖기, 주인 알아보고 반응하기 등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주인은 해당 채팅방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될 수 있고, 특정 참가인을 주인으로 임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성숙기는 주인에게 감정을 전달하고, 새로운 동작들을 보이며, 레벨에 따라 행동 다양한 행동들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성화 아이템은 네 가지, 알, 유아기, 성장기, 성숙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릭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라이프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웹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해당 채팅방의 수치화 데이터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결정할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동작 활성화 아이템은 예를 들면 성장 모습에 대해서는 알 동작 활성화아이템, 유아기 동작 활성화 아이템, 성장기 동작 활성화 아이템, 그리고 성숙기 동작 활성화 아이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태에 대해서도 얼굴 동작 활성화 아이템, 체형 동작 활성화 아이템, 소품 동작 활성화 아이템 중 어느 하나로 외형을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웹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캐릭터 육성과 관련된 수치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캐릭터의 성장모습과 상태를 결정할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캐릭터의 성장모습과 상태가 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웹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채팅방의 식별번호와 해당 채팅방을 대표하는 캐릭터이미지, 참가자 정보(이하, 채팅방 정보라 함), 그리고 키워드와 관련된 수치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평가한 다음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어 있는 반려동물 캐릭터가 성장모습을 바꾸거나 상태를 바꿀수 있는 활성화 아이템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웹서버(200)는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통신부(210)와,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한 채팅방의 식별번호와 해당 채팅방을 대표하는 캐릭터이미지, 그리고 참가자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정보와 그리고 키워드와 관련된 수치화 데이터를 채팅 DB(250)와 매칭시켜 활성화아이템을 설정하고, 각 채팅방에서 설정한 반려동물의 캐릭터와 성장모습 그리고 상태 등을 수치화 데이터와 테이블로 형성하고, 해당 수치화데이터에 대한 활성화아이템을 반려관리DB(240)에서 판독하여 통신부(2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채팅방의 식별번호는 참가자들이 설정한 채팅방 이름이나 자동으로 부여되는 고유번호, 또는 채팅방을 대표하는 캐릭터가 될 수 있다.
채팅 DB(250)는 현재 네트워크로 연결된 채팅방에 대한 캐릭터 정보와 참가인의 닉네임 등도 저장되고, 반려 관리 DB(240)에는 캐릭터의 성장 모습과 관련된 알, 유아기, 성장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저장되고, 각 캐릭터의 상태는 얼굴, 체형, 동작, 소품 중 어느 하나로 외형을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저장되고, 이에 대응되는 동작 활성화아이템도 테이블화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작 활성화 아이템은 캐릭터의 성장모습과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아이템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 해당하는 아이템을 전송하여 해당 캐릭터의 변형된 또는 성장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체형의 경우는 슬림, 뚱뚱, 근육질, 키가 변할 수 있게 하고, 소품은 술, 담배, 축구공, 책, 마이크, 커피, 펜, 닭다리, 햄버거, 고기, 배드민턴채, 탁구채, 키보드, 노트북, 스마트폰, 하트, 19금동그라미, 숟가락, 포크, 기타, 돈, 모자, 안경, 강아지, 고양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의 성장 모습은 캐릭터의 기본 정면 얼굴과 무표정 캐릭터로 구성하고, 체형은 포대기에 쌓여 있는 모습과 앉아있는 모습, 기어다니는 모습으로 구성되는 유아기와, 주어진 캐릭터의 얼굴형상만 정면에서 분리한 얼굴과 체형은 기본체형, 마름, 뚱뚱함, 근육질로 구성하고, 팔다리가 움직이는 동작으로 구성되는 성장기가 포함되게 할 수 있다.
즉, 수치화되어 저장된 키워드에 따라 동작활성화아이템을 반려관리DB(240)에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최종 업데이트된 캐릭터의 상태를 이미지로 캐릭터 상품에 본인의 캐릭터로 삽입하여 카드를 생성하거나 캐릭터의 능력치를 반영한 미니게임을 수행하거나 생성된 캐릭터를 상품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웹서버(200)에서는 반려동물 DB(240)에 저장된 반려동물 캐릭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대여하여 주고, 과금 DB(260)를 통하여 비용을 지급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캐릭터별로 레벨을 설정하여 두면 상위 레벨에 도전할려고 하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용 반려동물 육성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웹서버간에 하나 이상의 채팅창을 형성하고 채팅창에 제시되는 키워드의 형태소에 따라 반려동물 캐릭터의 성장 모습이나 상태가 변형되도록 제어하여 그룹원들 끼리 채팅내용을 기반으로 성장되는 하나의 반려동물 /캐릭터를 키움으로써 그룹원끼리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새로운 재미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회원가입을 통하여 웹서버의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E-mail 또는 비밀번호와 같이 회원 고유 ID와 함께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 제어부(120)는 사용자 앱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독하여 구동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채팅방과 반려동물 육성 캐릭터를 표시할 GUI화면을 단말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첫 화면은 도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11에서는 기존의 채팅방으로 육성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신규인지를 판단하고, 단계 S112에서는 기존 채팅방을 갖고 있는 회원이면 새로운 캐릭터를 추가 육성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 캐릭터를 육성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12).
한편 단계 S111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아니면 일반 모드를 표시하면 된다(S122).
단계 S112에서 새로운 캐릭터를 육성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단계 S114에서는 개설된 채팅방에 참여할 참가자들을 모집하여 채팅방을 생성한다.
단계 S114전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기제어부(120)는 웹서버(200)에 접속하여 현재 개설되어 있는 채팅방 정보와, 해당 채팅방의 캐릭터 정보, 참가자들의 닉네임 등을 수신하여 단말기표시부(130)에 표시하고, 선호하는 채팅방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114에서 채팅방이 생성되면, 해당 채팅방에서 육성할 캐릭터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즉 육성할 반려동물의 캐릭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캐릭터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웹서버(200)의 어플리케이션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단말기에서 카메라부(160)를 이용하여 직접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고, 웹서버(200)의 반려 관리 DB(240)에 설정된 캐릭터를 신청하여 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제어부(12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반려동물 중 어느 하나의 가상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해당 채팅방의 육성 캐릭터로 선택하고, 표시된 채팅창에서 채팅을 진행하고, 제시된 단어에 따라 케릭터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단말기제어부(120)는 단계 S114와 단계 S115에서 설정된 채팅방과, 채팅방에서 육성할 캐릭터와 해당 채팅방의 참가자들에 대한 정보를 채팅DB(250)에 저장한다.
이후, 단말기제어부(120)는 채팅창을 통하여 제시되는 키워드들을 획득하고 이를 수치화하는 한편, 이에 대한 활성화 아이템을 웹서버(200)로 요청한다(S116).
구체적으로 단말기제어부(120)는 채팅창(c)에서 실시간 제시되는 채팅 관련 데이터 및 채팅 형태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캐릭터를 육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수집하여, 반려동물 육성창(d)에 표시함과 동시에 수집 결과에 따른 키워드를 수치화하여 단말기저장부(170)에 저장한다.
특히 형태소 분석 결과 반려동물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와 관련된 기쁨, 화남, 슬픔, 식욕, 활동, 유흥, 성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키워드를 발췌하고, 발췌된 키워드를 수집하는 것이다.
단말기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는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거나 주기적으로 웹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는 채팅방의 식별번호와 해당 채팅방에서 육성할 캐릭터이미지, 참가자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방 정보와 그리고 키워드와 관련된 수치화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한다.
단계 S116에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획득된 키워드에 대한 수치화데이터와 함께 채팅방 정보를 전송하면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신청하면, 서버제어부(220)는 채팅방 정보는 채팅 DB(250)에 해당 정보들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반려관리 DB(240)에서 해당 캐릭터의 동작 활성화아이템을 검색한다(S210).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활성화 아이템은 캐릭터의 성장 모습, 그리고 상태 등에 대한 활성화아이템을 검색하도록 한다.
즉, 반려 관리 DB(240)에는 캐릭터의 성장 모습과 관련된 알, 유아기, 성장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저장되어 있고, 각 캐릭터의 상태는 얼굴, 체형, 동작, 소품 중 어느 하나로 외형을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각 성장모습과 상태는 표준화되어 이에 대응하는 동작 활성화아이템으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된다.
서버제어부(220)는 수치화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키워드의 가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가치를 분류하여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체형의 경우는 슬림, 뚱뚱, 근육질, 키가 변할 수 있게 하고, 소품은 술, 담배, 축구공, 책, 마이크, 커피, 펜, 닭다리, 햄버거, 고기, 배드민턴채, 탁구채, 키보드, 노트북, 스마트폰, 하트, 19금동그라미, 숟가락, 포크, 기타, 돈, 모자, 안경, 강아지, 고양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게 한다.
또한, 캐릭터의 성장 모습은 캐릭터의 기본 정면 얼굴과 무표정 캐릭터로 구성하고, 체형은 포대기에 쌓여 있는 모습과 앉아있는 모습, 기어다니는 모습으로 구성되는 유아기와, 주어진 캐릭터의 얼굴형상만 정면에서 분리한 얼굴과 체형은 기본체형, 마름, 뚱뚱함, 근육질로 구성하고, 팔다리가 움직이는 동작으로 구성되는 성장기가 포함되게 할 수 있다.
즉, 서버제어부(220)는 수치화되어 저장된 키워드에 따라 동작활성화아이템을 반려관리DB(240)에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S211).
단계 S211에서 웹서버(200)의 통신부(210)와 단말기(100)의 통신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활성화 아이템을 수신하면 반려동물 캐릭터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한다(S117).
예를 들면, 도 4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캐릭터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캐릭터 표시부(a)에 수신된 활성화아이템을 표시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웹서버에서 전송되는 활성화 아이템에 따라 캐릭터를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웹서버에서 분석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활성화아이템을 선택하여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단말기저장부(170)에 사용자 단말기(100)가 획득된 키워드에 대한 수치화데이터와 함께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수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판독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결국 웹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치와되어 저장된 키워드에 따라 동작활성화아이템을 반려동물관리DB(240)에서 획득하고 획득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표시부에 반려동물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말기제어부(120)는 단계 S118에서 동작 활성화 아이템에 따라 모드(알, 유아기, 성장기, 성숙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단계 S116으로 연결되어 해당 모드에 따라 캐릭터를 육성하는 채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18에서 모드는 변경되지 않았으나, 설정된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S119), 단말기제어부(120) 또는 서버제어부(220)는 업데이트된 캐릭터의 상태를 이미지로 이모티콘화하여 표시하거나(S120), 캐릭터 상품에 본인의 캐릭터로 삽입하여 카드를 생성하거나 캐릭터의 능력치를 반영한 미니게임을 수행하거나 생성된 캐릭터를 상품화할 수 있다(S121).
특히 단계 S120에서의 이모티콘화는 해당 채팅방에 참가한 참가자들 모두에게 부여하여 일종의 훈장처럼 이모티콘의 종류나 레벨, 숫자 등으로 우위를 가리게 하여 경쟁의식을 부추겨 더욱 본 발명의 캐릭터 육성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반려동물을 캐릭터로 선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카운팅에 기초한 캐릭터 선정시 성격 요소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각 성격요소에 대응(매칭)되는 키워드는 아래 예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인 성격요소일 경우 통계에 근거한 기준값을 가지며, 기준값 이상일 경우 가산점을, 이하인 경우 감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대화방에서 자주 나올 수 있는 키워드는 배점을 낮게 하여 해당 키워드가 기준값 이상이 되었을 때만 카운팅할 수 있다.
성격요소
1. 호기심: ????, 뭐야, 모야, 알려줘, 궁금해, 뭔데, 말해줘
2. 개구쟁이 ↔ 진지한성격:
- 가점: 놀자, ㅋㅋㅋㅋㅋㅋ(6개이상),
감점: 알았어. , 안해. 네. , 예. (마침표가 포인트)
3. 솔직: 솔직히, 솔직하게, 솔까, 솔까말
4. 비밀: 안알려줘, 비밀, 비밀이야, 몰라, 모르겠는데, 안알려줘, 말못해
5. 논리적: 결론만, 그래서, 사실, 사실상, 결국
6. 깔끔한성격↔너저분: 청소, 대청소, 목욕, 목욕탕, 정리, 샤워, 정리정돈, 빨래, 설거지
7. 괴롭히는성격↔괴롭힘당하는: 욕설, 이거해, 해와, 가져와, 시킨거 했어,
8. 애교: 아잉, 잉, 옵빠, 뀨, 뿌잉, 헤헤, >.<, 뿡, 무셔, 시더
9. 분위기메이커: 하자, 놀자, 만나자, 가자, 먹자 (이끄는 어투)
10. 거만: 나야, 넌 못해, 쩔지, 날봐, 내가 ~해줄게, 오빠가, 형이, 언니가
11. 자기중심적: 나만, 나, 난
12. 새침: 어머, 흥, 칫, 어쩜, 몰라,
13. 사나움&다혈잘: 욕설, 장난하냐, 짜증나, 그만해, 화난다, 빡친다, 열받는다
14. 여성스러움: 화장, 꽃, 향수, 옷, 쇼핑, 여자여자해, 잘생겼다, 존잘, 훈남, 남친, 남치니
15. 겁쟁이&소심: 겁, 무서워, 안해, 무서버, 무셔
16. 자유: 내 삶, 워라밸, 내 인생, 싶다
17. 믿음직: 믿(나 믿지, 오빠 믿어 등등을 포함)
18. 무뚝뚝: 대화횟수 카운팅(ex 일정기간을 두고 그 기간동안 대화의 개수가 일정수준 미만)
성격을 제외한 요소는 각 단어 카운팅 횟수에 근거하여 배점한다.
해당 계산식에 근거하여 확률을 근거로 하나의 캐릭터가 선정되고, 육성을 랜덤으로 선정된 캐릭터의 유아기 모습으로 시작한다.
한편, 도구 장착의 경우 확률에 근거하지 않는 설정으로, 최종적으로 육성된 캐릭터가 한 톡방의 특징을 태표할 수 있도록 한다. 도구의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통신인터페이스
120 : 단말기제어부 150 : 사용자앱부
160 : 카메라부 170 : 저장부
200 : 웹서버 210 : 통신부
220 : 서버제어부 230 :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240 : 반려관리 DB 250 : 채팅DB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와 웹서버간에 채팅방을 설정하고 채팅창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 모습이나 상태가 변형되도록 제어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가상의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
    (b)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채팅방의 채팅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상기 캐릭터를 육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c)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 결과에 따른 키워드를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d)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치화되어 저장된 키워드에 따라 동작활성화아이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c-1)상기 수집된 키워드에 대한 데이터를 메타데이터로 수치화하는 단계;
    (c-2)상기 수치화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키워드의 가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 가치를 분류하여 동작 활성화 아이템을 설정하는 단계;
    (c-3)상기 설정된 동작 활성화 아이템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결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4)상기 (c-3)단계에서 상기 캐릭터의 성장 모습은 알, 유아기, 성장기, 성숙기의 어느 하나의 성장모습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캐릭터의 상태는 상기 선택된 성장모습에서 얼굴, 체형, 동작, 소품 중 어느 하나로 외형을 결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의 성장모습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조도 센서를 통해 빛을 감지하여 상기 알의 부화를 표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알이 깨지는 것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팅방을 설정하는 단계;
    (a-2)상기 채팅방에 둘 이상의 단말기 사용자를 초대하여 해당 채팅방에서 함께 육성할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
    (a-3)상기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채팅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상기 채팅방의 채팅 관련 데이터 및 채팅형태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
    (b-2)상기 분석결과 반려동물 캐릭터의 성장 모습 및 상태와 관련된 기쁨, 화남, 슬픔, 식욕, 활동, 유흥, 성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키워드를 발췌하는 단계;
    (b-3)상기 (b-2)단계에서 발췌된 키워드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상기 저장된 캐릭터의 성장 모습은 알, 유아기, 성장기, 또는 성숙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장모습을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 아이템에 따라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d-2)상기 표시된 캐릭터의 성장 모습 중에서 얼굴, 체형, 동작, 소품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어 저장된 외형을 상기 획득된 동작활성화 아이템에 따라 판독하여 캐릭터의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
    (d-3)상기 업데이트된 캐릭터의 상태를 이미지로 캐릭터 상품에 본인의 캐릭터로 삽입하여 카드를 생성하거나 캐릭터의 능력치를 반영한 미니게임을 수행하거나 생성된 캐릭터를 상품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KR1020180044881A 2018-04-18 2018-04-18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KR10202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81A KR102024648B1 (ko) 2018-04-18 2018-04-18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81A KR102024648B1 (ko) 2018-04-18 2018-04-18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48B1 true KR102024648B1 (ko) 2019-09-24

Family

ID=6806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81A KR102024648B1 (ko) 2018-04-18 2018-04-18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063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서버 점검 시 가변적으로 제공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게임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03035B1 (ko) * 2023-06-23 2023-11-15 김민수 Ai 기반의 버츄얼 챗봇 운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264A (ko) * 2002-02-14 2003-08-21 주식회사 비에스텍 통화내역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육성방법
KR20060012818A (ko) * 2004-08-04 2006-02-09 박홍진 입체아바타를 이용한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60032574A (ko) * 2004-02-05 2006-04-17 윤대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이버 캐릭터를 양육하는게임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9080B1 (ko) 2006-06-02 2007-12-26 양병석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한 사이버 애완동물 육성 방법 및시스템
KR20160029895A (ko) * 2014-09-05 2016-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캐릭터 추천 장치 및 감정 캐릭터 추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264A (ko) * 2002-02-14 2003-08-21 주식회사 비에스텍 통화내역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육성방법
KR20060032574A (ko) * 2004-02-05 2006-04-17 윤대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이버 캐릭터를 양육하는게임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12818A (ko) * 2004-08-04 2006-02-09 박홍진 입체아바타를 이용한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0789080B1 (ko) 2006-06-02 2007-12-26 양병석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한 사이버 애완동물 육성 방법 및시스템
KR20160029895A (ko) * 2014-09-05 2016-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캐릭터 추천 장치 및 감정 캐릭터 추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063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서버 점검 시 가변적으로 제공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게임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96450B1 (ko) * 2021-05-07 2023-11-0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서버 점검 시 가변적으로 제공되는 보상을 결정하는 게임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03035B1 (ko) * 2023-06-23 2023-11-15 김민수 Ai 기반의 버츄얼 챗봇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216B2 (en) Virtual animal character generation from image or video data
CN101981538B (zh) 用于便于选择与小组关联的化身特征的方法及装置
US20070111795A1 (en) Virtual entity on a network
CN101452339B (zh) 在虚拟宇宙中呈现真实世界对象与交互的方法和系统
JP5945249B2 (ja) 管理装置、端末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193205B (zh) 虚拟对象的成长模拟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Hjorth et al. Ambient play
JP2013248292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JP632068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KR102024648B1 (ko) 채팅내용 기반 캐릭터 성장 콘텐츠 제공방법
Ames et al. Your ten to fourteen year old
KR20210133180A (ko) 게임 장치, 프로그램 및 게임 시스템
JP6139066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JP574035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3250895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Grow et al. Crafting in games
KR101871998B1 (ko) 그룹채팅 기반 채팅 콘텐츠 인터렉티브 캐릭터 육성 서비스 제공 방법
CN114828974A (zh) 信息推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JP202004413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198818B1 (ko) 사용자 맞춤형 리액션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05831A (ko) 사용자 맞춤형 리액션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cCaffrey Destroying Avalon
KR101945534B1 (ko) 사용자 기반 퀘스트 제공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2292127A (ja) ペットモデル育成システム、ペットモデル育成処理装置、ペットモデル育成処理方法、ペットモデル育成処理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及び、ペットモデル育成処理プログラム
CN114053732B (zh) 一种基于数据处理的玩偶联动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