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368B1 -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368B1
KR102024368B1 KR1020190063399A KR20190063399A KR102024368B1 KR 102024368 B1 KR102024368 B1 KR 102024368B1 KR 1020190063399 A KR1020190063399 A KR 1020190063399A KR 20190063399 A KR20190063399 A KR 20190063399A KR 102024368 B1 KR102024368 B1 KR 10202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rm
wire
buffer mean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삼덕
이광우
김장흥
김대학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주)유니콘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주)유니콘기연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02D7/30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by driving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지반을 천공하는 스크류(100); 상기 스크류(100)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100)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600);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을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와이어(8); 상기 와이어(8)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와이어드럼(7); 상기 와이어드럼(7)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드럼(7)을 회전시키는 드럼축(5); 상기 드럼축(5)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드럼(7)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서서히 정지시키는 완충수단(1)을 포함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Earth drilling device with buffering means}
본 발명은,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말뚝 또는 사면 억지말뚝 시공, 가시설 차수공사 등에 이용되는 지반천공장치로서, 와이어에 연결된 스크류와 케이싱이 서서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급작스럽게 정지하는 현상과 정지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지반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기초말뚝을 지반에 설치하거나 사면 억지말뚝을 설치하거나, 가시설 차수벽을 형성할 때 지반을 천공하고 천공한 홀을 사용하여 말뚝이나 차수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이용되는 지반천공장치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지반천공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장비를 리드하는 리더(400)와 상기 리더(400)를 지지하는 본체(5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500)에는 와이어드럼(7)이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드럼(7)에는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에 연결되는 와이어(8)가 감겨있다.
그리고 제1스크류(110) 및 제2스크류(1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력 제공부(210) 및 제2구동력 제공부(22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3은 도 1의 와이어드럼(7)이 유압모터(2)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3은 도 1의 종래의 와이어드럼(7)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것인데, 도 2, 3에 도시되는 예에 따르면, 와이어드럼(7)에 와이어(8)가 감겨있고, 와이어드럼(7)은 드럼축(5)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축(5)은 클러치(4)에 의해, 유압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3)과 연결되거나(도 2), 단절되게(도 3) 된다.
도 2와 같이 클러치(4)에 의해 모터축(3)과 드럼축(5)이 연결된 상태에서 와이어드럼(7)을 감거나 풀어 스크류가 인양되거나 천공홀 속으로 관입되게 되는데, 와이어드럼을 풀어서 스크류, 케이싱을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에는 클러치(4)를 이음을 끊어서 와이어드럼을 정지시키게 된다.
클러치의 이음을 끊게 되면 역회전방지수단(6)에 의해 드럼축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역회전방지수단은 고정기어(61)에 고정캠(62)이 맞물림으로써 드럼축(5)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클러치의 연결이 풀림과 동시에 역회전방지수단에 의해 와이어드럼의 회전이 급격히 정지하게 되어, 와이어에 연결된 스크류와 케이싱에 큰 충격이 전달되게 된다.
스크류와 케이싱은 그 무게가 수십톤에 달하는데, 이를 급격히 정지시키게 되어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정지 시 클러치나 회전기어에 설치되어 있는 캠에 충격을 주고, 그 정지 충격이 지반천공장치 전체에 전해지게 되어 지반천공장치 전체의 손상과 불안정을 초래한다.
둘째, 하강하는 스크류와 케이싱이 갑자기 정지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이 와이어에 그대로 전해지게 되어 와이어의 손상, 파단이 발생하였다. 인양용 와이어는 연결이 불가능하여 끊어질 경우에는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잦은 충격으로 손상이 쉽게 발생되어 원활한 작업을 방해하고 안전에 위해한 요소가 된다.
지표면에서 천공을 시작하여 요구되는 천공지점까지 스크류, 케이싱의 하강, 정지 및 천공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지반천공장치 전체와 와이어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셋째, 천공작업 중인 스크류와 케이싱에는 토사, 암석 등이 붙어 있는데, 갑작스럽게 정지하게 되면 스크류와 케이싱에 부착되어 있던 토사, 암석이 낙하하게 되어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0001은,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된 리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리더를 지지하는 붐, 상기 리더에 승강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말뚝이 연결될 수 있는 오거부, 상기 본체와 상기 오거부를 연결하는 오거 와이어, 제1 압입유닛 및 제2 압입유닛을 포함하는 천공기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 역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지반천공장치에 적용하여 천공용 스크류의 인양 및 하강 작업시 초기 거동을 부드럽게 하고, 정지 시에는 와이어드럼의 회전속도가 안정적으로 감속되도록 하여 급격히 정지하는 현상과 정지 충격이 없는 지반천공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4040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와이어에 연결된 스크류와 케이싱이 서서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급작스럽게 정지하는 현상과 정지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와이어드럼의 정지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지반천공장치와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반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지반을 천공하는 스크류(100); 상기 스크류(100)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100)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600);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을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와이어(8); 상기 와이어(8)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와이어드럼(7); 상기 와이어드럼(7)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드럼(7)을 회전시키는 드럼축(5); 상기 드럼축(5)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드럼(7)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서서히 정지시키는 완충수단(1)을 포함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수단(1)은, 정지드럼(11);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마찰패드(12)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면에 상기 마찰패드(12)를 점진적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7)을 서서히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수단(1)은, 상기 드럼축(5)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암(14);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하는 작동암(13); 상기 마찰패드(12)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패드연결구(17); 상기 작동암(13)의 일단은 상기 제1패드연결구(17)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작동암(13)의 타단에는 유압실린더(191)와 복귀스프링(193)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수단(1)은,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하되, 상기 고정암(14)과 드럼축(5)이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에 힌지결합하는 링크암(15); 상기 마찰패드(12)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2패드연결구(18); 상기 링크암(15)과 제2패드연결구(18) 사이에 힌지결합하는 레버(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작동암(13)은,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은 일체로 구비되되,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며 꺾어진 형태이며, 상기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이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암(131)의 일단이 상기 제1패드연결구(17)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가동암(132)의 타단에 유압실린더(191)와 복귀스프링(193)이 구비된다.
상기 정지드럼(11)은, 외측드럼(111); 상기 외측드럼(1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드럼(112); 상기 외측드럼(111)과 내측드럼(112)을 연결하는 연결판(113)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축(5)의 일단에는 와이어드럼(7)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축(5)의 타단에는 모터축(3)과 단속되는 클러치(4)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드럼(7)과 클러치(4) 사이에 상기 완충수단(1)이 구비된다.
역회전방지수단(6)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은, 상기 와이어드럼(7)과 클러치(4) 사이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7)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은, 고정기어(61)와 고정캠(62)을 포함한다.
상기 복귀스프링(193)이, 상기 작동암(13)의 타단에 미는 힘이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와이어드럼이 서서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류와 케이싱의 하강속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함으로써 지반천공장치에 충격이 가지 않고, 와이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스크류와 케이싱이 서서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작스러운 정지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충격으로 인한 와이어 손상이 거의 없으므로 와이어 교체로 인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급격히 정지시키지 않고, 유압을 조절하면서 서서히 정지시키므로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조정이 편리하여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지반천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3은 종래의 와이어드럼 연결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완충수단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수단이 작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8은 본 발명의 와이어드럼이 작동되는 상태의 일실시예이다.
도 7, 9는 본 발명의 와이어드럼이 정지한 상태의 일실시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는 지반을 천공하는 스크류(100)와 상기 스크류(100)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100)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600)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의 상부는 각각 와이어(8)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8)는 와이어드럼(7)에 감겨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드럼(7)은 드럼축(5)과 연결되어 드럼축의 회전력이 와이어드럼(7)에 전달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게 된다.
상기 드럼축(5)의 반대편에는 유압모터(2)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모터(2)에는 모터축(3)이 연결되어 있어 유압모터(2)의 회전력이 모터축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 드럼축(5)과 모터축(3)은 클러치(4)에 의해 연결이 이어지거나(도 6, 8) 끊어지게(도 7, 9) 된다.
즉, 도 6, 8과 같이 클러치(4)에 의해 상기 드럼축(5)과 모터축(3)이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유압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와이어드럼(7)을 회전시키게 되고, 도 7, 9와 같이 상기 드럼축(5)과 모터축(3)의 연결이 끊어져 있을 때에는 유압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고, 상기 드럼축(5)과 모터축(3)의 연결이 끊어질 때 드럼축(5)에 구비된 완충수단(1)에 의해 와이어드럼(7)이 서서히 멈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완충수단(1)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반천공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작동되지 않은 상태의 완충수단(1)을 나타내고, 도 5는 작동된 상태의 완충수단(1)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완충수단(1)은, 외측으로 정지드럼(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부에 마찰패드(12)가 위치한다.
상기 정지드럼(11)은 2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외측드럼(111)과 상기 외측드럼(1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드럼(112) 및 상기 외측드럼(111)과 내측드럼(112)을 연결하는 연결판(113)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정지드럼(11)은 본체(500)에 고정된다.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면에 위치한 상기 마찰패드(12)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면과 상기 마찰패드(12)를 점진적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와이어드럼(7)을 서서히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찰패드(1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원주를 완전히 이루지 않고, 원형이되 그 일부가 단절되어 있는 형태이다.
드럼축(5)의 외면에는 고정암(14)이 고정되어 있고, 작동암(13)이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한다.
상기 작동암(13)은,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으로 이루어져 일정각도 꺾어진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이 만나는 위치(꺾어진 위치)에서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암(131)의 일단이 제1패드연결구(17)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가동암(132)의 타단에는 유압실린더(191)와 복귀스프링(193)이 구비된다.
도 4, 5에는 상기 가동암(132)의 타단 끝에 복귀스프링(193)이 연결되고, 복귀스프링의 안쪽에 유압실린더(191)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유압실린더(191)를 가동암(132)의 타단 끝에 연결하고 유압실린더(191)의 안쪽에 복귀스프링(193)을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패드연결구(17)는 상기 마찰패드(12)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암(14)에는 링크암(15)이 힌지결합하는데, 상기 고정암(14)과 드럼축(5)이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에서 힌지결합한다.
상기 마찰패드(12)의 타단에는 제2패드연결구(18)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링크암(15)과 제2패드연결구(18) 사이에는 레버(16)가 힌지결합된다.
본 발명의 완충수단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완충수단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 즉 유압실린더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복귀스프링(193)이 상기 가동암(132)의 타단을 밀고 있는 상태이고, 그 결과 마찰패드(12)가 정지드럼(11)의 내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도 4의 상태에서는 유압모터의 회전력이 드럼축(5)에 전달될 경우 드럼축(5)과 와이어드럼(7)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완충수단을 작동시킬 경우, 도 5와 같이 유압호스(192)를 통해 유압실린더(191)를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가동암(132)의 타단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브레이크암(131)의 일단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패드연결구(17)가 위치한 쪽의 마찰패드(12)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지드럼(11)의 내면에 서서히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마찰패드(12)의 강성과 탄성에 의해 제2패드연결구(18)가 위치한 쪽의 마찰패드 역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찰패드가 정지드럼의 내면에 밀착하는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서서히 가하고, 그에 따라 마찰패드가 정지드럼의 내면에 서서히 밀착하게 됨으로써 드럼축(5)의 회전을 서서히 멈출 수 있게 된다.
도 6,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완충수단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모터축(3)과 드럼축(5)이 연결된 상태이고, 완충수단(1)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아 마찰패드가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유압모터에서 발생시킨 회전력이 모터축(3)과 드럼축(5)을 통해 전달되어 와이어드럼(7)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와이어드럼을 회전시켜 스크류와 케이싱을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에는, 도 7과 같이 클러치(4)를 이탈시키면서 동시에 유압실린더(191)를 작동시켜 마찰패드(12)를 정지드럼(11)의 내면에 서서히 밀착시킴으로써 와이어드럼(7)을 정지시킨다.
도 8, 9는 도 6, 7에서 예시한 실시예에서 역회전방지수단(6)이 더 구비된 실시예이다.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은, 고정기어(61)와 고정캠(62)을 포함하고, 고정기어(61)의 기어치에 고정캠(62)이 끼워지는 구조로 드럼축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은, 도 8, 9와 같이 완충수단(1)과 와이어드럼(7)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클러치(4)와 완충수단(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와이어드럼(7)의 외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모터축(3)과 드럼축(5)이 연결된 상태이고, 완충수단(1)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아 마찰패드가 떨어져 있는 상태이며, 역회전방지수단(6)의 고정기어(61)와 고정캠(62)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유압모터에서 발생시킨 회전력이 모터축(3)과 드럼축(5)을 통해 전달되어 와이어드럼(7)을 회전시키게 된다.
와이어드럼을 회전시켜 스크류와 케이싱을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에는, 도 9와 같이 클러치(4)를 이탈시키면서 동시에 유압실린더(191)를 작동시켜 마찰패드(12)를 정지드럼(11)의 내면에 서서히 밀착시킴으로써 와이어드럼(7)을 정지시키게 되고, 정지된 후에는 역회전방지수단(6)의 고정기어(61)와 고정캠(62)을 결합시켜 드럼축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완충수단(1)이 와이어드럼(7)과 클러치(4)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와이어드럼의 외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완충수단
11. 정지드럼 111. 외측드럼
112. 내측드럼 113. 연결판
12. 마찰패드 13. 작동암
131. 브레이크암 132. 가동암
14. 고정암 15. 링크암
16. 레버
17. 제1패드연결구 18. 제2패드연결구
191. 유압실린더 192. 유압호스
193. 복귀스프링
2. 유압모터
3. 모터축
4. 클러치
5. 드럼축
6. 역회전방지수단
61. 고정기어 62. 고정캠
7. 와이어드럼
8. 와이어
100. 스크류 200. 구동력 제공부
400. 리더 500. 본체
600. 케이싱 700. 레일각도 조절부
800. 정착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반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지반을 천공하는 스크류(100); 상기 스크류(100)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100)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600);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100)와 케이싱(600)을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와이어(8); 상기 와이어(8)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와이어드럼(7); 상기 와이어드럼(7)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드럼(7)을 회전시키는 드럼축(5); 상기 드럼축(5)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드럼(7)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서서히 정지시키는 완충수단(1)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1)은, 정지드럼(11);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마찰패드(12)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드럼(11)의 내면에 상기 마찰패드(12)를 점진적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7)을 서서히 정지시키게 되며,
    상기 완충수단(1)은,
    상기 드럼축(5)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암(14);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하는 작동암(13); 상기 마찰패드(12)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패드연결구(17); 상기 작동암(13)의 일단은 상기 제1패드연결구(17)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작동암(13)의 타단에는 유압실린더(191)와 복귀스프링(19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하되, 상기 고정암(14)과 드럼축(5)이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에 힌지결합하는 링크암(15); 상기 마찰패드(12)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2패드연결구(18); 상기 링크암(15)과 제2패드연결구(18) 사이에 힌지결합하는 레버(16)를 더 포함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13)은,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은 일체로 구비되되,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며 꺾어진 형태이며,
    상기 브레이크암(131)과 가동암(132)이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암(14)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암(131)의 일단이 상기 제1패드연결구(17)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가동암(132)의 타단에 유압실린더(191)와 복귀스프링(193)이 구비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드럼(11)은,
    외측드럼(111);
    상기 외측드럼(1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드럼(112);
    상기 외측드럼(111)과 내측드럼(112)을 연결하는 연결판(113)을 포함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5)의 일단에는 와이어드럼(7)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축(5)의 타단에는 모터축(3)과 단속되는 클러치(4)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드럼(7)과 클러치(4) 사이에 상기 완충수단(1)이 구비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역회전방지수단(6)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은, 상기 와이어드럼(7)과 클러치(4) 사이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7)의 외측에 구비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수단(6)은, 고정기어(61)와 고정캠(62)을 포함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193)이, 상기 작동암(13)의 타단에 미는 힘이 작동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KR1020190063399A 2019-05-29 2019-05-29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KR10202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399A KR102024368B1 (ko) 2019-05-29 2019-05-29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399A KR102024368B1 (ko) 2019-05-29 2019-05-29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368B1 true KR102024368B1 (ko) 2019-09-23

Family

ID=6806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399A KR102024368B1 (ko) 2019-05-29 2019-05-29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35A (ko) 2021-11-26 2023-06-02 김진수 어스 드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강화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201Y1 (ko) * 1983-06-07 1984-07-10 상와기자이 가부시기가이샤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JPH078388U (ja) * 1993-06-30 1995-02-07 株式会社タダノ ウインチ用クラッチ装置
KR20160040403A (ko) 2014-10-03 2016-04-14 (주)진성토건이엔씨 말뚝 압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천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201Y1 (ko) * 1983-06-07 1984-07-10 상와기자이 가부시기가이샤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JPH078388U (ja) * 1993-06-30 1995-02-07 株式会社タダノ ウインチ用クラッチ装置
KR20160040403A (ko) 2014-10-03 2016-04-14 (주)진성토건이엔씨 말뚝 압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천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35A (ko) 2021-11-26 2023-06-02 김진수 어스 드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강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32061A (en) Quick action whip stock
RU2400419C2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скважин или буровых лебедок
KR102024368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AU2009208073A1 (en) Mesh Reel Handling Assembly
KR20090055480A (ko) 윈치
US202301158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hole Service Tools
US4405020A (en) Automatic drive hammer system
KR20140001022A (ko) 유압 윈치
US1926119A (en) Feeding pressure control for earth boring apparatus
JP4870180B2 (ja) 杭施工機
CN106401477A (zh) 导向钻具用推靠执行机构和钻具
AU2019264522A1 (en) Down-the-hole drilling control system for mobile drilling machines
US11591897B2 (en) Anti-jam control system for mobile drilling machines
BR112020014083A2 (pt) dispositivo de ancoragem em fundo de poço
US2795396A (en) Automatic feed for cable-tool drills
JPH10338473A (ja) ウインチ用ワイヤ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AU2020205243A1 (en) Anti-jam control system for mobile drilling machines
KR20120125727A (ko) 천공장비
JP3486678B2 (ja) ケリーバ型掘削機の掘削補助用シリンダへの圧油供給装置
JP2000145347A (ja) アースドリルのケリーバガイド装置
JPH0849485A (ja) 建設機械用トルクリミッタ
US1447025A (en) Hoisting apparatus
GB2522063A (en) Drill String Stabiliser Assembly
EP4230568A1 (en) A tethering system for a blow-out preventer
JPH07293167A (ja) 岩盤掘削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