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201Y1 -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201Y1
KR840001201Y1 KR2019830004989U KR830004989U KR840001201Y1 KR 840001201 Y1 KR840001201 Y1 KR 840001201Y1 KR 2019830004989 U KR2019830004989 U KR 2019830004989U KR 830004989 U KR830004989 U KR 830004989U KR 840001201 Y1 KR840001201 Y1 KR 840001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ile
casing
ogre
drive devic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12U (ko
Inventor
시계루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상와기자이 가부시기가이샤
시무라 하지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와기자이 가부시기가이샤, 시무라 하지메 filed Critical 상와기자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4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01Y1/ko
Publication of KR840006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1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요부의 확대 정면도.
제3도는 그의 측면도.
제4도는 선회장치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2도 Ⅴ-Ⅴ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1도 Ⅵ-Ⅵ선 확대 단면도.
제7도는 그의 정면도로서, 시이트 파일이 생략된 도면.
제8도는 계지판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는 계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2도는 반력받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XIII-XIII선 단면도.
본 고안은 시이트 파일의 타설(打設)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이트 파일의 타설 장치에는 바이브로 히머, 디이젤 해머, 드롭해머등에 의해, 시이트 파일에 진동이나 충격을 주어 이를 소정깊이까지 타설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장치에서는 타설작업에 수반하여 커다란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며, 그 때문에 시가지에서의 사용이 현저하게 규제되고 있다. 거기서 최근 어어스 오우거에 의해시이트 파일의 복측(腹側)지반을 굴삭하는 것에 의해 타설지반을 연약화 시켜가면서, 압입장치에 의해서 시이트 파일을 땅속으로 압입하고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 장치에 있어서는 시이트 파일은 상단만을 오우거 스크류 구동장치 또는 리이더 마스트에 계지(係指)고정하고 있으므로, 특히 시이트파일이 긴것인 경우에는 타설할때에 시이트 파일이 구부러진다든지 부풀어 오른다든지 하여 정밀도가 높은 시이트 파일의 타설작업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타설시에 시이트 파일에 구부러짐이나 부풀어 오름을 일으키는 일없이 높은 정밀도로서 시이트파일을 타설할 수가 있는 시이트파일 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베이스머신(1)의 앞쪽부분에 그의 아래 부분을 지지한 리이더마스트(2)가, 스테이(stay)(3)에 의해서 기도(起倒)가능하게 기립 유지되어 있다. 이 리이더마스트(2)의 앞측면에는 이 마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4),(4)에는 어어스 오우거 구동장치(5)가 일단을 베이스머신(1)의 원치(도시치 않음)에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로우프(6)에 의해서,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 장착되어 있다. (7)은 구동장치(5)의 홀더(8)에 취부한 활차로서, 와이어 로우프(6)이 감겨있다.
어어스오우거 구동장치(5)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모우터(9)를 가지며, 이 모우터의 구동력을 감속기등의 전달수단에 의해 출력축(10)에 전달되며 이 축을 회전 구동한다. 그리하여 이 출력축(10)에는 하단에 굴삭헤드를 갖는 오우거 스크류( 11)의 축(11a)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축(10) 및 스크류축(11a)은 중공으로 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5)의 아래쪽에는, 선회장치(12)를 , 홀더(8)의 상부에 그의 상단을 취부한 유압 실린더(13),(13)을 거쳐 지지함과 동시에, 이 선회장치(12)에 압압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선회장치(12)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 (14)내에 통체(筒體)(15)를 베어링(16),(16)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이 통체(15)의 외주에 톱니바퀴(17)를 고착하고, 이 톱니바퀴(17)에 모우터(18)의 구동축(19)에 고착한 워엄기어(20)를 맞물리게 하고, 이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통체 (15)가 회전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모우터(18)는 프레임(14)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통체(15)에는 그의 하부에 배치한 계수(繼手)(21)과 (22)를 거쳐서 케이싱(23)이 연결되어 있다. 이 케이싱(23)의 윗쪽 부분에는 척크장치(24)가 아래쪽 부분에는 계지장치(35)가 취부되어 있다.
먼저 상기한 척크장치(24)에 대해 설명하면, 제2, 3 및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3)외주에,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하는 둘로 분할된 통상(筒狀)의 유지체(25)가 볼트(27)에 의해 케이싱(23)을 포지(抱持)상태로 고정 지지시킴과 동시에, 케이싱(23)의 임의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유지체(25)에는 그의 앞면에 브라켓트(28),(28)이, 또 브라켓트(28,28)에 대응하는 위치의 아래쪽부분 앞면에 수판(受板)(34)이 각각 취부되어 있다. 브라켓트(28),(28)의 아래쪽에는, 대략 ㄴ자 형으로 형성한 클램프 금구(金具)(32)가 그의 일단을 상기한 수판(34)에 접촉 가능토록 핀(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시킴과 동시에, 이 클램프 금구(32)의 타단에는 일단을 상기한 유지체(25)에 축(29)에 의해 축지된 유압실린더(30)의 램(31)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 금구(32)가 회전하고 수판(34)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그리하여, 이 클램프 금구(32)와 수판( 34)과의 사이에, 제2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시이트파일(p)의 상단부를 거쳐 이 시이트파일(p)를 클램프 금구와 수판으로서 척크함과 동시에, 시이트파일(p)를 케싱 (23)에 첨부하여 기립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케이싱(23)아래쪽 부분에 취부한 계지장치(35)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계지장치(35)는 제6 및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갖는 가이드판(36)을 케이싱 (23)의 하방부 외면에 취부판(39),(39)를 거쳐서 대략 T자상으로 고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이 계지장치(35)의 가이드판(36)은, 시이트파일(P)를 케이싱(23)을 따라 설치한 경우, 이 시이트파일(P)의 하방부 복측(腹側)측벽에 설치된 계지변(係止邊 )(37),(37)과 파일 복측 측벽(38)과의 사이에 끼어 넣어져 계합되며, 이것에 의해서 시이트 파일(P)를 상하로는 접동하지만 전후방향(제6도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계지장치(35)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제9도에 나타낸것처럼 케이싱(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취부판(39),(39)를 거쳐서 가이드봉(40),(40)을 취부한 것, 혹은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봉(40),(40)을 T자상의 취부판(39)를 거쳐서 취부한 것 등 적당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시이트파일 (P)에 설치된 계지변(37),(37)에 있어서도 예를들면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봉(40),(40)이 삽입 가능한 가이드구멍(41),(41)을 갖는 계지변(37),(37)으로하는 등 상기한 계지장치(35)의 각종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계지변(37),(37)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선회장치(12)의 동체(15)와 케이싱(23)에는 오우거 스크류(11)가 동축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장치(5)에는 유압실린더(13),(13)을 작동시켜서 선회장치(12)에 압압력을 가할때의 반력(反力)받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력받침은,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장치(5)의 홀더(8)의 배면에 시이브(42) 및 (43)을 취부함과 동시에, 각 시이브에 와이어 로우프(44)를 감아걸고, 이 와이어 로우프(44)의 일단을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머신(1)의 앞쪽부분의 시이브(45)를 거쳐서 윈치(도시치 않음)에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시이브(42),(43) 및 와이어 로우프(44)에 대신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장치(5)의 홀더(8)의 배면에 유압실린더(46)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유압실린더의 램(47)선단에 스톱퍼(48)를 취부하여, 이 스톱퍼를 리이더마스트(2)의 앞쪽면에 마련한 복수의 반력받침(49),(49)에 단계적으로 계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구동장치(5)의 출력축(10)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이벨장치(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이벨 장치에 의해서 유체를 출력축(10) 및 오우거 스크류( 11)의 축(11a)내를 걸쳐서 오우거 스크류(11)하단의 굴삭헤드에서 분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시이트 파일(P)를 크레인등에 의해 달아올려 가면서 케이싱(23)의 측면을 따라 시이트파일 하단의 계지판(37),(37)안에 케이싱의 가이드판(36)을 상대적으로 끼어 넣어서 시이트파일 하단을 계지 시킴과 동시에, 시이트파일 상단을 척크장치(24)의 클램프 금구(32)와 수판(34)와의 사이에 끼어 넣어서, 유압실린더(30)의 램(31)을 신장시켜, 클램프 공구(32)를 핀(3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이트 파일(P)를 협지 고정한다. 그리고, 척크장치(24)는 시이트 파일(P)의 길이에 맞추어 알맞게 승강시켜서, 미리 상하위치를 조정해둔다.
상기한 시이트 파일(P)의 매달아 넣는 작업이 끝나면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장치(5)를 시동하여 오우거 스크류(11)에 의해서 시이트 파일(P)의 북측 지반(E)를 굴삭해간다.
이런 경우, 시이트 파일(P)는 그의 상부에서 척크장치(24)에 협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에서는 케이싱에 계지되어 전후방향의 변위(부푼정도)가 규제되므로, 구동장치(5) 및 오우거 스크류(11)등의 중량을 받아 가면서 굴삭구멍으로 안내되어서 지반 (E)내에 효과적으로 건입()된다.
굴삭시에는, 필요에 응하여 물, 벤트나이트등을 오우거스크류(11)선단의 굴삭헤드에서 분사한다. 또, 경질 지반등, 구동장치(5)등의 자중만으로서는 건입이 불가능한 경우와 시이트 파일의 최종적인 뿌리고정을 행할 경우에는, 유압실린더(13),(13)의 램을 신장시켜서, 선회장치(12)에 강제적으로 압압력을 가하여 케이싱(23)과 함께 시이트파일(P)를 건입한다. 이때, 제2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와이어로우프(44)를 윈치로서 권취하고, 구동장치(5)의 홀더(8)를 시이트 파일(P)의 건입방향으로 견인한다. 또 제12도의 예에서는 스톱퍼(48)를 반력받침(49)에 계지시켜둔다.
시이트파일(P) 및 케이싱(23)을 소정심도에 건입했다면, 제2도의 상태에서 척크장치(24)의 유압실린더(30)의 램(31)을 축소시켜 클램프금구(32)를 핀(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시이트 파일의 협착을 푼다. 다음에, 오우거 스크류 (11)를 역전시켜서 굴삭토사를 계속매몰해 가면서 와이어 로우프(6)을 되돌려감아서 시이트 파일만을 땅속에 남기고 구동장치(5)를 끌어 올린다. 한개의 시이트 파일을 건입한 후에는, 재차 다른 시이트파일을 달아넣고, 그 상하양단을 척크장치(24) 및 계지장치(35)로서 고정한 후, 모우터(18)을 작동시켜서 케이싱(23) 및 시이트파일(P)를 이미 건입되어 있는 시이트 파일에 대하여 복측(腹側)이 대향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조작으로서 건입을 행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이트 파일의 건입시에 시이트 파일의 상하양단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부러짐이나 부풀음등은 일어나지 않으며, 높은 정밀로서 시이트파일을 건입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시이트 파일은 케이싱에 첨부되어 건입되므로, 오우거 스크류에 의해 시이트 파일 복측벽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한 척크부는 케이싱에 상하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케이싱에 대하여(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이트 파일의 종류에 따라 길이가 달라도 위치 조정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

  1. 리이더마스트(2)에 오우거스크류 구동장치(5)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오우거스크류 구동장치의 출력축(10)에 오우거 스크류(11)를 연결하여된 파일 타설장치에 있어서, 이 구동장치(5)의 아래쪽에 선회장치(12)를 유압실린더(13)에 의해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선회장치 하단에 케이싱(23)을 연결하여, 이 케이싱에 상하동 가능하게 또 이 케이싱에 첨부되어 기립설치한 시이트 파일(P)을 협지하는 척크부 (24)와 이 시이트 파일 하단의 전후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係止)장치(35)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장치(12) 및 케이싱(23)은 모두 상기 오우거 스크류(11)에 외감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3)는 구동장치의 홀더(8)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단부가 그 홀더에, 하단부가 선회장치(12)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KR2019830004989U 1983-06-07 1983-06-07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KR840001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989U KR840001201Y1 (ko) 1983-06-07 1983-06-07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989U KR840001201Y1 (ko) 1983-06-07 1983-06-07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375 Division 1979-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01Y1 true KR840001201Y1 (ko) 1984-07-10
KR840006012U KR840006012U (ko) 1984-11-10

Family

ID=1923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989U KR840001201Y1 (ko) 1983-06-07 1983-06-07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2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41Y1 (ko) * 2008-12-26 2011-02-25 천지상건설 주식회사 에치빔 인발기용 클램프헤드 구조체
KR102024368B1 (ko) * 2019-05-29 2019-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41Y1 (ko) * 2008-12-26 2011-02-25 천지상건설 주식회사 에치빔 인발기용 클램프헤드 구조체
KR102024368B1 (ko) * 2019-05-29 2019-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완충수단이 구비된 지반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12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4917A1 (en) Hydraulic-forced resonance-free vibratory sheet piling driving and extraction machine
GB2060742A (en) Driving sheet piles
KR840001201Y1 (ko) 시이트 파일의 타설장치
US471160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anchor member below water level through a wall into a soil formation
JPS59109617A (ja) 静荷重型杭打抜機
JPH08199960A (ja) 立坑用斜め孔削孔機
JP3449803B2 (ja) トンネル掘削機
JP2004143740A (ja) 穿孔機
JP3218183B2 (ja) 杭打機のトップシーブ装置
JP3949130B2 (ja) 地盤改良機械装置と地盤改良工法
JPS61266724A (ja) 杭打用穴あけ機
JP3946992B2 (ja) ケーソン工法における削岩システム
JP2002004280A (ja) 高トルク回転圧入用オーガ
JP2935414B2 (ja) 法面等での作業機械
JPH108868A (ja) 土木・建設機械のリーダアタッチメント
JP3772221B2 (ja) 底盤改良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底盤改良機
JP3844166B2 (ja) 法面さく孔機及び法面さく孔方法
SU1221293A1 (ru) Рыхлитель
JP3378959B2 (ja) 杭打機
PL176583B1 (pl) Urządzenie do wykonywania wykopów
JPH10306675A (ja) 土木・建設機械のリーダアタッチメント
JP2922102B2 (ja) 法面の削孔装置
KR200366406Y1 (ko) 굴착장치
JPS5848717B2 (ja) 無反動双軸駆動掘削装置
JPS63465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