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257B1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257B1
KR102024257B1 KR1020150136622A KR20150136622A KR102024257B1 KR 102024257 B1 KR102024257 B1 KR 102024257B1 KR 1020150136622 A KR1020150136622 A KR 1020150136622A KR 20150136622 A KR20150136622 A KR 20150136622A KR 102024257 B1 KR102024257 B1 KR 10202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adhesive
equivalent
crosslinking agent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264A (ko
Inventor
박민수
양세우
박형숙
이필
이영주
신정규
최형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3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2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점착 테이프,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분리막에 높은 접착력으로 부착되어, 분리막이 사용 과정에서 해수 등 외부 물질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아, 분리막의 분리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상기 점착 테이프,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점착 테이프,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에 대한 것이다.
분리막은 선택적 투과를 통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소재로서, 해수의 담수화 공정; 초순수 제조; 약품이나 화학 물질 제조; 음용수 제조; 및 오폐수 처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분리막은, 예를 들면, 수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양질의 생활 및 공업 용수의 공급, 각종 생활 하수와 산업 폐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 분리막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처리를 위한 분리막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분리막은, 폴리아미드 계열의 고분자막을 사용한 분리막이다. 이 분리막은 폴리아미드계 박막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복합 분리막(TFC membrane; Thin Film Composite membrane)으로서,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수력학적 안정성 및 분리 선택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예를 들면, 폴리술폰을 다공성 지지체으로 하고 폴리아미드를 활성층으로 하는 형태의 복합 분리막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폴리아미드 계열의 복합막은 염소 및 염소산염 등에 취약한 아미노기를 함유하여, 극미량의 염소 등에 노출 되었을 때도 분리막 성능이 크게 감소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수처리 모듈 등에서 접힌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접힌 부위에는 분리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용의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의 분리막이 해수 등에 노출되면, 분리막이 용해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 보강용의 테이프가 탈착되어 제거되고, 그에 따라 분리막의 분리 성능이 저하된다.
국제공개특허 WO2013-176508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점착 테이프,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분리막에 높은 접착력으로 부착되어, 분리막이 사용 과정에서 해수 등 외부 물질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아, 분리막의 분리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상기 점착 테이프,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분리막용 점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분리막을 보강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폴리머와 가교제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점착 폴리머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과 가교제의 당량(B)의 비율을 제어하고, 추가로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의 범위 및 필요하다면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분리막에 우수한 접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기본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점착 폴리머의 가교성 관능기(A)의 당량 대비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이 크게 되도록 조성된다. 일반적으로 가교 반응 후 잔류 성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과 가교제의 당량(B)은 서로 유사한 수준으로 조절되거나, 혹은 가교제의 당량(B)이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 대비 작게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이 조성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이 크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경우, 가교 반응 후에 잔류하는 가교제가 다시 분리막, 예를 들면, 분리막의 보호층과 반응하여 우수한 밀착성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가교 반응 후에 잔류하는 가교제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오히려 분리막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확인하고,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을 제어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에서 점착 폴리머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서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과 상기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의 비율(B/A)이 1.1 이상,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율(B/A)은 다른 예시에서 30 이하,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율(B/A)을 전술한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점착 테이프가 분리막에 우수한 접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점착 폴리머의 고형분의 무게는 점착 폴리머를 상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에, 다시 상기를 약 150℃의 온도에서 약 30분 정도 건조한 후에 측정한 무게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온은,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약 15℃ 내지 30℃의 범위 내, 약 23℃ 또는 약 25℃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은, 점착 폴리머의 고형분 100 g 당 존재하는 가교성 공단량체의 무게(단위: g)로부터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의 몰수를 구한 후에, 그 가교성 공단량체가 포함하는 관능기의 몰수를 곱해서 구해지는 수치이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부틸 아크릴레이트(BA)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를 99:1의 중량 비율(BA:4-HBA)로 중합시켜 점착 폴리머를 제조한 경우에, 점착 폴리머의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4-HBA)의 무게는 1 g이다. 그런데,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4-HBA)의 몰질량은 약 144 g/mol이므로, 결국 상기 고형분 100 g 당 가교성 공단량체(4-HBA)의 몰수(1/144)는 약 0.00694몰이며, 상기 공단량체(4-HBA)가 포함하는 가교성 관능기(히드록시기)의 몰수는 1이므로, 결국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0.00694×1)은 약 0.00694가 된다. 가교성 관능기가 히드록시기인 경우에 상기 당량(A)은, 점착 폴리머 용액의 수산기값(OH value)을 측정하고, 그 히드록시기의 함량을 몰수로 환산하여서도 구할 수 있다.
한편, 가교제의 당량(B)은, 점착 폴리머의 고형분 100 g 당 사용된 가교제의 무게(단위: g)로부터 상기 가교제의 몰수를 구한 후에, 그 가교제가 포함하는 가교성 관능기의 몰수를 곱해서 구해지는 수치이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가교제로서, 가교성 관능기(이소시아네이트기)가 3개인 3관능성이면서, 몰질량이 약 308g/mol인 가교제를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0.4 g 사용한 경우에, 상기 고형분 100 g 당 가교제의 몰수(0.4/308)는 약 0.0012987몰이며, 상기 가교제가 포함하는 가교성 관능기(이소시아네이트기기)의 몰수는 3이므로, 결국 상기 가교제의 당량(B=0.0012987×3)은 약 0.00390가 된다.
점착제 조성물에서 가교제의 당량(B)이 0.021 당량 이하일 수 있다. 가교제의 당량(B)이 지나치게 높으면, 잔류하는 가교제의 비율은 증가하지만, 이러한 비율의 증가가 오히려 접착력의 저하를 유발하는 점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가교제의 당량(B)은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가교제의 당량(B)은, 다른 예시에서 0.02 당량 이하, 0.018 당량 이하, 0.016 당량 이하, 0.014 당량 이하, 0.012 당량 이하 또는 0.01 당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량(B)은 다른 예시에서 0.001 당량 이상, 0.0015 당량 이상 또는 0.002 당량 이상일 수 있다.
점착 폴리머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로는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지만, 적절한 접착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히드록시기가 적용될 수 있다.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은, 약 0.005 당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당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0.0001 당량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당량 범위에서 분리막에 대한 적절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점착 폴리머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아크릴 폴리머, 우레탄 폴리머, 올레핀 폴리머 또는 실리콘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크릴 폴리머는,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 단위로 포함하는 폴리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의미한다. 아크릴 폴리머는 상기 아크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주성분은, 중량 기준으로 그 성분을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합 단위는 어떤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점착 폴리머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크릴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공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성의 조절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확보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성 공단량체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고, 또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성 관능기로는, 카복실기, 히드록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질소 함유 관능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점착 폴리머의 제조 분야에서는, 사용될 수 있는 가교성 관능기 및 그 관능기를 포함하는 공단량체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단량체;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의 카복실기를 가지는 공단량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적절한 접착력의 확보를 위해 가교성 공단량체로는,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 1 내지 16, 1 내지 12, 1 내지 8 또는 1 내지 4인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나 알킬기의 탄소수가 3 이상, 3 내지 20, 3 내지 16, 3 내지 12, 3 내지 8 또는 3 내지 6인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폴리머에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공단량체의 비율은 전술한 당량(A)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 중량부 초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점착제층의 점착성 및 응집력 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점착 폴리머는,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다른 임의의 공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단량체들은 필요에 따라 적정한 종류가 일종 또는 이종 이상 선택되어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단량체는, 예를 들면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이하, 또는 0.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폴리머에 포함될 수 있다.
점착 폴리머에 상기 다양한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가교성 관능기나 그러한 관능기로 작용할 수 있는 극성 관능기, 예를 들면, 히드록시, 카복실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질소 함유기 등의 당량은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의 예시에서 점착 폴리머는 상기 히드록시기 외에 다른 가교성 관능기나 혹은 그러한 관능기로 작용할 수 있는 상기 극성 관능기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점착 폴리머의 분자량,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30만 내지 300만, 30만 내지 250만, 30만 내지 200만, 30만 내지 150만, 30만 내지 100만, 50만 내지 100만 또는 50만 내지 90만 정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점착 폴리머는, 일반적인 중합 방식, 예를 들면,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전술한 당량(B)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교제는, 상기 점착 폴리머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점착제의 응집력을 조절하고, 점착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또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고, 폴리머의 가교성 관능기를 고려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나,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부가 반응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트리올,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벤젠디올(ex. 카테콜(catechol), 레조시놀(resorcinol) 또는 히드로퀴논(hydroquinone)), 벤젠트리올(ex. 1,2,3-벤젠트리올), 디알코올아민, 트리알코올아민, 아라비톨(arabitol), 만니톨(mannitol), 이소말트(isomalt), 글리세롤(glycerol), 자일리톨(xylitol), 솔비톨(sorbitol), 말티톨(maltitol), 에리쓰리톨(erythritol), 리비톨(ribitol), 둘시톨(dulcitol), 락티톨(lactitol), 트레이톨(threitol), 이디톨(iditol) 또는 폴리글리시톨(polyglycit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아지리딘 화합물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는,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이나 아세토초산에틸 등에 배위한 상태로 존재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에서 다가 금속의 종류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또는 바나듐 등이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당량(B)이 달성될 수 있도록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교제는 점착 폴리머(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이하 또는 약 0.8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 중량부 초과일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필요한 임의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제;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또는 가소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점착 테이프에 대한 것이다. 점착 테이프는 기재 필름과 그 기재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그 상태로 상기 점착제층에 포함되거나, 혹은 건조된 형태 또는 경화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층 내에서 상기 점착 폴리머는 가교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의 일면에 도포하고, 적절한 건조 내지는 경화 공정을 거쳐 형성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에 포함되는 기재 필름의 종류는, 분리막을 보강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AC(Triacet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BT(poly(butylenes terephthalate)) 필름 또는 PC(polycarbonate)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PP(polypropylene) 필름, PE(polyethylene) 필름 또는 COP(cycloolefin)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PVC(poly(vinyl chloride)) 필름; 또는 폴리스티렌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은 무연신 필름이거나 일축 혹은 이축 연신 필름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은, 단일층의 필름이거나 2층 이상의 다층 필름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보강 효율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은, 5㎛ 내지 50㎛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일면에 존재하는 점착제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의 두께는 점착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은, 5㎛ 내지 50㎛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분리막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분리막은 해수의 담수화 공정, 초순수, 약품 또는 화학 물질의 제조, 음용수의 제조 및 오폐수 처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처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 활성층; 및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분리막에 포함되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 활성층 및 보호층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본 출원의 분리막을 보여준다. 도 1과 같이,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10);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활성층(20); 및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에는 전술한 점착 테이프(4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40)는 점착제층(41)과 기재 필름(42)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41)에 의해 점착 테이프(40)가 보호층(30)에 부착될 수 있다.
분리막에 포함되는 다공성 지지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분리막 분야의 일반적인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공성 지지체로는, 정밀 여과막, 한외 여과막, 나노 여과막 또는 역삼투막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지지체는 유리판;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합성 수지 필름; 부직포 및 폴리술폰 또는 부직포-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상에 형성되는 활성층도 공지의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현재 활성층으로 범용되고 있는 것은, 폴리아미드계 활성층이고, 이러한 활성층이 본 출원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목적에 따라 적합한 활성층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층상에는 보호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층은, 염소 등의 외부 요인에 취약한 활성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보호층으로도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비닐피롤리돈, 솔비톨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계열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본 출원에서도 상기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는 보호층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알킬렌글리콜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이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을 가지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막은 평막, 관상막 또는 중공사막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분리막의 상기 보호층에는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은 상기 분리막, 구체적으로는 보호층에 우수한 접착력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점착 테이프는, 보호층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만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점착 테이프는 적어도 분리막의 접힘부, 즉 사용 과정에서 접히거나, 굴곡지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점착 테이프는 분리막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분리막은 기본적으로 상기 요소를 포함하고, 필요하다면, 그 외에도 분리막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의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막은, 예를 들면, 순차 적층되어 있는 다공성 지지체; 활성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상기 보호층에 점착 테이프를 점착제층으로 부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리막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상기 모듈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예에는 판형(plate & frame) 모듈, 관형(tubular) 모듈, 중공사형(Hollow fiber) 모듈 또는 나권형(spiral wound) 모듈 등이 포함된다. 수처리 모듈은 전술한 분리막을 포함하는 한, 그 외의 기타 구성의 종류 및 그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구성 및 수단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분리막에 높은 접착력으로 부착되어, 분리막이 사용 과정에서 해수 등 외부 물질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아, 분리막의 분리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상기 점착 테이프,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분리막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의 프탈로니트릴 수지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수지 등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점착 폴리머의 가교성 관능기(OH)의 당량(A) 측정
점착 폴리머의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존재하는 가교성 공단량체의 무게(단위: g)로부터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의 몰수를 구한 후에, 그 가교성 공단량체가 포함하는 관능기의 몰수를 곱해서 구하였다.
2.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제의 당량(B) 측정
가교제의 당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 폴리머의 고형분 100 g 당 사용된 가교제의 무게(단위: g)로부터 상기 가교제의 몰수를 구한 후에, 그 가교제가 포함하는 가교성 관능기의 몰수를 곱하여 구하였다.
3. 분리막에 대한 접착력 측정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 후 7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분리막에 부착하고, 1일 방치한 후에 다시 약 55℃의 물속에 5분 동안 침지한 후에 꺼내어서 인장 시험기로 분리막으로부터 점착 테이프를 약 300 min/min 박리 속도 및 약 180도의 박리 각도로 상온에서 박리하면서, 하기 기준에 따라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분리막으로는 일반적인 폴리아미드계 분리막으로서, PET/부직포 지지체(두께: 100㎛), 폴리술폰 다공성층(두께: 50㎛), 폴리아미드 활성층(두께: 100nm) 및 PVA(poly(vinyl alcohol)) 보호층(두께: 약 1㎛)이 순차 적층되어 있는 공지 RO 분리막을 적용하였고, 점착 테이프는 상기 보호층에 부착하였다
<평가 기준>
A: 점착 테이프가 보호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분리막 자체가 파괴되는 경우
B: 점착 테이프가 보호층으로부터 분리되지만 약 250g/25mm 이상의 점착력이 확인됨
C: 점착 테이프가 자연 박리되거나, 힘 없이 박리되는 경우
제조예 1. 점착 폴리머(A)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n-BA) 및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을 99.9:0.1의 중량비율(n-BA:HBA)로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단량체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150 중량부의 에틸아세테이트(EAc)를 용제로 투입하고,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지(purging)하고,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및 사슬 이동제인 도데칸 디올을 상기 단량체 합계 100 중량부 대비 각각 0.04 중량부 및 0.03 중량부로 투입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 후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EAc)로 희석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71만인 점착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서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은 약 0.00069였다.
제조예 2 내지 6. 점착 폴리머의 제조
단량체의 중량 비율을 하기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점착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2 3 4 5 6
A B C D E F
비율 99.9/0.1 99.7/0.3 99.5/0.5 99.3/0.7 99/1 98/2
당량 0.00069 0.00208 0.00347 0.00486 0.00694 0.01389
분자량 71 71 70 69 71 82
비율: 단량체간의 중량 비율(n-BA/HBA)
n-BA: n-부틸 아크릴레이트
HBA: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당량: 점착 고분자 고형분 100 g 당 가교성 관능기(히드록시기) 당량
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단위: 만)
실시예 1.
제조예 1의 점착 폴리머(A) 용액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TDI(Toluene diisocyanate)의 TMP(trimethylol propane)에 대한 부가물(3관능성, 몰질량 약 308g/mol)을 상기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이 약 0.00390이 되도록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점착 폴리머(A) 용액 고형분 100 중량부 당 0.4 중량부의 가교제 배합). 이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두께: 25㎛)에 점착제층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코팅하고, 120℃에서 3분 동안 처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4
점착 폴리머의 종류 및 가교제의 비율 등을 하기 표 2 및 3과 같이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폴리머 A A B B C C D
당량1 0.00069 0.00069 0.00208 0.00208 0.00347 0.00347 0.00486
중량부 0.4 1 0.4 1 0.4 1 1
당량2 0.00390 0.00974 0.00390 0.00974 0.00390 0.00974 0.00974
당량비율 약 5.65 약 14.12 약 1.88 약 4.69 약 1.12 약 2.81 약 2.00
폴리머: 점착 폴리머의 종류
당량1: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
중량부: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중량부 당 가교제(TDI(toluene diisocyanate)의 TMP(trimethylol propane)에 대한 부가물(3관능성, 몰질량: 약 308g/mol))의 중량부
당량2: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가교제의 당량(B)
당량비율: 당량2(B)/당량1(A)

비교예
1 2 3 4
폴리머 B E F C
당량1 0.00208 0.00694 0.01389 0.00347
중량부 3 0.4 0.4 0.2
당량2 0.02922 0.00390 0.00390 0.00194
당량비율 약 14.05 약 0.56 약 0.28 약 0.56
폴리머: 점착 폴리머의 종류
당량1: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
중량부: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중량부 당 가교제(TDI(toluene diisocyanate)의 TMP(trimethylol propane)에 대한 부가물(3관능성, 몰질량: 약 308g/mol))의 중량부
당량2: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가교제의 당량(B)
당량비율: 당량2(B)/당량1(A)
상기 각 분리막에 대하여 수행한 접착력 평가 결과는 하기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접착력 A A A A A A B C C C C
10: 다공성 지지체
20: 활성층
30: 보호층
40: 점착 테이프
41: 점착제층
42: 기재 필름

Claims (15)

  1. 순차 적층되어 있는 다공성 지지체; 활성층 및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에는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용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점착 폴리머 및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과 상기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g 당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의 비율(B/A)이 1.1 이상이며, 상기 가교제의 당량(B)이 0.021 이하인 분리막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분리막.
  2.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가 히드록시기인 분리막.
  3.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A)이 0.005 이하인 분리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폴리머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분리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폴리머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이하의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분리막.
  6. 제 5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는,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인 분리막.
  7.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분리막.
  8.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부가 반응물인 분리막.
  9.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점착 폴리머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2.5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리막.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가 정밀 여과막, 한외 여과막, 나노 여과막 또는 역삼투막인 분리막.
  13. 제 1 항에 있어서,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폴리비닐피롤리돈, 솔비톨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분리막.
  14.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는 접힘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리막.
  15. 제 1 항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1020150136622A 2015-09-25 2015-09-25 점착제 조성물 KR10202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22A KR102024257B1 (ko) 2015-09-25 2015-09-25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22A KR102024257B1 (ko) 2015-09-25 2015-09-25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64A KR20170037264A (ko) 2017-04-04
KR102024257B1 true KR102024257B1 (ko) 2019-09-23

Family

ID=5858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622A KR102024257B1 (ko) 2015-09-25 2015-09-25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89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 엘리먼트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엘리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9211B (zh) * 2019-02-12 2022-10-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補強膜、裝置之製造方法與補強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82B1 (ko) * 2008-03-05 2008-10-27 주식회사 골든포우 내수성 및 방수성이 개선된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방수성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4185268A (ja) 2013-03-25 2014-10-02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260A (ko)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초기 투과 유량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
KR20140031116A (ko) * 2012-09-04 2014-03-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JP5804616B2 (ja) * 2012-11-05 2015-11-0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耐汚染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系水処理分離膜、その製造方法、水処理モジュール及び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82B1 (ko) * 2008-03-05 2008-10-27 주식회사 골든포우 내수성 및 방수성이 개선된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방수성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4185268A (ja) 2013-03-25 2014-10-02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89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 엘리먼트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엘리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64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2439B (zh) 有機el顯示裝置用黏著劑組合物、有機el顯示裝置用黏著劑層、附有機el顯示裝置用黏著劑層之偏光膜及有機el顯示裝置
KR102157234B1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68955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광학 필름용 점착 필름
CN101583684B (zh) 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
WO2017204162A1 (ja)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706870B1 (ko)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WO2007119884A9 (ja) 樹脂組成物および耐熱性粘着剤
TW201235436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optical laminate
KR20060045854A (ko) 아크릴 수지 조성물
KR20190053806A (ko) 광학 적층체
KR102024257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040040368A (ko) 아크릴 수지, 그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및 그 접착제를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US20130108867A1 (en) Methylenebis (fatty acid amid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034459B1 (ko) 분리막
TWI537360B (zh) Adhesive and adhesive tape
JP2015193688A (ja) 薬液処理用保護シート
JP5253322B2 (ja) 半導体製造工程粘着テープ用フィルム
KR20130127391A (ko) 다공성 점착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09381B1 (ko) 박형 편광판
WO2022244555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100021A (ko) 접착제 조성물
KR20220018090A (ko)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5537130A (zh) 光学粘合剂层
KR20230064726A (ko)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CN115537141A (zh) 光学粘合剂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