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711B1 -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711B1
KR102022711B1 KR1020170163033A KR20170163033A KR102022711B1 KR 102022711 B1 KR102022711 B1 KR 102022711B1 KR 1020170163033 A KR1020170163033 A KR 1020170163033A KR 20170163033 A KR20170163033 A KR 20170163033A KR 102022711 B1 KR102022711 B1 KR 10202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eformation
band
uni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901A (ko
Inventor
이휘원
이훈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엘케이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엘케이시스(주)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7016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7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01L5/10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using sensors inserted into the flexible me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7Specific indicating or recording arrangements, e.g. for remote indication, for indicating overload or underl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송수단에 화물을 고박하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된 변형측정부; 상기 변형측정부의 변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부의 변형량을 센싱하는 변형센서부; 상기 고박밴드와 상기 변형측정부의 양측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변형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형량을 장력으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Tension Measurement Device for Lashing}
본 발명은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 장치에 복원 가능한 금속 재질을 변형 가능한 형상으로 변형측정체에 장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으로 변형측정체가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서로 측정하고, 물리적인 변형량을 장력으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함에 따라 장력 측정에 따른 구성을 단순화하고, 실시간으로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고박 장치가 느슨해지거나 풀림에 의해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박(lashing)은 운송수단인 여객선을 포함한 대형 선박 이나 항공기 및 내륙의 화물차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선적한 상태에서 선적된 위치로 운반 시에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운송수단에 화물을 고정하는 고박을 실시하는 고박 장치는
컨테이너를 선창에 선적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가 셀 가이드(cell guide)에 따라 격납되기 때문에 특별히 고정시킬 필요가 없지만, 컨테이너를 갑판적하거나 일반잡화를 선창 내에 적치할 때에는 선박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화물이 쓰러지거나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고정에 유의해야 한다.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때에는 컨테이너의 측벽이나 바닥에 설치된 래싱아이(lashing eye)나 래싱링(lashing ring)에 고박밴드(lashing band)를 걸어 고정해 두어야 한다.
이런, 고박밴드는 화물이 선적된 상태에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 시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장력의 조절에 의해 고정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화물이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함께 유동하면서 고정력을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함에 따라 밴드 형태의 고박 밴드가 사용된다.
이런, 고박밴드는 화물이 설치되는 선적 위치에 화물에 걸림된 상태에서 고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장력 조절에 의해 고정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고정력을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유지하여 화물을 고박시키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고박밴드는 화물이 이동되는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 시에 흔들림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고정력을 유지하고 있는 장력조절장치에 집중됨에 따라 고박밴드가 느슨해거나 풀려서 화물이 고박된 위치를 이탈하거나 외부로 추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박의 경우 해상상태나, 항공기의 경우 기류변화, 내륙도로의 굽어짐 또는 도로 손상으로 인하여 상당히 많은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박밴드가 풀리거나 느슨해져 운송중인 화물이 자리를 이탈하여 주변화물과 충돌로 인한 재산 손실 또는 운송수단 차제에 안정성에 문제가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화물을 담당하는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고박밴드의 장력을 점검하여야 하나, 작업자가 육안으로 고박밴드의 장력이 느슨하거나 풀린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직접 타격하거나, 접촉에 의해 장력의 유지상태를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고박상태를 전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고박밴드가 풀림된 상태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송수단이 운행을 실시하게 되면 이동에 따른 유동이 고박밴드에 전달되면서 화물의 고박상태가 풀리게되어 화물의 자리 이탈에 의해 주변 화물과 충돌하여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화물의 이탈에 의해 운송수단과 충돌로 인해 운송수단 자체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화물과 사람이 충돌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특허등록번호 제10 - 516352호와 같이 화물차량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하는 벨트에 자동조절장치를 부착하여 화물차량 적재함에 벨트에 의해 고정된 화물의 고정상태를 자동조절장치가 확인하여 화물차량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사용하였다.
그러나, 화물차량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조절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그에 따라 상기 자동조절장치의 제작이 어려워 제작공정이 증가하며 제작단가가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자동조절장치를 구입하기 위한 구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자동조절장치는 화물을 직접 고정시키지 않고,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와 연결되어 있어, 화물의 고정력이 한번에 자동조절장치로 전달되지 않고 벨트를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화물의 고정력이 제대로 자동조절장치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화물을 완벽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자동조절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한 곳에서만 측정하게 되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크기나 종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물의 고정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였다.
덧붙여, 고박밴드의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는 고박밴드에 직결되어 장력의 측정 시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선박의 운행에 따른 흔들림이나 날씨 변화 따라 발생되는 유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력을 측정하게 되고, 외부 충격이 바로 전달되어 고장이나 파손의 원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 장치에 복원 가능한 금속 재질을 변형 가능한 형상으로 변형측정체에 장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으로 변형측정체가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서로 측정하고, 물리적인 변형량을 장력으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함에 따라 장력 측정에 따른 구성을 단순화하고, 실시간으로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고박 장치가 느슨해지거나 풀림에 의해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는 운송수단에 화물을 고박하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된 변형측정부; 상기 변형측정부의 변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부의 변형량을 센싱하는 변형센서부; 상기 고박밴드와 상기 변형측정부의 양측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변형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센서부에서 측정된 변형량을 장력으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형측정부는,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에 장력이 양쪽 측면에서 각각 작용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하부면이 개방되고 양측과 상부면이 폐쇄되어 양측으로 장력 작용 시에 인장에 의해 변형되는 측정변형공간을 가지며, 장력에 의해 변형 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된 변형측정몸체; 및 상기 변형측정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고박밴드와 장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장력전달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센서부는 상기 측정변형공간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측정변형공간의 장력 작용 시 인장 변형되는 중앙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인장변형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변형측정부는,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에 장력이 양쪽 측면에서 각각 작용되도록 연결되고, 바 형상의 브라켓 형태로 중앙에 상부로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장력 작용 시 상부로 압축되며, 하부로 인장되도록 변형되고, 장력에 의해 변형 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며, 양끝으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전달되는 장력전달고정공을 가지는 변형측정브라켓; 및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고박밴드와 장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장력전달고정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변형센서부는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의 인장 변형되는 하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인장변형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센서부는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의 압축 변형되는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압축변형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변형측정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부와 상기 고박밴드를 상호 연결하는 밴드 형태로 구비된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의 양측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연결 상태에 따라 고리 형태로 상기 연결밴드와 걸림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변형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센서부에서 센싱된 변형량을 송신받아 형상의 변형량을 연산에 의해 장력의 변화에 따른 장력 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장력신호연산부; 상기 장력신호연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신호연산부에서 연산된 장력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 신호를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생되어 상기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는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 장치에 복원 가능한 금속 재질을 변형 가능한 형상으로 변형측정체에 장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으로 변형측정체가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서로 측정하고, 물리적인 변형량을 장력으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함에 따라 장력 측정에 따른 구성을 단순화하고, 실시간으로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고박 장치가 느슨해지거나 풀림에 의해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변형센서부와 무선통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변형센서부와 무선통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변형센서부와 무선통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100)는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 장치의 고박밴드(10)에 설치되어 장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장력 신호를 수신받아 고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에 따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런,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100)는 고박밴드(10)에 장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측정부(110), 변형센서부(120), 연결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변형측정부(110)는 고박밴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된다.
이런, 변형측정부(110)는 고박밴드(10)에 연결되어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측정몸체(111) 및 장력전달연결체(113)를 포함한다.
변형측정몸체(111)는 고박밴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에 장력이 양쪽 측면에서 각각 작용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하부면이 개방되고 양측과 상부면이 폐쇄되어 양측으로 장력 작용 시에 인장에 의해 변형되는 측정변형공간(112)을 가지며, 장력에 의해 변형 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된다. 측정변형공간(112)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양쪽으로 장력의 작용 시 폐쇄된 상부면 중앙에 변형량이 집중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변형측정몸체(111)는 형상의 변형에 따라 원 형상으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Duralumin) 재질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전달연결체(113)는 변형측정몸체(11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부를 통해서 고박밴드(10)와 장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장력전달연결체(113)는 금속 재질인 변형측정몸체(111)의 양측에 고정되어 연결부(130)를 통해서 고박밴드(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변형센서부(120)는 변형측정부(110)의 변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변형측정몸체(111)의 변형량을 센싱하도록 구비된다.
변형센서부(120)는 측정변형공간(112)의 내부에 형성된 측정변형공간(112)의 장력 작용 시 인장 변형되는 중앙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무선통신부(140)로 전송하는 인장변형센서(121)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로 하부가 개방된 측정변형공간(112)을 가지는 변형측정몸체(111)를 연결부(130)로 연결되어 있는 고박밴드(10)에 의해 양측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측정변형공간(112)의 상부면 중앙이 인장되는 인장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인장력이 발생되면 측정변형공간(112)의 상부면 중앙이 변형되고, 변형된 변형량은 인장변형센서(121)에서 센싱하여 무선통신부(140)로 전송하도록 작동된다.
연결부(130)는 고박밴드(10)와 변형측정부(110)의 양측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연결부(130)는 연결밴드(131) 및 연결고리(132)를 포함한다.
연결밴드(131)는 변형측정몸체(1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력전달연결체(113)와 고박밴드(10)를 상호 연결하는 밴드 형태로 구비된다.
연결고리(132)는 연결밴드(131)의 양측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의 연결 상태에 따라 고리 형태로 연결밴드(131)와 걸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밴드(131)와 연결고리(132)는 고박밴드(10)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고박밴드(10)를 일체로 구비하기 위해서는 연결고리 없이 연결밴드(131)를 고박밴드(10)에 직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고리 형태의 고박밴드(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박밴드(10)의 고리와 연결고리(132)를 상호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는 변형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변형센서부(120)에서 측정된 변형량을 장력으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무선통신부(140)는 인장변형센서(121)의 변형량을 장력신호로 변환하는 장력신호연산부(141), 무선통신모듈(142), 및 안테나(144)를 포함한다.
장력신호연산부(141)는 인장변형센서(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장변형센서(121)에서 센싱된 변형량을 송신받아 형상의 변형량을 연산에 의해 장력의 변화에 따른 장력 신호로 변환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무선통신모듈(142)은 장력신호연산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력신호연산부(141)에서 연산된 장력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 신호를 장력신호송신부(143)에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안테나(144)는 무선통신모듈(14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42)에서 발생되어 장력신호송신부(143)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인장변형센서(121)를 통해서 센싱된 변형량을 장력신호연산부(141)에서 송신받아 형상 변형량을 장력 변화량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장력변화량에 따른 장력 변화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모듈(142)을 통해서 무선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장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100)는 변형측정부(110), 변형센서부(120), 연결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30)와 무선통신부(14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100)와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변형측정부(110)와 변형센서부(120)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형측정부(110)는 고박밴드(10)에 연결되어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측정브라켓(114), 및 고정체(117)를 포함한다.
변형측정브라켓(114)은 고박밴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에 장력이 양쪽 측면에서 각각 작용되도록 연결되고, 바 형상의 브라켓 형태로 중앙에 상부로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부(115)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장력 작용 시 상부로 압축되며, 하부로 인장되도록 변형되고, 장력에 의해 변형 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며, 양끝으로 연결부(130)와 연결되어 장력이 전달되는 장력전달고정공(116)을 가진다.
고정체(117)는 변형측정브라켓(1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변형측정브라켓(114)이 연결부(130)를 통해서 고박밴드(10)와 장력을 전달하도록 장력전달고정공(116)에 삽입되면서 연결부(130)를 변형측정브라켓(114)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변형센서부(120)는 변형측정브라켓(11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라운드부(115)의 인장 변형되는 하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무선통신부(140)로 전송하는 인장변형센서(121)로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에 변형센서부와 무선통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100)는 변형측정부(110), 변형센서부(120), 연결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3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100)와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변형측정부(110), 변형센서부(120), 및 무선통신부(140)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형측정부(110)는 고박밴드(10)에 연결되어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측정브라켓(114), 및 고정체(117)를 포함한다.
변형측정브라켓(114)은 고박밴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에 장력이 양쪽 측면에서 각각 작용되도록 연결되고, 바 형상의 브라켓 형태로 중앙에 상부로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부(115)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장력 작용 시 상부로 압축되며, 하부로 인장되도록 변형되고, 장력에 의해 변형 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며, 양끝으로 연결부(130)와 연결되어 장력이 전달되는 장력전달고정공(116)을 가진다.
고정체(117)는 변형측정브라켓(1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변형측정브라켓(114)이 연결부(130)를 통해서 고박밴드(10)와 장력을 전달하도록 장력전달고정공(116)에 삽입되면서 연결부(130)를 변형측정브라켓(114)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변형센서부(120)는 변형측정브라켓(11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라운드부(115)의 압축 변형되는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무선통신부(140)로 전송하는 압축변형센서(122)로 구비된다.
무선통신부(140)는 압축변형센서(122)의 변형량을 장력신호로 변환하는 장력신호연산부(141), 무선통신모듈(142), 및 안테나(144)를 포함한다.
장력신호연산부(141)는 압축변형센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변형센서(122)에서 센싱된 변형량을 송신받아 형상의 변형량을 연산에 의해 장력의 변화에 따른 장력 신호로 변환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무선통신모듈(142)은 장력신호연산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장력신호연산부(141)에서 연산된 장력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 신호를 장력신호송신부(143)에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안테나(144)는 무선통신모듈(14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42)에서 발생되어 장력신호송신부(143)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압축변형센서(122)를 통해서 센싱된 변형량을 장력신호연산부(141)에서 송신받아 형상 변형량을 장력 변화량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장력변화량에 따른 장력 변화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무선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장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력 측정 장치 110 : 변형측정부
111 : 변형측정몸체 112 : 측정변형공간
113 : 장력전달연결체 114 : 변형측정브라켓
115 : 라운드부 116 : 장력전달고정공
117 : 고정체 120 : 변형센서부
121 : 인장변형센서 122 : 압축변형센서
130 : 연결부 131 : 연결밴드
132 : 연결고리 140 : 무선통신부
141 : 장력신호연산부 142 : 무선통신모듈
143 : 장력신호송신부 144 : 안테나

Claims (8)

  1. 운송수단에 화물을 고박하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된 변형측정부;
    상기 변형측정부의 변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부의 변형량을 센싱하는 변형센서부;
    상기 고박밴드와 상기 변형측정부의 양측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변형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센서부에서 센싱된 변형량을 송신받아 형상의 변형량을 연산에 의해 장력의 변화에 따른 장력 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장력신호연산부;
    상기 장력신호연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신호연산부에서 연산된 장력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 신호를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생되어 상기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는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측정부는,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에 장력이 양쪽 측면에서 각각 작용되도록 연결되고, 바 형상의 브라켓 형태로 중앙에 상부로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장력 작용 시 상부로 압축되며, 하부로 인장되도록 변형되고, 장력에 의해 변형 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며, 양끝으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전달되는 장력전달고정공을 가지는 변형측정브라켓; 및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고박밴드와 장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장력전달고정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센서부는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의 인장 변형되는 하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상기 장력신호연산부로 전송하는 인장변형센서 또는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의 압축 변형되는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장력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량을 센싱하여 상기 장력신호연산부로 전송하는 압축변형센서를 설치하되,
    상기 인장변형센서가 설치된 상기 변형측정브라켓과 상기 압축변형센서가 설치된 상기 변형측정브라켓을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변형측정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측정부와 상기 고박밴드를 상호 연결하는 밴드 형태로 구비된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의 양측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연결 상태에 따라 고리 형태로 상기 연결밴드와 걸림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8. 삭제
KR1020170163033A 2017-11-30 2017-11-30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KR10202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33A KR102022711B1 (ko) 2017-11-30 2017-11-30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33A KR102022711B1 (ko) 2017-11-30 2017-11-30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01A KR20190063901A (ko) 2019-06-10
KR102022711B1 true KR102022711B1 (ko) 2019-11-04

Family

ID=6684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033A KR102022711B1 (ko) 2017-11-30 2017-11-30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75B1 (ko) 2020-01-31 2021-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고정장치에 탈부착되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025A (ja) * 2002-09-24 2004-04-15 Asahi Glass Co Ltd 線材の張力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該装置を用いたガラス壁面構法
JP2007040851A (ja) 2005-08-03 2007-02-15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張力測定装置
US20160047184A1 (en) 2014-08-15 2016-02-1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Wellsite mixer s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75629B1 (ko) * 2016-05-10 2017-09-06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화물 고정용 벨트의 파손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320A (ja) * 1983-12-16 1985-07-09 Taisei Corp Pc鋼より線等の張力計
JPH06323369A (ja) * 1993-05-11 1994-11-25 Yaskawa Electric Corp 張力可変装置
KR950015124U (ko) * 1993-11-01 1995-06-17 변위 측정 센서
JP2003534181A (ja) * 2000-01-24 2003-11-18 シーメンス ヴィディーオ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コーポレイション ベルト力センサー
KR101359416B1 (ko) * 2012-02-10 2014-02-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025A (ja) * 2002-09-24 2004-04-15 Asahi Glass Co Ltd 線材の張力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該装置を用いたガラス壁面構法
JP2007040851A (ja) 2005-08-03 2007-02-15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張力測定装置
US20160047184A1 (en) 2014-08-15 2016-02-1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Wellsite mixer s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75629B1 (ko) * 2016-05-10 2017-09-06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화물 고정용 벨트의 파손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75B1 (ko) 2020-01-31 2021-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고정장치에 탈부착되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01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7758B2 (en) Sensor unit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fasteners
US10315555B2 (en) Electronic monitoring of the load securing system of vehicles
US8432290B2 (en) Force measuring ratchet tie down
US8519828B2 (en) Pneumatic fender management system
US20130162420A1 (en) Combination Tie Strap Tensioning Assembly with Tension Monitor
CN103917477B (zh) 承载装置、承载体和起重车辆
US20100158629A1 (en) Securing loads on vehicles
KR102022711B1 (ko)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US20180136057A1 (en) Solar battery wireless load cell
US10288505B2 (en) Lashing tension verification tool
US80752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cargo to a load bearing surface
US20220242302A1 (en) Cargo Tie-Down Monitoring Device
KR101902222B1 (ko)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US7093327B2 (en) Strap fastener set
US4420755A (en) Telemetry load link assembly
US10328840B2 (en) Cargo strap tensioning and monitoring system
US20120260740A1 (en) Strap with integrated sensors to measure tension
US20210025770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afety of tie down straps
US6911902B2 (en) Pneumatically actuated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tire inflation gas parameter monitoring system
CN104326216B (zh) 可报警的物料运输位移限制装置
US20220371506A1 (en) Wireless transmitting strap tension monitoring device
EP2947440A1 (en) A load securing monitoring device
JP6469306B2 (ja) 荷締部材の緩み検出装置、及び荷締部材の緩み検出システム
US11794629B1 (en) System for monitoring strap tension
KR100860395B1 (ko) 화물의 고정력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