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416B1 -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16B1
KR101359416B1 KR1020120013698A KR20120013698A KR101359416B1 KR 101359416 B1 KR101359416 B1 KR 101359416B1 KR 1020120013698 A KR1020120013698 A KR 1020120013698A KR 20120013698 A KR20120013698 A KR 20120013698A KR 101359416 B1 KR101359416 B1 KR 10135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ube
smart interface
interface tub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153A (ko
Inventor
김정태
윙콱유이
호득유이
홍동수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4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서 상부구조 및 공용하중과 같은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장력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 튜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Smart Interface Tube for Electro-mechanical Dynamic Strain-based Tension-Force Monitoring in Cable}
본 발명은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서 상부구조 및 공용하중과 같은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장력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 튜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해대교, 광대교 등과 같이 장대교량들이 활발히 건설되면서, 시공 중 뿐만 아니라 공용 중에도 활용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해당 교량에 구축하여 구조거동을 장기적으로 평가하려는 유지관리계획이 많이 수립되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장대교량으로 사장교, 현수교 등과 같이 케이블을 사용하여 상부구조 및 공용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 교량이 중요 유지관리 대상으로 선정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교량은 지지할 하중의 대부분을 케이블이 부담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장력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시공 중에서부터 공용 중까지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케이블 장력을 계측하는 방법은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직접법은 케이블 시공방법에 맞는 적절한 하중계를 선정하여 케이블에 도입되는 장력을 적접 측정하는 방법이고, 직접법은 센서의 망실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장력 측정센서의 문제가 발생했을 겨우 수리 및 교체가 불가능하며, 시공시 하중계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종 및 설계 검토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간접법은 가속도계 혹은 전자기센서를 케이블에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서 장력이 도입된 케이블의 진동특성 및 투자율 등을 통하여 케이블 장력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케이블을 장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간접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장력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진동응답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속도 센서는 케이블의 진동응답을 계측하기 위한 도구로써 높은 민감도를 가지나, 가격면에서는 매우 고가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고정을 위한 도구로 U-볼트와 고강도 지그 등이 요구되어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의 변형률 응답계측과 케이블 진동응답 재현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튜브 즉,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튜브에 관한 것으로, 토목구조물의 상태 진단을 위한 구조건전성모니터링 분야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이면서 견고하며, 얇고 복합 형태의 구조로 제작이 용이한 수동 감지 능력을 기초로 압전재료인 PZT를 이용하여 변형률 계측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역학적변형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압전재료에 전하가 발생하는 압전효과와 압전재료인 PZT가 대상구조물의 호일 스트레인 게이지(foil strain gage)와 같은 전형적인 변형률 센서와 비교하여 동적 변형률 계측에 매우 유용하여, 동적 변형률 계측을 위한 PZT의 적용이 진동기반 구조건전성모니터링 분야에서 적용하게 한 것으로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마트 계면 튜브는 토목구조물의 상태 진단을 위한 구조건전성모니터링 분야에서 기존 변형률계가 가지는 노이즈 영향에 의한 추출 신호 분석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기존 가속도계의 고비용 및 높은 설치 시간과 같은 단점을 극복하면서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새로운 케이블 장력변화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계면 튜브는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이면서 견고하며, 얇고 복합 형태의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여 케이블에 부착 및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계면 튜브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계면 튜브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제작된 모형 케이블 구조물 및 시험 구성도
도 3은 모형 케이블에 장력 도입을 위한 유압잭 설치 전경
도 4는 모형 케이블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계측된 가속도 신호 및 이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그림
도 5는 모형 케이블에 설치된 스마트 계면 튜브와 PZT를 이용하여 계측된 PZT 변형률 및 이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그림
도 6은 모형 케이블 실험을 통해 검증된 케이블 장력 추정 결과도
도 7은 스마트 계면 튜브의 현장 적용성 검증을 위해 선정된 실 사장교인 화명대교의 전경사진
도 8은 스마트 계면 튜브의 현장 적용을 위해 대상 케이블에 설치된 전경사진
도 9는 스마트 계면 튜브에 설치된 PZT로부터 계측된 PZT 변형률 및 이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그림
본 발명은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케이블 교량에서 상부구조 및 공용하중과 같은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장력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 튜브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 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마트 계면 튜브(ST)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계면 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변형률 응답 계측과 케이블 진동응답 재현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 튜브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PZT(P)를 케이블(Ca) 표면에 단단히 고정된 알루미늄 튜브(AT)에 부착된 것으로, 알루미늄 튜브(AT)는 실제 케이블(CA)에 직접 부착이 용이하지 않는 PZT(P)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0.5mm 알루미늄 판(AP)을 대상 케이블(CA)의 원주보다 약간 긴 치수로 하여 케이블(Ca)의 표면에 감아 알루미늄 튜브(AT)로 만든 후, 알루미늄 튜브(AT)의 양쪽 끝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구멍을 뚫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 시키고, 알루미늄 튜브(AT)의 중앙에 PZT(P) 부착하여 스마트 계면 튜브(ST)를 완성하고, 대상 케이블의 원주를 따라 제작된 스마트 계면 튜브를 단단히 고정하여 제작되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케이블 표면과 PZT(P)간의 부착 조건이 직접 부착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 튜브(AT)의 중앙에 PZT(P) 부착하여 스마트 계면 튜브(ST)를 제작한 것이다.
이에, 스마트 계면 튜브(ST)는 이를 극복하고 PZT(P)를 이용한 직접적인 케이블의 변형률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도 1의 (2)에서 보여준 것 같이, 케이블이 진동에 의해 변형하면, 그에 상응하는 변형률이 PZT(P)에 의해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계면 튜브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제작된 모형 케이블 구조물 및 시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스마트 계면 튜브의 적용성을 도 2와 같은 모형 구조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스마트 계면 튜브 및 PZT는 도 2에 표시된 봐와 같이, 오른쪽 쐐기로부터 1.5m 떨어진 위치의 케이블에 설치되었다. 스마트 계면 튜브에 부착된 PZT의 성능 비교를 위한 가속도 센서(PCB393B04 모델)를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였다.
PZT를 이용한 변형률 계측 장비로 DAQ card, terminal block 및 신호분석 프로그램인 MATLAB이 탑재된 노트북을 구축하였다. 또한, 가속도 신호의 계측은 16-채널의 PCB singal conditional, DAQ card, terminal block 및 MATLAB이 탑재된 노트북을 구축하였다. 진동응답은 오른쪽 쐐기로부터 1.7m 떨어진 위치에 충격 가진을 통해 계측하였다. 충격 가진을 통해 진동응답은 500Hz의 샘플링 주파수로 60초간 계측되었다.
도 3은 모형 케이블에 장력 도입을 위한 유압잭 설치 전경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도 3과 같이, 케이블 장력변화 추정을 위한 실험구성으로 케이블의 좌측 끝단에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장력을 도입하였다. 실제 도입된 장력의 크기를 계측하기 위해 유압잭이 설치된 좌측 끝단에 load cell을 설치하였다. 각 실험단계별 유압잭을 이용하여 도입하고자 하는 장력 도입 후, 케이블의 진동응답특성 추출과정에서는 유압잭의 하중에 의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유압잭을 제거하였다.
케이블 장력은 표 1과 같이 4가지의 서로 다른 장력 단계(T0-T3)로 도입되었으며, 최대 도입 장력은 41.2kN이며, 최소 도입 장력은 10.8kN이다.
실험과정에서 도입된 장력이외에 진동응답특성 변화를 초래하는 온도와 같은 불확실성 요인을 배제하고자 실내 온도 23-24℃ 내에서 수행되었다.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1
도 4는 모형 케이블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계측된 가속도 신호 및 이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그림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모형 케이블에 설치된 스마트 계면 튜브와 PZT를 이용하여 계측된 PZT 변형률 및 이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그림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와 도 5는 각각 케이블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응답 및 PZT의 변형률 응답을 나타낸다. 도 4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PZT 변형률 응답이 가속도 진동응답과 거의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케이블의 변형률 응답의 동적 응답특성 분석을 통해 진동모드 및 초기 5개의 고유진동수를 추출하였다.
PZT 변형률 응답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초기 5개의 고유진동수의 결과 분석을 위해 가속도 신호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초기 5개의 고유진동수와 비교결과가 표 2와 같다. 비교를 통해 PZT 변형률 응답 분석을 통한 고유진동수가 가속도 응답 분석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PZT 변형률 응답 분석을 통해 추출된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케이블 장력 추정은 고유진동수기반 케이블 장력 모델[4]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케이블 장력 모델의 이론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3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4
차 진동모드에 대응하는 장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5
은 단위길이 당 케이블 질량,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6
은 케이블의 길이,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7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8
차 고유진동수,
Figure 112012010933564-pat00009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0
는 케이블 특성과 설계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로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1
,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2
로 결정된다.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3
는 케이블의 휨 강성을 나타낸다. 가속도 신호와 PZT 변형률 응답 분석을 통해 추출된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케이블 장력 추정 결과가 표 3과 도 6과 같다.
PZT 변형률 응답을 이용한 케이블 장력 추정 결과가 가속도 응답 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제 도입된 케이블 장력과의 비교 결과에서도 매우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오차 0.1 -0.7%). 이와 같은 검증 결과는 개발된 스마트 계면 튜브가 케이블 장력 변화를 식별하는데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4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5
개발된 스마트 계면 튜브의 현장 적용성 검증을 위해 실 사장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7은 스마트 계면 튜브의 현장 적용성 검증을 위해 선정된 실 사장교인 화명대교의 전경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대상구조물은 도 7과 같이 김해와 부산의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화명대교이며. 스마트 계면 튜브는 케이블(BLC02)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스마트 계면 튜브의 현장 적용을 위해 대상 케이블에 설치된 전경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스마트 계면 튜브를 이용한 측정 장치의 구성은 도 8과 같다. 대상 케이블의 PZT 변형률 계측은 무선 계측시스템인 Imot2/SHM-A 보드를 적용하였다.
도 9는 스마트 계면 튜브에 설치된 PZT로부터 계측된 PZT 변형률 및 이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그림을 나타낸 것으로, 도 9는 대상 케이블의 스마트 계면 튜브의 적용을 통해 추출된 PZT 변형율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응답특성을 보여준 것으로, 도 9의 주파수응답특성을 이용하여 PZT 변형률 분석을 통한 고유진동수를 추출하였다.
케이블 장력은 식 (1)을 적용하여 표 4와 같이 도출되었다. PZT 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 장력 추정 결과는 설계 장력과 매우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현장 적용성 검토를 통해, 제안된 스마트 계면 튜브의 사용이 케이블 장력 추정에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Figure 112012010933564-pat00016

[실시예 2] 스마트 계면 튜브의 사용방법
상기 본 발명인 케이블의 변형률 응답 계측과 케이블 진동응답 재현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 튜브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상 케이블(Ca)의 표면에 일정 크기의 알루미늄 판(AP)을 대상 케이블(Ca)에 감은 알루미늄 튜브(AT)를 만든 후, 대상 케이블(Ca)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알루미늄 튜브(AT)와 상기 알루미늄 튜브(AT)의 중앙에 PZT(P) 부착하여 구성된 스마트 계면 튜브(ST)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
먼저, 장대교량에 설치된 대상 케이블(Ca)에 스마트 계면 튜브(ST)의 양쪽 끝의 홀에 볼트로 체결하여 스마트 계면 튜브(ST)를 설치한 후,
스마트 계면 튜브(ST)는 볼트 체결력에 의해 형성된 접촉력의 변화를 PZT(P)와 케이블(Ca)의 진동과 케이블 장력 변화에 상응하는 변형률이 스마트 계면 튜브(ST)의 경계면에 작용하여 PZT(P)로부터 계측된 기전 동적변형률의 변화로 표현하며, 초기 장력도입상태에서 PZT(P)로부터 기전 동적변형률 계측 후,
케이블 장력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스마트 계면 튜브(ST)에 부착된 PZT(P)로부터 계측된 기전 동적변형률의 변화를 스마트 계면 튜브(ST)의 경계조건의 변화가 케이블 장력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지속적으로 무선계측시스템인 Imote2/SHM-A 보드로 계측하여,
초기 장력도입상태의 초기 정보(baseline)와 비교 분석을 통해 스마트 계면 튜브(ST) 내의 케이블 장력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의 사용방법
Ca : 케이블
AP : 알루미늄 판 AT : 알루미늄 튜브
ST : 스마트 계면 튜브 P : PZT(Lead Zirconate Titanate)

Claims (3)

  1. 케이블의 변형률 응답 계측과 케이블 진동응답 재현이 용이한 스마트 계면 튜브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상 케이블(Ca)의 표면에 일정 크기의 알루미늄 판(AP)을 감아 알루미늄 튜브(AT)로 만든 후, 대상 케이블(Ca)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알루미늄 튜브(AT)와;
    상기 알루미늄 튜브(AT)의 중앙에 PZT(P) 부착하여 스마트 계면 튜브(S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계면 튜브(ST)에 사용된 알루미늄 튜브(AT)는, 알루미늄 판(AP)을 대상 케이블(Ca)의 원주보다 긴 치수로 하여 케이블(Ca)의 표면에 감아 알루미늄 튜브(AT)로 만든 후, 알루미늄 튜브(AT)의 양쪽 끝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을 뚫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판(AP)은 0.5mm 두께로 조절되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3. 대상 케이블(Ca)의 표면에 일정 크기의 알루미늄 판(AP)을 대상 케이블(Ca)에 감은 알루미늄 튜브(AT)를 만든 후, 대상 케이블(Ca)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알루미늄 튜브(AT)와 상기 알루미늄 튜브(AT)의 중앙에 PZT(P) 부착하여 구성된 스마트 계면 튜브(ST)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

    먼저, 장대교량에 설치된 대상 케이블(Ca)에 스마트 계면 튜브(ST)의 양쪽 끝의 홀에 볼트로 체결하여 스마트 계면 튜브(ST)를 설치한 후,
    스마트 계면 튜브(ST)는 볼트 체결력에 의해 형성된 접촉력의 변화를 PZT(P)와 케이블(Ca)의 진동과 케이블 장력 변화에 상응하는 변형률이 스마트 계면 튜브(ST)의 경계면에 작용하여 PZT(P)로부터 계측된 기전 동적변형률의 변화로 표현하며, 초기 장력도입상태에서 PZT(P)로부터 기전 동적변형률 계측 후,

    케이블 장력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스마트 계면 튜브(ST)에 부착된 PZT(P)로부터 계측된 기전 동적변형률의 변화를 스마트 계면 튜브(ST)의 경계조건의 변화가 케이블 장력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지속적으로 상용 동적변형률 측정기로 계측하여,
    초기 장력도입상태의 초기 정보(baseline)와 비교 분석을 통해 스마트 계면 튜브(ST) 내의 케이블 장력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의 사용방법

KR1020120013698A 2012-02-10 2012-02-10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KR10135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98A KR101359416B1 (ko) 2012-02-10 2012-02-10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98A KR101359416B1 (ko) 2012-02-10 2012-02-10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53A KR20130092153A (ko) 2013-08-20
KR101359416B1 true KR101359416B1 (ko) 2014-02-11

Family

ID=4921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98A KR101359416B1 (ko) 2012-02-10 2012-02-10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45A (ko) 2018-11-13 2020-05-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소자를 이용한 케이블 장력 변화 추정 장치 및 케이블 장력의 현장계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711B1 (ko) * 2017-11-30 2019-11-04 (주)토탈소프트뱅크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CN108709676A (zh) * 2018-04-27 2018-10-26 武汉科技大学 一种具有检测预紧力功能的地脚固定装置
CN109406032B (zh) * 2018-12-28 2019-07-02 长园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电缆附件界面压力在线测试装置
CN113008185A (zh) * 2021-01-25 2021-06-22 四川东钢新材料股份有限公司 线缆包覆层厚度检测方法及铝包钢线的铝层均厚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64A (ko) * 1998-08-05 2000-03-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압력 센서와 압전 케이블, 압력 및 온도 검출 케이블, 압력 및 온도 검출 장치, 압전 평면 압력 센서
JP2003302294A (ja) 2002-04-10 200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状圧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64A (ko) * 1998-08-05 2000-03-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압력 센서와 압전 케이블, 압력 및 온도 검출 케이블, 압력 및 온도 검출 장치, 압전 평면 압력 센서
JP2003302294A (ja) 2002-04-10 200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状圧電セン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45A (ko) 2018-11-13 2020-05-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소자를 이용한 케이블 장력 변화 추정 장치 및 케이블 장력의 현장계측 방법
KR102142023B1 (ko) 2018-11-13 2020-08-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소자를 이용한 케이블 장력 변화 추정 장치 및 케이블 장력의 현장계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53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416B1 (ko) 기전 동적변형률을 이용한 케이블의 장력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면 튜브 및 그의 사용방법
CN101900620B (zh) 一种中长索的变边界索力识别方法
CN205607577U (zh) 附着式索力检测装置
CN108573224A (zh) 一种利用单传感器信息的移动重构主成分的桥梁结构损伤定位方法
Domaneschi et al. Vibration based damage localization using MEMS on a suspension bridge model
CN110082023A (zh) 一种索力实时监测装置和监测方法
CN101839781B (zh) 悬索桥主缆状态快速识别方法及装置
WO2015098104A1 (ja) 信号解析装置、加振力測定システム、信号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7084812B (zh) 混凝土箱梁桥腹板竖向预应力筋张拉力的检测系统及方法
CN106383003B (zh) 基于柔度识别的索结构索力的测量方法及测量系统
CN109781863B (zh) 基于快速振动测试的结构腐蚀二阶段探测方法及其系统
RU2613484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силия натяжения вантового элемента моста
CN211774591U (zh) 具有自检测功能的隔震支座
Valinejadshoubi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JP2001074706A (ja) グランドアンカー診断方法
Jang et al. Full-scale experimental validation of high-fidelity wireless measurement on a historic truss bridge
KR101699856B1 (ko) 말뚝 및 타워형 구조물의 최 상단 가속도와 각속도를 이용한 손상 추정 방법
CN107024308A (zh) 一种夹片锚具咬合力的测试方法
CN107796543A (zh) 应变式微小缝隙监测装置及裂变解算方法
JP2013002979A (ja) 強い外力を受けた構造物の変形量や耐用度の診断方法および装置
CN107219033A (zh) 装配式锚索测力计及使用方法
KR102093099B1 (ko) 텐던의 긴장력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20130033171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가속도-임피던스 기반 모니터링 기술
KR100436432B1 (ko) 교량의 안전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10008210A (ko) 변형률계의 동적해석을 통한 교량 케이블의 장력추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