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222B1 -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222B1
KR101902222B1 KR1020160101462A KR20160101462A KR101902222B1 KR 101902222 B1 KR101902222 B1 KR 101902222B1 KR 1020160101462 A KR1020160101462 A KR 1020160101462A KR 20160101462 A KR20160101462 A KR 20160101462A KR 101902222 B1 KR101902222 B1 KR 10190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and
tension measuring
measuring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524A (ko
Inventor
이휘원
Original Assignee
이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원 filed Critical 이휘원
Priority to KR102016010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2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7Specific indicating or recording arrangements, e.g. for remote indication, for indicating overload or under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는 운송수단에 화물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고박밴드의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장력측정부;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 측정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에서 발생되는 장력 변화에 따른 인장 및 압축되는 응력을 양단에서 각각 완충시키도록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고박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도록 결착시킨 밴드결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Checking Appratus of Lashing Goods Condition}
본 발명은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고박밴드의 장력 변화를 자가발전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장력 변화에 의한 고박 상태를 실시간을 점검하여 고박밴드가 느슨해지거나 풀림에 의해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고, 여타의 전력 공급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 용이성이 향상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인 여객선을 포함한 대형 선박 이나 항공기 및 내륙의 화물차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선적하고 고박밴드(Lashing Band)로 화물을 고정하고 운반하고 있다.
이런, 고박밴드는 화물이 선적된 상태에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 시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장력의 조절에 의해 고정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화물이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함께 유동하면서 고정력을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함에 따라 밴드 형태의 고박 밴드가 사용된다.
이런, 고박밴드는 화물이 설치되는 선적 위치에 화물에 걸림된 상태에서 고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장력 조절에 의해 고정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고정력을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유지하여 화물을 고박시키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고박밴드는 화물이 이동되는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 시에 흔들림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고정력을 유지하고 있는 장력조절장치에 집중됨에 따라 고박밴드가 느슨해거나 풀려서 화물이 고박된 위치를 이탈하거나 외부로 추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박의 경우 해상상태나, 항공기의 경우 기류변화, 내륙도로의 굽어짐 또는 도로 손상으로 인하여 상당히 많은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박밴드가 풀리거나 느슨해져 운송중인 화물이 자리를 이탈하여 주변화물과 충돌로 인한 재산 손실 또는 운송수단 차제에 안정성에 문제가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화물을 담당하는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고박밴드의 장력을 점검하여야 하나, 작업자가 육안으로 고박밴드의 장력이 느슨하거나 풀린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직접 타격하거나, 접촉에 의해 장력의 유지상태를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고박상태를 전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고박밴드가 풀림된 상태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송수단이 운행을 실시하게 되면 이동에 따른 유동이 고박밴드에 전달되면서 화물의 고박상태가 풀리게되어 화물의 자리 이탈에 의해 주변 화물과 충돌하여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화물의 이탈에 의해 운송수단과 충돌로 인해 운송수단 자체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화물과 사람이 충돌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특허등록번호 제10 - 516352호와 같이 화물차량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하는 벨트에 자동조절장치를 부착하여 화물차량 적재함에 벨트에 의해 고정된 화물의 고정상태를 자동조절장치가 확인하여 화물차량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사용하였다.
그러나, 화물차량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조절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그에 따라 상기 자동조절장치의 제작이 어려워 제작공정이 증가하며 제작단가가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자동조절장치를 구입하기 위한 구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자동조절장치는 화물을 직접 고정시키지 않고, 화물을 고정시키는 벨트와 연결되어 있어, 화물의 고정력이 한번에 자동조절장치로 전달되지 않고 벨트를 거쳐 전달되기 때문에, 화물의 고정력이 제대로 자동조절장치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화물을 완벽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자동조절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한 곳에서만 측정하게 되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크기나 종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물의 고정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였다.
덧붙여, 화물의 고정력을 측정하는 센서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물기나 진동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고박밴드의 장력 변화를 자가발전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장력 변화에 의한 고박 상태를 실시간을 점검하여 고박밴드가 느슨해지거나 풀림에 의해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고, 여타의 전력 공급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 용이성이 향상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는 운송수단에 화물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고박밴드의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장력측정부;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 측정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장력측정부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박밴드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발전을 실시하여 연결된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전력공급부;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에서 발생되는 장력 변화에 따른 인장 및 압축되는 응력을 양단에서 각각 완충시키도록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고박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도록 결착시킨 밴드결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력측정부는,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가 상기 밴드결착부에서 결착 시에 설정된 장력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운송수단으로 이동 시에 변화되는 장력값을 측정하도록 장력의 변화에 따라 늘어지고 줄어들도록 설치된 장력측정체; 및 상기 장력측정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와 연동되어 장력이 변화되는 상기 장력측정체의 장력변화를 수치화한 장력 변화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장력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장력이 변화량을 장력신호수신부에서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 변화량을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생되어 상기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전전력공급부는,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박밴드의 유동이 상기 장력측정부를 통해서 전달되어 유동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전력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진동발전부; 상기 진동발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전부에서 발전된 전력에너지를 축전하도록 설치된 축전기; 및 상기 축전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축전기에서 축전된 전력을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전력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결착부에 결착된 상기 고박밴드와 연동되어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인장 및 압축되는 응력을 양단에서 각각 탄성에 의해 완충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몸체;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끝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몸체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장력고정체; 및 상기 탄성몸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결착부와 상기 탄성몸체를 양단에서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고정체로 상기 탄성몸체에 고정된 연결용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결착부는,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의 양끝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에 대향되는 바깥 방향과 측면이 개방되고, 안쪽으로 상기 고박밴드가 삽입되는 결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결착공간의 내부에 폐쇄된 일측 방향으로 홈 형태의 결착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박밴드가 양측에 각각 상기 결착공간을 통해서 상기 결착홈으로 삽입에 의해 결착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서 각각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는 길이에서 결착되도록 설치된 결착체; 및 상기 결착체의 양단에 각각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공간의 양쪽 바깥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삽입되는 상기 고박밴드가 걸림되어 결박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설치된 결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력측정부, 상기 무선통신부, 상기 발전전력공급부, 및 상기 탄성부의 양단이 개방되고, 상하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밴드결착부에 상기 고박밴드를 결착 시에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장력이 측정되는 초기 장력을 설정하도록 상기 밴드결착부 사이에 블록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고박밴드가 감싸면서 장력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결착부에 결착되고, 결착 후에 제거하여 상기 장력측정부의 장력을 초기 설정하는 장력설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는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화물 운송 시에 화물을 고박시키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고박밴드의 장력 변화를 자가발전에 의한 전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장력 변화에 의한 고박 상태를 실시간을 점검하여 고박밴드가 느슨해지거나 풀림에 의해 화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고, 여타의 전력 공급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화물이 고박시키는 고박밴드에 설치되어 고박밴드의 장력변화에 따라 고박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고박시키는 장치와 별개의 장치로 설치 및 구동됨에 따라 기존의 고박장치에 설치할 수 있고, 화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장력을 조정하면서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적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화물이 고박된 상태에서 운송수단의 운행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을 진동에너지로 이용하여 진동에너지를 전력 에너지를 변환시키는 발전기를 통해서 생산된 전력으로 장력을 센싱하고 무선으로 통신을 실시하는데 사용함에 따라 여타의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 없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어 단독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서 보호커버가 제외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전력이 공급되면서 장력이 측정되어 무선으로 통신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초기 장력을 설정하기 위해서 장력설정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장력이 설정된 상태에서 장력설정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장력이 설정된 후에 고박밴드가 고박된 상태에서 고박 상태를 확인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서 보호커버가 제외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전력이 공급되면서 장력이 측정되어 무선으로 통신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100)는 운송수단에 화물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박밴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이다.
이런,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100)는 고박밴드(10)와 연결되어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110), 무선통신부(120), 발전전력공급부(130), 탄성부(140), 밴드결착부(150), 보호커버(160), 및 장력설정체(170)를 포함한다.
장력측정부(110)는 장력측정체(111), 및 장력측정센서(112)를 포함한다. 장력측정체(111)는 장력을 측정하는 고박밴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가 밴드결착부(150)에서 결착 시에 설정된 장력값을 기초로 하여 운송수단으로 이동 시에 변화되는 장력값을 측정하도록 장력의 변화에 따라 늘어지고 줄어들도록 설치된다.
즉, 장력측정체(111)는 장력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압축 및 인장되는 것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박밴드(10)가 유동에 따라 풀림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장력 변화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장력측정센서(112)는 장력측정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와 연동되어 장력이 변화되는 장력측정체(111)의 장력변화를 수치화한 장력 변화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장력측정센서(112)는 고박밴드(10)의 유동에 따라 압축 및 인장되는 장력측정체(111)에 장력을 측정한 장력 변화 신호를 실시간으로 통신하도록 무선통신부(120)에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무선통신부(120)는 장력측정센서(112)에서 센싱된 장력 신호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121), 및 안테나(122)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121)은 장력측정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력측정센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장력 변화 신호를 장력신호수신부(123)에서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신호송신부(124)에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안테나(122)는 무선통신모듈(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선통신모듈(121)에서 발생되어 장력신호송신부(124)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도록 설치된다.
발전전력공급부(130)는 고박밴드(10)와 연결되어 발생되는 진동을 전력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발전시키는 진동발전부(131), 축전기(132), 및 전력공급부(133)를 포함한다.
진동발전부(131)는 장력측정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박밴드(10)의 유동에 따라 함께 압축 및 인장되는 장력측정체(111)와 연결되어 운송수단의 이동에 따라 고박밴드(10)의 유동이 장력측정체(111)를 통해서 전달되어 유동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전력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을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축전기(132)는 진동발전부(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발전부(131)에서 발전된 전력에너지를 축전하도록 설치된다.
전력공급부(133)는 축전기(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력측정센서(112)와 무선통신모듈(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기(132)에서 축전된 전력을 장력측정센서(112)와 무선통신모듈(12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이 사용되는 장력측정센서(112)와 무선통신모듈(1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고박밴드(10)와 연동되는 장력측정체(111)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를 진동발전부(131)에서 전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에 축전한 상태에서 전력공급부(133)로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여타의 에너지 공급되는 장치와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발전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함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고, 단독적으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탄성부(140)는 장력측정체(111)의 양끝에 압축 및 인장되는 응력을 탄성에 의해 완충시키는 탄성몸체(141), 장력고정체(142), 및 연결용밴드(143)를 포함한다.
탄성몸체(141)는 장력측정체(1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밴드결착부(150)에 결착된 고박밴드(10)와 연동되어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장력측정체(111)에서 발생되는 인장 및 압축되는 응력을 양단에서 각각 탄성에 의해 완충시키도록 설치된다.
장력고정체(142)는 장력측정체(111)의 양끝에 설치되는 탄성몸체(141)를 고정시키는 핀 형태로 설치된다. 장력고정체(142)는 장력측정체(111)와 탄성몸체(141)를 상호 고정시켜 고박밴드(10)를 통해서 변화되는 장력의 측정 시 압축과 인장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탄성에 의해 완충시키기 위해서 탄성몸체(141)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연결용밴드(143)는 탄성몸체(14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밴드결착부(150)와 탄성몸체(141)를 양단에서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고정체(144)로 탄성몸체(141)에 고정된다.
밴드결착부(150)는 장력측정체(111)에 고박밴드(10)가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도록 탄성부(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박밴드(10)가 결착되는 결착체(151), 및 결착돌기(154)를 포함한다.
결착체(151)는 탄성부(14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몸체(14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고박밴드(10)의 양측에서 대향되는 바깥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결착공간(152)에 삽입되어 일측 방향으로 삽입에 의해 결착되는 홈 형태의 결착홈(153)이 구비되어 고박밴드(10)가 탄성몸체(141)의 양단에서 각각 삽입되어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는 길이에서 결착되도록 설치된다.
결착체(151)는 탄성몸체(141)의 양끝에 설치되어 고박밴드(10)가 결착공간(15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홈(153)을 통해서 양끝에 각각 기설정된 장력을 유지하도록 결착하여 고박밴드(10)가 운송수단의 이동에 따라 기설정된 장력에 변화가 발생되면 장력측정체(111)가 압축 및 인장되고, 이를 장력측정센서(112)에서 측정한다. 장력측정센서(112)에서 측정된 장력변화신호는 무선통신모듈(121)과 안테나(122)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실시간을 전송되어 사용자가 고박밴드(10)의 고박 상태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결착돌기(154)는 결착체(151)의 양단에 각각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며, 결착공간(152)의 양쪽 바깥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삽입되는 고박밴드(10)가 걸림되어 결박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설치된다.
보호커버(160)는 장력측정부(110), 무선통신부(120), 발전전력공급부(130), 및 탄성부(140)의 양단이 개방되고, 상하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하는 커버 형태로 구비된다. 보호커버(160)는 고박밴드(10)의 유동에 의해 압축 및 인장되는 장력측정체(111), 탄성몸체(141), 및 연결용밴드(143)가 이동 가능하도록 양단이 개방되고, 상하부분을 폐쇄하여 장력이 측정되도록 작동되면서 외부와 차단시켜 내부를 보호하는 커버 형태로 구비된다.
도 6은 도 1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초기 장력을 설정하기 위해서 장력설정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장력설정체(17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측정체(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결착체(151)에 고박밴드(10)를 결착 시 장력측정체(111)에서 장력이 측정되는 초기 장력을 설정하도록 결착체(151) 사이에 블록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밴드가 양측 중에 한쪽에 위치한 결착체(151)의 결착공간(15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홈(153)에 삽입 통과되고, 고정밴드(10)는 다른 쪽을 향해서 블록 형태의 바깥 둘레를 감싼 후에 다른쪽에 위치한 결착체(151)의 결착공간(15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홈(153)에 삽입되어 양측에 각각 결착된다. 고정밴드(10)는 장력설정체(170)의 바깥 둘레를 감싸면서 장력측정체(111)의 양측에 각각 결착되어 장력이 조절된 상태에서 장력측정체(111)로 장력을 측정하면 초기 장력이 설정되고, 설정을 마치면 장력설정체(170)를 제거하여 장력측정체(111)의 초기 장력의 설정을 마친다.
삭제
도 7은 도 6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장력이 설정된 상태에서 장력설정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의 장력이 설정된 후에 고박밴드가 고박된 상태에서 고박 상태를 확인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서 초기 장력을 설정한 상태에서 장력설정체(170)를 제거하면 도 7과 같은 형태가 된다.
이때, 고박밴드(10)에는 밴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돌기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장력설정체(170) 없이도 돌기를 확인하면서 장력을 돌기 위치에 따라서 고박밴드(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력설정체(17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의 형태에서 고박밴드(10)가 화물을 고박에 의해 고정상태가 되어 장력이 작용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되는 사용상태로 장력의 변화를 측정되도록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확인장치 110 : 장력측정부
111 : 장력측정체 112 : 장력측정센서
120 : 무선통신부 121 : 무선통신모듈
122 : 안테나 123 : 장력신호수신부
124 : 장력신호송신부 130 : 발전전력공급부
131 : 진동발전부 132 : 축전기
133 : 전력공급부 140 : 탄성부
141 : 탄성몸체 142 : 장력고정체
143 : 연결용밴드 144 : 연결고정체
150 : 밴드결착부 151 : 결착체
152: 결착공간 153 : 결착홈
154 : 결착돌기 160 : 보호커버
170 : 장력설정체

Claims (9)

  1. 운송수단에 화물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고박밴드의 고박된 상태를 확인하는 장력측정부;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박밴드의 장력 측정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에서 발생되는 장력 변화에 따른 인장 및 압축되는 응력을 양단에서 각각 완충시키도록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고박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도록 결착시킨 밴드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결착부에 결착된 상기 고박밴드와 연동되어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발생되는 인장 및 압축되는 응력을 양단에서 각각 탄성에 의해 완충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몸체;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끝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몸체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장력고정체; 및
    상기 탄성몸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결착부와 상기 탄성몸체를 양단에서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고정체로 상기 탄성몸체에 고정된 연결용밴드;를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부는,
    상기 고박밴드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가 상기 밴드결착부에서 결착 시에 설정된 장력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운송수단으로 이동 시에 변화되는 장력값을 측정하도록 장력의 변화에 따라 늘어지고 줄어들도록 설치된 장력측정체; 및
    상기 장력측정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와 연동되어 장력이 변화되는 상기 장력측정체의 장력변화를 수치화한 장력 변화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장력측정센서;를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장력이 변화량을 장력신호수신부에서 수신받아 무선 신호를 변위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장력 변화량을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생되어 상기 장력신호송신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대역을 확장시키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결착부는,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의 양끝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에 대향되는 바깥 방향과 측면이 개방되고, 안쪽으로 상기 고박밴드가 삽입되는 결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결착공간의 내부에 폐쇄된 일측 방향으로 홈 형태의 결착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박밴드가 양측에 각각 상기 결착공간을 통해서 상기 결착홈으로 삽입에 의해 결착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양단에서 각각 기설정된 장력을 가지는 길이에서 결착되도록 설치된 결착체; 및
    상기 결착체의 양단에 각각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공간의 양쪽 바깥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삽입되는 상기 고박밴드가 걸림되어 결박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설치된 결착돌기;를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부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박밴드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발전을 실시하여 연결된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전력공급부는,
    상기 장력측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박밴드의 유동이 상기 장력측정부를 통해서 전달되어 유동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전력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을 실시하는 진동발전부;
    상기 진동발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전부에서 발전된 전력에너지를 축전하도록 설치된 축전기; 및
    상기 축전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축전기에서 축전된 전력을 상기 장력측정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탄성부의 양단이 개방되고, 상하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결착체의 사이에 블록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박밴드의 초기 장력의 설정 시 양측의 상기 결착체 중에 한쪽의 상기 결착체의 상기 결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결착홈을 통과하고, 블록 형태의 바깥 둘레를 감싸면서 장력을 조절한 후에 양측 중 다른쪽으로 위치한 상기 결착체의 상기 결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결착홈을 통과하면서 결착되어 상기 장력측정부로 장력을 측정하여 초기 설정 장력을 설정하며, 설정 후에 제거하여 상기 장력측정부의 장력을 초기 설정하는 장력설정체;를 더 포함하는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KR1020160101462A 2016-08-09 2016-08-09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KR10190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62A KR101902222B1 (ko) 2016-08-09 2016-08-09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62A KR101902222B1 (ko) 2016-08-09 2016-08-09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24A KR20180017524A (ko) 2018-02-21
KR101902222B1 true KR101902222B1 (ko) 2018-11-13

Family

ID=6152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62A KR101902222B1 (ko) 2016-08-09 2016-08-09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695A (ko) 2022-01-03 2023-07-12 (주)시엠아이바텍 화물 고박장치 이상징후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0763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유림인포텍 인공지능 기반의 화물 고박 및 산업 구조물 안전 이상징후 사전 예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1125B (zh) * 2019-07-09 2021-12-07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捆绑带涨紧测力仪
CN114486043A (zh) * 2022-01-26 2022-05-13 浙江清华长三角研究院 一种可实时测量绑带张力的传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943A (ja) 2000-07-21 2002-02-06 Isuzu Motors Ltd 荷物固定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1440U (ja) * 1984-02-13 1985-09-03 松下精工株式会社 荷崩れ警報装置
JPS64192U (ko) * 1987-06-20 1989-01-05
JP2003165381A (ja) * 2001-11-28 2003-06-10 Hitachi Transport Syst Ltd 車載荷物の荷ずれ検知システム
KR200330680Y1 (ko) * 2003-07-18 2003-10-17 이재희 화물 고정용 벨트
KR20160036186A (ko) * 2014-09-24 2016-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공지선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943A (ja) 2000-07-21 2002-02-06 Isuzu Motors Ltd 荷物固定ベル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695A (ko) 2022-01-03 2023-07-12 (주)시엠아이바텍 화물 고박장치 이상징후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0763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유림인포텍 인공지능 기반의 화물 고박 및 산업 구조물 안전 이상징후 사전 예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24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222B1 (ko)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EP2257444B1 (en) Sensor unit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fasteners
WO2011155265A1 (ja)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
US20160185214A1 (en) Strap guide and tank mounting fixture
KR19990063484A (ko) 차량용 타이어 상태 모니터 방법 및 그 장치
WO2010132572A1 (en) Band clamp with embedded electronics
US11209033B2 (en) Plastic component with fastening pieces
WO2006124404A3 (en) Overland cargo restraint system and method
CN101160226A (zh) 货物固定系统
KR20090125030A (ko) 화물 결속용 걸고리
WO2015155511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sset security and tracking
KR100297164B1 (ko) 용접용 와이어 수납장치
KR20190063901A (ko) 고박용 장력 측정 장치
CN112027172B (zh) 一种智能物流货物捆绑系统
KR101509659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양방향 벨트 고정 장치
US9187025B2 (en) Motorcycle transport inflatable protector
KR101028588B1 (ko)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KR101618843B1 (ko) 장력표시 엣지프로텍터
EP4101726C0 (de) System zum testen der korrekten abfolge und übertragung von für eine onboard-unit eines fahrzeugs vorgesehenen balisen- und/oder looptelegrammen
KR200480031Y1 (ko) 다 방향 로프 연결 고리용 다중 체결 고리
KR101588400B1 (ko)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KR101847961B1 (ko) 세이프티 로더의 피견인차량 바퀴 고정 벨트
CN203699005U (zh) 冷凝器包装箱
KR200479567Y1 (ko) 화물결속용 탄력띠
SU825370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обв зки предме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