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680Y1 - 화물 고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화물 고정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680Y1
KR200330680Y1 KR20-2003-0023327U KR20030023327U KR200330680Y1 KR 200330680 Y1 KR200330680 Y1 KR 200330680Y1 KR 20030023327 U KR20030023327 U KR 20030023327U KR 200330680 Y1 KR200330680 Y1 KR 200330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rgo
force
stretched
pu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filed Critical 이재희
Priority to KR20-2003-0023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Tensioning by repetetiv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에서 적재함에 수납된 화물을 소정 탄성을 갖고 조이도록 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화물이 움직이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화물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차의 운행중 화물의 쏠림, 흔들림등에 의해 벨트와 화물의 사이 간격이 벌어져도 상기한 간격만큼 즉각적으로 벨트가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흘러내림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 고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한 화물의 흔들림, 쏠림등에 의해 벨트가 당겨질 때 당겨지는 힘을 흡수함으로써, 벨트가 늘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화물 고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차용 벨트(51)의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에 고정 부재로 고정 설치되어 벨트(51)가 당겨지면서 굴곡지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벨트(51)에 힘이 인가될 때 늘어나면서 벨트(51)가 펴지도록 하여 힘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인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2)를 벨트(51)에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 고정용 벨트{BELT FOR LUGGAGE FIXING}
본 고안은 화물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에서적재함에 수납된 화물을 소정 탄성을 갖고 조이도록 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화물이 움직이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화물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자동차는 차량 후방에 마련된 비교적 큰 적재함에 비교적 무거운 화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를 비교적 먼거리까지 수송하게 되는 바, 상기한 적재함에 화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흘러내리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벨트로 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화물을 적재함에 실은 상태에서 적재함의 양측에 설치된 고리에 벨트를 걸고 상기한 벨트를 화물 상면으로 넘기면서 이를 조여 화물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화물의 고정에 사용되는 벨트는 벨트 텐셔너에 연결되어 화물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게 되는 바,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고리에 걸 수 있도록 걸고리(50)가 형성된 제1벨트(51)와, 상기한 제1벨트(51)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한 제1벨트(51)를 당기면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벨트 텐셔너(52)와, 상기한 벨트 텐셔너(52)의 타단에 설치되어 적재함의 대향측면에 걸리는 걸고리(53)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텐션너(52)의 동작에 따라 제1벨트(51)가 당겨지거나 풀리게 됨으로써, 상기한 적재함에 수납되어 있는 화물을 벨트가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벨트(51)는 통상적으로 나일론 재질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여 잘 늘어나지 않으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함에 걸고리로 벨트를 연결한 후, 텐셔너를 사용하여 조일 때 과다한 힘으로 벨트를 당길 경우, 상기한 나일론줄이 늘어나게 되어 화물을 견고하게 조일 수 없게 됨과 아울러 견고하게 조인 상태에서도 화물의 흔들림 및 자리 이동등에 의해 나일론줄인 벨트가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화물을 벨트 및 텐셔너로 견고하게 조여도 화물의 흔들림등에 의해 나일론줄이 늘어나거나 또는 화물이 이동하면서 벨트에서 벗어나게 되면 결과적으로 화물이 느슨하게 조여지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화물차의 주행 중 화물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물차의 운행중 화물의 쏠림, 흔들림등에 의해 벨트와 화물의 사이 간격이 벌어져도 상기한 간격만큼 즉각적으로 벨트가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흘러내림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 고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한 화물의 흔들림, 쏠림등에 의해 벨트가 당겨질 때 당겨지는 힘을 흡수함으로써, 벨트가 늘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화물 고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차용 벨트의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에 고정 부재로 고정 설치되어 벨트가 당겨지면서 굴곡지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벨트에 힘이 인가될 때 늘어나면서 벨트가 펴지도록 하여 힘을 흡수하는 고무재질인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를 벨트에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용 벨트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에서 인장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단면도,
도4는 도1에서 인장 부재를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
도5는 일반적인 화물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벨트 및 벨트 텐셔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벳 2: 인장 부재
3: 본체 4: 보강재
5: 구멍 6: 체결끈
51: 벨트 52: 텐셔너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용 벨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벨트(51)의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에 리벳(1)등과 같은 고정 부재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51)가 굴곡지도록 일정 부분을 당기고 텐션 인가 시 늘어나면서 벨트(51)가 펴지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인장 부재(2)가 벨트(51)에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벨트(51)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벨트(51)가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되고, 힘이 인가되면 인장 부재(2)가 늘어나면서 벨트(51)가 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한 벨트(51)의 구부러진만큼 인장 부재(2)가 늘어나면서 텐션 흡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인장 부재(2)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본체(3)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 금속재질의 보강재(4)가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보강재(4)는 고무 재질의 본체(3)를 사출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되어 본체(3) 내부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보강재(4)에는 장방형의 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구멍(5) 부분은 본체(3)로 쌓여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이 부분을 통해 리벳(1)이 체결되거나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1)에 일단이 고정된 체결끈(6)을 묶어서 벨트(51)에 고정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본체(3)의 두께는 대략 5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바, 상기한 두께는 견딜 수 있는 텐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본체(3)를 고무재질로 하지 않고 스프링으로 하여도 그 효과는 동일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화물차에 화물을 실은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걸고리를 적재함의 고리에 걸게 된다.
적재함의 고리에 벨트(51)에 고정된 걸고리가 걸리게 되면 상기한 텐셔너(52)를 동작시켜 벨트(51)를 당기게 되는 바, 상기한 벨트(51)가 화물을 견고하게 압박할 때까지 텐셔너(52)를 작동시켜 화물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인장 부재(2)가 당겨지지 않아 벨트(5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바, 상기한 인장 부재(2)의 텐션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도 화물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을 하게 되면 상기한 화물차는 차량 자체의 진동도 심할 뿐만 아니라 화물이 무겁고 화물의 움직임도 심한 편이기 때문에, 상기한 화물이 흔들리거나 진동할 때 이를 고정하고 있는 벨트(51)가 늘어나는 힘을 받게 되는 바, 상기한 힘이 벨트(51)에 인가되면 상기한 힘의 크기만큼 인장 부재(2)가 낭겨지면서 늘어나게 된다.
인장 부재(2)가 당겨지게 되면 벨트(51)가 펴지게 되는 바, 결과적으로 벨트(51)가 늘어나지는 않고 그 힘을 인장 부재(2)가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인장 부재(2)가 당겨지면 그 힘만큼 벨트(51) 및 인장 부재(2)가 화물을 더욱 큰 힘으로 압박하면서 조이게 되고, 상기한 벨트(51)의 화물 고정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51)가 화물에 의해 늘어나는 힘을 받을 때 인장 부재(2)가 늘어나면서 이를 완충시키게 되어 상기한 벨트(51)가 늘어나거나 찢어지지 않게 되고, 벨트(51)가 헐거워져서 화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벨트(51) 및 인장 부재(2)가 당겨질 때 상기한 인장 부재(2)와 벨트(51)를 연결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인 보강재(5)이기 때문에, 인장 부재(2)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한 인장 부재(2)가 감당할 수 없는 힘이 인가되어 상기한 인장 부재(2)가 끊어져도 상기한 벨트(51)가 화물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급작스럽게 화물이 풀리거나 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일정한 탄성으로 당기면서 벨트가 구부러지도록 하는 인장 부재를 하나 또는 다수를 벨트에 설치함으로써, 화물차에서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벨트가 화물의 흔들림등에 의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물을 항상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화물차용 벨트의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에 고정 부재로 고정 설치되어 벨트가 당겨지면서 굴곡지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벨트에 힘이 인가될 때 늘어나면서 벨트가 펴지도록 하여 힘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인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를 벨트에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장 부재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본체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 장방형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보강재가 삽입되고 구멍 부분은 본체로 덮이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 부분을 통해 벨트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고정용 벨트.
KR20-2003-0023327U 2003-07-18 2003-07-18 화물 고정용 벨트 KR200330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327U KR200330680Y1 (ko) 2003-07-18 2003-07-18 화물 고정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327U KR200330680Y1 (ko) 2003-07-18 2003-07-18 화물 고정용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680Y1 true KR200330680Y1 (ko) 2003-10-17

Family

ID=493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327U KR200330680Y1 (ko) 2003-07-18 2003-07-18 화물 고정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6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524A (ko) * 2016-08-09 2018-02-21 이휘원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KR20220127972A (ko) * 2021-03-12 2022-09-20 정성렬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524A (ko) * 2016-08-09 2018-02-21 이휘원 화물 고박 상태 확인 장치
KR20220127972A (ko) * 2021-03-12 2022-09-20 정성렬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KR102454211B1 (ko) 2021-03-12 2022-10-12 정성렬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323B2 (en) Cargo strap
US5193955A (en) Binding device for cargos
US7739775B2 (en)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s
US5423644A (en) Cargo tie-down having mechanical advantage
US6318612B1 (en) Device for securing items to a vehicle
US10421386B2 (en) Tie down strap with strap loop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while securing cargo
US8459912B2 (en) Tie-down hook
US10259375B2 (en) Cargo restraining apparatus
US20080014041A1 (en) Side mounted truck tie-down rail
US20020138952A1 (en) Fastening rope
WO2005012036A1 (en) Rope tensioning device
KR200330680Y1 (ko) 화물 고정용 벨트
KR101511367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KR20120122648A (ko) 화물 고정용 벨트 조임 장치
US20170291528A1 (en) Rope tie down apparatus
KR101509659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양방향 벨트 고정 장치
KR200326995Y1 (ko)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KR102454212B1 (ko)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US20080173684A1 (en) Long article securing device for a vehicle
KR100439443B1 (ko) 화물차용 가변 탄성 화물벨트
KR102454211B1 (ko)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US20100127026A1 (en) Lockdown soft roofrack
US11111983B1 (en) End fitting assembly for a tie-down strap and a tie-down strap formed therewith
KR200479567Y1 (ko) 화물결속용 탄력띠
US5331722A (en) Strap tens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