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508B1 -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508B1
KR102022508B1 KR1020190030485A KR20190030485A KR102022508B1 KR 102022508 B1 KR102022508 B1 KR 102022508B1 KR 1020190030485 A KR1020190030485 A KR 1020190030485A KR 20190030485 A KR20190030485 A KR 20190030485A KR 102022508 B1 KR102022508 B1 KR 10202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olesterol
sitosterol
food
function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경
Original Assignee
황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수경 filed Critical 황수경
Priority to KR102019003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1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a majority of oils, fats, mono/diglycerides, fatty acids, mineral oils, waxes or paraff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과다증의 치료뿐 아니라, 혈중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 내지 개선,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혈중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 내지 개선효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으며, 상온 유동성이 개선되어 식품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oil composition foo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롤 과다증의 치료뿐 아니라, 혈중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 내지 개선,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쓰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나, 이러한 콜레스테롤도 과다 섭취하게 되면 혈관내에 축적되어 신장계 질환을 일으키는 유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이외에는 이를 예방할 방법이 없으며, 콜 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이유로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키토산(chitosan), 피토스테롤(phytosterol), 이노시톨(inositol), 펙틴(pectin) 등이 있으나, 피토스테롤을 제외한 물질은 그 효과나 대사기작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성 스테롤인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저밀도 지질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과의 경쟁을 통하여 인체 내 콜레스테롤 흡수대사를 저해하는 작용기작이 이미 밝혀져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러한, 피토스테롤은 고등식물에서 발견되는 스테로이드 구조를 갖는 알코올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스피나스테롤(spinasterol) 및 시토스테롤(sitosterol)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시토스테롤에도 α, β, γ 타입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피토스테롤 화합물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물질인 β-시토스테롤(24-ethyl-5α-cholestene-3β-ol)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는 웅성 랫트(male rat) 및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확인된 바 있다(참조: J. Nutr.,107:2011-2019(1977)). 또한, β-시토스테롤이 지방산에 의하여 치환된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β- sitosterol ester) 화합물도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참조: J. Nutr. 107:1139-1146(1977)). 이와 같은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이외에도, β-시토스테롤은 치주증 및 치은염의 치료제인 Zea mays L.의 주요성분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β-시토스테롤 그 자체로는 물, 유지 모두에 용해되지 않는 물리적 한계로 인하여 제형화에 제한받고 있으며, 현재 상업화된 것은 영양제 타잎의 단순정제 차원에 머물러 있어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β-시토스테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β-시토스테롤의 고형 형태인 β-시토스 타놀(24-ethyl 5α-cholestene-3β-ol)을 지방산과 반응시킨 β-시토스타놀 에스테르(β-sitostanol ester) 화합물이 버터, 마아가린 등과 같은 고형 유제품에 첨가제로 사용될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 출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WO 92/19640). 그러나, β-시토스타놀 에스테르 화합물은, 국내에서는 비교적 수요가 적은 고형 유제품에만 적용 가능하며, 액상 오일제품에는 용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β-시토스테롤을 유기화학적 방법에 의해서 수소화(hydrogenation)시켜 β-시토스타놀을 합성한 다음, 지방산과 반응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과다증의 치료뿐만 아니라, 일부 심장계 질환 및 고혈압 등의 예방이 가능하다는 예방의학적 견지에서, 식물성 오일 등의 오일류에 용해되며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한 β-시토스테롤 치환체 개발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371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과다증의 치료뿐 아니라, 일부 심장계 질환 및 고혈압 등의 예방에도 이용 가능한 상온 유동성이 개선된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사이즈의 입자 크기를 갖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코코넛 오일, 해바라기유, 들기름, 햄프씨드유, 포도씨유 및 호박씨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용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조성물을 100 내지 300 nm 노즐로 분사하여 100 내지 300 nm의 입자 크기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은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갖는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식품은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혈중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 내지 개선효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으며, 상온 유동성이 개선되어 식품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나노 사이즈 수준으로 오일 입자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체내 흡수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혈중 지질 축적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이 우수한 다양한 활성물질들을 연구한 결과,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이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켜 혈중 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은 혈중 지질 축적 억제 또는 개선,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품은 오일을 포함한 유제품, 오일을 포함한 일반 음료, 오일을 포함한 라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을 제조하고, 그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의 제조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50 ℃의 온도에서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기능성 오일 조성물을 100 ~ 300 nm 수준의 노즐로 분사하여 100 ~ 300 nm의 오일 입자를 갖는 기능성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주성분 혼합용 오일 1 혼합용 오일 2 혼합비
실시예 1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X 7:10
실시예 2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X 10:10
실시예 3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X 10:12
실시예 4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들기름 7:5:5
실시예 5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들기름 10:5:5
실시예 6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해바라기유 7:5:5
실시예 7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해바라기유 10:5:5
실시예 8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햄프씨드유 7:5:5
실시예 9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햄프씨드유 10:5:5
실시예 10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포도씨유 7:5:5
실시예 11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포도씨유 10:5:5
실시예 12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호박씨유 7:5:5
실시예 13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호박씨유 10:5:5
실험예. 결정화도 평가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와 혼합용 오일을 1종 내지 2종을 5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온도를 20℃로 조정한 후, 제조한 기능성 오일 조성물을 3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3시간 후, 결정화도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점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점수가 낮을수록 결정화도가 낮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결정화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한편, 비교예 1은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단독만을 사용하여 평가한 것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온도(℃) 점수
비교예 1 20℃ 5
실시예 1 20℃ 2
실시예 2 20℃ 3
실시예 3 20℃ 4
실시예 4 20℃ 1
실시예 5 20℃ 3
실시예 6 20℃ 2
실시예 7 20℃ 3
실시예 8 20℃ 2
실시예 9 20℃ 4
실시예 10 20℃ 2
실시예 11 20℃ 3
실시예 12 20℃ 1
실시예 13 20℃ 3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를 단독으로 실험하였을 때는 완전히 고체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혼합용 오일을 첨가한 오일 조성물에서는 결정화의 정도가 다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실시예 4 및 실시예 12의 경우 우수한 결정화도를 볼 수 있다.
실험예. 혈중 총 콜레스테롤치 평가
생후 3주령의 Sprague-Dawley 웅성 랫트 30마리를 사용하여, 먼저 정상식이에 콜레스테롤 및 콜릭산을 각각 3%, 0.5% 농도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1주일간 급여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상승시켰다. 이 후, 상기와 동일한 사료에 실시예 1에서 합성한 기능성 오일 조성물을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사료의 투입량은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를 기준으로 0.2g/kg/day이며, 1주일 후의 총 혈중콜레스테롤치,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및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 투여 전(mg/dl) 시료 투여 1주일 후(mg/dl)
혈중
총 콜레스테롤치
209.21±51.65 128.21±29.31
198.42±15.70 121.98±69.44
혈중
HDL-콜레스테롤치
20.46±67.15 23.64±15.41
21.14±46.83 25.12±56.43
혈중
HDL-콜레스테롤치
196.56±31.25 119.30±24.16
183.46±63.42 98.42±15.47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은, LDL-콜레스테롤과의 경쟁적 흡수에 의해서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β-시토스테롤과 동일한 작용기작에 의해서, 인체에 해로운 LDL-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감소시켜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키는 반면, HDL-콜레스테롤의 흡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및 들기름을 7:5: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조성물을 100 내지 300 nm 노즐로 분사하여 100 내지 300 nm의 입자 크기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2. β-시토스테롤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및 호박씨유를 7:5: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조성물을 100 내지 300 nm 노즐로 분사하여 100 내지 300 nm의 입자 크기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50 ℃의 온도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인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용유인 것인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15. 삭제
KR1020190030485A 2019-03-18 2019-03-18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85A KR102022508B1 (ko) 2019-03-18 2019-03-18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85A KR102022508B1 (ko) 2019-03-18 2019-03-18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508B1 true KR102022508B1 (ko) 2019-09-18

Family

ID=6807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85A KR102022508B1 (ko) 2019-03-18 2019-03-18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406A (ko) * 2020-09-11 2022-03-18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719B1 (ko) 1998-03-06 2000-12-15 노승권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갖는 기능성 오일 조성물
US6352737B1 (en) * 1999-06-25 2002-03-05 Cognis Deutschland Gmbh Use of nanoscale sterols and sterol esters
JP2005028559A (ja) * 2003-07-08 2005-02-03 Shinobu Ito ナノカプセル
KR20060124695A (ko) * 2006-08-09 2006-12-05 카르길,인코포레이티드 미립자성 식물 스테롤 조성물
KR20100112811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017299A1 (en) * 2011-07-12 2013-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le dispersion of sterols in aqueous solutions comprising an oi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719B1 (ko) 1998-03-06 2000-12-15 노승권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갖는 기능성 오일 조성물
US6352737B1 (en) * 1999-06-25 2002-03-05 Cognis Deutschland Gmbh Use of nanoscale sterols and sterol esters
JP2005028559A (ja) * 2003-07-08 2005-02-03 Shinobu Ito ナノカプセル
KR20060124695A (ko) * 2006-08-09 2006-12-05 카르길,인코포레이티드 미립자성 식물 스테롤 조성물
KR20100112811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017299A1 (en) * 2011-07-12 2013-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le dispersion of sterols in aqueous solutions comprising an o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406A (ko) * 2020-09-11 2022-03-18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55338B1 (ko) 2020-09-11 2023-07-13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8396A (en) Oil solubilized solutions and foods containing phytosterol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9775910B2 (en) Stable aqueous suspension
EP184184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ha-haltigen fettsäure-zusammensetzung
JPS6140763A (ja) 抗肥満食品
EP1177729B1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containing "wood alcohols" or "wood sterols" useful for lowering serum cholesterol
KR1002781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갖는 지용성 피토스테롤 또는 피토스타놀의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22508B1 (ko)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345169A1 (en) Article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CN107158025A (zh) 一种含有羟基酪醇的降血脂组合物及其应用
WO2004100942A1 (ja) 体内脂質低下用組成物
EP1326502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ranulierbaren mischung und carnitin-magnesium-hydroxycitrat
KR20080108969A (ko) 수성 상에 비에스테르화 파이토스테롤을 포함하는 에멀젼
WO200300007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free-flowing powder containing water-dispersible sterols
WO2004009093A1 (de) Cholesterinsenkendes mittel aus ballaststoffen und cholesterinsenkenden stoffen
JPH10179086A (ja) 植物ステロールを含有する油溶化液及び飲食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273719B1 (ko)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갖는 기능성 오일 조성물
JPH0478264B2 (ko)
US20070031571A1 (en) Phytosterol esters
JP3999914B2 (ja) 油脂組成物
EP1250350B1 (en) Novel crystalline composites comprising phytosterols and phytostanols or derivatives thereof
WO2007101580A2 (de) Sterolester mit kurzkettigen fettsäuren
KR100656149B1 (ko) 피토스테롤 또는 피토스타놀의 공역 리놀레산 에스테르가결합된 고순도 디글리세라이드 유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991070A2 (de) Sterolhaltige pulver
DE1944755C3 (de) Fettsäure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mit diesen Fettsäureamiden angereicherten Nahrungsmitteln
JPS5959611A (ja) 安定なラク酸リボフラビン可溶化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