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811A -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811A
KR20100112811A KR1020090031290A KR20090031290A KR20100112811A KR 20100112811 A KR20100112811 A KR 20100112811A KR 1020090031290 A KR1020090031290 A KR 1020090031290A KR 20090031290 A KR20090031290 A KR 20090031290A KR 20100112811 A KR20100112811 A KR 2010011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d ginseng
ginseng
edible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120B1 (ko
Inventor
홍순기
박채규
장동필
조해현
이종원
조병구
한경호
현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09003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1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 스테롤 및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인삼 풍미를 가지며,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로 활용이 가능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삼, 홍삼박, 콜레스테롤, 식물성 스테롤

Description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Ginseng Oil extracted from Ginseng or its Residue Extract, Edible Oil Comprising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인삼 풍미를 가지며,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로 활용이 가능한 홍삼 오일, 이를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식용유 시장은 급격한 세대교체 시기이다. 식용유 1세대인 콩으로 만든 대두 식용유 시장은 연간 1800억 원대의 시장으로 워낙 인지도가 높아 난공불락의 시장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올리브유와 같은 기능성 성분이 풍부한 프리미엄 오일의 판매 급성장으로 시장 점유율이 감소세에 있다.
식용유는 현재 대두유 시장을 제치고 전체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올리브유이다. 이러한 올리브유는 특유의 향과 기능성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성향 등으로 이러한 고급 식용유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국내의 식용유 생산 업체들은 콜레스테롤 부담 등이 없어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고급 식용유의 생산량을 크게 늘리고 새로운 고급 식용유 품목을 개발 출시하 고 있다. 특히 업계는 연간 4000억 정도로 추정되는 식용유 시장에서 고급유의 대표적인 올리브유의 점유율이 콩, 옥수수에 이어 식용유 시장의 주력 제품으로 떠오름에 따라 관련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건강지향적 식문화의 확산으로 올리브유를 시작으로 기존 시장의 대두유와 옥수수유의 시장을 프리미엄급 식용유 시장이 시장 자체의 판도를 뒤집은 결과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어서 포도씨유와 카놀라유, 이후에는 현미유까지 시장에 강하게 침투하면서 식용유 시장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을 볼 때 소비자의 웰빙, 건강지향적 소비 형태는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동양에서 일찍부터 약리 효능이 인정되어 한방, 민간 의약 및 식품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돼 왔다. 인삼은 인삼차, 인삼 분말, 인삼 엑기스, 인삼 캔디, 인삼 정과, 인삼 양갱 등 다양한 제품 형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4766호는 인삼을 숙성시켜 인삼 식용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종래 인삼에 식용 유지를 투입하여 숙성하고 여과를 통해 수행하는데, 이럴 경우 유지의 산패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삼의 주요 성분이 유지와 함께 추출되지 않아 상품화가 용이하지 않다.
홍삼은 인삼 중에서 6년근 이상의 수삼을 찌고 말려 수분이 13% 정도로 제조 한 것으로 붉은색이 감도는 것이 특징이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또한,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인삼과 홍삼은 공통성분도 있지만 홍삼은 수증기로 인삼을 찔 때 열처리가 가해짐으로 제조과정 중 화학성분의 변환이 일어나 수삼이나 건삼에 존재하지 않은 일부 새로운 약효성분들이 생성된다. 홍삼과 인삼의 공통 함유성분은 총 18가지이며 홍삼에는 별도로 12종의 새로운 성분이 있는데, 예를 들면 암세포 증식억제 효능이 있는 G-Rh2나 노화억제 효능과 관련한 말톨(maltol) 등은 홍삼에만 존재한다.
홍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물로 추출하고 배출되는 부산물인 홍삼 잔사물, 즉 홍삼박은 산업적으로 동물 사료 또는 퇴비로 이용되거나 대부분은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35187호는 100 중량부의 홍삼 또는 홍삼박 건조분말 및 12.5∼250 중량부의 한약재박 건조분말을 장용제피로 코팅한 동물용 사료첨 가제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8024호는 홍삼부산물 10~20%와 부형재 80∼90%를 사료로 하여, 일반사료 1000kg 당 홍삼부산물 사료가 1∼2kg 첨가된 사료를 돼지에 급여하여 돼지의 일당증체량이 우수하고 호중구 수치가 높아 면역력이 강한 돼지로 사육할 수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처럼 홍삼박은 전량 버려지거나 사료 등에 소량 사용되고 있어 홍삼박에 대한 새로운 응용 분야를 제시하여 그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용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20646호는 홍삼박에 셀룰라제나 헤미셀룰라제를 혼합하여 효소 가수분해한 다음, 에탄올을 이용하여 식이섬유를 분리하여 홍삼박 함유 식이섬유 음료를 제조하고 있다. 상기 식이섬유 음료는 홍삼 엑기스를 추출한 후 홍삼박 내 잔류하는 수용성의 미량의 사포닌을 제품화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사포닌이 아닌 홍삼 및 홍삼박 내 함유된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상기 홍삼 및 홍삼박으로부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유지와 혼합한 식용 유지를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풍미를 가지며, 식물성 스테롤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홍삼 오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되며, 식물성 스테롤을 전체 조성 내 8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홍삼 오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오일과 식용 유지를 포함하는 홍삼 식용 유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식용 유지를 첨가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제조하는 홍삼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식용 유지는 홍삼 풍미를 가지며, 식물성 스테롤 및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홍삼은 물로 추출하여 수용성 성분인, 즉 사포닌을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고 있으며, 추출 후 남은 홍삼박은 전량 버려지거나 사료 등에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성분이 아닌 홍삼 및 홍삼박 내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새로운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홍삼 및 홍삼박의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이를 식용 유지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로부터 지용성 성분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것이다.
이때 홍삼은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고, 홍삼박 분말은 홍삼으로부터 엑기스를 제거하고 얻은 홍삼박을 물로 세척하고 열풍 건조하여 분쇄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추출은 용매 추출법, 냉침법, 온침법, 침적법 등 여러 방법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초임계 용매 추출법을 사용한다.
본 추출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는 홍삼 및 홍삼박 분말 내 지용성 성분인 식물성 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를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주정, 헥산, 사이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헵탄, 벤젠, 석유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푸르푸롤, 트리에틸아민,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 용매가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헥산을 사용한다.
이때 용매추출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 초임계 용매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순도를 높이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다.
이러한 추출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 1g에 대하여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여 4 내지 5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기로 25 내지 6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한다.
바람직하기로, 높은 추출 수율을 얻기 위해, 초임계 조건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초임계 추출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유체(일예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다음, 추출조의 압력을 300 내지 500bar로 유지하며 상온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추출용매의 함량, 온도 및 시간은 추출 수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경제적인 것을 고려하여 최대의 추출 수율을 얻기 위한 범위이다.
상기 홍삼 오일은 필요한 경우 정제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방법이 가능하다. 일예로 감압 여과 후 이온교환수지 또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친 후 동결 건조하거나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추출된 홍삼 오일은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기로, 주성분으로 80 중량% 이상이 유지로 구성되고, 0.1∼10 중량%가 식물성 스테롤, 0.1∼10 중량%의 인지질, 및 0.1∼5 중량%의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한다.
특히, 식물성 스테롤은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기타 식물성 스테롤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식물성 스테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 작용, 해독 작용, 면역기능 증강 작용 등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β-시토스테롤은 프로비타민D 의 일종으로, 이미 임상에서 콜레스테롤 축적에 의한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성 질환 등의 치료제에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홍삼 오일을 구성하는 식물성 스테롤 조성 내 80 중량% 이상 고함량으로 존재한다.
식물성 스테롤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오일 내 0.1∼10 중량%, 바람직하기로 8∼10 중량%로 존재한다.
유지는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며, C6~C24의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으로 C14:1 미리스트산, C14:0 미리스트올레산, C15:0 펜타데카노익산, C16:0 팔미트산, C16:1 팔미트올레산, C17:0 헵타데카노익산, C17:1 시스-10-헵타데세노익산, C18:0 스테아르산, C18:1 올레산, C18:2 리놀레산, C18:3 리놀렌산, C20:0 아라키돈산, C20:2 시스-11,14-에이코사티리에노익산, C21:0 시스-11-에이코세노익산, C22:0 베헤닉산, C20:3 시스-11,14,17-에이코사트리에노익산, C20:4 아라키돈산, C22:1 에루스산, C22:2 시스-13,16-도코사디에노익산, C23:0 트리코사노익산, 시스-5,8,11,14,17-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 C24:0 리그노세릭산, C24:1 네르보닉산 등을 포함하며, 그 중 50% 이상이 리놀레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방산은 전체 지방산 조성 내 80∼90 중량%로 불포화 지방산을, 4∼15 중량%는 포화 지방산을, 잔부로는 기타 및 트랜스 지방으로 이루어진다. 즉, 홍삼 오일 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은데, 이러한 불포화 지방산은 세포막이나 혈관벽을 딱딱하게 만드는 포화 지방산과는 달리 세포막을 부드럽게 해 세포 내 노폐물이 잘 배출되도록 도와주고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또 한, 높은 함량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인해 식용 유지로 사용하는 경우 맛을 좋게 하고, 열량을 많이 낼 뿐만 아니라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품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조성을 포함하는 홍삼 오일은 혈행 개선, 성기능 강화, 뇌인지력 강화, 콜레스테롤 억제 및 항암 효과가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홍삼 오일을 식용 유지와 혼합하여 홍삼 식용 유지를 제조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식용 유지에 사용하는 식용 유지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식용 유지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식용 유지로는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홍삼 오일:식용 유지는 0.1:99.9∼10:90 중량비로 혼합한다.
추가로 홍삼 식용 유지는 인삼씨 오일을 포함한다. 상기 인삼씨 오일은 분말, 엑기스, 또는 액상 상태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홍삼 식용 유지는 통상적으로 유지에 사용되는 항산화제를 비롯한, 염류, 유기산류, 향료, 당류, 다당류, 알코올류, 약효 성분 등 첨가제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식용 유지는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을 유기 용매로 추 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식용 유지를 첨가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제조된다.
먼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에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상기 홍삼 또는 홍삼박 내 존재하는 지용성 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유기 용매 내 추출 조건은 전술한 바를 따른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식용 유지를 첨가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홍삼 식용 유지를 제조한다.
상기 홍삼 추출물은 지용성 성분이 포함된 오일과 유기 용매가 혼합되어 있으며, 여기에 지용성인 식용 유지를 첨가하더라도 유기 용매와 식용 유지와의 혼화성이 높아 균일한 혼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혼합을 위해 필요한 경우 희석 용매를 사용한다. 상기 희석 용매는 홍삼 또는 홍삼박 추출물 1g에 대해 10ml 내지 100ml의 농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희석 용매로는 헥산, 사이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헵탄, 벤젠, 석유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푸르푸롤, 트리에틸아민,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주정, 헥산,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헥산을 사용한다.
상기 유기 용매의 제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방법이 가능하다.
이후 순도를 높이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정제 공정을 수행하 고, 포장하여 시판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홍삼 식용 유지는 튀김용 기름, 볶음용 기름, 샐러드용 기름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하거나, 유지 가공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유지 가공 식품에는 마요네즈, 드레싱, 커피크리머 등의 수중유형 에멀젼과, 마가린, 버터크림, 스프레드 등의 유중수형 에멀젼과, 과자, 캔디류, 베이커리 식품 등이 포함된다. 식품에 함유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식용 유지 조성물의 함량은 각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식물성 스테롤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용 유지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맛이 좋고 고열량을 내어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용 유지로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홍삼 식용 유지는 현재 버려지거나 사료로 사용되고 있는 홍삼박에 대한 새로운 응용 분야를 제시하여 그 활용 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홍삼 특유의 향기 성분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형태의 시장에서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로 높은 경쟁력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일 뿐 이러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홍삼 오일
<실시예 1> 홍삼 오일 1
홍삼 분말 1kg에 헥산 60ml를 넣고, 65℃에서 60 분간 환류시켜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감압 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검붉은색의 홍삼 오일을 얻었다.
<실시예 2> 홍삼 오일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홍삼 분말 대신 홍삼박 분말을 사용하여 홍삼 오일을 얻었다.
<실험예 1> 홍삼 오일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홍삼 오일의 성분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홍삼 오일 전체 조성
중량% 유지 식물성 스테롤 인지질 폴리아세틸렌 기타
실시예 1 81.64 10.08 5.15 0.59 2.54
실시예 2 81.59 9.62 5.46 0.61 2.72
상기 홍삼 오일 중 식물성 스테롤과 유지 성분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참조로 인삼씨 오일의 조성을 참조예로 측정 및 기재하였다(표준편차 ± 0.1).
식물성 스테롤 조성
중량% 실시예 1 홍삼 오일 실시예 2 홍삼 오일 인삼씨 오일
캄페스테롤 4.4 3.6 6.0
스티그마스테롤 13.5 12.7 30.9
β-시토스테롤 82.1 83.7 63.1
지방산 조성
중량% 실시예 1 홍삼 오일 실시예 2 홍삼 오일 인삼씨 오일
C14:0 (미리스트 올레산)
C16:0 (팔미트산)
C16:1 (팔미트올레산)
C18:0 (스테아르산)
C18:1 (올레산)
C18:2 (리놀레산)
C18:3 (리놀렌산)
트랜스 지방
기타
0.40
9.50
0.52
1.02
21.18
62.20
5.08
0.52
0.10
0.50
11.10
0.27
1.19
18.21
59.20
4.41
0.52
5.12
-
1.91
0.23
0.32
76.00
15.63
1.66
0.62
4.25
포화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11.44
88.46
13.06
81.82
2.46
93.29
상기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홍삼 및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 내 식물성 스테롤 중 β-시토스테롤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유지는 불포화 지방산이 81% 이상을 나타내 고함량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홍삼 오일 추출 조건
홍삼 오일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추출 용매, 추출 온도 및 시간을 달리하여 홍삼박으로부터 지용성 성분을 측정하였다.
추출 용매
홍삼박 분말 1kg에 주정 또는 헥산 각각을 60ml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추출을 통해 홍삼 오일을 얻은 후, 각각의 홍삼 오일 내 식물성 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표준편차 ± 0.1, mg/kg는 홍삼 오일 1kg 내 함량을 의미함).
mg/kg 주정 추출 헥산 추출
캄페스테롤 2037 3337
스티그마스테롤 9876 11716
β-시토스테롤 67936 76956
총 식물성 스테롤 함량 79849 92009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주정에 비해 헥산으로 추출하여 얻은 홍삼 오일 내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추출 시간별 추출 효율
홍삼박 분말 1kg에 헥산 60ml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시간을 달리하여 홍삼 오일을 얻은 후, 각각의 홍삼 오일 내 식물성 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표준편차 ±0.1, mg/kg는 홍삼 오일 1kg 내 함량을 의미함).
mg/kg 30분 60분 90분 120분
캄페스테롤 3104 3337 3340 3342
스티그마스테롤 9808 11716 11911 11921
β-시토스테롤 56956 76956 76996 76989
식물성 스테롤 총량 69868 92009 92247 92252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추출 수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약 90분 이후는 크게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추출 온도별 추출 효율
홍삼박 분말 1kg에 헥산 60ml를 사용하여 90분 동안 추출하였으며, 이때 온도를 25℃, 40℃, 및 65℃로 달리하여 홍삼 오일을 얻은 후, 각각의 홍삼 오일 내 식물성 스테롤 함량(mg/kg)을 측정하였다(표준편차 ±0.1, mg/kg는 홍삼 오일 1kg 내 함량을 의미함).
mg/kg 25℃ 40℃ 65℃
캄페스테롤 3045 3204 3337
스티그마스테롤 9934 10514 11716
β-시토스테롤 69056 70982 76956
식물성 스테롤 총량 82035 84700 92009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 수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약 65℃ 이후는 크게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홍삼 식용 유지
<실시예 3> 홍삼 식용 유지 1
홍삼 분말 1kg에 헥산 60 ml을 넣고, 65℃에서 60 분간 환류시켜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여기에 포도씨 오일을 첨가한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감압 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홍삼 식용 유지를 제조하였다(홍삼 오일: 포도씨 오일 = 0.1:99.9, 중량비).
<실시예 4> 홍삼 식용 유지 2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홍삼 분말 대신 홍삼박 분말을 사용하여 홍삼 식용 유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홍삼 식용 유지 성분 분석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전체 조성물 내 홍삼 오일의 함량이 각각 0.1 중량%, 0.5 중량%가 되도록 포도씨유의 함량을 조절하여 홍삼 식용 유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홍삼 식용 유지 내 함유된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를 위해 포도씨유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다(표준편차 ±0.1).
홍삼 식용 유지(실시예 3)
mg/kg 홍삼 식용 유지
(0.1 중량%)
홍삼 식용 유지
(0.5 중량%)
포도씨유
캄페스테롤 377 387 375
스티그마스테롤 236 276 225
β-시토스테롤 2279 2526 2217
총 식물성 스테롤 함량 2892 3189 2817
홍삼 식용 유지(실시예 4)
mg/kg 홍삼 식용 유지
(0.1 중량%)
홍삼 식용 유지
(0.5 중량%)
포도씨유
캄페스테롤 378 392 375
스티그마스테롤 237 284 225
β-시토스테롤 2294 2602 2217
총 식물성 스테롤 함량 2909 3278 2817
상기 표 7 및 표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식용 유지는 포도씨유와 비교하여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홍삼 식용 유지 특성
홍삼 식용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홍삼 식용 유지와, 비교예로서 포도씨유를 60℃ 인큐베이터에서 가속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속 실험진행시 화학적 변화로서 산가 및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고,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기간 포도씨유 홍삼 식용 유지
산가 POV 산가 POV
10 일 0.2 0.2 0.2 0.2
50 일 0.3 0.4 0.2 0.5
70 일 0.5 2 0.4 0.7
100 일 0.6 5 0.4 0.9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식용 유지와 포도씨유의 산가 및 과산화물가가 초기에는 유사하나 100일 이후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 식용 유지가 포도씨유보다 산패 안정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오일은 각종 식용 유지에 적용된다.

Claims (10)

  1.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되고,
    식물성 스테롤을 전체 조성 내에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홍삼 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스테롤은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인 홍삼 오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 1g에 대하여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여 4 내지 8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인 홍삼 오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오일은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유체를 공급한 다음, 추출조의 압력을 300 내지 500bar로 유지하며 상온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하여 얻어지는 것인 홍삼 오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홍삼 오일.
  6. 제1항의 홍삼 오일과 식용 유지를 포함하는 홍삼 식용 유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유지는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인 홍삼 식용 유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식용 유지는 홍삼 오일:식용 유지를 0.1:99.9∼10:9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홍삼 식용 유지.
  9. 홍삼 또는 홍삼박 분말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식용 유지를 첨가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제조하는 홍삼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홍삼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KR1020090031290A 2009-04-10 2009-04-10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90A KR101100120B1 (ko) 2009-04-10 2009-04-10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90A KR101100120B1 (ko) 2009-04-10 2009-04-10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811A true KR20100112811A (ko) 2010-10-20
KR101100120B1 KR101100120B1 (ko) 2011-12-29

Family

ID=4313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290A KR101100120B1 (ko) 2009-04-10 2009-04-10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1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1165A (zh) * 2011-01-05 2011-05-04 通化市天源植物研究所 人参油及其提取方法
DE102011051487A1 (de) 2010-11-12 2012-05-16 Hyundai Motor Co. Elektrohydraulische Ventilsteuerung
CN102511806A (zh) * 2011-12-22 2012-06-27 吉林农业大学 人参高品质膳食纤维及其生产方法
KR102022508B1 (ko) * 2019-03-18 2019-09-18 황수경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97B1 (ko) 2015-07-28 2016-12-05 주식회사 한빛향료 지방함량이 적은 종자의 오일 추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64B1 (ko) 2006-08-28 2008-02-04 구성학 홍삼성분을 함유한 지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1487A1 (de) 2010-11-12 2012-05-16 Hyundai Motor Co. Elektrohydraulische Ventilsteuerung
CN102041165A (zh) * 2011-01-05 2011-05-04 通化市天源植物研究所 人参油及其提取方法
CN102511806A (zh) * 2011-12-22 2012-06-27 吉林农业大学 人参高品质膳食纤维及其生产方法
KR102022508B1 (ko) * 2019-03-18 2019-09-18 황수경 기능성 오일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120B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Sesame oil
Matthäus Oil technology
Jahurul et al.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rambutan (Nephelium lappaceum L.) seed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 A review
US10640728B2 (en) Method for preparing rapeseed oil by semi-solid aqueous enzymatic treatment
KR101100120B1 (ko)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TWI604796B (zh) 苦茶油及其製備方法
Natić et al. Cold pressed oils from genus Prunus
He et al. Phytochemicals, nutrition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miracle fruit Synsepalum dulcificum
Adu et al. Effect of processing on the quality,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erminalia catappa (indian almond) seed oil
JP2012116877A (ja) 植物油および植物粕の製造方法
JP2000316473A (ja) 食用油の製造法
TW202203779A (zh) 水黃皮油組合物及其製造與使用方法
KR20140055348A (ko)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EP4001384A1 (en) Method for producing refined fat/oil
CN106720821B (zh) 一种利用茶油甘油解法制备的可可脂代用品及其制备方法
Xu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overall quality attributes of oils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seed
CN110804496A (zh) 超短时间低温脱臭保留葵花籽中维生素e的方法
Nikiema et al. Effect of dehulling metho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lipid constituents of the kernels and oils of Ricinodendron heudelotii seeds
JPWO2021174226A5 (ko)
WO2000049116A1 (en) Method for refining a seed oil having micronutrients
JP5107738B2 (ja) 食用油の製造方法
KR101415341B1 (ko) 달맞이 꽃 종자유 제조방법
Wang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overall quality attributes of oils from peony seeds (Paeonia suffruticosa Andr.)
Yu et al. Fatty Acid Composition of Grape Seed Oil as Affected by Grape Variety and Extraction Solvent
KR101022137B1 (ko) 함초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