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348A -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348A
KR20140055348A KR1020120122026A KR20120122026A KR20140055348A KR 20140055348 A KR20140055348 A KR 20140055348A KR 1020120122026 A KR1020120122026 A KR 1020120122026A KR 20120122026 A KR20120122026 A KR 20120122026A KR 20140055348 A KR20140055348 A KR 2014005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oil
extract
seed
ginseng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820B1 (ko
Inventor
고성권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성권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8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의 씨(seed)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 중에서 올레산(Oleic acid)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이 주요성분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올레산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 함유율이 높은 추출물을 인삼의 씨로부터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추출물은 인삼의 유용 성분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나 식용유 원료로써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Extract of ginseng seed, composition or oil having the sam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삼의 씨(seed)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의 씨로부터 올레산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 함유율이 높은 추출물을 얻는 것이며, 특히 인삼의 유용 성분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나 식용유 원료로써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삼 씨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려인삼(Panax ginseng)은 신농본초경의 상품에 수재되어 있고, 맛이 달고 약간 따뜻하며, 상중초, 즉 폐와 비에 작용하는 대보원기요약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고려인삼은 생리활성 물질로서 항당뇨 작용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b2를 비롯한 30 여종의 인삼 사포닌(saponins), 항암 작용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항산화 작용을 갖는 페놀계 화합물, 방사선 방어 작용을 갖는 인삼 단백질, 면역조절 작용을 갖는 산성 다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고려인삼은 서양삼(Panax quinquefolium)에 비해 다량의 페놀계 화합물, 폴리아세틸렌 및 산성 다당체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다 강한 생리활성이 기대된다. 고려인삼의 주된 약리성분으로 알려진 인삼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라 불리는데, 동경대학의 시바타(Shibata) 그룹에 의해 그 화학구조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고려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인삼 사포닌은 30 여종으로 서양삼 14 종과 삼칠삼(Panax notoginseng) 15 종에 비해 월등히 많다. 진세노사이드는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diol) 그룹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triol) 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프로토파낙사디올 그룹의 주요 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b1이고, 이는 중추신경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프로토파낙사트리올 그룹의 주요 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1으로 중추신경 흥분작용을 나타내고, 고려인삼의 어댑토젠(adaptogen) 활성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인삼은 프로토파낙사디올 그룹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 그룹의 함량비(디올/트리올)와 진세노사이드 Rb1과 진세노사이드 Rg1의 함량비(Rb1/Rg1)가 각각 1.96과 3.14를 나타내므로, 지나친 중추신경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서양삼의 2.48 및 25.96에 비해 균형적이면서도, 흥분적이기 보다는 진정적인 보기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고려인삼은 한방 약리학적인 효능으로 보원기와 더불어 안정신(安精神) 작용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익지(益智)의 진세노사이드 Rg1이 균형적이면서도 안정신 작용이 강화된, 진정한 의미에서의 현대인들의 최고의 강장제라고 사료된다.
지금까지 확인된 고려인삼의 약리 활성으로는 심장과 혈관의 보강, 혈액기능의 회복, 혈류 개선,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위장의 조절기능 강화, 간기능 촉진 및 숙취 제거 효과,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노화방지 작용, 두뇌활동 촉진 작용, 항염 활성,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 부인병, 당뇨병, 항방사선 작용, 정력 증강, 항종양 작용, 학습능력의 향상, 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창상치료 촉진, 면역능력 향상, AIDS 바이러스 증식 억제효과 및 단백질 합성능력의 촉진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밭에서 채굴한 수삼을 증건한 것을 홍삼, 껍질과 잔뿌리를 제거한 후 일광에 자연 건조한 것을 백삼, 잔뿌리를 자연 건조한 것을 미삼이라고 한다. 특히 홍삼은 열에 의해 생성되어 소량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g3 , Rg5 , Rh1와 같은 특이성분이 암 예방 및 암전이 억제작용, 혈압강하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하여 홍삼만의 특장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고려인삼은 오랜 기간 최고의 브랜드로 인식되어 왔지만, 현재는 세계 인삼시장에서 3%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와 같은 인삼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인삼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는 주로 약으로 이용하며, 인삼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은 인삼사포닌(ginsenoside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인삼 단백질(proteins), 다당체(polysaccharides), 페놀계 화합물(phenolic compounds)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인삼사포닌(ginsenoside)은 생화학 및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인삼의 유효성분으로 주목 받아왔다. 즉, Shibata 등의 연구 시작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인삼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것의 화학구조가 Shibata 그룹의 연구에 의해 명확히 확인되었다. 또한, 인삼사포닌은 화학구조의 특성에 따라 protopanaxadiol(PD)계, protopanaxatriol(PT)계, oleanane계 사포닌으로 구분할 수 있고, 현재까지 각각 22종, 13종, 1종의 화합물에 대한 구조가 규명되었다.
이러한 인삼사포닌(ginsenoside)의 약리 활성을 보면 항암작용을 비롯하여 항당뇨 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간기능 촉진 및 숙취제거효과,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항산화작용, 항염활성,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인삼 지하부와 인삼 지상부에 대한 인삼사포닌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인삼의 씨(seed)에 포함된 지방산에 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씨 추출물(인삼씨유)에 대한 지방산 성분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삼의 씨로부터 불포화 지방산 함유율이 높은 추출물을 얻고, 이를 통해 인삼의 유용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특별한 기능성을 가지는 식용 유지나 식용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의 씨(seed) 추출물은,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 중에 올레산(Oleic acid)이 60~8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hexane) 또는 올리브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방산 중에 리놀레산(linoleic acid)이 4~3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방산 중에 팔미트산(Palmitic acid)은 3~11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 중에 불포화 지방산이 95~97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한 인삼의 씨 추출물이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씨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의 씨 조성물에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및 홍화씨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식용 유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삼의 씨 추출물과 식용 유지가 0.1 : 99.9 내지 99.9 : 0.1 범위 내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지용성 성분에 식용 유지를 더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인삼 씨 유지의 제조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용매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올리브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 1g당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고, 4 내지 8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 또는 초음파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유체를 공급한 다음, 추출조의 압력을 300 내지 500bar로 상온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착유기에 넣고 압착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올레산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 함유율이 높은 인삼의 씨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삼의 유용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상기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이 우수한 식용 유지나 식용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지방산 표준품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헥산(hexane)으로 추출한 인삼씨유(ginseng seed oil : GSO)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헥산으로 추출한 싹틔운 인삼씨유(oil of ginseng seed in bud : OGSB)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올리브유로 추출한 인삼씨유(olive oil of ginseng seed : OEGS)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올리브유로 추출한 싹틔운 인삼씨유(olive oil extract of ginseng seed in bud : OEGSB)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인삼의 씨(seed) 추출물에 대한 것으로,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로부터 지용성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이다. 특별히, 인삼의 씨로부터 지방산, 그 중에서도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얻은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삼으로는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인삼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인삼은 고려인삼(Panax ginseng)을 비롯한 서양삼(Panax quinquefolium), 삼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또는 파낙스 베트남엔시스(Panax vietnamensis)와 같은 파낙스(Panax) 속 식물의 씨 또는 종자 및 이들을 가공 처리한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함량이 높은 고려인삼의 씨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물을 얻은 것이 특징이다. 종래에 인삼 지하부와 지상부(주로, 홍삼의 주근이나 미근)에 대한 인삼사포닌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인삼의 씨(seed)에 포함된 지방산에 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씨 추출물(인삼씨유)에 대한 지방산 성분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고, 인삼 씨를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보다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절반을 넘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인삼의 씨는 싹이 튀어지거나 튀어지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하고, 인삼의 씨 분말은 인삼의 씨를 세말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의 씨(seed) 추출물은,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 중에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Oleic acid)이 60~8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근(뿌리)에는 식물성 스테롤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지방산 중에서도 팔미트산과 같은 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인삼의 씨로부터 얻은 유기용매 추출물에는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절반을 넘는 가장 많은 주요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새롭게 알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인삼의 근(뿌리)과는 또 다른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기능식품 신소재로서의 가능성 가지고 있다.
상기 추출은 용매 추출법, 냉침법, 온침법, 침적법 등 여러 방법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초임계 용매 추출법을 사용한다.
본 추출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는 인삼 및 인삼박 분말 내 지용성 성분인 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를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주정, 헥산, 사이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헵탄, 벤젠, 석유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푸르푸롤, 트리에틸아민,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 용매가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헥산(hexane) 및/또는 올리브유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용매추출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 초임계 용매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순도를 높이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추출은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 1g에 대하여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여 4 내지 5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기로 25 내지 6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한다.
바람직하기로, 높은 추출 수율을 얻기 위해, 초임계 조건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초임계 추출은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유체(일예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다음, 추출조의 압력을 300 내지 500bar로 유지하며 상온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추출용매의 함량, 온도 및 시간은 추출 수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경제적인 것을 고려하여 최대의 추출 수율을 얻기 위한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씨를 압착하는 압착법에 의해 인삼 씨 오일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지용성 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착유기에 넣고 압착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은 고형상태기기 때문에, 착유기에 의한 압착법으로도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법과 착유기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오일은 필요한 경우 정제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방법이 가능하다. 일예로 감압 여과 후 이온교환수지 또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친 후 동결 건조하거나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된 후에 농축되거나 또는 농축된 액을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된 분말상의 가공인삼 추출물, 예를 들어 인삼이 연조 또는 건조된 엑스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 이후에는, 후 가공처리의 일례로써 식초를 이용해서 추가 추출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본 발명의 인삼 씨 조성물 또는 오일은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인삼의 씨 추출물이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며, 주성분으로는 80 중량% 이상이 유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0.1∼10 중량%의 인지질, 및 0.1∼5 중량%의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씨 추출물(인삼씨유)에는 지방산 중에서도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Oleic acid)이 60~80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65~75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방산 중에서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linoleic acid)은 4~30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25~3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방산 중에서 팔미트산(Palmitic acid)은 3~11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3~5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적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지방산 중에 불포화 지방산이 95~97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삼의 씨를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지방산의 함량은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 미만이면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낮아 인삼 뿌리 등의 추출물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미약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추출물은 별도의 추가 공정을 거쳐서 얻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씨 추출물은 인삼의 씨 오일 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은데,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은 세포막이나 혈관벽을 딱딱하게 만드는 포화 지방산과는 달리 세포막을 부드럽게 해 세포 내 노폐물이 잘 배출되도록 도와주고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높은 함량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인해 식용 유지로 사용하는 경우 맛을 좋게 하고, 열량을 많이 낼 뿐만 아니라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품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조성을 포함하는 인삼의 씨 오일은 혈행 개선, 성기능 강화, 뇌인지력 강화, 콜레스테롤 억제 및 항암 효과가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인삼 씨 오일을 식용 유지와 혼합하여 인삼 씨 식용 유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씨 식용 유지에 사용하는 식용 유지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식용 유지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식용 유지로는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홍화씨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인삼씨유:식용 유지는 0.1:99.9∼10:90 중량비로 혼합한다.
또한, 인삼 씨 식용 유지는 통상적으로 유지에 사용되는 항산화제를 비롯한, 염류, 유기산류, 향료, 당류, 다당류, 알코올류, 약효 성분 등 첨가제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씨 식용 유지는 인삼 씨 또는 인삼 씨 분말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식용 유지를 첨가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제조된다.
먼저, 인삼 씨 또는 인삼 씨 분말에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상기 인삼 씨 또는 인삼 씨 분말 내 존재하는 지용성 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유기 용매 내 추출 조건은 전술한 바를 따른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식용 유지를 첨가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인삼 씨 식용 유지를 제조한다.
상기 인삼 씨 추출물은 지용성 성분이 포함된 오일과 유기 용매가 혼합되어 있으며, 여기에 지용성인 식용 유지를 첨가하더라도 유기 용매와 식용 유지와의 혼화성이 높아 균일한 혼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혼합을 위해 필요한 경우 희석 용매를 사용한다. 상기 희석 용매는 인삼 씨 또는 인삼 씨 분말 추출물 1g에 대해 10ml 내지 100ml의 농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희석 용매로는 헥산, 사이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헵탄, 벤젠, 석유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푸르푸롤, 트리에틸아민,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주정, 헥산,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헥산이나 올리브유를 사용한다.
상기 유기 용매의 제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방법이 가능하다.
이후 순도를 높이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정제 공정을 수행하고, 포장하여 시판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인삼 씨 식용 유지는 튀김용 기름, 볶음용 기름, 샐러드용 기름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하거나, 유지 가공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유지 가공 식품에는 마요네즈, 드레싱, 커피크리머 등의 수중 유형 에멀젼과, 마가린, 버터크림, 스프레드 등의 유중수형 에멀젼과, 과자, 캔디류, 베이커리 식품 등이 포함된다. 식품에 함유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식용 유지 조성물의 함량은 각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혈액 개선 및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용 유지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맛이 좋고 고열량을 내어 성장기 청소년이나 노인용 식용 유지로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삼 씨 식용 유지는 현재 버려지거나 사료로 사용되고 있는 인삼 씨에 대한 새로운 응용 분야를 제시하여 그 활용 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인삼 특유의 향기 성분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형태의 시장에서 프리미엄급 기능성 식용 유지로 높은 경쟁력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인삼 씨의 준비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고려 인삼(Panax ginseng)씨는 한국 충북 음성에서 재배(재배자, 남성엽)된 5년생 인삼의 씨를 2011년 7월 14일에 채집하였고, 이것을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연구실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 인삼 씨의 헥산 추출물 제조
준비된 인삼씨를 싹틔운 인삼씨와 그렇지 않은 인삼씨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인삼씨를 세말하였다.
그런 다음, 각각의 시료 100g 씩에 헥산(hexane)을 10배 정도 넣고, 초음파 추출기(울트라 소니케이터)에서 2시간씩 2회씩 추출하였으며, 이것을 여과 후 여액을 합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헥산 엑스를 얻었다.
실시예 3 : 인삼 씨의 올리브유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헥산 대신에 올리브유(olive oil)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올리브유 엑스를 얻었다.
실험예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지방산 성분 분석
인삼씨유(헥산추출엑스)의 지방산 분석은 식품공전법(19)에 따라서 GC법으로 분석하였다. 지방산 표준품은 SupelcoTM 37 Component FAME Mix, 100 Neat(Catalog No. 18919-1MP)의 37종 100mg을 Isooctane 4ml 녹여서 사용하였다. GC는 Agilent 7890A를 사용하였고, 컬럼은 SP-2560(100m × 0.25mm × 0.2um, Supelco)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N2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속도는 0.75mL/min이었다. Injector 온도는 225℃, 오븐의 온도는 100℃(4min)에서 240℃로 1분에 3℃씩 유지하였다. 전개 크로마토그램 프로파일은 FID로 285℃에서 검출하였다.
도 1은 지방산 표준품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분석한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팔리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등 이었으며, 이들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GC를 통하여 표준품과 직접 비교 확인하였다.
도 2는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헥산(hexane)으로 추출한 인삼씨유(ginseng seed oil : GSO)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2에 따라 헥산으로 추출한 싹틔운 인삼씨유(oil of ginseng seed in bud : OGSB)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각 지방산의 총합인 총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싹틔운 인삼씨유가 13.0㎎으로 인삼씨유(11.0㎎)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 GSO : ginseng seed oil, OGSB : oil of ginseng seed in bud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씨유의 지방산 함량은 Oleic acid가 69.9%(7.7㎎), Linoleic acid가 26.7%(2.9㎎), Palmitic acid 3.0%(0.3㎎), palmitoleic acid 0.4%(0.0㎎) 이었으며, 싹틔운 인삼씨유에서는 Oleic acid가 63.5%(8.2㎎), Linoleic acid가 30.0%(3.9㎎), Palmitic acid 4.6%(0.6㎎), palmitoleic acid 0.4%(0.0㎎)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인삼씨유의 주요한 지방산 성분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근(뿌리)에는 식물성 스테롤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지방산 중에서는 리놀레산이 약 42.6%, 팔미트산이 28.2% 그리고 올레산은 16.3% 순으로 포함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씨 추출물은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보다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절반을 넘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인삼의 근(뿌리)과는 또 다른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기능식품 신소재의 가능성 보여주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와 같은 결과는 인삼씨유가 인삼 근과는 또 다른 삼류생약으로의 규격 설정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올리브유로 추출한 인삼씨유(olive oil of ginseng seed : OEGS)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고, 도 5는 상기실시예 3에 따라 올리브유로 추출한 싹틔운 인삼씨유(olive oil extract of ginseng seed in bud : OEGSB)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각 지방산의 총합인 총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싹틔운 인삼씨유가 13.0㎎으로 인삼씨유(11.0㎎)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Figure pat00002
* OEGS : olive oil extract of ginseng seed, OEGSB : olive oil extract of ginseng seed in bud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올리브유 추출 인삼씨유의 지방산 함량은 Oleic acid가 78.5%(16.3㎎), Palmitic acid 10.6%(2.2㎎), Linoleic acid가 4.6%(1.0㎎), stearic acid가 3.6%(0.8㎎), palmitoleic acid 0.8%(0.2㎎), linolenic acid가 0.7%(0.1㎎), arachidonic acid가 0.4%(0.1㎎)이었으며, 싹이 틔인 인삼씨의 올리브유 추출물에서는 Oleic acid가 78.7%(11.0㎎), Palmitic acid 10.5%(1.5㎎), Linoleic acid가 4.6%(0.6㎎), stearic acid가 3.6%(0.5㎎), palmitoleic acid 0.8%(0.1㎎), linolenic acid가 0.7%(0.1㎎), tricosanoic acid가 0.5%(0.1㎎), arachidonic acid가 0.4%(0.0㎎), cis-11-eicosenoic acid가 0.2%(0.0㎎)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인삼씨 올리브 추출물의 주요한 지방산 성분은 Oleic acid와 Palmitic acid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결과에 의하면 인삼씨의 올리브 추출물은 인삼씨유(헥산추출물)보다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 인삼씨유(헥산추출물)가 인삼씨의 올리브 추출물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상기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더욱 높을 것으로 보여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13)

  1.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 중에 올레산(Oleic acid)이 60~8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인삼의 씨(seed)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hexane) 또는 올리브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씨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중에 리놀레산(linoleic acid)이 4~3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씨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중에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3~11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씨 추출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중에 불포화 지방산이 95~97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씨 추출물.
  6. 제5항에 따른 인삼의 씨 추출물이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씨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채종유, 아마인유, 미강유, 옥수수유, 호박씨유, 땅콩유, 옥배유, 디글리세라이드유 및 홍화씨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식용 유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
  8. 제7항에 있어서,
    인삼의 씨 추출물과 식용 유지는 0.1 : 99.9 내지 99.9 : 0.1 범위 내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
  9.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지용성 성분에 식용 유지를 더한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인삼 씨 유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올리브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 1g당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고, 4 내지 8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초임계 유체를 공급한 다음, 추출조의 압력을 300 내지 500bar로 상온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착유기에 넣고 압착하여 지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씨 유지의 제조방법.
KR1020120122026A 2012-10-31 2012-10-31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42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26A KR101429820B1 (ko) 2012-10-31 2012-10-31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26A KR101429820B1 (ko) 2012-10-31 2012-10-31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48A true KR20140055348A (ko) 2014-05-09
KR101429820B1 KR101429820B1 (ko) 2014-08-12

Family

ID=5088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026A KR101429820B1 (ko) 2012-10-31 2012-10-31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8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036A (ko) * 2014-06-09 2015-12-17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WO2016060394A1 (ko) * 2014-10-17 2016-04-2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WO2016068547A1 (ko) * 2014-10-31 2016-05-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인삼씨유를 함유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조성물
CN107258934A (zh) * 2017-08-10 2017-10-20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利用南瓜籽油和亚麻籽油制备的保健油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254A (ko)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디에스메디팜 인삼 종자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인삼 종자유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682497B1 (ko) * 2015-07-28 2016-12-05 주식회사 한빛향료 지방함량이 적은 종자의 오일 추출방법
KR20200002528A (ko) 2018-06-29 2020-01-0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농약 저감화된 인삼 잎 추출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삼 잎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917B1 (ko) * 2008-06-16 2015-09-08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036A (ko) * 2014-06-09 2015-12-17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WO2016060394A1 (ko) * 2014-10-17 2016-04-2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20160045347A (ko) * 2014-10-17 2016-04-2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CN107072229A (zh) * 2014-10-17 2017-08-1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人参苦味抑制剂及含有其的人参组合物
WO2016068547A1 (ko) * 2014-10-31 2016-05-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인삼씨유를 함유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조성물
KR20160052001A (ko) * 2014-10-31 2016-05-12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유를 함유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조성물
CN106999524A (zh) * 2014-10-31 2017-08-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人参籽油的用于预防和治疗前列腺肥大的组合物
JP2018500285A (ja) * 2014-10-31 2018-01-11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ニンジン種子油を含有する前立腺肥大症の予防及び治療用の組成物
CN107258934A (zh) * 2017-08-10 2017-10-20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利用南瓜籽油和亚麻籽油制备的保健油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820B1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820B1 (ko)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Astuti et al. Determination of saponin compound from Anredera cordifolia (Ten) Steenis plant (binahong) to potential treatment for several diseases
Rahmanian et al. Bioactive profile, dehydration,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nents of olive leaves
JP2006512330A (ja) 竹からの抽出のトリテルペノイドサポゲニン化合物の製法と用途
JP2004075640A (ja) 脂肪細胞分化抑制剤
AU2018397667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thymohydroquinone and their method of preparation
Promkum et al. Anticlastogenic effect of Eryngium foetidum L. assessed by erythrocyte micronucleus assay
KR20230005131A (ko) 고형 및 연성 종양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13202005A (ja) クルクミン類含有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586009A (zh) 一种氮气保护生产调味亚麻籽油的方法
CN106236667A (zh) 一种滇牡丹天然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100120B1 (ko)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50170A (zh) 一种营养保健抗癌菜籽油
KR101416671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고농도 함유 인삼 잎 및 줄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Ullah et al. Response Surface Methodology‐Based Optimized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lected High‐Value Components from Gemlik Olive Fruit
KR20150036538A (ko) 백자채(gynura divaricata)의 간염 치료 약물 또는 건강식품 제조에의 응용
TW201919744A (zh) 由植物萃取物去除殘留農藥之方法
CN105670797A (zh) 一种佛手精油提取方法
CN104055171A (zh) 功能性花生芽菜饮料及其制作方法
JP2015086181A (ja) ユズ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食品および医薬品
KR101416673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고농도 함유 인삼 화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6669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인 고농도 함유 인삼 열매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280B1 (ko) 사포닌 추출효율이 개선된 인삼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의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8081425A (ja) 内臓脂肪蓄積抑制剤
EP3000328A1 (en) Fa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