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853B1 -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 Google Patents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853B1
KR102021853B1 KR1020170139031A KR20170139031A KR102021853B1 KR 102021853 B1 KR102021853 B1 KR 102021853B1 KR 1020170139031 A KR1020170139031 A KR 1020170139031A KR 20170139031 A KR20170139031 A KR 20170139031A KR 102021853 B1 KR102021853 B1 KR 10202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ffer band
frame
vehicl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5998A (en
Inventor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17013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53B1/en
Publication of KR2019004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주 보강프레임과 완충용 밴드를 통해 다이크 주변의 연약지반 등의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력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지주에 측면으로 충돌하는 경우, 완충용 밴드의 다수의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되, 좌우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완충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t reinforcement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dyke, through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buffer band can further improve the support capacity of the strut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such as the soft ground around the dyke, as well as the vehicle In case of striking the props side by side, the pleats of the buffer bands are spread out to cushion the impacts on the props, but the pleats of the left and right buffer bands are configured differently to increase the cushioning efficiency, resulting in the vehicle crashing and overturning. In addition to preventing accidents, it is possible to further minimize casualties.

Description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Shoring reinforcement for Dyke installation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본 발명은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주 보강프레임과 완충용 밴드를 이용하여 다이크(dike) 주변의 연약지반 등의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pillar)의 지지력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지주에 충돌하는 경우, 특히 측면 충돌시에,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reinforcing dyke installation, and more specifically, a support force for pilla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such as soft ground around a dike using a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a buffer ba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crashing and overturning by cushioning the impact on the support while the pleats of the cushioning band are unfolded, especially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especially during a side collis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reinforcing the dyke to minimize the casualties.

일반적으로 다이크(dike)는 도로변의 경계석이나 배수로 등과 같이 동일한 단면을 가지면서 상당한 길이로 형성되어 고속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In general, a dike is a structure that is formed in a considerable length while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such as a boundary stone or a drainage side of a roadside, and is installed on a road such as a highway or a national road.

다이크 주변의 지면에는 고속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것은 물론이고, 차량이 인도를 침범함과 더불어 다리 밑이나 절벽 등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더 이상의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설치되고, 가드레일은 지면(地面)에 일정깊이로 매설되는 지주(支柱)에 의해서 지지 된다.On the ground around Dyke, when an accident occurs on a road such as a highway or a national road, it not only absorbs shocks, but also prevents vehicles from invading India and falling down the bridge or cliffs. Guard rails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amage from increasing, and the guard rails are supported by struts embedded in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최근에는 차량 충돌시 변형모델이 역 사다리꼴 형태로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가드레일의 수직 방호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이 가드레일을 타고 승월하여 반대편 차선이나 인도로 넘어가 다리 밑, 절벽 등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가드레일용 연결구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3283호에 제안된 바가 있다.Recently, the deformed model is induced in the form of an inverted trapezoid in the event of a car crash, thereby improving the vertical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guard rail, and the vehicle is riding on the guard rail to advance to the opposite lane or sidewalk and fall to the bottom of a bridge or cliff. A guardrail end connector for preventing the damag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3283.

또한, 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가 금속재 빔과 블록 아웃을 통해 지주까지 전달됨에 따라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분산되도록 하여 금속재 빔이나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가드레일 보강구조가 국내 등록특허 제10-1211018호로 제안된 바가 있다.In addition,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 rail is sufficiently dispersed to prevent the metal beam or the vehicle from being damaged by being concentrated in one place as it is transmitted to the prop via the metal beam and the block out. A guardrail reinforcing structure to be made has been propos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11018.

또한, 지지력 보강재에 의하여 경사면 성토 부에서도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이나 경사면의 훼손에도 지주의 지지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도록 한 가드레일 보강 구조체가 국내 등록특허 제10-1306577호에 제안된 바가 있다.In addition, a guardrail reinforcing structure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1306577 which can secure enough bearing capacity in the inclined surface fill portion by the support forc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support force of the prop is not easily lowered eve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or damage of the inclined surface. It has been done.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차량의 정면 충돌시에 지주의 지지력을 높이는 구조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는 지주 지지력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완충 효율성도 떨어져서 추락 및 전복사고는 물론 인명사고를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s have a structure to increase the support of the support when the front of the vehicle collision, the support of the support is not only weak in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fall and rollover accident as well as minimizing human accidents due to low buffering efficiency.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3283호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13283 국내 등록특허 제10-1211018호Domestic Patent No. 10-1211018 국내 등록특허 제10-1306577호Domestic Patent No. 10-130657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 보강프레임과 완충용 밴드를 이용하여 다이크 주변의 연약지반 등의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력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지주에 충돌하는 경우, 특히 측면 충돌시에,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buffer band can further improve the support capacity of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ch as soft ground around the dyke at a certain interval, of course,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especially during a side impact, the pleats of the cushioning band are unfolded to cush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pillar,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falling down and overturning, and minimizing human accid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ring reinforcement device for dyke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완충용 밴드의 다수의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되, 좌우의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 개수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완충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차량 추락과 전복사고 방지 및 인명사고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shion the impact of the propagation while expanding the plurality of pleats of the buffer band when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the number of pleats of the right and left buffer band is configured differently to improve the cushioning efficiency Increas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implement vehicle crash, rollover prevention and minimizing human accident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정면 충돌사고보다는 측면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점으로부터 착안하여 측면 충돌에 대하여 완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yke installation support reinforcement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cushioning efficiency against side impacts by focusing on the side collision accidents rather than the front collision accidents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on the road. I would like to.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는 다이크 주변 지면에 설치된 지주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지주의 외주 면 중 후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주 보강 프레임; 상기 다이크의 배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L"자 형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1 연결 브래킷 사이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용 주름 부가 형성되는 제1 완충 밴드;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 브래킷 사이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용 주름 부가 형성되는 제2 완충 밴드; 를 포함하되,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도록 구성된다.Strike reinforcement device for dyk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reinforcement frame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in a state that accommodates the support post installed on the ground around the dyke; A fixed frame having an “L” shape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dyke with an anchor bolt;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xing frame; A first buffer band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and having a cushioning crease formed to cushion an impact applied to the strut in the event of a side impact of the vehicle; A second cushioning band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and having a cushioning crease for buffering a shock applied to the strut in a side impact of the vehicle; Including, but, when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cush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pillar while the wrinkles are unfolded.

상기 제1 완충 밴드 및 상기 제2 완충 밴드는 각각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거나 길이방향으로 다중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may each have a structure overlapp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multiple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완충 밴드 및 상기 제2 완충 밴드의 상기 완충용 주름 부는 "S" 형상이거나 "W"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ffer pleats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may be formed of either an "S" shape or a "W" shape.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may include a buffer spring.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에는 완충용 코어가 형성될 수 있다.A buffer core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본 발명은, 지주의 외주 면 중 전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의 내측 면에서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는 지주 서포트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pport frame positioned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and detachably bolted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t an inner side of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 보강프레임과 완충용 밴드를 이용하여 다이크 주변의 연약지반 등의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력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지주에 측면 충돌하는 경우, 완충용 밴드의 다수의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buffer band,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such as the soft ground around the dyke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e case of lateral impact on the shore, by cushioning the impact on the shore while a plurality of wrinkles of the buffer band is unfol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and rollover of the vehicle as well as to minimize the casualty accident.

또한, 좌우 측에 위치한 제1 완충용 밴드와 제2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가 각각 상이하게 구성되어, 차량 측면 충돌에 대하여 완충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eats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spectively different, thereby improving the buffer efficiency against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and rollover of the vehicle, of course. Human accidents can be further minimized.

도 1은 다이크 주변 지면에 설치된 지주와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 보강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 보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차량 측면 충돌시 완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의 X자형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W자형 완충용 주름 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지주 보강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지주 보강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로서, 지주 보강 프레임과 지주 서포트 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분리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for the dyke installation and the support for the dyk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around the dyke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t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t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ushioning in the vehicle side collis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X-shaped structure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10 is a view showing a W-shaped cushioning wrinkle por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between a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a support support frame as a support for dik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15 is a plan view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hoji reinforcement for installation of the dyke.

도 1은 다이크 주변 지면에 설치된 지주와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 보강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 보강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및 도 6은 차량 측면 충돌시 완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for the dyke installation and the support for the dyk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for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t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ure 1, and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ushioning when the vehicle side collision.

위 도면을 참조하면, 도로변의 경계석이나 배수로 등과 같이 동일한 단면을 가지면서 상당한 길이로 고속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에 다이크(1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ke 10 is installed on a road such as a highway or a national road with a considerable length whil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such as a boundary stone or a drainage road.

다이크(10) 주변의 지면(1)에는 고속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것은 물론이고 차량이 인도를 침범함과 더불어 다리 밑이나 절벽 등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더 이상의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20)이 설치되고, 가드레일(20)은 지면(地面)에 일정깊이로 매설되는 지주(30)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된다.On the ground 1 around the Dike 10, when an accident occurs on a road such as a highway or a national road, it not only absorbs shock but also prevents the vehicle from invading India and falling down the bridge or cliff. A guard rail 2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damage to life and property damage, and the guard rail 20 is firmly supported by a support 30 embedded in a certain depth on the ground.

본 실시 예에서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대부분 측면 충돌을 일으키는 점으로부터 착안하여, 차량 측면 충돌에 대하여 완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collides, most of them focus on the fact that a side collision occurs, and thus, it is to provide a support for reinforcing a dyke installation for improving the shock absorbing efficiency against a vehicle side collision.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100)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완충용 주름 부(151, 161)가 펼쳐지면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한다.Dike installation strut reinforc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pact on the side of the vehicle, cushioning wrinkles (151, 161) is unfolded so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strut 30 is cushioned.

본 실시 예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100)는 지주 보강 프레임(110), 고정 프레임(120),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130,140), 제1 완충 밴드(150), 및 제2 완충 밴드(160)를 포함한다.The pillar reinforcement device 100 for installing the dyk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reinforcement frame 110, a fixing frame 120,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130 and 140, a first buffer band 150, and a second buffer band ( 160).

지주 보강 프레임(110)은 다이크(10) 주변 지면에 설치된 지주(30)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지주(30)의 외주 면 중 후면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한다. 지주 보강 프레임(110)은 금속재는 물론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110 surrounds and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30 in a state in which the strut 30 installed on the ground around the dike 10 is accommodated therein.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s well as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고정 프레임(120)은 다이크(10)의 배면에 앵커 볼트(B1)로 고정 설치되는 "L"자 형상을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120)은 철재 또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120 has a "L" shape that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ke 10 by an anchor bolt B1. The fixed frame 120 may be made of steel o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다이크(10)의 배면에는 앵커 볼트(B1)가 설치되고, 그 앵커 볼트(B1)가 결합하도록 고정 프레임(120)에는 앵커 볼트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앵커 볼트(B1)에는 너트(N1)가 체결된다.An anchor bolt B1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ke 10, and an anchor bolt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xing frame 120 to couple the anchor bolt B1. The nut N1 is fastened to the anchor bolt B1.

제1 연결 브래킷(130)과 제2 연결 브래킷(140)은 고정 프레임(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3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40 are installed at a fixed interval on the fixing frame 120.

제1 연결 브래킷(130)과 제2 연결 브래킷(140)은 고정 프레임(120)에 용접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3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40 may be welded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frame 120.

제1 연결 브래킷(130)과 제2 연결 브래킷(140)에는 볼 체결 홀(H2)이 형성된다.A ball fastening hole H2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3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40.

제1 완충 밴드(150)는 지주 보강 프레임(110)의 일단과 제1 연결 브래킷(130) 사이에 볼트(B)로 연결된다. 제1 완충 밴드(150)에는 차량 측면 충돌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용 주름 부(151)가 다수 형성된다.The first buffer band 150 is connected by a bolt B between one end of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110 and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30. The first cushioning band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shioning pleats 151 for buffer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support 30 during the vehicle side collision.

제2 완충 밴드(160)는 지주 보강 프레임(110)의 일단과 제2 연결 브래킷(140) 사이에 볼트(B)로 연결된다. 제2 완충 밴드(140)에는 차량 측면 충돌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용 주름 부(161)가 다수 형성된다.The second buffer band 160 is connected by a bolt B between one end of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40. The second cushioning band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shioning pleats 161 for buffer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support 30 during the vehicle side collision.

완충용 주름 부(161)는 "S" 형상이거나(도 3 참조), "W"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0 참조).The cushioning pleat portion 161 may be formed of either an "S" shape (see FIG. 3) or a "W" shape (see FIG. 10).

본 실시 예에서는 완충용 주름 부(161)는 "S" 형상이거나, "W"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차량의 측면 충돌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shioning pleating portion 161 is not limited to the "S" shape or the "W" shape, and may be modified into other shapes in order to cush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strut 30 during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Do.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 충돌시, 완충용 주름 부(151,161)가 펼쳐지면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구성하되, 차량 충돌 사고시, 대부분 측면 충돌을 일으키는 점으로부터 착안하여 측면 충돌에 대하여 완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1 완충 밴드(150)의 완충용 주름 부(151)와 제2 완충 밴드(160)의 완충용 주름 부(161) 개수를 서로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pact on the prop 30 is cushioned while the cushioning pleats 151 and 161 are unfolded during a vehicle crash, but in the case of a vehicle crash, the side impact is mainly focused on the side colli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buffering efficiency, the number of cushioning wrinkles 151 of the first buffer band 150 and the number of buffering wrinkles 161 of the second buffer band 16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완충 밴드(150)의 완충용 주름 부(151)가 제2 완충 밴드(160)의 완충용 주름 부(161) 개수를 더 많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차량 측면 충돌시 완충용 주름 부(151)에서 일차적으로 완충하고, 동시 또는 연이어 완충용 주름 부(161)에서 재차 완충하도록 함으로써, 완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ushioning pleating portion 151 of the first buffering band 150 may constitute more buffering pleating portions 161 of the second buffering band 160. In such a configuration, the buffering pleats 151 are primarily buffered in the vehicle side collision, and the buffering pleats 161 are simultaneously or consecutively cushioned again, thereby maximizing the buffering efficiency.

이하, 실험(test)에서는 차량 측면 충돌 시, 지주의 수평 지지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지주 지지력 시험기를 이용하여 지주에 외력을 가하되, 실험 예 1에서는 차량 측면 충돌 각도(θ): 40°, 실험 예 2에서는 차량 측면 충돌 각도(θ): 50°, 실험 예 3에서는 차량 측면 충돌 각도(θ): 60°, 실험 예 4에서는 차량 측면 충돌 각도(θ): 70°로 외력을 가하여 지주 지지력을 시험하였다. 지주의 수평 지지력 값은 하기의 표 1과 같고, 시험 수행기관으로서는 (주)로드키네마틱스를 선정하였다.Hereinafter, in the tes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by using the support bearing tester to test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support during the vehicle side collision. 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vehicle side collision angle θ: 40 °, the test example. In the example 2, the vehicle side impact angle θ: 50 °, in Experimental Example 3, the vehicle side collision angle θ: 60 °, and in Experimental Example 4, the vehicle side impact angle θ: 70 ° It was.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the shore is shown in Table 1 below, and Road Kinematics Co., Ltd. was selected as a test institute.

지주 수평 지지력 값(4.5 TON 이상 합격)Stru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value (pass more than 4.5 TON) 실험 예 1Experimental Example 1 4.51 TON4.51 TON 실험 예 2Experimental Example 2 4.63 TON4.63 TON 실험 예 3Experimental Example 3 4.72 TON4.72 TON 실험 예 4Experimental Example 4 4.81 TON4.81 TON

위 표1을 근거로 실험 예 1 내지 4는 모두 지주 수평 지지력 값이 기준 4.5 TON 이상으로 측정되었는바,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는 차량 측면 충돌시, 지주 지지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완충용 주름 부에 의해서 완충 효율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Based on Table 1,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were all measured with a support horizontal support value of 4.5 tons or more. The dyke installation prop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upport of the support when the vehicle side impacts, as well as for cushio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buffer part has excellent buffering efficiency.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7은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제1 완충 밴드(250) 및 제2 완충 밴드(260)는 각각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완충 밴드(250) 및 제2 완충 밴드(260)는 2중 또는 3중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Firs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and the first buffer band 2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260 may be install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buffer band 2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260 may be installed in double or triple.

또한, 도 8은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제1 완충 밴드(350) 및 제2 완충 밴드(360)는 길이방향으로 다중이나 복수 개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the first buffer band 3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360 i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in multiple or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도 7이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가 중첩되거나 복수 개로 설치됨으로써, 완충용 주름 부가 더 많아져서 차량의 측면 충돌시, 주름 부(151,161)가 펼쳐지면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and FIG. 8, since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are overlapped or installed in plural numbers, the cushioning wrinkles are increased so that the pleats 151 and 161 are unfolded during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The shock applied to the 30 can be maximized the buffering effect.

또한, 도 9는 제1 완충 밴드 및 제2 완충 밴드의 X자형 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제1 완충 밴드(450) 및 제2 완충 밴드(460)는 X자형으로 교차하여 지주 보강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구성될 수도 있다.9 is a plan view showing an X-shaped structure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wherein the first buffer band 4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460 cross each other in an X-shape to support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110. It may be configured to couple to.

또한, 도 11은 지주 보강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지주 보강 프레임(210) 안에 완충용 스프링(213)이 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the buffer spring 213 may be built in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210.

또한, 도 12는 지주 보강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지주 보강 프레임(310)에 완충용 코어(313)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a buffer core 313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로서, 지주 보강 프레임과 지주 서포트 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분리 사시도, 및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shoji reinforcement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dy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3, and Figure 15 is Top view.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는, 지주 보강 프레임(310), 고정 프레임(120),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130,140), 제1 완충 밴드(150), 제2 완충 밴드(160), 및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3 to 15, the support for reinforcing the support for dyk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the fixing frame 12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130, 140), the first The buffer band 150, the second buffer band 160, and the support support frame 170 are included.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과 지주 보강 프레임(310)을 제외하고는, 고정 프레임(120),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130,140), 제1 완충 밴드(150), 제2 완충 밴드(16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Except for the support support frame 170 and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the fixed frame 12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130, 140, the first buffer band 150, the second buffer band 160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의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은, 지주(30)의 외주 면 중 전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지주 보강 프레임(310)의 내측 면에서 지주 보강 프레임(31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post support frame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post 30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bolted to the post reinforcement frame 310 at an inner side of the post reinforcement frame 310. .

본 실시 예에서는, 지주(30)가 지주 보강 프레임(310)과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에 의해서 둘러싸여 견고하게 지지 되므로, 지주(30)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지주(30)의 지지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upport 30 is surrounded by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and the support support frame 170 and is firmly supported,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30 is greatly improved without the shaking of the support 30. Can be.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주 보강 프레임(310)과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에는 지면에 깊숙하게 박힐 수 있는 고정부(고정 철심)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고정부는 항타 장치(미도시)에 의해서 타격되어 지면(地面)에 박히게 됨으로써, 지주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and the support support frame 170 may be formed with a fixed portion (fixed iron core) that can be deeply embedded in the ground, the fixing portion is a driving device (not shown) By being hit by the ground) and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the support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측면 충돌시, 완충용 주름 부(151,161)가 펼쳐지면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 된다. 이때, 제1 완충 밴드(150)에서 받은 힘과 제2 완충 밴드(160)에서 받는 힘이 상이하다.As shown in FIG. 6, in the vehicle side collision, the shock applied to the support 30 is cushioned while the cushioning pleats 151 and 161 are unfolded, as shown in FIG. 6. At this time, the force received from the first buffer band 150 and the force received from the second buffer band 160 is different.

다시 말해서, 통상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차량이 지주에 정면으로 충돌하기보다는 대부분 측면으로 충돌을 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의 좌우에 가해지는 힘도 서로 상이하다. 하지만, 기존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는 좌우가 대칭이며, 차량의 정면 충돌을 전제로 하여 구성되므로, 좌우에 전달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when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normally collides, the vehicle mostly collides to the side rather than to the front of the prop. Therefore, the force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yke installation strut reinforcement device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since the existing dyke installation strut reinforcement is symmetrical, and configured on the premise of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can not be efficiently buffered.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완충용 주름 부(151,161)가 펼쳐지면서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하되, 차량 충돌 사고시, 대부분 측면 충돌을 하는 점으로부터 착안하여 측면 충돌에 대하여 완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1 완충 밴드(150)의 완충용 주름 부(151)와 제2 완충 밴드(160)의 완충용 주름 부(161) 개수를 서로 달리 구성하여 완충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pact on the support 30 is cushioned while the cushioning pleats 151 and 161 are unfolded during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bu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most of the side collision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further increase the buffering efficiency, the buffering unit 151 of the first buffer band 150 and the buffering unit 161 of the buffering unit 161 of the second buffering band 16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to further increase the buffering efficiency.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 보강프레임과 완충용 밴드를 이용하여 다이크 주변의 연약지반 등의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의 지지력을 보다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지주에 측면 충돌하는 경우,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가 펼쳐지면서 지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such as the soft ground around the dyke by using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and the buffer band can be further improved, as well as the vehicle. In the case of side impact on the shore, by cushion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shore while the pleating portion of the buffer band is unfol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and rollover of the vehicle as well as to minimize the casualty accident.

또한, 좌우 측에 위치한 제1 완충용 밴드와 제2 완충용 밴드의 주름 부가 각각 상이하게 구성되어, 차량 측면 충돌에 대하여 완충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명사고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eats of the first buffer band and the second buffer band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spectively different, thereby improving the buffer efficiency against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and rollover of the vehicle, of course. Human accidents can be further minimiz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지주 보강 프레임, 고정 프레임, 연결 브래킷, 완충 밴드는 도면에 개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시공현장의 설계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부품을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 볼트 및 너트 이외에 용접이나 다른 체결 구조로도 변경 가능하다.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him. For example,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the fixing frame, the connection bracket, the buffer b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disclosed in the drawings,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fastening part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welding or other fastening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bolts and nuts.

1: 지면
10: 다이크
20: 가드레일
30: 지주
100: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
110: 지주 보강 프레임
120: 고정 프레임
130: 제1 연결 브래킷
140: 제2 연결 브래킷
150: 제1 완충 밴드
151: 완충용 주름 부
160: 제2 완충 밴드
161: 완충용 주름 부
170: 지주 서포트 프레임
213: 완충용 스프링
310: 지주 보강 프레임
B1: 앵커 볼트
H2: 볼 체결 홀
H1: 앵커 볼트 홀
1: floor
10: dyke
20: Guardrail
30: prop
100: Shore reinforcement device for dyke installation
110: prop reinforcement frame
120: fixed frame
130: first connection bracket
140: second connection bracket
150: first buffer band
151: cushioning wrinkles
160: second buffer band
161: cushioning wrinkles
170: prop support frame
213: shock absorbing spring
310: prop reinforcement frame
B1: anchor bolt
H2: ball fastening hole
H1: anchor bolt hole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이크(10) 주변 지면에 설치된 지주(30)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지주(30)의 외주 면중 후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주 보강 프레임(310);
상기 다이크(10)의 배면에 앵커 볼트(B1)로 고정 설치되는 "L"자 형의 고정 프레임(120);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130,140);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310)의 일단과 상기 제1 연결 브래킷(130) 사이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용 주름 부(151)가 형성되는 제1 완충 밴드(150); 및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310)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 브래킷(140) 사이에 연결되며,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용 주름 부(161)가 형성되는 제2 완충 밴드(160); 를 포함하되,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완충용 주름 부(151,161)가 펼쳐지면서 상기 지주(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며,
상기 지주(30)의 외주 면 중 전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310)의 내측 면에서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31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는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130,140)의 높이는 상기 수직부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래킷(130,140)의 폭은 상기 수평부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지주 보강 프레임(310)은 상기 지주(30)를 감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양쪽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완충 밴드(150)와 상기 제2 완충 밴드(160)에 결합하는 고정아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고정아암 사이에는 "ㄱ"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 밴드(150)와 상기 제2 완충 밴드(160) 끝단은 상기 지주 서포트 프레임(170)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완충 밴드(150)와 상기 제2 완충 밴드(160)의 높이, 상기 고정아암의 높이, 그리고 상기 몸체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
Shore reinforcement frame 310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rea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30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3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round the dyke 10;
A fixed frame 120 having an “L” shape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dyke 10 with an anchor bolt B1;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130 and 140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xing frame 120;
It is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310 and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130, a cushioning wrinkle portion 151 for buffering the shock applied to the strut 30 when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formed A first buffer band 150 being; And
It is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140, a cushioning wrinkle portion 161 for buffer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strut 30 when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formed A second buffer band 160; Including,
During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the shock applied to the support 30 is buffered while the cushioning wrinkles 151 and 161 are unfolded,
A support support frame 170 positioned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30 and detachably bolted to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at an inner side of the support reinforcement frame 310; Include more,
The fixed frame 12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The heigh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130 and 140 ar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rackets 130 and 140 ar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strut reinforcement frame 310 is a fixed arm that is formed on the body surrounding the strut 30 and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buffer band 1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160. Com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fixed arm is formed a "a" space portion,
Ends of the first buffer band 1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16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170.
The height of the first buffer band 150 and the second buffer band 160, the height of the fixed arm, and the height of the body is the same, the support for reinforcing the installation of the dyke installation.
KR1020170139031A 2017-10-25 2017-10-25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KR102021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31A KR102021853B1 (en) 2017-10-25 2017-10-25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31A KR102021853B1 (en) 2017-10-25 2017-10-25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98A KR20190045998A (en) 2019-05-07
KR102021853B1 true KR102021853B1 (en) 2019-09-18

Family

ID=6665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31A KR102021853B1 (en) 2017-10-25 2017-10-25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8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28B1 (en) * 2020-07-28 2021-01-29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Clamp for reinforcing support of post of guardrai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40B1 (en) *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KR101718139B1 (en) * 2016-06-28 2017-04-05 주식회사 포유텍 On-gutter installed type supporting sturucture for roadside vehicle barrier
KR101780971B1 (en) * 2016-11-08 2017-09-25 (주) 신호 a pillar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83Y1 (en) 2003-02-05 2003-05-16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Coupler for guard rail
KR101211018B1 (en) 2012-10-11 2012-12-11 장대영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306577B1 (en) 2013-04-12 2013-09-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Guardrail reinforc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39B1 (en) * 2016-06-28 2017-04-05 주식회사 포유텍 On-gutter installed type supporting sturucture for roadside vehicle barrier
KR101707140B1 (en) *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KR101780971B1 (en) * 2016-11-08 2017-09-25 (주) 신호 a pillar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98A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281B2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KR101870279B1 (en) Guard Fence for Bridge Pier,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Guard Fence
KR101851953B1 (en) Guard rail with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KR101036416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KR101344082B1 (en) Guard rail for reinforced pos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47736B1 (en) Guardrail for impact absorption using wire rope
KR102021853B1 (en) Pillar reinforcement apparatus for dike
KR20130116619A (en) Reinforce type guard fence
KR101230449B1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along road
KR102087262B1 (en) Shock-absorber for transition section of guardrail
KR200300015Y1 (en) guide rail for road
KR100682791B1 (en) Guard beam for protecting cars impact
KR101718139B1 (en) On-gutter installed type supporting sturucture for roadside vehicle barrier
KR102185578B1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KR20100007313U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t buffer shock absorption packing
KR101141690B1 (en) Guard rail having asymmetric shock absorbing member
KR200180181Y1 (en) Absorption impact for guide a rail
KR101134717B1 (en) Median Strip Guardrail
KR100780473B1 (en) Guard Rail
KR200439401Y1 (en) Protective fence for the road
KR200287801Y1 (en) Impact absorption and space-material of guide-rail
CN216108077U (en) Bridge protection wall buffer stop
KR101217832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101869058B1 (en) Guard rail for multistage shock absorption by rail having vertically asymmetrical shape
CN215714866U (en) Vehicle impact-preventing energy-absorbing guardrail for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